KR20200032051A -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 Google Patents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2051A
KR20200032051A KR1020200027552A KR20200027552A KR20200032051A KR 20200032051 A KR20200032051 A KR 20200032051A KR 1020200027552 A KR1020200027552 A KR 1020200027552A KR 20200027552 A KR20200027552 A KR 20200027552A KR 20200032051 A KR20200032051 A KR 202000320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using
packing
rod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3445B1 (ko
Inventor
이연섭
Original Assignee
이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섭 filed Critical 이연섭
Priority to KR1020200027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4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32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2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1/00Fluid-delivery valves, e.g. self-closing valves
    • F16K21/04Self-closing valves, i.e. closing automatically after op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30/00Coating with metallic material characterised only by the composition of the metallic material, i.e. not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proces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지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은 나노층을 도금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패킹의 저면에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하우징의 내면 측으로 확산되게 분사방향을 전환해 주는 물 확산수단을 일체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하우징 내 은 나노층의 항균기능을 통한 세균의 번식을 막음과 동시에 살균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패킹의 저면에 구비된 물 확산수단을 통해 컵을 이용하여 정수기에서 온수를 받을 때 뜨거운 온수가 왈칵 쏟아지며 컵에서 넘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물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사용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Coke valve for water purifier with antibacterial function}
본 발명은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을 포함한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 또는 냉온정수기(이하 "정수기"로 통칭함)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코크 밸브의 하우징 내면에 나노미터(1nm=10-9m) 단위의 은(Ag) 입자를 도금하여 항균기능을 통한 세균의 번식을 막음과 동시에 살균효과를 증대시키고, 또 생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으로 성형된 형태를 갖고 수직 단속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형태를 갖고 상방부를 향해 형성된 노즐의 물 공급봉을 단속하는 패킹의 저면에 물 확산수단을 더 구비시켜 레버의 작동을 통해 상기 패킹을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방부로 이동시킴을 인해 노즐의 물 공급봉이 열려 냉수 또는 온수가 상부를 향해 배출될 때, 상기 물 확산수단이 물을 상방향 및 측방향으로 더 확산시켜 물 특히, 온수가 순간적으로 강하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컵에서의 물 넘침 및 그로 인한 화상의 우려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등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1)에는 도 1과 같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레버(3)가 구비된 두 개의 코크 밸브(2)가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코크 밸브(2)는 비록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하우징의 내부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지지되어 물 배출구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패킹 등을 구비되어 있으며, 하우징 내부의 스프링은 캡의 상면에 설치되는 레버에 의해 압축 또는 신장되며, 이러한 움직임에 의해 패킹이 승,하강되며 코크 밸브가 개폐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수기용 코크 밸브는 종래에도 여러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한 코크 밸브(2)는 레버(3)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밀거나 또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당기거나 하면 밸브가 개폐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 외에 레버가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공되는 방식도 있으며, 스프링과 레버에 의한 밸브 개폐는 사용의 편이성 내지 간단한 구조 때문에 널리 사용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단 1회의 간단한 조작에 의해 개폐되는 코크 밸브는 정수된 냉수 및 온수를 용이하게 수취할 수 있도록 하지만, 유아들에게 있어서는 위험요소가 되기도 하였다.
즉, 판단능력 등이 부족하며 호기심이 많은 것이 보통인 유아는 정수기의 온수용 코크 밸브를 오작동하여 고온의 물에 의해 화상을 입게 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것은 밸브의 작동방식이 유아의 단순한 행동양상과 일체하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사고이다.
이러한 이유로, 종래에는 예측 불가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밸브개폐수단들이 제안되어 왔다.
