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1006A -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1006A
KR20200031006A KR1020180134823A KR20180134823A KR20200031006A KR 20200031006 A KR20200031006 A KR 20200031006A KR 1020180134823 A KR1020180134823 A KR 1020180134823A KR 20180134823 A KR20180134823 A KR 20180134823A KR 20200031006 A KR20200031006 A KR 20200031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curriculum
information
providing
sear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범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티에듀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티에듀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티에듀고
Publication of KR20200031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1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 직무교육과 관련한 교육훈련 콘텐츠에 대한 속성정보에 대해 중소/중견기업 근로자가 플랫폼을 통해 비교/검색 후 선택 가능할 수 있게 관련 평가정보를 구축 및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METHOD BUILDING ASSESSMENT INFOMATION ACCORDING TO CURRICULUM ASSESSMENT AND METHOD PROVIDING THEREOF}
본 발명은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교육을 수강한 사용자에게 교육과정 평가정보를 수집하여 가공하고 시각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인 교육분야 플랫폼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교육 콘텐츠를 선택하기 위해, 콘텐츠의 명칭, 교육 형태(예를 들어, 온라인, 오프라인, 공개강좌, 위탁 또는 방문 강좌 등), 지역, 교육일정, 교육비용, 강사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검색과 필터링을 통해 플랫폼에서 나열되는 교육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해당 교육의 상세설명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그 내용을 확인하고, 다른 교육의 상세설명 웹페이지의 정보와 비교하여 교육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분야 플랫폼 서비스의 교육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제10-40835호 "쌍방향 맞춤형 온라인 교육 오픈 마켓 플레이스 운영 방법"에 게시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본인의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교육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교육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를 시각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복수 개의 시각화 된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와 실제로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검색빈도를 가공하여 시각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생성되는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다른 목적은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이용후기에 따라 생성되는 워드 데이터를 가공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의 키워드를 유사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수치화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수치화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검색 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시각화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빈도는 플랫폼DB에 미리 저장된 교육 컨텐츠 정보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시각화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는 플랫폼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평가 정보 수집을 위한 평가항목 출력 페이지에 출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본인의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교육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교육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를 시각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복수 개의 시각화 된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와 실제로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검색빈도를 가공하여 시각화 할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생성되는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따르면,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이용후기에 따라 생성되는 워드 데이터를 가공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과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서비스 예시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평가정보 수집을 위한 질문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다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시각화 된 평가정보를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다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복수 개의 시각화 된 평가정보가 비교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이하,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하고,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구성을 도시하며,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서비스 예시를 도시한다.
또한,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평가정보 수집을 위한 질문의 예시를 도시하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다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시각화 된 평가정보를 도시하며,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다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의 복수 개의 시각화 된 평가정보가 비교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있어서,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 정보 저장 방법과 교육과정 검색에 따른 교육과정 빈도수 정보 저장 방법을 도시한다. 위 방법은 단계 S1001 내지 단계 S1002, 단계 S2001 내지 단계 S2007, 단계 S3001, 및 단계 S4001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플랫폼 서버(400)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300)에 접속할 수 있다. 사용자의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클라우드(300)에서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원하는 교육과정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거나 검색창을 통해 출력되는 정보를 선택할 수 있다.
단계 S1001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기(100) 상에 출력되는, 사용자에 의해 피평가 될 교육과정을 사용자가 검색 및 선택하는 단계이다. 단계 S1002는 플랫폼 DB(500) 내에 저장된 사용자의 정보와 교육과정의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단계 S1002를 통해 플랫폼 서버(400)는 사용자가 선택한 교육과정이 사용자가 이전에 수강한 교육과정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01에서 검색 및 선택된 교육과정이 사용자가 과거 수강한 교육과정이라면, 도 1의 단계 S2001을 참조하여, 플랫폼 서버(400)는 플랫폼 DB(500)에서 해당 교육과정에 적합한 평가항목을 조회할 수 있고, 단계 S2002를 참조하여 조회가 완료된 평가항목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평가항목은 단계 S2003을 통해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말기(100, 200)를 통해 평가항목을 전달받을 수 있으며, 단계 S2004에서, 단말기(100, 200)를 통해 제공된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 값을 입력할 수 있다.
