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545A -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동 지지 플레이트들을 갖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 - Google Patents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동 지지 플레이트들을 갖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545A
KR20200031545A KR1020190112945A KR20190112945A KR20200031545A KR 20200031545 A KR20200031545 A KR 20200031545A KR 1020190112945 A KR1020190112945 A KR 1020190112945A KR 20190112945 A KR20190112945 A KR 20190112945A KR 20200031545 A KR20200031545 A KR 202000315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vice housing
hinge
support plate
ca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2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저 하먼
스티브 에머트
알베르토 카발라로
지-웅 리
Original Assignee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filed Critical 모토로라 모빌리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31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5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04M1/022The hinge comprising two parallel pivoting 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을 포함한다. 각각은 임의적으로 선형 리세스를 정의할 수 있다. 힌지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한다.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선형 리세스가 포함된 경우 그 안에 놓이고 힌지에 걸쳐 이어진다. 힌지는 캠,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전자 디바이스가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는 각각의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를 브리징하지만, 전자 디바이스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그 안에 서비스 루프를 정의하는 경계들을 정의한다.

Description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동 지지 플레이트들을 갖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MOVING SUPPORT PLATES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본 개시내용은 일반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들에 관한 것이고, 더 구체적으로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들(hinged electronic devices)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 통신 디바이스들, 특히 스마트폰들은 유비쿼터스화되었다. 전 세계의 사람들은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한다. 사람들은 문자 메시지, 인터넷 브라우징, 뱅킹과 같은 상거래, 및 소셜 네트워킹을 위한 음성 통신 및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지만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수의 상이한 목적을 위해 이러한 디바이스들을 사용한다.
모바일 디바이스들은 다양한 기계적 구성으로 설계되었다. "캔디 바"로 알려진 제1 구성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이고, 견고한 폼 팩터를 가지며, 전자 디바이스의 주면을 따라 배치된 디스플레이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클램셸" 디바이스는 하나의 하우징이 다른 하우징에 대해 피벗하는 것을 허용하는 기계식 힌지를 갖는다.
일부 소비자들은 캔디 바 디바이스들을 선호하는 한편, 다른 소비자들은 클램셸 디바이스들을 선호한다. 사용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후자를 선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클램셸 디바이스들은 접혀진 때 캔디 바 디바이스들보다 작은 폼 팩터를 갖는다. 따라서, 그것들은 주머니에 더 쉽게 들어맞는다. 다음으로, 클램셸 디바이스들은 접혀진 때 디스플레이로부터의 보호를 제공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가 항상 노출되는 캔디 바 디바이스들과 대조적이다. 따라서, 개선된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닫힌 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부분적으로 열린 위치에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열린 위치에서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열린 위치에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힌지가 보이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제거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하우징의 상세들이 보이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및 지지 플레이트들이 제거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전자 디바이스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의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힌지 부분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9는 전자 디바이스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의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전자 디바이스의 힌지 부분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설명적인 힌지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설명적인 힌지 컴포넌트를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닫힌 위치에서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디바이스의 열린 위치에서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도면들 내의 요소들이 단순성 및 명료성을 위해 도시되어 있으며, 반드시 비례에 맞춰 도시된 것은 아님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들 내의 요소들 중 일부의 치수들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이해의 향상을 돕기 위해 다른 요소들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유사한 번호들은 도면들 전체에서 유사한 부분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 및 청구항들 전반에 걸쳐 사용될 때, 문맥이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이하의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연관된 의미들을 취한다: 단수 표현("a", "an" 및 "the")의 의미는 복수의 참조를 포함하며, "~ 내에(in)"의 의미는 "~ 내에" 및 "~ 상에(on)"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최상부 및 최하부,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관계형 용어들은 하나의 엔티티 또는 액션을 다른 엔티티 또는 액션으로부터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엔티티들 또는 액션들 사이에서 임의의 실제의 그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암시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컴포넌트들은 그러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정보가 송신될 수 있을 때 "동작가능하게 결합될(operatively coupled)" 수 있지만, 접속 경로 사이에 또는 접속 경로를 따라 하나 이상의 중간 또는 개재 컴포넌트가 존재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및 "약"이라는 용어들은 제조 공차를 포함하는 치수들, 배향들, 또는 정렬들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2도의 제조 공차를 갖는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각도는 88 및 92를 포함하여, 88와 92 사이의 모든 각도를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괄호 안에 보여진 참조 부호들은 논의 중인 것과는 다른 도면에 도시된 컴포넌트들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A를 논의하는 동안 디바이스(10)에 관해 언급하는 것은 도 A 외의 도면에 도시된 요소(10)를 참조하는 것이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적어도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을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구부러진 구성(bent configuration), 접힌 구성(folded configuration), 또는 다른 구성 중 하나 이상으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도록,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에 걸쳐 이어진다.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변형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는 구부리는 동작을 용이하게 할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신뢰성과 유용성을 향상시키도록 작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는 하나 이상의 지지 플레이트의 사용을 통해 이를 수행하는데,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들은 캠에 결합되고,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캠을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다음으로,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캠의 제1 면으로부터 원위로(distally)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캠의 제2 면으로부터 원위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연장된다.