이렇게 제안된 밸브개폐수단은 일반적으로 안전장치, 즉 록킹수단이 별도로 제공되는데, 종래 보통 사용되는 록킹수단은 밸브 레버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방식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록킹수단이 구비된 코크 밸브의 경우, 사용자는 취수를 위해서는 코크 밸브에 구비된 록킹장치를 해제한 후, 레버를 작동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록킹장치는 그의 해제를 용이하게 하도록 하우징과 레버에 걸쳐 설치되지만, 부가적인 부품이 소요됨으로써 제작비용이 상승되는 요인이 되었으며, 또한 사용상 불편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한편, 종래 대부분의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코크 밸브의 하우징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로 단순히 성형한 형태를 가지고 있는데, 이와 같은 코크 밸브의 하우징을 통해 냉수 또는 온수를 공급받을 때, 음식용기나 컵에 묻은 음식물 등이 하우징의 하부에 접촉될 뿐만 아니라 장시간에 걸쳐서 사용하다 보면 대기중의 먼지나 세균 박테리아와 같은 미생물이 코크 밸브의 하우징 표면에 부착되는 것을 포함하여 내부로 유입되어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세균번식에 의해 오염된 냉수 및 온수를 취수하여 각종 질병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 대부분의 정수기에서 사용되는 코크 밸브는,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물 배출구를 레버와 결합된 수직 단속봉의 하단부에 구비된 패킹을 통해 직접적으로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코크 밸브의 물 배출구가 열렸을 때 물이 곧바로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물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은 컵 등으로 레버를 눌러 코크 밸브를 열었을 때, 하우징의 하부에 구비된 물 배출구를 통해 물이 컵 내로 왈칵 쏟아져 나오는 형태를 갖게 되므로 특히, 온수용 코크 밸브를 열었을 경우 70~88℃의 온도를 갖는 온수가 컵에 왈칵 쏟아지며 순간적으로 물 넘침이 발생하게 되고, 이와 같이 뜨거운 온수가 컵에서 넘치는 과정에서 사용자들이 손 등에 화상을 입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10-1367169호(2014년 02월 19일)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80020호(2016년 03월 28일) 국내 등록특허공보 10-0322197호(2002년 01월 14일)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4496호(2008년 10월 09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가정을 포함한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코크 밸브의 하우징 내면에 나노미터(1nm=10-9m) 단위의 은(Ag) 입자를 도금하여 항균기능을 통한 세균의 번식을 막음과 동시에 살균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는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수직 단속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부를 향해 형성된 노즐의 물 공급봉을 단속하는 패킹의 저면에 물 확산수단을 더 구비시켜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패킹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방부로 이동되며 노즐의 물 공급봉을 열어 줌으로 인해 냉수 또는 온수가 하우징 내에서 상부를 향해 배출될 때, 상기 물 확산수단이 물을 상방향 및 측방향으로 더 확산시킨 다음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유속을 줄인 후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왈칵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컵에서 뜨거운 온수가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물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의 내측으로 월류관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패킹이 상승함으로 인해 노즐의 물 공급봉을 통해 배출된 후, 물 확산수단의 확산작용에 의해 하우징의 내면을 타고 내려오던 물이 곧바로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월류관에 의해 잠시 정체했다가 월류(overflow, 越流)된 다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써 물의 배출속도를 줄일 수 있어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왈칵 배출되는 것을 2단계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컵에서 뜨거운 온수가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보다 더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 역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패킹의 하우징 내 삽입부 저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소구경부의 외면에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을 더 설치하여 패킹의 승,하강 작동시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면의 은 나노층과 패킹 사이의 기밀을 유지해 주어 제품의 상품성 및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세부적인 목적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호퍼 형상을 갖는 저단부에 물 배출구가 구비된 상면 개구형의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형태로 결합되는 캡과;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 공급봉의 절곡부 자유단부가 본체의 상면 중심으로 노출된 형태를 갖고, 레버의 작동에 대응하여 패킹이 승강할 때, 정수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부를 향해 분사시켜 주는 노즐과; 저단부에 스프링 받침판과 패킹 고정구를 구비하고 상단부가 상기 캡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수직 단속봉과; 상기 캡의 상부로 노출된 수직 단속봉의 상단부에 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컵에 의해 정수기 본체 측으로 밀릴 때, 수직 단속봉을 통해 패킹을 승강시켜 주는 레버와; 상기 수직 단속봉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캡의 저면과 수직 단속봉의 스프링 받침판 상면에 밀착된 형태를 갖고, 통상시 패킹의 저면이 노즐의 물 공급봉 단부를 밀폐시켜 주게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스프링과; 