평가항목에 관한 설명은 아래에서 도 5를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단계 S2005에서 입력된 평가항목들에 대한 응답 값은 다시 네트워크 클라우드(300)를 통해 플랫폼 서버(400)로 전달될 수 있다.
단계 S2006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단계 S2005를 통해 단말기(100, 200)로부터 전달된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S2007에서, 수신된 평가항목 별 응답 값은 예를 들어 각각의 평가항목의 종류에 따라 가중치를 적용하여 점수로 환산될 수 있다.
단계 S4001에서, 수신된 평가항목별 응답 값 도는 가중치가 적용된 응답 값은 플랫폼 DB(500)에 저장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예를 들어, 단계 S1001에서) 플랫폼 서버(400)를 통해 시각화 되어 사용자의 단말기(100, 2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단계 S1001에서 검색 및 선택된 교육과정이 사용자가 과거 수강한 교육과정이 아니라면, 단계 S3001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사용자의 교육과정 검색 기록을 검색빈도 점수로 환산하여, 단계 S4001과 같이 플랫폼 DB(500)에 저장할 수 있다.
플랫폼 DB(500)에 저장되는 교육과정 검색빈도 점수는 플랫폼 서버(400)를 통해 시각화 되어 사용자의 단말기(100, 200) 상에 출력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있어서, 교육과정을 수강한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교육과정 평가, 및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방법을 도시한다.
위 방법은 위의 도 1에서 기술된 단계 S1001, 단계 S2001 내지 단계 S2003, 및 단계 S5001 내지 단계 S5005를 포함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단계 S1001에서는 사용자가 교육과정을 검색 및 선택할 수 있고, 단계 S2001에서 사용자는 단말기(100)를 통해 선택된 교육과정에 적합한 평가항목을 플랫폼 DB(500)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단계 S2002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조회된 평가항목을 추출할 수 있고, 단계 S2003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S2002에서 추출된 평가항목을 사용자의 단말기(100, 200)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S5001에서, 사용자는 단말기(100, 200)를 통해 출력되는 평가항목에 대하여 교육과정 경험에 대한 텍스트 후기를 입력할 수 있다.
작성된 텍스트 후기는 S5002에서 단말기(100, 200)로부터 플랫폼 서버(400)로 전송될 수 있다.
S5003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단말기(100, 200)로부터 텍스트 후기를 수신할 수 있으며, S5004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텍스트 후기를 키워드 별로 분리 및 가공하여(가중치 적용 등) 키워드의 빈도 결과를 산출할 수 있다.
S5005에서 플랫폼 서버(400)는 산출된 키워드 빈도 결과를 플랫폼 DB(500)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저장된 키워드 빈도는 시각화 되어 사용자의 검색에 의해 단말기(100, 200)에서 출력될 수 있다.
본원에서 기술되는 단말기(100, 200)는 플랫폼 서버(400)에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300)로 접속하여 플랫폼 DB(500)에 저장된 교육과정 정보를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을 통해 리스트 업 되는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고, 정보에 따른 대응 값을 입력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단말기들은 예를 들어 PC, 노트북, 태블릿PC, 스마트폰 등일 수 있으며, 본원에 기술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고 개인이 사용하는 단말장치(200a, 200b, 200c, ? 200n)들을 총칭한다.
도 3을 참조하여, 단말기(100, 200)은 네트워크 클라우드(300)를 통해 플랫폼 서버(400)에 접속할 수 있으며, 플랫폼 서버(400)는 사용자의 요구 또는 수집되는 정보에 따라 플랫폼 DB(500)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300), 플랫폼 서버(400), 플랫폼 DB(500)를 이용하여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을 구현하는 플랫폼 서비스는 다양한 교육플랫폼과 사용자를 연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교육과정을 용이하게 검색하도록 돕는다.
도 5를 참조하여, 평가항목은 교육과정에 대한 다방면의 정보를 포괄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통해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5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가항목은 강의장 환경, 강의 비용 적합성, 강사의 수준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러한 평가항목에 대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거나 텍스트 후기를 작성할 수 있다.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평가항목에 대한 응답 값은 시각화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6은 하나의 교육과정에 대한 응답 값과 검색빈도를 오각형의 형태로 시각화 하여 출력하였다.
도 6과 도 7에서 출력되는 시각화 모델은 예시일 뿐이며, 데이터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시각화 될 수 있다.