캠 및 그것의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들은 두 가지 기능을 한다. 먼저, 이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내부 표면들이 접하는 닫힌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지지 플레이트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물러나도록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서 경사면들을 따라 병진한다. 다르게 말하면,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닫힌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지지 플레이트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외부 표면들을 향해 이동하고, 그에 의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내부 표면들로부터 "바깥쪽"으로 물러난다.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이러한 "접힘(collapse)"은 전자 디바이스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서비스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동(cavity)을 전자 디바이스의 힌지 부분 내에 생성한다. 서비스 루프는 전자 디바이스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손상되거나 접힌 위치의 기억을 전개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갖는 전자 디바이스의 하우징 내에서 발생하는 구부리는 동작들이 기술적 과제들을 야기할 수 있음을 고려한다. 예를 들어, 전자 디바이스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아래에 균일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변형이 미리 정의된 반경 내에서 발생하도록, 구부리는 동작으로 인한 변형을 제한하는 것은 더 어려울 수 있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과제들 각각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힌지들은 열린 위치에 있을 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시스템 가요성을 제공하지만, 전자 디바이스가 닫힌 위치에 있을 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큰 반경의 서비스 루프가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의 힌지 부분에서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를 정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들 각각은 힌지의 캠으로부터 미리 정의된 거리만큼 물리적으로 분리된 경사면을 포함한다.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는 경사면과 접촉하여 경사면을 따라 병진한다. 따라서,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제1 면이 캠에 결합되는 경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원위 면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에서 경사면과 접촉한다. 다음으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원위 면은 경사면을 따라 병진한다. 제2 지지 플레이트 및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 마찬가지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원위 단부들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제1 위치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제2 위치 사이의 그들 각각의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들은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더 가깝고, 제2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로부터 더 멀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들은 제1 위치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외부 표면들로부터 더 멀지만, 제2 위치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그러한 외부 표면들에 더 가깝다. 이는 제2 위치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서 각각 제1 위치보다 더 깊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그것 -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최상부에 배치된 패시아(fascia) - 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내부 표면들과 각각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선형 리세스는 생략될 것이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단순히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평면 내부 표면들의 최상부에 놓일 것이다. 어느 실시예에서든,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선형 리세스(또는 평면 내부 표면들)를 브리징한다. 대조적으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부터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하우징들 내로 물러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그 안에 서비스 루프를 정의하는 경계들을 정의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적절하게 지지하는 새로운 힌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기계적 스택이 그 자신을 지지하기에는 지나치게 부드럽거나 유연한 것을 고려한다. 따라서, 전자 디바이스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지지 플레이트들은 전자 디바이스의 힌지 부분을 가로질러 견고한 지지를 제공한다. 동시에,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서비스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전자 디바이스가 접혀질 때 지지 플레이트들은 하우징 내로 물러난다. 유리하게는, 캠 및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닫힌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이동하는 운동학적 링키지를 정의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들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눈물방울 모양의 서비스 루프로 구부러지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Z축을 따라) 뒤로 물러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전자 디바이스가 열린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신장시키는 스프링 로딩된 지지 플레이트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을 보면,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하나의 설명적인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전자 디바이스(100)는 휴대용 전자 디바이스이다. 설명을 목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는 스마트폰으로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전자 디바이스(100)는 또한 태블릿 컴퓨터들, 게이밍 디바이스들,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들 등을 포함하는 임의의 수의 다른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또 다른 유형의 전자 디바이스가 구성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결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피벗가능하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은 이하에서 도 2를 참조하여 보여지고 설명된 닫힌 위치와, 아래에서 도 4-5를 참조하여 보여지고 설명된 열린 위치 사이에서 힌지(101)를 중심으로 선택적으로 피벗가능하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강성 열가소성과 같은 강성 재료, 금속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되지만, 다른 재료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또 다른 구성들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단일 힌지를 포함한다. 그러나, 다른 실시예들에서, 2개 이상의 힌지가 전자 디바이스(100)에 통합되어, 그것이 복수의 위치에서 접히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도 1의 이러한 예시적인 전자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10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105)는 임의적으로 터치 감응형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105)가 터치 감응형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5)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주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손가락, 스타일러스, 또는 디스플레이에 근접하여 배치된 다른 물체들로부터의 터치 입력을 전달함으로써 그러한 실시예의 디스플레이(105)에 사용자 입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5)는 플렉시블 플라스틱 기판 상에 제조된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로서 구성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105)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변형되도록 가요성인 것이 허용된다.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다른 유형의 디스플레이는 명백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OLED는 플렉시블 플라스틱 기판 상에 구성되며, 이는 다양한 구부러짐 반경을 갖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5)가 가요성이 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들은 구부러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기 위해 30 내지 600 밀리미터의 구부러짐 반경을 허용한다. 다른 기판들은 약 5 밀리미터의 구부러짐 반경을 허용하여, 능동 구부러짐을 통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다른 디스플레이들은 구부러짐 및 접힘 둘 다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5)는 플렉시블 폴리머 시트와 같은 플렉시블 재료 또는 다른 재료들의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5)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결합된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05)는 힌지(101)에 걸쳐 이어진다.
특징부들(features)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통합될 수 있다. 이러한 특징부들의 예들은,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정면에도 배치될 수 있는 임의적인 카메라(106) 또는 임의적인 스피커 포트(107)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버튼 또는 터치 감응 표면일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108)는 또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후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언급된 바와 같이, 이러한 특징부들 중 임의의 것이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후면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정면과 같은 다른 곳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아날로그 커넥터, 디지털 커넥터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커넥터(109, 110)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넥터(109)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제1 단부,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부 단부에 배치된 아날로그 커넥터인 한편, 커넥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하부 단부인, 제1 단부에 반대되는 제2 단부에 배치된 디지털/전력 커넥터이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개략적인 블록도(111)가 또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임의적으로 하나 이상의 보조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보조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보조 프로세서(들) 중 하나 또는 둘 다는 마이크로프로세서, 처리 컴포넌트들의 그룹, 하나 이상의 ASIC, 프로그래머블 로직, 또는 다른 유형의 처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보조 프로세서(들)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컴포넌트들과 함께 동작가능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보조 프로세서(들) 각각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처리 및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113)와 같은 저장 디바이스는 동작 동안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에 의해 사용되는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를 임의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또한 하나 이상의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는 통신 회로(114)를 포함한다. 네트워크들은 광역 네트워크, 근거리 네트워크 및/또는 개인 영역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광역 네트워크들의 예들은 GSM, CDMA, W-CDMA, CDMA-2000, iDEN, TDMA, 2.5세대 3GPP GSM 네트워크, 3세대 3GPP WCDMA 네트워크,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및 3GPP2 CDMA 통신 네트워크, UMTS 네트워크, E-UTRA 네트워크, GPRS 네트워크, iDEN 네트워크 및 기타 네트워크들을 포함한다.