주연부에 하우징 걸림편이 일체로 구비된 상면 중심점에 간격 유지봉 삽입홈과 수직 단속봉 결합홈이 하부를 향해 연속 형성되고, 상방부 외면에는 하우징 내 삽입부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간격 유지봉과 수직 단속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과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노즐에 구비된 물 공급봉의 단부를 단속시켜 주는 패킹과; 저부 일부가 상기 패킹의 간격 유지봉 삽입홈 내에 끼워지고, 상면은 상기 캡의 저면에 접촉된 형태를 가진 상태에서, 통상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노즐을 밀폐시켜 주고 있는 패킹이 레버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과 함께 승강되며 노즐을 열어줄 때 패킹의 승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간격 유지봉;으로 구성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은 나노층을 도금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패킹의 저면에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하우징의 내면 측으로 확산되게 분사방향을 전환해 주는 물 확산수단을 일체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물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 내 저부에서 수직 상방향을 향해 월류관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의 하우징 내 삽입부 저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소구경부의 외면에는 패킹의 승,하강 작동시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면의 은 나노층과 패킹 사이의 기밀을 유지해 주는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의하면, 첫째 가정을 포함한 사무실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정수기에 설치되어 냉수 및 온수의 배출을 단속하는 코크 밸브의 하우징 내면에 나노미터(1nm=10-9m) 단위의 은(Ag) 입자를 도금하여 줌으로써 항균기능을 통한 세균의 번식을 막음과 동시에 살균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어 위생상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생고무나 실리콘고무 등으로 성형한 형태를 갖고 수직 단속봉의 하단부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방부를 향해 형성된 노즐의 물 공급봉을 단속하는 패킹의 저면에 물 확산수단을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레버의 작동에 의해 상기 패킹이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방부로 이동되며 노즐의 물 공급봉을 열어 줌으로 인해 냉수 또는 온수가 하우징 내에서 상부를 향해 배출될 때, 상기 물 확산수단이 물을 상방향 및 측방향으로 더 확산시킨 다음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유속을 줄인 후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함으로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왈칵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컵에서 뜨거운 온수가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사용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물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의 내측으로 월류관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줌으로써 패킹이 상승함으로 인해 노즐의 물 공급봉을 통해 배출된 후, 물 확산수단의 확산작용에 의해 하우징의 내면을 타고 내려오던 물이 곧바로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월류관에 의해 잠시 정체했다가 월류되는 물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으므로 물의 배출속도를 줄일 수 있어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의 물 배출구를 통해 왈칵 배출되는 것을 2단계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컵에서 뜨거운 온수가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보다 더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사용시 안전성 역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패킹의 하우징 내 삽입부 저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소구경부의 외면에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을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패킹의 승,하강 작동시 유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하우징 내면의 은 나노층과 패킹 사이의 기밀을 유지해 주어 제품의 상품성 및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하에 기재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통하여, 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 중에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나 연구자에게 자명하게 파악되고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두 개의 코크 밸브가 구비된 종래 정수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일부 절취 및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가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가 열렸을 때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일부 절취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가 닫힌 상태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가 열렸을 때의 작동상태를 보인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호퍼 형상을 갖는 저단부에 물 배출구(11)가 구비된 상면 개구형의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형태로 결합되는 캡(20)과;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 공급봉(32)의 절곡부 자유단부가 본체(31)의 상면 중심으로 노출된 형태를 갖고, 레버(50)의 작동에 대응하여 패킹(70)이 승강할 때, 정수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부를 