도 7은 복수 개의 교육과정에 대한 응답 값과 검색빈도를 오각형의 형태로 시각화 하여 출력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체 또는 동일 카테고리의 여러 교육과정들의 점수 평균이 시각화 되어 출력된 것일 수 있고, 비교 대상의 교육과정이 시각화 되어 출력된 것일 수도 있다.
시각화 된 그래프의 각각의 평가항목을 클릭하면 텍스트 후기에서 산출한 키워드 빈도 또는 하위 평가항목의 평가 결과가 출력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가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데 있어서 본인의 조건에 가장 부합하는 교육을 검색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교육에 대한 평가를 통해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고,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를 시각화 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선택을 돕기 위해 복수 개의 시각화 된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고, 교육을 희망하는 사용자와 실제로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검색빈도를 가공하여 시각화 할 수 있으며,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평가에 따라 생성되는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를 가공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 콘텐츠를 소비한 사용자의 이용후기에 따라 생성되는 워드 데이터를 가공하여 교육 콘텐츠의 평가정보 데이터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여러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실시예 1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평가입력을 위한 평가입력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평가입력창에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 서버는 입력된 상기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평가데이터를 플랫폼 DB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입력된 상기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평가데이터를 플랫폼 DB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데이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평가입력창에 입력한 모든 상기 평가점수들의 평균치와 상기 평가입력창들에 입력된 각 항목의 평가점수를 비교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 서버는 입력된 상기 평가점수에 가중치를 적용한 평가데이터를 플랫폼 DB에 저장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데이터는 공급자가 각각의 평가항목들에 미리 설정한 가중치와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각 평가입력창들에 입력된 각 항목의 평가점수를 연산하여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 2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의 키워드를 유사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수치화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수치화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검색 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각화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빈도는 플랫폼DB에 미리 저장된 교육 컨텐츠 정보와 함께 출력될 수 있다.
또는, 시각화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는 플랫폼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평가 정보 수집을 위한 평가항목 출력 페이지에 출력될 수 있다.
실시예 3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평가입력을 위한 평가입력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평가입력창에 평가문장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평가문장의 키워드를 분리하는 단계; 분리된 키워드와 상기 플랫폼 DB에 저장된 저장 키워드정보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된 키워드와 상기 플랫폼 DB에 저장된 키워드를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분리된 키워드에서 추출되는 키워드정보는 상기 플랫폼 DB에 미리 저장된 복수 개의 키워드 그룹과 매칭되어 상기 키워드정보를 분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 DB에 저장된 복수 개의 키워드 그룹은 긍정키워드 그룹 및 부정키워드 그룹을 포함하고, 상기 긍정키워드 그룹 내의 상기 저장 키워드정보와 상기 키워드정보가 매칭되면 교육과정은 긍정적으로 평가되거나, 상기 부정키워드 그룹 내의 상기 저장 키워드정보와 상기 키워드정보가 매칭되면 상기 교육과정은 부정적으로 평가될 수 있다.
실시예 4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평가입력을 위한 평가입력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평가입력창에 평가문장을 입력하는 단계; 상기 평가문장의 키워드를 분리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키워드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평가문장의 키워드를 분리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키워드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문장 내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수를 상기 분리된 키워드와 함께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평가문장의 키워드를 분리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키워드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문장 내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수에 따라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색을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평가문장의 키워드를 분리하여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분리된 키워드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에서, 상기 평가문장 내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수를 산출하여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수에 따라 상기 분리된 키워드의 크기를 결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 5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은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평가입력을 위한 복수 개의 평가입력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복수 개의 평가입력창에 각각 평가문장 또는 평가점수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평가문장의 분리된 키워드를 키워드정보로 가공하고 상기 평가점수를 평가점수정보로 가공하는 단계; 및 상기 키워드정보와 상기 평가점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랫폼 DB는 상기 평가점수 수집을 위한 평가입력창 항목 별로 연관 매칭키워드를 구비하고, 상기 키워드정보와 상기 평가점수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전에, 상기 평가점수정보는 상기 키워드정보와 상기 매칭키워드를 비교하여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키워드정보는 상기 플랫폼 DB 내에 저장되는 제1 키워드 그룹 및 제2 키워드 그룹과 매칭되어 제1 키워드 또는 제2 키워드로 분류되고, 상기 키워드정보의 분류에 따라 상기 평가점수에는 가중치가 적용되어 상기 평가점수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단말기