통신 회로(114)는 또한 HomeRF, 블루투스 및 IEEE 802.11(a, b, g 또는 n)과 같은 피어-투-피어 또는 애드혹 통신, 및 적외선 기술과 같은 다른 형태의 무선 통신과 같은, 그러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4)는 무선 통신 회로, 수신기, 송신기 또는 송수신기 중 하나,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11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주요 기능들을 수행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이미지, 비디오, 또는 다른 프리젠테이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105)를 포함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와 함께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회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에 의해 사용되는 실행가능한 소프트웨어 코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와 함께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모듈(116)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들(116)은 명령어들, 제어 알고리즘들, 논리 단계들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전자 디바이스(100)의 운영 체제 환경을 실행하는 것을 담당한다. 운영 체제 환경은 커널 및 하나 이상의 드라이버, 및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계층 및 애플리케이션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운영 체제 환경은 전자 디바이스(100)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또는 제어 회로 상에서 동작하는 실행가능한 코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들을 실행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모듈들은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앱"을 지원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애플리케이션들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들(API), 메시지들, 이벤트들 또는 다른 프로세스-간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서비스들과 통신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계층의 클라이언트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보조 프로세서들이 사용되는 경우, 그것들은 입력/출력 기능을 실행하고 사용자 피드백 디바이스들을 작동시키는 등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하게 하여, 전자 디바이스(100)를 도 2-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변형된 기하구조로 변형시키는 구부리는 동작을 검출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와 함께 동작가능한 하나 이상의 플렉스 센서(117)를 포함한다. 플렉스 센서들(117)의 포함은 임의적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플렉스 센서들(117)이 포함되지 않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플렉스 센서들(117)은 재료가 구부러지거나 변형되거나 휘어질 때 변화하는 임피던스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 수동 저항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임피던스의 변화를 저항의 함수로서 검출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하나 이상의 플렉스 센서(117)를 사용하여,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에 관해 구부러지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플렉스 센서(117)는 두 방향으로의 휘어짐 또는 구부러짐을 검출할 수 있는 양방향 플렉스 센서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플렉스 센서(117)는 변형되거나 구부러지는 양에 비례하는 양으로 증가하는 임피던스를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플렉스 센서(117)는 적층 구조로 함께 결합된 일련의 층들로 제조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은 전도성이며, 구리와 같은 금속 포일로 제조된다. 저항성 재료는 다른 층을 제공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러한 층들은 함께 접착 결합될 수 있다. 저항성 재료는 종이 기반 재료, 플라스틱 기반 재료, 금속 재료 및 텍스타일 기반 재료를 포함하는 다양한 부분 전도성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에틸렌과 같은 열가소재는 탄소 또는 금속으로 함침되어, 부분적으로 전도성인 동시에 가요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저항성 층은 2개의 전도성 층 사이에 개재된다. 전기 전류는 저항성 층을 통해 하나의 전도성 층 내로 흐르고, 다른 전도성 층 밖으로 흐른다. 플렉스 센서(117)가 구부러짐에 따라, 저항성 층의 임피던스가 변화하고, 그에 의해 주어진 전압에 대한 전류의 흐름이 변경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이러한 변화를 검출하여 구부러짐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탭들은 구부러짐의 양, 구부러짐의 방향 등을 포함하는 다른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플렉스 센서(117)를 따라 추가될 수 있다. 플렉스 센서(117)는 시변 신호들에 의해 더 구동되어, 플렉스 센서(117)로부터 획득되는 정보의 양을 또한 증가시킬 수 있다. 플렉스 센서(117)로서의 다층 디바이스는 적어도 전자 디바이스(100)를 변형시키기 위해 발생하는 구부리는 동작, 및 구부리는 동작 후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기하구조를 검출하는 데에 적합한 하나의 구성이지만, 다른 것들도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는 다른 유형의 플렉스 센서들(117)이 명백할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하나 이상의 플렉스 센서(117), 사용자 인터페이스(118) 또는 다른 센서들(119)을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커맨드들을 생성하거나 제어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하나 이상의 플렉스 센서(117), 사용자 인터페이스(118), 또는 다른 센서들(119)의 조합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커맨드들을 생성하거나 제어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하나 이상의 플렉스 센서(117)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8) 단독으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기초하여 커맨드들을 생성하거나 제어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는 수신된 정보를 단독으로, 또는 메모리(113)에 저장된 정보와 같은 다른 데이터와 조합하여 처리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119)는 마이크로폰, 이어피스 스피커, [스피커 포트(107) 아래에 배치된] 제2 라우드스피커, 및 버튼 또는 터치 감응형 표면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119)는 또한 키 선택 센서들, 근접 센서들, 터치 패드 센서, 터치 스크린 센서, 용량성 터치 센서, 및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들은 디스플레이(105) 상에 존재하는 사용자 작동 타겟들 중 임의의 것이 작동되고 있는지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100)에 배치된 터치 센서들은 전자 디바이스(100)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측면 에지들 또는 주면들에서 터치되고 있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터치 센서들은 표면 및/또는 하우징 용량성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센서들(119)은 또한 오디오 센서들 및 비디오 센서들(예를 들어, 카메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센서들(119)은 또한 하나 이상의 가속도계 또는 자이로스코프와 같은 모션 검출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속도계는 수직 배향, 일정한 기울기, 및/또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정지상태인지 여부를 보여주기 위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전자 회로 내에 임베드될 수 있다. 중력에 대한 기울기의 측정값은 "정적 가속"이라고 지칭되는 한편, 모션 및/또는 진동의 측정값은 "동적 가속"이라고 지칭된다. 자이로스코프는 유사한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12)와 함께 동작가능한 다른 컴포넌트들(120)은 비디오 출력들, 오디오 출력들, 및/또는 기계적 출력들과 같은 출력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출력 컴포넌트들의 예들은 스피커 포트(107), 이어피스 스피커, 또는 다른 알람 및/또는 버저와 같은 오디오 출력들, 및/또는 진동 또는 모션 기반 메커니즘들과 같은 기계적 출력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또 다른 컴포넌트들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나의 전자 디바이스(100)의 컴포넌트들을 도시하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자 디바이스에 필요한 다양한 컴포넌트들의 완전한 개략도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다른 전자 디바이스들은 도 1에 도시되지 않은 다양한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거나, 둘 이상의 컴포넌트의 조합, 또는 특정 컴포넌트를 둘 이상의 별개의 컴포넌트로 분할한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전히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다.
이제 도 2를 보면, 닫힌 상태의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은 닫힌 위치(201)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을 향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되었다. 닫힌 위치(201)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정면(202)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정면(203)과 접한다. 사실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클레임에 의해 닫힌 클램셸과 유사하고, 그에 의해 "클램셸" 스타일의 디바이스를 발생시킨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자 디바이스(100)를 닫힌 위치(201)에서 더 유지하기 위한 특징부들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을 닫힌 위치(201)에 유지하기 위해 기계적 래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자석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정면(2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정면(203)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석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을 닫힌 위치(201)에 유지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을 특정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마찰 요소들이 힌지(101)에 통합될 수 있다. 고정자 모터도 힌지(101)에 통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100)를 닫힌 위치(201)에 유지하기에 적합한 또 다른 기계적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제 도 3을 보면, 전자 디바이스(100)는 도 2의 닫힌 위치(201)로부터 부분적으로 열린 위치로 전이하는 것으로 보여진다. 구체적으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은 열린 위치를 향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으로부터 멀리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위치는 "텐트 위치"(301)이다.
이제 도 4 및 도 5를 보면, 열린 위치(401)에서의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열린 위치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은 힌지(10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과 180도의 위상 차이가 나게 되고, 그에 의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효과적으로 평면을 정의한다. 디스플레이(105)는 평평한 위치로 길게 연장되었다.
도 5를 특별히 주의하여 보면, 힌지(101)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가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캠을 포함한다. 캠의 제1 면(502)은 디스플레이(105)의 한 면에서 볼 수 있는데 반해, 캠의 제2 면(503)은 디스플레이(105)의 다른 면에서 볼 수 있다. 임의적으로, 제1 톱니 바퀴(504) 및 제2 톱니 바퀴(505)는 캠(502)의 제1 면(502)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포함되는 경우, 톱니 바퀴들(504, 505)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대칭 각도 회전을 생성하도록 맞물릴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임의적인 제3 톱니 바퀴(506) 및 임의적인 제4 톱니 바퀴(507)가 캠의 제2 면(503)에 인접하여 놓인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캠은 제1 톱니 바퀴(504), 제2 톱니 바퀴(505), 제3 톱니 바퀴(506) 또는 제4 톱니 바퀴(507)보다 전자 디바이스(100)의 더 내부에 놓인다. 달리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 캠은 제1 톱니 바퀴(504)와 제2 톱니 바퀴(505)의 맞물림과 제3 톱니 바퀴(506)와 제4 톱니 바퀴(507)의 맞물림 사이에 놓인다.