향해 분사시켜 주는 노즐(30)과; 저단부에 스프링 받침판(41)과 패킹 고정구(42)를 구비하고 상단부가 상기 캡(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수직 단속봉(40)과; 상기 캡(20)의 상부로 노출된 수직 단속봉(40)의 상단부에 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컵에 의해 정수기 본체 측으로 밀릴 때, 수직 단속봉(40)을 통해 노즐(30) 개폐용 패킹(70)을 승강시켜 주는 레버(50)와; 상기 수직 단속봉(40)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캡(20)의 저면과 수직 단속봉(40)의 스프링 받침판(41) 상면에 밀착된 형태를 갖고, 통상시 패킹(70)의 저면이 노즐(30)의 물 공급봉(32) 단부를 밀폐시켜 주게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스프링(60)과; 주연부에 하우징 걸림편(71)이 일체로 구비된 상면 중심점에 간격 유지봉 삽입홈(72)과 수직 단속봉 결합홈(73)이 하부를 향해 연속 형성되고, 상방부 외면에는 하우징 내 삽입부(74)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간격 유지봉(80)과 수직 단속봉(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50)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40)과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노즐(30)에 구비된 물 공급봉(32)의 단부를 단속시켜 주는 패킹(70)과; 저부 일부가 상기 패킹(70)의 간격 유지봉 삽입홈(72) 내에 끼워지고, 상면은 상기 캡(20)의 저면에 접촉된 형태를 가진 상태에서, 통상시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노즐(30)을 밀폐시켜 주고 있는 패킹(70)이 레버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40)과 함께 승강되며 노즐(30)의 물 공급봉(32)을 열어줄 때 패킹(7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간격 유지봉(80);으로 구성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은 나노층(12)을 도금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패킹(70)의 저면에는 노즐(30)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하우징의 내면 측으로 확산되게 분사방향을 전환해 주는 물 확산수단(90)을 일체로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물 확산수단(90)은,
상기 패킹(70)의 저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만곡지게 돌출 성형한 호형 철(凸)부(91) 또는 상방부를 향해 만곡지게 성형한 호형 요(凹)부(92) 중 어느 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물 배출구(11)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0) 내 저부에서 수직 상방향을 향해 월류관(13)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킹(70)의 하우징 내 삽입부(74) 저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소구경부(75)의 외면에는 패킹(70)의 승,하강 작동시 하우징(10) 내에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하우징(10) 내면의 은 나노층(12)과 패킹(71)의 외면 사이에서의 기밀을 유지해 주는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100)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에 대한 작용효과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 장치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하우징(10)과 캡(20), 노즐(30), 수직 단속봉(40), 레버(50), 스프링(60), 패킹(70) 및 간격 유지봉(80)으로 구성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 중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은 나노층(12)을 도금하여 항균기능을 통한 세균의 번식을 막음과 동시에 살균효과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패킹(70)의 저면에는 물 확산수단(90)을 일체로 더 구비시켜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의 물 배출구(11)를 통해 왈칵 배출되므로 인한 뜨거운 온수의 넘침 현상을 방지하여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공지된 정수기용 코크 밸브의 구성요소 중 상기 하우징(10)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성형한 것으로, 호퍼 형상을 갖는 저단부에는 물 배출구(11)가 구비되고 상면은 개구된 형태를 갖는다.
또, 상기 캡(20)은 중앙에 도면부호 기입을 생략한 수직 단속봉 출입공이 형성된 원통형 뚜껑 형상을 갖고 상기 하우징(10)의 상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형태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노즐(30)은 본체(31)와 물 공급봉(32)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 공급봉(32)의 절곡부 자유단부가 본체(31)의 상면 중심으로 노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노즐(30)은 통상시 패킹(70)에 의해 밀폐된 형태를 유지하다가, 레버(50)의 작동에 대응하여 수직 단속봉(40)의 저단부에 고정 설치된 패킹(70)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승강할 때, 정수기 본체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부를 향해 분사(즉, 하우징(10)의 물 배출구(11)과 반대방향으로 물을 분사)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수직 단속봉(40)은 저단부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스프링 받침판(41)과 패킹 고정구(42)이 구비된 형태를 갖고, 상단부가 상기 캡(20)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형태에서 레버(50)의 작동에 대응하여 승,하강 작동하며 패킹(70)을 통한 노즐(30)의 개폐를 단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레버(50)는 상기 캡(20)의 상부로 노출된 수직 단속봉(40)의 상단부에 축(도면부호 기입 생략함)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고, 사용자가 컵 등을 이용하여 도 5 및 도 6과 같이 정수기 본체 측으로 밀게 될 때, 상기 수직 단속봉(40)과 함께 패킹(70)을 승강시켜 노즐(30)의 물 공급봉(32)이 열리도록 하고, 사용자의 조작이 완료(즉, 밀림이 해제)되면 스프링(60)의 복원력에 의해 하강하는 수직 단속봉(40) 및 패킹(70)과 함께 원위치로 되돌아오게 된다.
