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726A -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726A
KR20200031726A KR1020180110111A KR20180110111A KR20200031726A KR 20200031726 A KR20200031726 A KR 20200031726A KR 1020180110111 A KR1020180110111 A KR 1020180110111A KR 20180110111 A KR20180110111 A KR 20180110111A KR 20200031726 A KR20200031726 A KR 20200031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ortable terminal
signal
mobile terminal
restri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544B1 (ko
Inventor
공성호
최의선
김재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주식회사 유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주식회사 유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버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1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544B1/ko
Publication of KR20200031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5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5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KSECRET COMMUNICATION; JAMMING OF COMMUNICATION
    • H04K3/00Jamming of communication; Counter-measures
    • H04K3/80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 H04K3/86Jamming or countermeasure characterized by its function related to preventing deceptive jamming or unauthorized interrogation or access, e.g. WLAN access or RFID re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에서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해 발생하는 검색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신부에 전달하며, 상기 수신부를 통해 감지된 검색신호로 사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제한 구역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SYSTEM FOR DETECTING USE OF 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사용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여부를 파악하고 사용제한에 위배하는 단말기의 위치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공공장소, 예컨대, 극장, 공연장, 교통수단, 기내 등에서 휴대단말기의 무분별한 사용은 타인에게 불편을 초래하므로 그 사용을 제한할 필요성이 있다. 특히 기내에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은 전자장비에 예기치 못한 오동작 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서 운행안전상의 문제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엄격이 제한되는 보안이 필요한 장소 예컨대, 시험장, 군사시설 진입, 비밀유지가 필요한 견학 혹은 회의 등에서도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으나, 개개인이 소지하고 있는 휴대단말기의 무단사용을 완전히 근절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 때문에 기술적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강제적으로 제한하기 위하여 일정구역에 들어서는 경우 휴대단말기에 사용을 제한하는 특정코드를 포함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등의 특허도 존재한다.
한편, VIP 경호시 등과 같이 안전 및 보안을 위하여 주변 휴대단말기의 사용제한이 필요한 경우 전파를 차단하는 재밍(Jamming)신호를 발생하여 일정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 사용을 원천적으로 제한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하지만, 재밍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어렵거나 불필요한 상황이 존재한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되어 있는 장소에서 모든 휴대단말기의 전원이 Off 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고, 온(On)되어 있는 단말기가 있다면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여 별도의 조치가 필요한 경우도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기술적 제약을 해소시킬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94926호, 2004년 11월 12일 공개(명칭: 자동차의 휴대폰 사용 금지 제어방법)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116022호, 2011년 10월 24일 공개(명칭: 무선 통신 또는 방송 시스템에서의 간섭 검출, 특성 평가 및 위치 확인) 한국등록특허 제0-1404454호, 2014년 5월 30일 공개(명칭: 잡음 신호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 교란 장치)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가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에서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해 발생하는 검색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신부에 전달하며, 상기 수신부를 통해 감지된 검색신호로 사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신부는, 광대역으로,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 전체에서 검색신호를 검색하기 위한 제1수신부, 및 상기 제1수신부의 대역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을 반복 선회하며, 상기 검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2수신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2수신부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검색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각 제2수신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 상에서 해당 위치 범위를 제한함에 따라, 켜져있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재밍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재밍신호발생부, 및 상기 수신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해당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밍신호는, 교란전파로,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 존재하는 휴대단말기와 해당 기지국과의 통신전파를 교란시킨다.