이제 도 6을 보면, 힌지(101)의 추가적인 세부사항을 더 쉽게 볼 수 있도록,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 및 임의의 오버레이 페시아가 제거된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캠(601), 캠의 제1 면(605)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캠(601)의 제1 면(605)으로부터 원위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내로 연장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캠(601)의 제2 면(606)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캠(601)의 제2 면으로부터 원위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로 연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603)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위치될 수 있는 선형 리세스들(608, 609)을 각각 정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선형 리세스(608)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리세스(609) 내에 위치되고, 그에 의해 그것 - 또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최상부에 배치된 패시아 - 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내부 표면(610)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611)과 동일 평면에 놓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선형 리세스들(608, 609)은 생략될 것이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 및 임의의 수반하는 패시아는 단순히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내부 표면(610)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611)에 의해 정의된 평면 표면들의 최상부에 놓일 것이다.
선형 리세스들(608, 609)이 포함되는 경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는 힌지(101)에 걸쳐 이어지도록 이러한 선형 리세스들(608, 609)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선형 리세스들(608, 609)이 포함되는지에 무관하게,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도 6에 도시된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에 대한 포지티브의 기계적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제1 지지 플레이트(602), 캠(6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는 선형 리세스들(608, 609)(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평면 내부 표면들)을 브리징한다.
전기 컴포넌트들, 예를 들어 도 1의 개략적인 블록도(111)에 기술된 프로세서들, 메모리들, 통신 회로들, 및 다른 컴포넌트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각각에 위치되며, 플렉시블 전도체(도시되지 않음)는 힌지(101)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 사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닫힌 위치(201)로 피벗함에 따라 구부러질 수 있는 플렉시블 전도체는, 전기 신호들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에 배치된 회로 컴포넌트들 사이에서 앞뒤로 전달되는 것을 허용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플렉시블 전도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닫힌 위치(201)로 피벗할 때에도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추가적인 기계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스프링 로딩 트레이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중 하나 또는 둘 다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프링 로딩되거나 슬라이딩 가능하고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내에 배치된 트레이(604)가 보여진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트레이(604)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에만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도 배치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추가로, 다른 실시예들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둘 다가 트레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2 단부는 트레이(604)에 결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트레이(604)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607)에 의해 힌지(101)로부터 멀리 편향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스프링(607)이 트레이(604)를 힌지(101)로부터 멀리 편향하기 위해 사용되는 한편,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프링(607)은 댐퍼 디바이스(612)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댐퍼 디바이스(612)는 스프링의 액션을 약화시키기 위해, 공압식 또는 유압식일 수 있는 중첩식 충격 댐퍼를 갖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스프링(607)을 대신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시 한 번, 트레이(604) 및 스프링(607)에 대한 논의에서, 단 하나의 트레이(604)만이 도 6에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마찬가지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적어도 다른 스프링, 댐퍼 디바이스 또는 다른 탄성 물체에 의해 힌지(101)로부터 멀리 편향된 트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결합되기보다는 제2 트레이에 결합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에서든, 스프링(들)(607)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열린 위치(401)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으로부터 멀리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를 평평하게 하기 위해 힌지(101)로부터 멀어지도록 트레이(604)를 편향시킨다. 플렉시블 커넥터가 포함되는 경우, 그것은 제2 단부가 트레이(604)에 결합된 동안, 자신의 제1 단부를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결합시킬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열린 위치(401)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으로부터 멀리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를 직선화하기 위해, 스프링(607)은 트레이(604)를 힌지(101)로부터 멀리, 따라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으로부터 멀리 편향시킨다.
이제 도 7을 보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추가적인 세부사항들을 더 쉽게 볼 수 있도록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이 제거된, 전자 디바이스(100)의 다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각각은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 703)를 정의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는 캠(601)의 제1 면(605)에 배치되는 한편,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3)는 캠(601)의 제2 면(606)에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들(702, 703)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닫힌 위치(201)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룸이 서비스 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리세스된 개방 공간을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에 제공한다. 그러한 서비스 루프는 도 8을 참조하여 아래에 도시될 것이다. 이러한 서비스 루프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401)로부터 닫힌 위치(201)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가 변형된다는 사실로 인해 발생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 703)는 경사면(704, 705)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는 캠(601)으로부터 제1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의 최하부면(708)을 가로질러 미리 정의된 거리(706)에 원위로 배치되는 경사면(704)을 정의한다. 마찬가지로, 제2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3)는 캠(601)으로부터 제2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3)의 최하부면(709)을 가로질러 미리 정의된 거리(707)에 원위로 배치되는 경사면(705)을 정의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그 안에 위치될 수 있는 선형 리세스들(608, 609)을 각각 정의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 703)는 각각의 선형 리세스(608, 609)와 힌지(101) 사이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2)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선형 리세스(608)와 힌지(101) 사이에 배치된다. 마찬가지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703)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리세스(609)와 힌지(101) 사이에 배치된다.
이제 도 8을 보면, 전자 디바이스(100)의 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는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리세스들(608, 609) 내에 위치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1 단부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내의 트레이(604)에 결합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제2 단부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결합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힌지(101)를 중심으로 닫힌 위치(201)로 피벗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이것이 발생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 각각의 원위 단부(802, 803)는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의 제1 위치(도 9에 도시됨)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제2 위치(도 8에 도시됨) 사이에서 그것 각자의 경사면(704, 705)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므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401)로부터 도 8의 닫힌 위치(201)로 힌지(10)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 각각의 원위 단부들(802, 803)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의 도 9의 제1 위치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의 도 8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그들 각자의 경사면들(704, 705)을 따라 이동한다. 이것이 발생하면, 제1 지지 플레이트(602), 캠(6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2)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가 그 안에 서비스 루프(805)를 정의하는 경계들을 정의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602)와 제2 지지 플레이트(602)의 병진에 의해 서비스 루프(805)를 위해 개방된 영역은 적어도 5 밀리미터의 반경을 갖는다. 이러한 반경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가 꼬이거나 접히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그것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힌지(101)를 중심으로 열린 위치(401)로 피벗할 때 기계적 기억 문제들을 최소화하도록 작용한다.
이제 도 9를 보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401)로 힌지(101)에 관하여 회전되었다. 이것이 발생하면, 캠(601)의 액션으로 인해,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의 원위 단부들(802, 803)은 도 8의 제2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제1 위치로 그들 각자의 경사면들(704, 705)을 따라 위로 병진한다. 도 9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의 원위 단부들(802, 803)이 도 8의 제2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제1 위치로 그들 각자의 경사면들(704, 705)을 따라 위로 완전히 병진할 때, 이들은 경사면들(704, 705)의 단부들(902, 903)의 최상부에 놓인다.
이 위치에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의 원위 단부들(802, 803)이 도 8의 제2 위치로부터 도 9에 도시된 제1 위치로 그들 각자의 경사면들(704, 705)을 따라 완전히 위로 병진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602), 캠(6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도 9에 도시된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선형 리세스(608)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리세스(609)를 브리징한다.
