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993A -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993A
KR20200030993A KR1020180109887A KR20180109887A KR20200030993A KR 20200030993 A KR20200030993 A KR 20200030993A KR 1020180109887 A KR1020180109887 A KR 1020180109887A KR 20180109887 A KR20180109887 A KR 20180109887A KR 20200030993 A KR20200030993 A KR 20200030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ch drum
towing
departure prevention
arrangement
son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9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0148B1 (ko
Inventor
이상용
윤동원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9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01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30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0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0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39Arrangements of sonic watch equipment, e.g. low-frequency, son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28Other constructional details
    • B66D1/30Rope, cable, or chain drums or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54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1/0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 B66D1/60Rope, cable, or chain winding mechanisms; Capstan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윈치드럼을 통해 선배열 예인소나를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감소되어 윈치드럼의 권선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윈치드럼의 하측에서 선배열 예인소나를 지지함으로써 선배열 예인소나가 윈치드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DEPARTURE OF TOWED ARRAY SONAR}
본 발명은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윈치드럼을 통해 선배열 예인소나를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감소되어 윈치드럼의 권선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윈치드럼의 하측에서 선배열 예인소나를 지지함으로써 선배열 예인소나가 윈치드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은 장거리 표적 탐지를 위하여 몇 백미터 이상의 선배열 예인소나를 운용한다. 이러한 선배열 예인소나는 평상 시 윈치드럼에 권취되어 있다가 운용이 개시될 경우 윈치드럼이 회전하면서 함 외부로 권출되게 된다.
한편,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향하는 수직형 윈치드럼의 경우, 측면에 권취된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 권선영역에서 이탈하여 하측 방향으로 흘러내리게 되는데, 긴급한 작전상황에서 운용요원이 함 외부로 나가 이러한 선배열 예인소나를 모두 풀어 다시 재권취하는 조치를 취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현재는 함을 부상하여 조치하거나 또는 작전 중 선배열 예인소나의 일부를 절단하고 있다.
소나의 절단 시 새로운 선배열 예인소나 교체를 위해 수십억원 이상의 비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 장력이 저하되더라도 윈치드럼으로부터 선배열 예인소나가 이탈되지 않고 재권취를 위한 조치가 필요하지 않은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47138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감소되어 윈치드럼의 권선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윈치드럼의 하측에서 선배열 예인소나를 지지함으로써 선배열 예인소나가 윈치드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는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면에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권취되는 윈치드럼 및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 동작 시 상기 윈치드럼의 측면에 권취되는 상기 선배열 예인소나가 상기 윈치드럼의 하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권취되는 선배열 예인소나의 하측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드럼과 인접한 전향장치에 의해 상기 윈치드럼의 상하 높이에 상응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윈치드럼의 측면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에 의해 상기 윈치드럼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윈치드럼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수직형 윈치드럼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는 상기 윈치드럼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 이탈방지 턱과 이어지며, 말단부가 이탈방지 가이드의 높이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직립되는 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는 중심부에 상기 하부 이탈방지 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형의 고리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의 지름은 상기 윈치드럼에 권취된 선배열 예인소나의 권선영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는 말단부가 상기 하부 이탈방지 턱과 이어지도록 인접하게 위치하되, 상기 하부 이탈방지 턱의 말단부와 이격거리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감소되어 윈치드럼의 권선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윈치드럼의 하측에서 선배열 예인소나를 지지함으로써 선배열 예인소나가 윈치드럼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가이드함으로써, 윈치드럼을 재구동하여 신속히 선배열 예인소나를 재권취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감소되더라도 함을 부상시키거나 선배열 예인소나의 일부를 절단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용이 획기적으로 절감되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윈치드럼 외부로 장력이 저하된 선배열 예인소나 일부가 흘러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가 잠수함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종래의 윈치드럼 외부로 장력이 저하된 선배열 예인소나 일부가 흘러내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도 1은 선배열 예인소나를 권취 혹은 권출하는 윈치드럼과 인접하게 설치된 윈치 카메라(WINICH CAMERA)를 통해 선배열 예인소나의 권취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때, 윈치드럼에 권취된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저하됨에 따라, 선배열 예인소나의 일부가 윈치드럼의 권선영역을 벗어나 외부로 흘러내린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특히 수직형 윈치드럼일 경우 더욱 두드러지는 문제점으로, 선배열 예인소나의 일부를 절단하여야 하며 작전수행을 위해서는 함을 부대로 복귀시켜야 하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는 크게 윈치드럼(110) 및 이탈방지 가이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일 실시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전향장치, 윈치 카메라, 전개장치 등을 구성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전향장치는 윈치드럼(110)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윈치드럼(110)의 높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함으로써, 윈치드럼(110)에 선배열 예인소나가 권취되는 과정에서 권선영역의 전 영역에 골고루 권취되도록 권취위치를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윈치 카메라는 윈치드럼(110)과 인접하여 위치되어, 윈치드럼(110)에 권취된 선배열 예인소나가 권출되는 상태 혹은 권취되는 상태를 영상 혹은 이미지 촬영하여 이를 통제소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그에 따라, 원격지의 통제소에서는 현재 선배열 예인소나의 권취상태 혹은 권출상태를 실시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전개장치는 선배열 예인소나의 외측과 밀착된 상태에서 시계방향 혹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디스크를 통해, 윈치드럼(110)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권출되는 선배열 예인소나를 외측 방향을 향하도록 당겨줌으로써 권출동작을 보조하거나, 윈치드럼(110)에 권취되는 선배열 예인소나를 윈치드럼(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당겨줌으로써 권취동작을 보조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윈치드럼(110)은 잠수함의 상측에서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예컨대,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면에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권취되거나 권출되는 권선영역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윈치드럼(110)은 모터(미도시)와 연결됨에 따라,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시게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윈치드럼(110)은 회전축이 잠수함 기준으로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수직형 윈치드럼에 해당할 수 있는데, 상측 및 하측에는 각각 상부 및 하부 이탈방지 턱(110a, 110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 및 하부 이탈방지 턱(110a, 110b) 사이 공간이 선배열 예인소나의 권선영역이 될 수 있다.
이때,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저하될 경우, 선배열 예인소나가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을 이탈할 경우 문제가 되기 때문에, 본원발명에서는 이탈방지 가이드(120)가 이를 방지하게 된다.
이탈방지 가이드(120)는 윈치드럼(110)의 하부 이탈방지 턱(110b)과 인접하게 위치하여, 윈치드럼(110)의 측면 권선영역에 권취되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을 벗어나 윈치드럼(110)의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가이드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이탈방지 가이드(120)는 윈치드럼(110)의 하부 이탈방지 턱(110b)과 그 말단부가 이어지되, 일정한 폭을 지나서는 수직 방향으로 격벽(121)이 형성된다.
따라서, 선배열 예인소나의 장력이 저하되어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을 일부 이탈하더라도, 이탈방지 가이드(120)의 격벽(121)에 의해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의 하측으로 흘러내림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이탈방지 가이드(120)는 중심부에는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이 수용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형의 고리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그 지름은 윈치드럼(110)의 권선영역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이탈방지 가이드(120)와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은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되, 하부 이탈방지 턱(110b)의 말단부와 일정한 이격거리(예컨대, 0.5cm 등)를 유지함에 따라, 위치드럼(110)이 선배열 예인소나의 권취 혹은 권출을 위해 회전하더라도 이탈방지 가이드(120)와 간섭되지 않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4를 통해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가 잠수함에 실제 적용된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가 잠수함에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살펴보면, 잠수함의 선수부 상측에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때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100)와 연결되어 잠수함의 선미부를 향향하는 가이드튜브의 내측으로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배출된다.
이때 윈치드럼의 회전에 의해 배출된 선배열 예인소나가 가이드튜브를 통해 윈치드럼의 측면 권선영역에 권취될 수 있고, 이때 장력이 일부 저하되더라도 이탈방지 가이드에 의해 윈치드럼의 하측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110: 윈치드럼
110a, 110b: 상부 및 하부 이탈방지 턱
120: 이탈방지 가이드
121: 격벽