그리고 상기 재밍신호발생부는, LTE 5G 채널, LTE 4G 채널, 3G 채널, 2G 채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밍신호를 발생시키되, 각 채널의 재밍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재밍신호발생부는,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기지국의 통신전파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의 통신전파 세기보다 큰세기의 재밍신호로 조절하기 위한 세기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기조절부에 의해 전파 세기가 조절되어 재밍신호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감지신호가 감지된 상기 각 수신부의 각 회전 각도와 각 수신부의 거리를 통해 위치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매칭시켜 해당 휴대단말기의 실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매칭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복수의 제2수신부에서 측정된 신호세기를 통한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을 사용하여 해당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계산한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의하면, 사용제한 구역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의 존재유무를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의 사용이 제한된 장소에서 무단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가 있는 경우 해당 단말기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되는, 첨부 도면은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를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의 계략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위치확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의 계략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위치확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 중계기 등을 통하여 음성 혹은 데이터 형식으로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정보통신 기기로서, 주로 휴대폰, 스마트폰일 것이나, 그 외 무선통신기능이 탑재된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멀티미디어 단말기,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등의 정보통신 기기일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 중계기 등에 연결되어 네트워크(미도시)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데, 네트워크는 대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이동통신망일 것이나, 인터넷과 같은 글로벌 공공 통신 네트워크(Global Public Communication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인트라넷 또는 그 명칭 여부에 불구하고 향후 구현될 어떠한 형태일 수 있다.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은 송신부(200)와 수신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송신부(200)는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Jamming)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수신부(300)는 휴대단말기(100)가 재밍상태에서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해 발생하는 검색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어부(400)는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송신부(200)에 전달하며, 수신부(300)를 통해 감지된 검색신호로 사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재밍(Jamming)신호는 라디오교신, 무선항법 등을 방해하는 전자적 또는 기계적 간섭을 일컬으며, '전파방해'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서버 팜(Server Farm)과 같이 네트워크에 걸쳐서 분산형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혹은 단일의 컴퓨터 장치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송신부(200)는 휴대단말기(100)의 수신기를 특정 전파의 잡음으로 포화시켜 수신을 방해하는데, 가변 빔폭을 가진 진폭변조 또는 주파수 변조의 불규칙적인 신호를 송신하며, 송신출력은 재밍대상 구역의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수신부(300)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수신부(310)와 제2수신부(320)를 포함한다.
제1수신부(310)는 광대역으로, 사용이 제한된 구역 전체에서 검색신호를 검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수신부(320)는 복수 개로, 제1수신부(310)의 대역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사용이 제한된 구역을 반복 선회하며, 검색신호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일 실시 예로, 제2수신부(320)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많이 설치될수록 전원이 켜져있는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더욱 정밀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각 제2수신부(320)는 소폭의 대역폭으로 사용이 제한된 구역을 선회하면서 전원이 켜져있는 휴대단말기(100)를 각각 감지하는 것으로, 소폭의 대역폭에 의해 감지범위를 각각 축소시킨다.
이에, 제어부(400)는 각 제2수신부(320)의 감지된 각 범위를 이용하여 겹쳐지는 영역으로 축소시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제1수신부(310)를 통해 검색신호를 수신할 경우, 각 제2수신부(320)의 감지신호를 통해 사용이 제한된 구역 상에서 해당 위치 범위를 제한함에 따라, 켜져있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러한 제어부(4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재밍신호발생부(410)와 위치확인부(420)를 포함한다.
재밍신호발생부(410)는 재밍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위치확인부(420)는 수신부(300)의 감지신호를 통해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해당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재밍신호발생부(410)에서 발생되는 재밍신호는 교란전파로,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 존재하는 휴대단말기(100)와 해당 기지국(20)과의 통신전파를 교란시킨다.
그리고 재밍신호발생부(410)는 LTE 5G 채널, LTE 4G 채널, 3G 채널, 2G 채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밍신호를 발생시키되, 각 채널의 재밍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발생시킨다.
이에,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 존재하는 휴대단말기(100)들 중 해당 채널의 교란전파에 의해 통신 전파가 순차적으로 교란됨에 따라, 모든 휴대단말기(100)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교란전파는 휴대단말기(100)와 기지국(20)의 통신 전파를 일시적으로 차단시키거나 통신율을 저하시키는 것이다.
이는, 해당 휴대단말기(100)가 기지국(20)과의 통신 전파를 연결시키거나 통신율을 높이기 위해 정해진 통신루틴에 따라서 검색신호를 발신시키기 위함으로, 수신부(300)는 이 검색신호를 수신한다.
다시 말해, 해당 휴대단말기(100)의 송신기(Tx)에서는 지속적으로 통신을 시도하는 검색신호를 송신하며, 수신부(300)는 이 검색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 검색신호가 수신될 경우,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 전원이 켜져있는 휴대단말기(100)가 존재한다는 것으로, 해당 휴대단말기(100)를 통제할 수 있다.
여기서, 재밍신호발생부(410)는 측정센서(412)와 세기조절부(414)를 더 포함한다.
