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853A -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 Google Patents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853A
KR20200031853A KR1020180110842A KR20180110842A KR20200031853A KR 20200031853 A KR20200031853 A KR 20200031853A KR 1020180110842 A KR1020180110842 A KR 1020180110842A KR 20180110842 A KR20180110842 A KR 20180110842A KR 20200031853 A KR20200031853 A KR 202000318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generation
solar power
image
data
dimensi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훈
이윤래
Original Assignee
(주)케이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지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지아이
Priority to KR1020180110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1853A/ko
Publication of KR202000318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85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60Analysis of geometric attribu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ometr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를 생성하고,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드론 항공 촬영을 기반으로 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은, 1)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 생성 단계; 2)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4)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를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A METHOD FOR ANALYZING THE THERMAL PICTURE INFORMATION BASED ON GPS}
본 발명은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를 생성하고,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드론 항공 촬영을 기반으로 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RPS) 제도의 정의는 "설비용량의 500MW 이상의 발전 사업자에게 총 발전량 중 일정량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전력으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를 의미한다.
이러한 RPS 제도를 시행하고 큰 성과를 거두었는데, RPS 시행 4년만인 2016년 12월까지 기존의 FIT 설비 보급량(2011년 말 기준 1GW)의 약 7.6배인약 7.6GW(태양광 3.3GW, 비태양광 4.3GW 이상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보급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태양광은 2015년 한 해에만 약 1GW가 보급되는 등 RPS 제도를 통해 국내 신재생 보급이 대폭 확대되는 추세이다.
2017년 기준 신재생에너지 대체 비율은 4%대이며, 정부에서 2023년 기준 10%를 목표로 하였고, 2030년까지 28%로 상향키로 하였다.
그런데 이렇게 대폭 증가하고 있는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해서는 그 유지 관리에 많은 인력이 소요되는 반면에 그 면적이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어서 이를 효율적이고 입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입체적 유지 관리 이전에 설치 예정인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하여 사전에 정확한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태양광 발전 설비 투자를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도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를 생성하고,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드론 항공 촬영을 기반으로 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은, 1)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 생성 단계; 2)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4)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를 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3) 단계는, a) 영상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촬영 및 영상 정보에 라이다를 이용하여 수집된 사전 태양광 발전 사업 지역의 삼차원 지형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b) 전 단계의 데이터에 기후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c)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나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4) 단계는, d)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는 단계; e) 구축된 3차원 가상 모형을 이용하여 전 단계들에서 확보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해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나뉘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에서는, 삼차원 태양광 발전 시설물 관리용 뷰어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입체 관리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에 의하면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를 생성하고,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사전에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2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의 예시도이다.
도 3은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의 제1 공정의 세부 공정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촬영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중 제2 공정의 세부 공정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도화 지도 생성 단계(S100)로 시작된다. 이 단계(S100)는 드론을 이용하여 얻어지는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를 생성하는 단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본 단계(S100)는 구체적으로 3가지 소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드론을 이용한 촬영 및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S110)가 수행된다. 이 단계(S11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를 설치할 예정인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하여 항공 촬영 당을 수행하여 영상 정보를 수집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드론은 방위 분해능 및 거리 분해능이 우수한 라이다(LiDAR)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이다를 구비하는 드론을 이용해서 특정 지점에 대한 정확한 고도 및 거리 정보 그리고 방위 정보 등을 영상 정보와 함께 수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 단계(S110)에서는 특정 GPS 지점 및 고도에 대한 정지 비행 기능과 여러 GPS 지점을 자동으로 순차 경유하는 자동 비행기능을 활용하여 항공 촬영 이미지를 확보하는 것이,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해당 지역에 대한 항공 촬영을 수행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는 특정 지형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된다. 이 단계(S120)에서는 전 단계(S110)에서 얻어진 상기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성 평가를 위한 특정 지형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특정 지형 데이터는, 해당 지점에 대한 사면 방향도와 경사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표고, 온도, 풍속 등 다양한 요소들이 더 존재하지만 태양광 발전 효율과 관련도가 높은 사면 방향도와 경사도만을 특정 지형데이터로 추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정 지형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여 지형 영상도화 지도를 생성하는 단계(S130)가 수행된다. 이 단계(S130)에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단계(S110)에서 전송되는 파일과 전 단계(S120)에서 제공되는 특정 지형 데이터 등을 활용하여 영상도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단계(S200)가 진행된다. 이 단계(S200)에서는 전 단계(S100)에서 얻어진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가 건설될 예상 지역의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본 단계(S200)는 2가지 소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S210)가 진행된다. 즉, 전 단계(S210)에서 얻어진 항공 촬영 이미지 데이터 및 상기 영상도화로부터 태양광 발전 사업 경제성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것이다.