200 : 단말기
300 : 네트워크 클라우드
400 : 플랫폼 서버
500 : 플랫폼 DB

Claims (4)

  1.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에 있어서,
    교육과정 평가 또는 검색을 위한 정보를 입력하는 단말기, 상기 단말기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정보를 수용하고 상기 데이터를 가공하는 플랫폼 서버, 상기 플랫폼 서버로 구축되는 네트워크 클라우드 및 데이터화되는 상기 정보를 저장하는 플랫폼 DB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단말기를 통해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네트워크 클라우드로부터 정보를 수신 받아 교육과정 검색을 위한 검색창을 출력하는 단계;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기 검색창에 검색어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검색어의 키워드를 유사 키워드 그룹으로 분류하는 단계; 및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수치화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수치화하여 네트워크 클라우드에 저장하는 단계 이후에,
    사용자의 검색 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를 시각화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시각화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빈도는 플랫폼DB에 미리 저장된 교육 컨텐츠 정보와 함께 출력되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시각화된 상기 유사 키워드 그룹의 검색 빈도는 플랫폼DB에 미리 저장된 사용자의 교육 컨텐츠 평가 정보 수집을 위한 평가항목 출력 페이지에 출력되는,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3A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20200031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900 2018-09-13
KR20180109900 2018-09-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006A true KR20200031006A (ko) 2020-03-23

Family

ID=69998526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827A KR20200031009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3A KR20200031006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5A KR20200031008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4A KR20200031007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2A KR20200031005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827A KR20200031009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825A KR20200031008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4A KR20200031007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KR1020180134822A KR20200031005A (ko) 2018-09-13 2018-11-06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5) KR2020003100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11455A1 (en) * 2015-07-12 2017-01-19 Cohere Technologies Orthogonal time frequency space modulation over a plurality of narrow band subcarriers
KR102559803B1 (ko) * 2020-12-18 2023-07-2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수업 참여도 분석을 수행하는 원격 수업 지원 서비스 서버 및 그 동작 방법
KR102574976B1 (ko) * 2022-03-15 2023-09-04 임채현 온라인 기반 교육 인프라 비교분석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17217209A (zh) * 2023-11-07 2023-12-12 湖南强智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智能高校考试组卷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1005A (ko) 2020-03-23
KR20200031009A (ko) 2020-03-23
KR20200031007A (ko) 2020-03-23
KR20200031008A (ko) 2020-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040B1 (ko) 직무 추천 장치 및 직무 추천 방법
KR20190142286A (ko) 가중치 기반의 유사 문제 필터링 방법
KR20200031006A (ko) 교육과정 평가에 따른 평가정보 구축 및 제공방법
CA3129745A1 (en) Neural network system for text classification
CN109492164A (zh) 一种简历的推荐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336290B1 (en) Attribute extraction
WO2020077824A1 (zh) 异常问题的定位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586656B2 (en) Opportunity network system for providing career insights by determining potential next positions and a degree of match to a potential next position
US8515986B2 (en) Query pattern generation for answers coverage expansion
US20170103439A1 (en) Searching Evidence to Recommend Organizations
CN104680453A (zh) 基于学生属性的课程推荐方法及系统
Korzh et al. Methods for forming an informational image of a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US20190385469A1 (en) Matching a job profile to a candidate
CN107958014A (zh) 搜索引擎
Ikawati et al. Student behavior analysis to detect learning styles in Moodle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20160267425A1 (en) Data processing techniques
Srisopha et al. Learning features that predict developer responses for ios app store reviews
JPWO2019244849A1 (ja) 投稿情報抽出制御装置、投稿情報抽出制御プログラム
US20200005204A1 (en) Determining employment type based on multiple features
Kilic et al. Effects of reverse geocoding on OpenStreetMap tag quality assessment
CN103870520B (zh) 用于搜索信息的设备和方法
JP2016157408A (ja) 語彙意味パターン分析方法に基づいてビックデータから店舗創業用データ又は運営支援用データを生成する方法
KR20200060992A (ko) 사용자 맞춤형 추천 콘텐츠 정보의 출력 방법
Anastácio et al. Using the geographic scopes of web documents for contextual advertising
CN112418260A (zh) 模型训练方法、信息提示方法、装置、设备及介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