도 8 및 도 9를 비교하면,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의 다수의 특징이 보여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은 도 9의 제1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에 더 가깝고, 따라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도 9에 도시된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선형 리세스(608)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리세스(609)를 브리징함으로써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에 대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은 제2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로부터 더 멀다. 이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도 8에 도시된 서비스 루프(806)를 정의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 각각의 원위 단부들(802, 803)이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그들의 대응하는 경사면(704, 705)을 따라 이동한다는 사실로 인해 발생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은 도 9의 제1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외부 표면들(904, 905)로부터 더 멀지만, 도 8의 제2 위치에 있을 때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외부 표면들(904, 905)에 더 가깝다. 이는 도 8의 제2 위치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들(610, 611)에 대해, 도 9의 제1 위치보다 각각 더 깊어지게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지지 리세스들(608, 609)이 포함되는 경우, 그것들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들(702, 703) 외부의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면들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를 위한 지지 평면을 정의한다. 그러나,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닫힌 위치(201)로부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401)로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 지지 플레이트(602), 캠(6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는 도 9의 제2 위치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이러한 지지 평면과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지지 평면을 브리징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602), 캠(601),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는 닫힌 위치(201)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선형 리세스(608)에 의해 정의된 지지 평면과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선형 리세스(609)에 의해 정의된 지지 평면에 걸쳐 이어지는 연속적인 평면 표면(901)을 정의한다.
위의 내용으로부터, 자석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내부 표면(610)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611)에 통합될 수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예를 들어, 자석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을 닫힌 위치(201)에 유지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이(604)가 포함되는 경우,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트레이(604)는 힌지(101)를 향해 슬라이딩하고, 그에 의해 스프링(607) 또는 댐퍼 디바이스(612)를 압축한다는 점에 또한 유의해야 한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601) 및 그것의 대응하는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은 두 가지 기능을 한다. 먼저, 이들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도 9의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에 대한 기계적 지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들(610, 611)이 접하는 도 8의 닫힌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의 그들 각자의 경사면들(704, 705)을 따라 병진하여,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들(610, 611)로부터]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 내로 물러난다.
달리 말하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도 9의 닫힌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외부 표면들(902, 903)을 향해 이동하고, 그에 의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내부 표면들(610, 611)로부터 "바깥쪽"으로 물러난다.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제2 지지 플레이트(603)의 이러한 "접힘"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가 서비스 루프(806)를 형성하는 것을 허용하는 공동(807)을 도 8에 도시된 전자 디바이스(100)의 힌지 부분에 생성한다. 서비스 루프(805)는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 8의 닫힌 위치에 있을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가 접힌 위치에서 손상되거나 기억을 전개하는 것을 방지한다. 유리하게는,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힌지들(101)은, 도 9의 열린 위치에 있을 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에 대한 지지를 제공함으로써 필요한 시스템 가요성을 제공하지만, 전자 디바이스(100)가 도 8의 닫힌 위치에 있을 때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05)의 큰 반경의 서비스 루프(805)가 발생하는 것을 허용하는 해결책을 제공한다.
이제 도 10을 보면,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힌지(101)에 임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추가 컴포넌트들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캠(601), 캠(601)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1 지지 플레이트(602), 및 캠(601)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2 지지 플레이트(603)를 포함한다. 하우징 부재(1001)의 단부에 정의되는 제1 톱니 바퀴(504)는 캠(601)의 단부에 인접하여 있다[제1 톱니 바퀴(504)의 더 나은 뷰를 볼 수 있도록, 제1 톱니 바퀴(504)와 맞물리는 제2 톱니 바퀴(505)는 도 10에 도시되지 않음]. 제3 톱니 바퀴(506) 및 제4 톱니 바퀴(507)는 캠(601)의 제2 단부에 인접하여 있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캠(601)은 제1 톱니 바퀴(504) 및 제2 톱니 바퀴(505)와 제3 톱니 바퀴(506) 및 제4 톱니 바퀴(507) 사이에 각각 위치된다. 따라서, 캠(601)은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톱니 바퀴(504), 제2 톱니 바퀴(505), 제3 톱니 바퀴(506) 및 제4 톱니 바퀴(507)보다 전자 디바이스의 더 내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은 각각 하나 이상의 스크류 보스(screw boss)(1004, 1005, 1006)를 포함하므로,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이 사용되는 경우, 추가 컴포넌트들이 그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종동자(follower)(1007) 및 스프링(1008)이 보인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대응하는 종동자 및 스프링은 다른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 각각의 안에 배치된다. 따라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4개의 종동자 및 4개의 스프링을 포함할 것이다. 각각의 스프링은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401) 또는 닫힌 위치(201)에서 힌지(101)를 사용하여 전자 디바이스를 잠그도록 종동자를 캠의 단부에 반하여 편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종동자들(1007, 1010)을 캠(601)에 반하여 편향시키기 위해 스프링들(1008, 1011)이 사용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스프링들(1008,1011)은 도 6을 참조하여 위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댐퍼 디바이스(612)에 의해 대체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댐퍼 디바이스(612)는 스프링의 액션을 약화시키기 위해, 공압식 또는 유압식일 수 있는 중첩식 충격 댐퍼를 갖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스프링들(1008, 1011)을 대신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디바이스들은 본 개시내용의 혜택을 받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 개별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은 생략될 것이고, 스프링(들)(1008) 및 종동자(들)(1007)는 단순히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통합된다. 어느 경우에서든,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제거된 하우징 부재(도 11의 1101)와 제1 종동자(1007)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008)에 의해 캠(601)의 제1 면에 반하여 편향된 제1 종동자(1007), 및 하우징 부재(1001)와 제2 종동자(1010)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011)에 의해 캠(601)의 제2 면에 반하여 편향된 제2 종동자(1010)를 적어도 포함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101)는 제1 피벗(1009), 및 도 10의 제1 톱니 바퀴(504)에 맞물려 있지만 도 8, 9 및 11에서 볼 수 있는 제2 피벗을 포함한다. 제1 피벗(1009) 및 제2 피벗 각각은 캠(601) 내의 애퍼처를 통해 연장되고, 그것들이 포함되는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 각각의 대응하는 애퍼처에 맞물린다. 제1 피벗(1009)을 덮는 제4 하우징 부재를 제거하면, 제1 피벗(1009)이 캠(601) 내의 애퍼처를 통과한 후 캠(601) 내의 애퍼처를 통해 돌출함으로써, 하우징 부재(1003)의 거울상인 제거된 하우징 부재 내의 애퍼처에 맞물리는 방법이 보여진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나머지 하우징 부재들(1001, 1002, 1003)로 동일한 구성이 발생한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것으로부터 반대되는 힌지(101)의 면의 절개도를 도시한다. 이 시점으로부터, 제1 톱니 바퀴(504) 및 제2 톱니 바퀴(505)를 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부재(1001)는 적어도 제1 톱니 바퀴(504)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은 제1 톱니 바퀴(504)에서 종단하는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10에서 제거되었고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연장부를 구성하는 하우징 부재(1101)는 적어도 제2 톱니 바퀴(505)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은 제2 톱니 바퀴(505)에서 종단하는 에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101)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톱니 바퀴(504)는 제2 톱니 바퀴(505)와 맞물린다.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톱니 바퀴(504)와 제2 톱니 바퀴(505)의 맞물림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03)의 대칭 각도 회전을 생성한다.