그리고 추출된 태양광 발전 사업 경제성 분석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 태양광 발전 시설물을 이미지 형태로 보여주는 시뮬레이션 단계(S220)가 진행된다. 이 단계(S220)는 태양광 발전 시설물을 이미지 형태로 확인 가능하도록 위치(GPS) 및 촬영 정보를 이용한 위치 기반 3D 모델링 모듈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즉, 경위도의 2D 정보를 갖는 표면 정보를 3D의 공간정보로 표현하기 위해 Z축, 즉 높이값이 필요하므로 드론이 측정한 고도값으로 수치표고모형(DEM : Digital Elevation Model)을 생성하고 이를 영상 정보에 오버레이하여 최종 결과물을 생성한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 단계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S300)가 진행된다. 본 단계(S300)는 사전 경제성 분석용 자동도면 생성 모듈에 의하여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본 단계(S300)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소단계로 나뉘어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상기 삼차원 지형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S310)가 진행된다. 즉, 정확한 사전 경제성 분석을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영상 정보를 이용한 평가 기능에 따라 라이다(LIDAR)를 통해 수집된 태양광 발전 사업 사전 지역의 3D 2형 정보(위치별 고도값)를 이용하여 사업성 자동 평가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한다.
다음으로는 전 단계(S310)의 데이터에 기후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S320)가 진행된다. 여기에서 기후적, 환경적 요인에대한 정보는 기상청, 한국에너지공단 등과 연동 및 협조를 통해 진행되며, 연동을 위한 기본 정보는 태양광 발전 사업 사전 지역에 대한 위치 정보(위경도 또는 지역 Area)를 전달하고 원하는 정보를 수신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S330)가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 생성되는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은 신축 예비 대상 지역의 토목 계획과 태양광 어레이 설계 계획을 포함한다. 토목 계획은 부지의 기초 평탄화 계획을 목표로 산출되며, 태양광 어레이 설계 계획은 모듈선정 및 음영분석 배치, 지지대, 부속자재의 구조설계 및 방수, 방식, 적정 전기배선 및 접속함 배치, 인버터 선정 및 배치의 4개 설계 분야별로 최적화 규칙 및 고려 항목을 통하여 산출된다.
3차원 지형 공간 정보로부터 연간 일사량을 산출하고, 이를 통해 발전량을 추정하며 발전량과 태양광어레이 설계 계획을 통해 시공 비용을 추정함으로써 예비 지역의 경제성을 분석할 수 있도록 구현한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S400)가 진행된다. 이 단계는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소단계로 나뉘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는 단계(S410)가 진행된다. 즉, 항공촬영 영상 기반의 태양광 발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입체적 위치관리가 가능한 시설물 3D 가상 모형 구축 모듈을 구현하여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이고 이를 이용하여 입체적 위치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축된 3차원 가상 모형을 이용하여 전 단계들에서 확보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해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S420)가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 태양광 발전 시설물의 입체적 위치 관리가 가능한 공간 데이터 구축이 필수적이며, 효과적인 분석 지원 및 인터페이스를 위한 입체적 공간 및 시설물 위치 데이터 가공 및 구축 기술 그리고 입체적 공간 정보 가공 및 연계 기술을 적용하여야 한다.