또, 상기 스프링(60)은 코일 스프링으로써 상기 수직 단속봉(40)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캡(20)의 저면과 수직 단속봉(40)의 스프링 받침판(41) 상면에 밀착된 형태를 갖고, 레버(50)가 작동되지 않는 통상시 상기 레버(50)를 포함한 수직 단속봉(40)과 패킹(70)이 도 4와 같이 원위치로 돌아오게 함과 동시에 패킹(70)의 저면이 노즐(30)의 물 공급봉(32) 단부를 밀폐시켜 주게 탄성력을 발생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패킹(70)은 주연부에 하우징 걸림편(71)이 일체로 구비된 상면 중심점에 간격 유지봉 삽입홈(72)과 수직 단속봉 결합홈(73)이 하부를 향해 연속 형성되고, 상방부 외면에는 하우징 내 삽입부(74)가 형성된 형태를 갖고 간격 유지봉(80)과 수직 단속봉(4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50)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40)과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노즐(30)에 구비된 물 공급봉(32)의 단부를 단속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패킹(70)은 탄성력과 복원력이 매우 좋고 장기간 사용하여도 경화가 잘 이루어지지 않는 생고무나 실리콘 고무 등으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장기간 사용하여도 그 형상이 변화되지 않고 노즐(30)에 구비된 물 공급봉(32)의 단부를 단속시켜 주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또, 상기 간격 유지봉(80)은 소정 높이와 지름을 갖도록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한 것으로, 저부 일부가 상기 패킹(70)의 간격 유지봉 삽입홈(72) 내에 끼워지고, 상면은 상기 캡(20)의 저면에 접촉된 형태를 가진 상태에서, 통상시 스프링(60)의 복원력에 노즐(30)을 밀폐시켜 주고 있는 패킹(70)이 레버(50)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40)과 함께 승강되며 도 5 및 도 6과 같이 노즐(30)의 물 공급봉(32)을 열어줄 때 패킹(70)의 승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중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에 은 나노층(12)을 도금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0) 내로 유입된 물속에 포함된 산소와 은 나노층(12)의 은과 만나 산소 분자는 산소 원자 형태로 은(금속 양이온 형태)에 달라붙게 되고, 이것들이 세균, 박테리아 등의 세포막에 달라붙어 산화시키므로 파괴되어 살균 작용은 물론 항균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킹(70)을 생고무나 실리콘 고무 등을 이용하여 성형할 때, 저면에 소정 형상을 갖는 물 확산수단(90)을 일체로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노즐(30)을 통해 상방부로 분사되는 물이 상기 물 확산수단(90)에 부딪혀 하우징(10)의 내면 측으로 확산시켜 줌과 동시에 분사방향을 전환해 줄 수 있다.
이때, 상기 물 확산수단(90)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기 패킹(70)의 저면에서 하방부를 향해 만곡지게 돌출되는 호형 철(凸)부(91) 형태로 성형하거나, 또는 도 6과 같이 상방부를 향해 만곡지는 호형 요(凹)부(92)의 형태로 성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패킹(70)의 저면에 호형 철(凸)부(91) 또는 호형 요(凹)부(92) 형태를 갖는 물 확산수단(90)을 형성시켜 주게 되면, 레버(50)의 작동으로 인해 패킹(70)이 하우징(10) 내에서 승강하여 노즐(30)의 물 공급봉(32) 단부가 열림과 동시에 상방향으로 분사되는 물이 상기 패킹(70)의 저면에 구비된 물 확산수단(90)에 부딪쳐 도 5 및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측방향을 향해 사방으로 골고루 확산된다.
이와 같이 측방향으로 확산된 물은 다시 상기 하우징(10)의 내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유속이 크게 준 다음 하우징(10)의 물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코크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10)의 물 배출구(11)를 통해 왈칵 배출되는 것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컵을 이용하여 정수기에서 온수를 받을 때 뜨거운 온수가 왈칵 쏟아지며 컵에서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사용시 안전성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물 배출구(11)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10) 내 저부에서 수직 상방향을 향해 월류관(13)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하여 주었다.