도 11은 또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피벗(1009) 및 제2 피벗(1108)이 각각 하우징 부재(1001) 및 하우징 부재(1101)와 어떻게 맞물리는지를 도시한다. 하우징 부재들(1001, 1101)에서 종단되고 캠(601)을 통과함으로써, 캠(601)은 제1 피벗(1009) 및 제2 피벗(1108) 둘 다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이제 도 12를 보면,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다른 전자 디바이스(1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의 전자 디바이스(100)와 마찬가지로,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도 12의 전자 디바이스(1200)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을 포함한다. 힌지(1203)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에 결합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에 대해 힌지(1203)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도 12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은 힌지(1203)를 중심으로 닫힌 위치로 피벗된 것으로 도시된다.
도 1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에 결합된다. 이러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의 제1 단부(1205)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에 결합된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의 제2 단부(1206)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1207)에 결합된다. 스프링(1208)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과 트레이(1207) 사이에서 편향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스프링(1208)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에 반하여 하중력(loading force)을 가함으로써 트레이(1207)를 힌지(1203)로부터 멀리 편향한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이 도 13에 도시된 열린 위치(1301)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으로부터 멀리 힌지(1203)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스프링(1208)은 트레이(1207)를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 내의 하중 지점 및 힌지(1203) 둘 다로부터 편향시킴으로써, 힌지(1203)에 걸쳐 이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를 신장시킨다.
도 12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 각각은 경사면(1209, 1210)을 정의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1301)로부터 닫힌 위치로 또는 그 반대로 힌지(1023)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213)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의 원위 단부(1211, 1212)는 그것의 대응하는 경사면(1209, 1210)을 따라 병진하는데, 즉 원위 단부(1211)는 경사면(1209)을 따라 병진하고, 원위 단부(1212)는 경사면(1210)을 따라 병진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힌지(1203)는 캠(1215), 제1 지지 플레이트(1213),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를 포함한다. 제1 지지 플레이트(1213)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 각각은 제1 주면(1217)을 정의하고, 캠(1215)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지지 플레이트(1213)는 캠(1215)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한편, 제2 지지 플레이트(1214)는 캠(1215)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다.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이 도 13에 도시된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1301)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213)의 제1 주면(1217)과 제2 지지 플레이트(1214)의 제2 주면(1218)은 도 9에서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이 했던 것처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의 평면 표면들에 접하고 그것들을 기계적으로 지지한다. 그러나,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도 12에 도시된 닫힌 위치로 힌지(1203)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213)의 제1 주면(1217)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의 제2 주면(1218)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에 의해 정의된 서비스 루프(1216)에 접선 방향으로 접한다.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이 힌지(1203)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213)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의 원위 단부(1211, 1212)는 그것의 대응하는 경사면(1209, 1210)에 접하고 그를 따라 병진한다. 또한, 앞에서와 같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1204)가 그 안에 놓이는 선형 리세스(1219, 1220)를 정의한다. 도 9에서 지지 플레이트들(602, 603)이 했던 것처럼, 제1 디바이스 하우징(102)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이 도 13의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1301)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213)의 제1 주면(1217)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의 제2 주면(1218)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의 선형 리세스(1219)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의 선형 리세스(1220)의 평면 연장부들을 정의한다. 그러나,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디바이스 하우징(1201)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1202)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1213)의 제1 주면(1217) 및 제2 지지 플레이트(1214)의 제2 주면(1218)은 선형 리세스(1219, 1220)와 불연속적이다.
이제 도 14를 보면, 본 개시내용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블록(1401)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을 포함한다. 블록(1401)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블록(1401)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블록(1401)에서, 힌지는 캠을 포함한다. 블록(1401)에서, 힌지는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캠의 제1 면으로부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원위로 연장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블록(1401)에서, 힌지는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캠의 제2 면으로부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원위로 연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블록(1401)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를 정의한다. 블록(1401)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원위 단부는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제1 위치와 각각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제2 위치 사이에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블록(1402)에서, 블록(1401)의 제2 위치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서 각각 제1 위치보다 더 깊다. 블록(1403)에서, 블록(1402)의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선형 리세스를 정의한다. 블록(1403)에서,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는 선형 리세스와 힌지 사이에 놓인다.
블록(1404)에서, 블록(1403)의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에 걸쳐 이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한다. 블록(1405)에서, 블록(1404)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선형 리세스 내에 위치된다.
블록(1406)에서, 블록(1405)의 선형 리세스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지지 평면을 정의한다. 블록(1406)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닫힌 위치로부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위치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지지 평면과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지지 평면을 브리징한다.
블록(1407)에서, 블록(1406)의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2 위치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지지 평면에 걸쳐 이어지는 연속적인 평면 표면을 정의한다. 블록(1408)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서비스 루프를 정의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블록(1406)의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원위 단부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한다.
블록(1409)에서, 블록(1407)의 전자 디바이스는 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블록(1409)에서, 트레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록(1409)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는 트레이에 결합되는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블록(1409)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열린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스프링은 트레이를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다른 하나로부터 멀리 편향시킨다.
블록(1410)에서, 제1 종동자는 제1 종동자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에 의해 블록(1407)의 캠의 제1 면에 반하여 편향된다. 블록(1410)에서, 제2 종동자는 제2 종동자와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3 스프링에 의해 캠의 제2 면에 반하여 편향된다.
블록(1411)에서, 블록(1407)의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1 톱니 바퀴를 포함하는 한편,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2 톱니 바퀴를 포함한다. 블록(1411)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하여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될 때, 제1 톱니 바퀴는 제2 톱니 바퀴와 맞물린다.
블록(1412)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을 포함한다. 블록(1412)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선형 리세스를 정의한다. 블록(1412)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블록(1412)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블록(1412)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 내에 놓인다. 블록(1412)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힌지에 걸쳐 이어진다.
블록(1412)에서, 힌지는 캠,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블록(1412)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와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를 브리징한다. 블록(1412)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캠, 및 제2 지지 플레이트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그 안에 서비스 루프를 정의하는 경계들을 정의한다.
블록(1413)에서, 블록(1412)의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1 톱니 바퀴를 포함한다. 블록(1413)에서, 블록(1412)의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2 톱니 바퀴를 포함한다. 블록(1413)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톱니 바퀴는 제2 톱니 바퀴와 맞물린다.
블록(1414)에서, 블록(1413)의 캠은 적어도 제1 톱니 바퀴 및 적어도 제2 톱니 바퀴보다 전자 디바이스의 더 내부에 배치된다. 블록(1415)에서, 블록(1414)의 전자 디바이스는 트레이를 더 포함한다. 블록(1415)에서, 트레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블록(1415)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가 트레이에 결합된다. 블록(1415)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된다. 블록(1415)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열린 위치로 제2 디바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스프링은 트레이를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다른 하나로부터 멀리 편향한다. 블록(1416)에서, 블록(1414)의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가 그를 따라 병진하는 경사면을 정의한다.