한편 본 단계(S4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차원 태양광 발전 시설물 관리용 뷰어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입체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 드론 2 : 영상도화 시스템

Claims (4)

1) 드론의 항공촬영 이미지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영상도화 지도 생성 단계;
2) 지형 이미지 데이터 및 영상도화를 활용하여 태양광 발전 사업의 경제성을 분석하는 단계;
3) 전 단계에서 분석된 데이터 및 추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
4)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물에 대한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를 를 포함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a) 영상 카메라를 장착한 드론을 이용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사업 평가 지형에 대한 촬영 및 영상 정보에 라이다를 이용하여 수집된 사전 태양광 발전 사업 지역의 삼차원 지형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b) 전 단계의 데이터에 기후적, 환경적 요인에 대한 정보를 추가하는 단계;
c) 사전 경제성 분석용 도면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나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제2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d) 설치될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한 3차원 가상 모형을 구축하는 단계;
e) 구축된 3차원 가상 모형을 이용하여 전 단계들에서 확보된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공간 데이터를 구축하고 이를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시설에 대해 입체적 위치 관리하는 단계;의 소단계로 나뉘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제3항에 있어서,
삼차원 태양광 발전 시설물 관리용 뷰어에 의하여 실시간으로 시설물을 입체 관리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KR1020180110842A 2018-09-17 2018-09-17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KR2020003185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42A KR20200031853A (ko) 2018-09-17 2018-09-17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42A KR20200031853A (ko) 2018-09-17 2018-09-17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853A true KR20200031853A (ko) 2020-03-25

Family

ID=70001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42A KR20200031853A (ko) 2018-09-17 2018-09-17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3185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44B1 (ko) * 2021-01-07 2021-11-04 주식회사 태신이앤씨 드론을 활용한 3d 모델링 기반의 고효율 태양광 설계 시스템 및 방법
WO2022154429A1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스카이텍 Gis 분석을 이용한 수상 부유식 태양광 패널 진단용 드론 비행경로 정보 생성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1344B1 (ko) * 2021-01-07 2021-11-04 주식회사 태신이앤씨 드론을 활용한 3d 모델링 기반의 고효율 태양광 설계 시스템 및 방법
WO2022154429A1 (ko) * 2021-01-14 2022-07-21 주식회사 스카이텍 Gis 분석을 이용한 수상 부유식 태양광 패널 진단용 드론 비행경로 정보 생성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322994A (zh) 基于无人机倾斜摄影的房屋密集区大比例尺地籍测量方法
Lv et al. Research on the technology of LIDAR data processing
CN110765542A (zh) 一种高精度数字高程模型的轻量化方法
KR20200031853A (ko) Gps 위치기반 열화상 정보 분석 방법
CN113032977A (zh) 基于无人机逆建模技术的土石方量测算方法
Fassi et al. Emergency survey of remote and endangered archaeological sites
CN116883604A (zh) 一种基于天、空、地影像的三维建模技术方法
Angeli et al. Dense 3D model generation of a dam surface using UAV for visual inspection
Ergun et al. Level of detail (LoD) geometric analysis of relief mapping employing 3D modeling via UAV images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Yijing et al.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3D scene model of landscape space based on UAV oblique photography and 3D laser scanner
CN116129064A (zh) 电子地图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hen et al. Rapid 3d modeling using photogrammetry applied to google earth
Teng et al. Extraction and Analysis of Spatial Feature Data of Traditional Villages Based 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Image
CN114674290A (zh) 一种基于倾斜比例的地形图的测绘方法
Li [Retracted] Application of Multimedia Tilt Photogrammetry Technology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in Geological Survey
CN114359489A (zh) 一种管道施工期实景影像的制作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ang et al. Grid algorithm for large-scale topographic oblique photogrammetry precision enhancement in vegetation coverage areas
CN112950763A (zh) 一种变电站工程中实景建模的方法
Marinov et al. APPROACH TO DIGITAL TWIN OF IMMOVABLE CULTURE HERITAGE
Pachehkenari et al. Assessing the accuracy of tree height quantification models derived from unmanned aerial system imagery
Gu et al. Surveying and mapping of large-scale 3D digital topographic map based on oblique photography technology
Dhruwa et al. Generation of 3-D Large-Scale Maps using LiDAR Point Cloud Data
Kong et al. Application of unmanned aerial vehicle remote sensing technology in completion survey of land increase and decrease connection projects in mountainous area
Angas et al. Social spreading of geometric, recorded data from a range of types of 3D scanners via a web data server
CN113532283B (zh) 基于消费级无人机协同gps监测基坑位移趋势的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