따라서, 레버(50)의 작동에 대응하여 패킹(70)이 상승함으로 인해 노즐(30)의 물 공급봉(32)을 통해 배출된 후, 물 확산수단(90)의 확산작용에 의해 하우징(10)의 내면을 타고 내려오던 물이 곧바로 물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월류관(13)의 높이에 대응하여 잠시 정체했다가 월류되는 물만 하우징(10)의 물 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패킹(70)의 저부에 물 확산수단(90)을 구비시킨 코크 밸브의 하우징(10) 내 저부에 월류관(13)을 더 돌출 성형하여 물의 배출속도를 더 줄여 주게 되면, 코크 밸브가 열리는 순간 온수가 강하게 하우징(10)의 물 배출구(11)를 통해 왈칵 배출되는 것을 물 확산수단(90)과 월류관(13)을 통해 도 5 및 도 6의 화살표와 같이 2단계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컵에서 뜨거운 온수가 넘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화상 등과 같은 안전사고를 보다 더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기의 사용시 안전성 역시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패킹(70)의 하우징 내 삽입부(74) 저부에 일체로 돌출 성형됨으로 인해 패킹(70) 자체의 종단면이 대략 "T"자 형상을 갖도록 하는 소구경부(75)의 외면에 생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성형한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100)을 더 설치하여 주었다.
따라서, 물의 섭취를 위해 레버(50)을 작동시켜 패킹(70)을 승,하강 작동시킬 때, 상기 소구경부(74)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100)이 하우징(10) 내면에 도포된 은 나노층(12)과 밀착된 상태에서 승,하강 작동하게 되므로 하우징(10) 내에서 패킹(70) 자체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은 나노층(12) 내면과 패킹(70) 외면 사이의 기밀을 유지시켜 줄 수 있어 코크 밸브 상방부 측으로의 물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품 자체의 상품성과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 하우징 11 : 물 배출구
12 : 은 나노층 13 : 월류관
20 : 캡
30 : 노즐
31 : 본체 32 : 물 공급봉
40 : 수직 단속봉
41 : 스프링 받침판 42 : 패킹 고정구
50 : 레버
60 : 스프링
70 : 패킹
71 : 하우징 걸림편 72 : 간격 유지봉 삽입홈
73 : 수직 단속봉 결합홈 74 : 하우징 내 삽입부
75 : 소구경부
80 : 간격 유지봉
90 : 물 확산수단
91 : 호형 철(凸)부 92 : 호형 요(凹)부
100 :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

Claims (2)

  1. 저단부에 물 배출구가 구비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면 개구부를 막아주는 캡;
    상기 하우징의 측면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물 공급봉의 절곡부 자유단부가 본체의 상면 중심으로 노출된 형태를 갖는 노즐;
    상단부가 상기 캡의 중앙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 수직 단속봉;
    상기 캡의 상부로 노출된 수직 단속봉의 상단부에 축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 레버;
    상기 수직 단속봉의 외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단부가 각각 상기 캡의 저면과 수직 단속봉의 스프링 받침판 상면에 밀착된 형태를 갖는 스프링;
    간격 유지봉과 수직 단속봉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레버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과 함께 승,하강 작동되며 노즐에 구비된 물 공급봉의 단부를 단속시켜 주는 패킹; 및
    통상시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노즐을 밀폐시켜 주고 있는 패킹이 레버의 작동에 부응하여 수직 단속봉과 함께 승강되며 노즐을 열어줄 때 패킹의 승강 높이를 제한해 주는 간격 유지봉;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내면에 은 나노층을 도금을 통해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패킹의 저면에는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물이 하우징의 내면 측으로 확산되게 분사방향을 전환해 주는 물 확산수단을 일체로 더 구비하며,
    물 배출구가 형성된 상기 하우징 내 저부에서 수직 상방향을 향해 월류관을 일체로 더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킹의 하우징 내 삽입부 저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소구경부의 외면에 유동방지겸 기밀 유지링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20200027552A 2020-03-05 2020-03-05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KR10220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52A KR102203445B1 (ko) 2020-03-05 2020-03-05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552A KR102203445B1 (ko) 2020-03-05 2020-03-05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909A Division KR20190122320A (ko) 2018-04-20 2018-04-20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2051A true KR20200032051A (ko) 2020-03-25