블록(1417)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을 포함한다. 블록(1417)에서, 전자 디바이스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블록(1417)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다.
블록(1417)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된다. 블록(1417)에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힌지에 걸쳐 이어진다.
블록(1417)에서, 힌지는 캠, 제1 주면을 정의하고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주면을 정의하고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2 지지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블록(1417)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표면들에 접하고 그것들을 기계적으로 지지한다. 블록(1417)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정의된 서비스 루프에 접선 방향으로 접한다.
블록(1418)에서, 블록(1417)의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단부에서 캠에 결합된다. 블록(1418)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경사면을 정의한다. 블록(1418)에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블록(1417)의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는 경사면에 접하고 경사면을 따라 병진한다.
블록(1419)에서, 블록(1417)의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그 안에 놓이는 선형 리세스를 정의한다. 블록(1419)에서,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선형 리세스의 평면 연장부들을 정의한다. 블록(1420)에서, 블록(1419)의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은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선형 리세스와 불연속적이다.
상술한 명세서에서,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이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제시된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인식한다. 따라서, 본 개시내용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이 그와 같이 제한되지 않는 것이 명백하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하의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개시내용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수의 수정, 변경, 변형, 대체 및 등가물을 생각해낼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의미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되어야 하고, 그러한 모든 수정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혜택들, 이점들,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들, 및 임의의 혜택들, 장점들 또는 해결책들을 발생시키거나 더 두드러지게 만들 수 있는 임의의 요소(들)는 임의의 또는 모든 청구항의 중요하거나 필수적이거나 본질적인 특징들 또는 요소들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0)

  1.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하는 힌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하고, 상기 힌지는:
    캠;
    상기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캠의 상기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원위로(distally) 연장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고 상기 캠의 상기 제2 면으로부터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로 원위로 연장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경사면을 포함하는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원위 단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각각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제1 위치와 각각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의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전자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는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내에서 각각 상기 제1 위치보다 더 깊은 전자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선형 리세스를 정의하고, 상기 지지 플레이트 수용 리세스는 상기 선형 리세스와 상기 힌지 사이에 놓이는 전자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되고 힌지에 걸쳐 이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상기 선형 리세스 내에 위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리세스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지지 평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닫힌 위치로부터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기계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캠,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지지 평면과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지지 평면을 브리징하는 전자 디바이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캠,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지지 평면에 걸쳐 이어지는 연속적인 평면 표면을 정의하는 전자 디바이스.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서비스 루프를 정의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원위 단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전자 디바이스.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 및 제1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는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열린 위치로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스프링은 상기 트레이를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상기 다른 하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10. 제7항에 있어서,
    제1 종동자(follower) - 상기 제1 종동자는 상기 제1 종동자와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2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의 제1 면에 반하여 편향됨 -; 및
    제2 종동자 - 상기 제2 종동자는 상기 제2 종동자와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사이에 배치된 제3 스프링에 의해 상기 캠의 제2 면에 반하여 편향됨 -
    를 적어도 더 포함하는 전자 디바이스.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1 톱니 바퀴(toothed wheel)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2 톱니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적어도 제1 톱니 바퀴는 상기 적어도 제2 톱니 바퀴와 맞물리는 전자 디바이스.
  12. 전자 디바이스로서,
    선형 리세스를 각각 정의하는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하는 힌지 -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함 -;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선형 리세스 내에 놓이고, 상기 힌지에 걸쳐 이어지는 플렉시블 디바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캠;
    상기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캠,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선형 리세스와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선형 리세스를 브리징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상기 캠,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서비스 루프를 그 안에 정의하는 경계들을 정의하는 전자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1 톱니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은 적어도 제2 톱니 바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적어도 제1 톱니 바퀴는 상기 적어도 제2 톱니 바퀴와 맞물리는 전자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적어도 제1 톱니 바퀴 및 상기 적어도 제2 톱니 바퀴보다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더 내부에 배치되는 전자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하나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트레이; 및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1 단부는 상기 트레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제2 단부는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이 열린 위치로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으로부터 멀리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스프링은 상기 트레이를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또는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중 상기 다른 하나로부터 멀리 편향시키는 전자 디바이스.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각각은,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지지 플레이트의 원위 단부가 그를 따라 병진하는 경사면을 정의하는 전자 디바이스.
  17. 전자 디바이스로서,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제2 디바이스 하우징;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을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하는 힌지 -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대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가능함 -; 및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힌지에 걸쳐 이어지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캠;
    제1 주면을 정의하고 상기 캠의 제1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된 제1 지지 플레이트; 및
    제2 주면을 정의하고 상기 캠의 제2 면에 피벗식으로 결합되는 제2 지지 플레이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평면 표면들에 접하고 상기 평면 표면들을 기계적으로 지지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닫힌 위치로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의해 정의된 서비스 루프에 접선 방향으로 접하는 전자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는 제1 단부에서 상기 캠에 결합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은 경사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로부터 상기 닫힌 위치로 힌지를 중심으로 피벗할 때, 상기 제1 지지 플레이트의 제2 원위 단부는 상기 경사면에 접하고 상기 경사면을 따라 병진하는 전자 디바이스.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은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가 그 안에 놓이는 선형 리세스를 정의하고,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축방향으로 변위된 열린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은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선형 리세스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의 상기 선형 리세스의 평면 연장부들을 정의하는 전자 디바이스.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디바이스 하우징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하우징이 상기 닫힌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1 주면 및 상기 제2 주면은 상기 선형 리세스와 불연속적인 전자 디바이스.