측정센서(412)는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기지국(20)의 통신전파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 측정센서(412)는 재밍신호발생부(410)에서 발생되는 LTE 5G 채널, LTE 4G 채널, 3G 채널, 2G 채널 중 해당 재밍신호를 각각 측정하기 위해 복수 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세기조절부(414)는 측정센서(412)의 통신전파 세기보다 큰세기의 재밍신호로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세기조절부(414)에 의해 재밍신호발생부(410)는 휴대단말기의 통신을 차단 또는 교란시킬 수 있다.
위치확인부(420)는 복수의 제2수신부(320)에서 측정된 신호세기를 통한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을 사용하여 해당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계산한다.
한편,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위치확인부(420')는 카메라(422')와 연산부(424') 및 매칭부(246')를 포함한다.
카메라(422')는 사용이 제한된 구역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연산부(424')는 감지신호가 감지된 각 수신부(300)의 각 회전 각도와 각 수신부(300)의 거리를 통해 위치를 연산하기 위해 구비된다.
매칭부(246')는 연산부(424')의 데이터와 카메라(422')의 영상을 매칭시켜 해당 휴대단말기의 실제 위치를 확인한다.
제어부(400)는 재밍신호발생부(410)는 휴대단말기(100)의 주파수에 따른 연속파(Continuous ware) 혹은 펄스형태의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교란한다.
위치확인부(420)는 복수의 제2수신부(320)의 신호감지부(220)에서 측정된 전파 신호 세기를 조합 및 계산하여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위한다.
위치측위는 GPS측위, 네트워크기반(Network Based) 방식, 혼합(Hybrid) 방식, 실내측위 기술 등의 기법이 사용될 수 있다.
휴대단말기(100)의 위치가 GPS신호가 도달하지 않는 실내의 특정 구역인 경우나 측위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에 의한 측위가 바람직하다.
삼각측량 혹은 삼변측량은 삼각형 기하학을 사용하여 물체의 상대 위치를 구하는 방법이다. 삼각측량은 하나의 변의 길이와, 양 끝의 두 각을 이용하고, 삼변측량은 목표의 위치를 알기 위해서 두 개 이상의 기준점과, 물체와 각 기준점과의 거리를 이용한다. 삼변측량만으로 2차원 면에서의 상대위치를 정확하고 유일하게 결정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개의 기준점이 필요하다.
이 삼각측량 혹은 삼변측량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방법임에 따라,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400)에서 휴대단말기(100)의 사용을 제한하는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송신부(200)에 전달하면, 송신부(200)는 사용이 제한된 구역으로 휴대단말기(100)에 통신을 방해하는 재밍신호를 송신한다.
재밍신호에 의해 기지국과의 통신이 방해된 휴대단말기(100)는 일시차단 또는 교란된 통신을 연결하기 위해 기지국을 서치하고 통신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휴대단말기(100)는 기지국을 서치하여 접속시도하는 검색신호를 발생하며, 이 검색신호는 수신부(300)가 수신하여 제어부(400)에 전달된다.
제어부(400)에서는 송신부(200)에서 감지한 휴대단말기(100)의 송신신호를 근거로 재밍반경에서 전원이 켜져있는 휴대단말기(100)의 존재를 확인하고 사용중인 휴대단말기(100)가 존재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삼각측량법 혹은 삼변측량법 등으로 사용중인 휴대단말기(100)의 위치를 측위한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상기의 과정을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이 과정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블록도의 각 블록과 흐름도의 각 단계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또는 흐름도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블록도의 각 블록 및 흐름도의 각 단계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휴대단말기 200 : 송신부
300 : 수신부 310 : 제1수신부
320 : 제2수신부 400 : 제어부
410 : 재밍신호발생부 412 : 측정센서
414 : 세기조절부 420 : 위치확인부

Claims (8)

  1.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감지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부;
    상기 휴대단말기가 재밍상태에서 기지국을 검색하기 위해 발생하는 검색신호를 감지하는 수신부; 및
    상기 휴대단말기의 사용을 차단하기 위한 재밍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송신부에 전달하며, 상기 수신부를 통해 감지된 검색신호로 사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광대역으로,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 전체에서 검색신호를 검색하기 위한 제1수신부; 및
    상기 제1수신부의 대역폭보다 작은 대역폭을 갖고,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을 반복 선회하며, 상기 검색신호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의 제2수신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수신부는,
    적어도 3개 이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수신부를 통해 검색신호를 수신할 경우, 상기 각 제2수신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 상에서 해당 위치 범위를 제한함에 따라, 켜져있는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재밍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재밍신호발생부; 및
    상기 수신부의 감지신호를 통해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해당 휴대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위치확인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발생부는,
    LTE 5G 채널, LTE 4G 채널, 3G 채널, 2G 채널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재밍신호를 발생시키되, 각 채널의 재밍신호를 일정 간격으로 순차적으로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밍신호발생부는,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에서의 기지국의 통신전파의 세기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센서; 및