KR102203445B1 KR102203445B1 (ko) 2021-01-14

Family

ID=70001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552A KR102203445B1 (ko) 2020-03-05 2020-03-05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4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785A (zh) * 2020-05-19 2020-09-08 涡阳县沪涡多孔矸石砖有限公司 一种冷却塔喷淋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197B1 (ko) 1999-09-15 2002-02-06 정낙원 정수기 밸브
KR20040089034A (ko) * 2004-09-23 2004-10-20 양원동 나노실버가 함유된 물 꼭지
KR100753744B1 (ko) * 2006-07-12 2007-08-31 이병순 온수기용 밸브
KR20080004496U (ko) 2007-04-05 2008-10-09 (주)원봉 정수기의 취수 코크
KR20100034380A (ko) * 2008-09-24 2010-04-01 채병태 안전취수구조를 갖춘 온수공급밸브
KR20120125786A (ko) * 2011-05-09 2012-11-19 홍경환 토출수 반전구
KR101367169B1 (ko) 2012-11-16 2014-0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수기용 온수밸브
KR200480020Y1 (ko) 2014-08-12 2016-04-01 이성주 정수기용 밸브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2197B1 (ko) 1999-09-15 2002-02-06 정낙원 정수기 밸브
KR20040089034A (ko) * 2004-09-23 2004-10-20 양원동 나노실버가 함유된 물 꼭지
KR100753744B1 (ko) * 2006-07-12 2007-08-31 이병순 온수기용 밸브
KR20080004496U (ko) 2007-04-05 2008-10-09 (주)원봉 정수기의 취수 코크
KR20100034380A (ko) * 2008-09-24 2010-04-01 채병태 안전취수구조를 갖춘 온수공급밸브
KR20120125786A (ko) * 2011-05-09 2012-11-19 홍경환 토출수 반전구
KR101367169B1 (ko) 2012-11-16 2014-02-26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수기용 온수밸브
KR200480020Y1 (ko) 2014-08-12 2016-04-01 이성주 정수기용 밸브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37785A (zh) * 2020-05-19 2020-09-08 涡阳县沪涡多孔矸石砖有限公司 一种冷却塔喷淋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445B1 (ko) 2021-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4314A (en) Squeeze bottle self-closing viscous liquid dispensing valve having manually operated positive shut-off
CN101657360B (zh) 用于防溢出饮料容器的盖子
US20080257273A1 (en) Top-fill hummingbird feeder
CN200948063Y (zh) 电饭煲小球微压蒸汽阀
KR20200032051A (ko)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US5492145A (en) Anti-syphon fluid control valve apparatus and method
EP1456114A1 (en) Bottled water discharging apparatus
AU655955B2 (en) Contact lens case venting system
CA2400135A1 (en) Bypass orifice and filter for diaphragm type flush valve
KR100889807B1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코크 및 그 사용방법
KR200382908Y1 (ko) 하수 악취차단장치
KR20190122320A (ko) 항균 기능을 갖는 정수기용 코크 밸브
WO2001090615A1 (es) Valvula distribuidora de agua para grifos de baño y ducha
KR101944377B1 (ko) 세면대용 배수 밸브
KR101487900B1 (ko) 수도꼭지용 절수장치
CN107055648B (zh) 一种便携式净水壶
CN210146261U (zh) 快速止水花洒
CN106040456B (zh) 具有清洁功能的花洒
KR20170010971A (ko) 압력밥솥 덮개
CN205321990U (zh) 一种方便清洗的拆装式杯盖
KR200298037Y1 (ko) 냉온수기용 온수밸브의 안전장치
CN219838922U (zh) 一种隔离空气的真空瓶
CN208331367U (zh) 一种新型延时水阀
KR101104344B1 (ko) 음용수 공급장치용 안전취수 밸브
WO2020249070A1 (zh) 一种按压开关出水结构、出水控制阀芯和出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