KR1020190112945A 2018-09-14 2019-09-1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동 지지 플레이트들을 갖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 KR202000315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131,937 US10491725B1 (en) 2018-09-14 2018-09-14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moving support plates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6/131,937 2018-09-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545A true KR20200031545A (ko) 2020-03-24

Family

ID=67839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2945A KR20200031545A (ko) 2018-09-14 2019-09-1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동 지지 플레이트들을 갖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10491725B1 (ko)
KR (1) KR20200031545A (ko)
CN (1) CN110913042B (ko)
DE (1) DE102019120193A1 (ko)
GB (1) GB25775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71A1 (en) * 2020-06-10 2021-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4019350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38929S1 (en) * 2018-05-09 2021-12-21 Motorola Mobility Llc Communication device
US10485115B1 (en) 2018-06-22 2019-11-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defining an asymmetrical service loop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915149B2 (en) * 2018-09-10 2021-02-09 Motorola Mobility Llc Dual spring and driver assembly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US10491725B1 (en) 2018-09-14 2019-11-2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moving support plates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337321B2 (en) * 2019-02-28 2022-05-17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Foldable terminal
KR20200145975A (ko) * 2019-06-21 2020-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 장치와 그의 음향 제공 방법
JP6868064B2 (ja) * 2019-07-12 2021-05-12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携帯用情報機器
KR20210022302A (ko) * 2019-08-20 202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20210050040A (ko) * 2019-10-25 2021-05-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50364B2 (en) * 2019-11-01 2023-01-10 Motorola Mobility Llc Flexible display with preformed curvilinear folda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US10951254B1 (en) * 2020-02-27 2021-03-16 Eli Altaras Foldable phone case method and devices
RU198443U1 (ru) * 2020-04-09 2020-07-09 Анатолий Игоревич Кочетков Складной корпус электро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с гибким дисплеем
CN113551105B (zh) * 2020-04-23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架结构、屏幕组件和电子设备
KR20220001038A (ko) 2020-06-26 2022-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528350B2 (en) 2020-09-11 2022-12-13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CN114338861A (zh) * 2020-09-29 2022-04-12 华为技术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US11522984B2 (en) 2020-11-19 2022-12-0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909899B2 (en) 2021-02-03 2024-02-20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416040B1 (en) 2021-03-12 2022-08-1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eat spreader
CN113890911B (zh) * 2021-03-17 2022-11-08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机构和移动终端
CN115126770A (zh) * 2021-03-24 2022-09-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转轴机构及终端设备
CN113114804B (zh) * 2021-04-02 2024-05-14 上海富驰高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内折柔性屏的折叠结构
CN113112921B (zh) * 2021-04-12 2022-05-3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11863695B2 (en) 2021-09-23 2024-01-02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substrate having dynamic regions defining one or more apertures
US11528352B1 (en) 2021-09-30 2022-12-13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522985B1 (en) 2021-09-30 2022-12-0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971743B2 (en) 2021-12-08 2024-04-30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with deformation estimation system and corresponding methods
USD1021878S1 (en) * 2022-02-25 2024-04-09 Spigen Korea Co., Ltd Case for electronic communications device
US11797050B2 (en) 2022-03-28 2023-10-24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device housings and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D1027889S1 (en) * 2022-04-18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1027888S1 (en) * 2022-04-18 2024-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D970493S1 (en) * 2022-06-20 2022-11-22 Guangzhou Huiyue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Phone case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790A (en) * 1870-06-28 Oliver tafiy of white-stone
US1010479A (en) * 1911-06-28 1911-12-05 John S Collison Wrench.
US4483394A (en) 1982-11-01 1984-11-20 Dresser Industries, Inc. Hydraulic power unit for measurement while drilling apparatus
TW371730B (en) 1997-12-24 1999-10-11 Mitsubishi Electric Corp Structure of flexible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US6402713B1 (en) 1999-10-18 2002-06-11 Brian P. Doyle Knee orthosis and hinge joint
KR20040028115A (ko) 2002-09-28 2004-04-03 김흥기 댐퍼힌지
US7028373B2 (en) 2003-05-16 2006-04-18 Motorola, Inc. Spring biased hinges and methods therefor
US7714801B2 (en) 2005-01-05 2010-05-11 Nokia Corporation Foldable electronic device and a flexible display device
DE102006013424B4 (de) 2006-03-23 2008-02-21 Hetal-Werke Franz Hettich Gmbh & Co. Kg Klappenhalter
US8028555B2 (en) 2008-08-01 2011-10-04 Lurie Alan E Preassembled cam lock assembly
KR101292974B1 (ko) 2010-06-30 2013-08-02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US8982542B2 (en)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8441791B2 (en) 2010-12-23 2013-05-14 Microsoft Corporation Double hinge radial cams
US9535465B2 (en) 2011-02-10 2017-01-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electrical interconnection guide
US8780570B2 (en) 2011-02-14 2014-07-15 Microsoft Corporation Double hinge torsion bar
US8773849B2 (en) 2011-04-11 2014-07-08 Microsoft Corporation Extendable connecting link
KR101839615B1 (ko) 2011-04-14 2018-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연성 표시부를 구비한 휴대용 통신 장치
EP3428774A1 (en) 2011-07-11 2019-01-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EP2546721B1 (en) 2011-07-11 2020-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
US8908365B2 (en) 2012-06-25 2014-12-09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having a continuous flexible display with display supports
US8971031B2 (en) 2012-08-07 2015-03-03 Creator Technology B.V. Display system with a flexible display
US9588549B2 (en) 2014-02-28 2017-03-0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ctronic device
KR102202228B1 (ko) * 2014-06-11 2021-01-13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233119B1 (ko) * 2014-09-23 2021-03-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US10365691B2 (en) * 2015-04-09 2019-07-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10310551B2 (en) 2015-04-09 2019-06-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Foldable device
US20170001157A1 (en) * 2015-06-16 2017-01-05 Jean Paul Gonzalez-Santini Lid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US10063677B2 (en) 2016-03-18 2018-08-28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KR101820470B1 (ko) * 2016-06-28 2018-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603654B1 (ko) 2016-08-24 2023-11-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0394274B2 (en) * 2016-08-31 2019-08-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Flexible electronic display devices
US10364598B2 (en) 2016-09-02 2019-07-30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KR102595230B1 (ko) * 2016-10-13 202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US10754377B2 (en) 2017-04-05 2020-08-2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US10054990B1 (en) 2017-05-31 2018-08-21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110717B1 (en) 2018-01-02 2018-10-23 Yongbiao Liu Smartphone with flexible folding screen
US10485115B1 (en) 2018-06-22 2019-11-19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defining an asymmetrical service loop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491725B1 (en) 2018-09-14 2019-11-26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moving support plates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TWI681284B (zh) 2018-12-25 2020-01-0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樞轉機構及可撓式電子裝置
US10469635B1 (en) 2019-01-23 2019-11-05 Motorola Mobility Llc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chambers accommodating a dynamic flexi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0545541B1 (en) 2019-05-06 2020-01-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d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1771A1 (en) * 2020-06-10 2021-12-1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11768525B2 (en) 2020-06-10 2023-09-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WO2024019350A1 (ko) * 2022-07-19 2024-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장치 및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9120193A1 (de) 2020-04-02
CN110913042B (zh) 2023-09-22
US10601967B1 (en) 2020-03-24
US20200259937A1 (en) 2020-08-13
US20200162595A1 (en) 2020-05-21
US10893129B2 (en) 2021-01-12
GB2577588A (en) 2020-04-01
GB201910435D0 (en) 2019-09-04
US10491725B1 (en) 2019-11-26
CN110913042A (zh) 2020-03-24
US20200092405A1 (en) 2020-03-19
GB2577588B (en) 2021-10-06
US10701193B2 (en)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1545A (ko)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위한 이동 지지 플레이트들을 갖는 힌지형 전자 디바이스 및 대응하는 시스템들
US11076495B2 (en)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defining an asymmetrical service loop for a flexible display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623538B1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chambers accommodating a dynamic flexibl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0054990B1 (en) Electronic device with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0063677B2 (en)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and hinged housing,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US11909899B2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528352B1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528350B2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0915149B2 (en) Dual spring and driver assembly and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GB2612875A (en) Electronic devices with sliding device housings and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and corresponding methods
US11522984B2 (en) Hinged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cement altering hinge and corresponding systems
US11723163B1 (en) Sliding electronic devices with translating flexible displays having rigidly coupled foldable substrates and corresponding methods
CN115866111A (zh) 包括具有限定一个或多个孔口的动态区域的柔性基板的铰接式电子设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