    상기 측정센서의 통신전파 세기보다 큰세기의 재밍신호로 조절하기 위한 세기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세기조절부에 의해 전파 세기가 조절되어 재밍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확인부는,
    상기 사용이 제한된 구역의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감지신호가 감지된 상기 각 수신부의 각 회전 각도와 각 수신부의 거리를 통해 위치를 연산하기 위한 연산부; 및
    상기 연산부의 데이터와 상기 카메라의 영상을 매칭시켜 해당 휴대단말기의 실제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매칭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KR1020180110111A 2018-09-14 2018-09-14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KR1022495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11A KR102249544B1 (ko) 2018-09-14 2018-09-14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111A KR102249544B1 (ko) 2018-09-14 2018-09-14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726A true KR20200031726A (ko) 2020-03-25
KR102249544B1 KR102249544B1 (ko) 2021-06-18

Family

ID=700017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111A KR102249544B1 (ko) 2018-09-14 2018-09-14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5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26A (ko) 2003-05-06 2004-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휴대폰 사용 금지 제어방법
KR20110116022A (ko) 2008-12-30 2011-10-24 트루포지션, 인크. 무선 통신 또는 방송 시스템에서의 간섭 검출, 특성 평가 및 위치 확인
KR20130129267A (ko) * 2011-01-21 2013-11-2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내 전자 장치 사용 차단기
KR20140012063A (ko) * 2011-01-18 2014-01-29 마르완 하논 차량 내의 이동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101404454B1 (ko) 2013-08-23 2014-06-10 (주)링크텍 잡음 신호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 교란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4926A (ko) 2003-05-06 2004-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휴대폰 사용 금지 제어방법
KR20110116022A (ko) 2008-12-30 2011-10-24 트루포지션, 인크. 무선 통신 또는 방송 시스템에서의 간섭 검출, 특성 평가 및 위치 확인
KR20140012063A (ko) * 2011-01-18 2014-01-29 마르완 하논 차량 내의 이동 장치의 존재를 검출하고 이동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30129267A (ko) * 2011-01-21 2013-11-27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차량 내 전자 장치 사용 차단기
KR101404454B1 (ko) 2013-08-23 2014-06-10 (주)링크텍 잡음 신호를 이용한 광대역 전파 교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544B1 (ko) 2021-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73767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locating contraband devices in a secure environment
CN106537963B (zh) 基于无线节点的网络进行的定位
US86382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 of mobile devices in confined environments
KR20180061250A (ko) 모바일 디바이스 권한에 기초한 레인징 및/또는 로컬라이제이션 서비스
Ho et al. Krypto: assisting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using Wi-Fi signal with UAV
JP7092267B2 (ja) リアルタイム位置を決定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GB2508997A (en) Use of beacon signals for location based secure access to a network
Oligeri et al. GPS spoofing detection via crowd-sourced information for connected vehicles
JP2007256051A (ja) 移動体の位置検出方法
RU2264937C1 (ru) Радиопеленга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иска и сопровождения транспортных средств
KR20200031726A (ko)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KR20180110685A (ko) 휴대단말기 사용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112685724B (zh) 设备管理方法及相关装置
US8965335B2 (en) Detector of uplink frequencies with feedback
JP2004040168A (ja) 無線局方向推定・電波発射装置
Wang et al. Secure distance indicator leveraging wireless link signatures
Malaney Wireless intrusion detection using tracking verification
Ahn et al. A location estimating method of buried victims in collapsing area using Wi-Fi signals
CN213426173U (zh) 一种射频辐射源探测装置
Li et al. Spoofing attacks and countermeasures in fm indoor localization system
WO2016174655A1 (en) Last mile positioning of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Luo et al. Contributions of reference units to final result in indoor positioning system based on rss
Anjum et al. Secured Localization on the Drone Networks for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JP4038413B2 (ja) 障害物検知装置
KR20170109409A (ko)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전파방향탐지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