Claims (6)

  1. 제1 또는 제2 방향으로 회전되며, 측면에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권취되는 윈치드럼; 및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 동작 시 상기 윈치드럼의 측면에 권취되는 상기 선배열 예인소나가 상기 윈치드럼의 하측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권취되는 선배열 예인소나의 하측을 지지하는 이탈방지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윈치드럼과 인접한 전향장치에 의해 상기 윈치드럼의 상하 높이에 상응하도록 높이가 조절되는 선배열 예인소나가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에 의해 상기 윈치드럼의 측면에 권취되는 경우,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에 의해 상기 윈치드럼의 하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드럼은,
    회전축이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하는 수직형 윈치드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는,
    상기 윈치드럼의 하측에 마련된 하부 이탈방지 턱과 이어지며, 말단부가 이탈방지 가이드의 높이를 기준으로 수직방향을 향하도록 직립되는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는,
    중심부에 상기 하부 이탈방지 턱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마련된 원형의 고리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의 지름은,
    상기 윈치드럼에 권취된 선배열 예인소나의 권선영역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 가이드는,
    말단부가 상기 하부 이탈방지 턱과 이어지도록 인접하게 위치하되, 상기 하부 이탈방지 턱의 말단부와 이격거리를 유지함에 따라 상기 윈치드럼의 회전과 간섭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KR1020180109887A 2018-09-13 2018-09-13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KR102560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87A KR102560148B1 (ko) 2018-09-13 2018-09-13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9887A KR102560148B1 (ko) 2018-09-13 2018-09-13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993A true KR20200030993A (ko) 2020-03-23
KR102560148B1 KR102560148B1 (ko) 2023-07-25

Family

ID=69998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9887A KR102560148B1 (ko) 2018-09-13 2018-09-13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014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00A (ko) * 2021-01-05 2022-07-12 김정구 전선 포설용 윈치
KR102502030B1 (ko) * 2022-09-15 2023-02-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권선유지 및 조출 시스템
KR102502687B1 (ko) * 2022-09-15 2023-02-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처짐방지 및 조출 시스템
KR102502025B1 (ko) * 2022-09-05 2023-02-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초기조출 시스템
KR102524499B1 (ko) * 2022-12-27 2023-04-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전향장치 고착방지 시스템
KR102541975B1 (ko) * 2022-12-28 2023-06-13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선배열예인센서 2중절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56A (ko) * 2002-03-22 2003-09-26 학교법인 인하학원 해양 구조물의 견인 장치
KR20090047138A (ko) 2007-11-07 2009-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인형 소나
KR20100106710A (ko) * 2009-03-24 2010-10-04 삼아트론 주식회사 선재의 권취 포장용 박스 내에 설치되는 원통형중심지지대
KR20180046099A (ko) * 2016-10-27 2018-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센서 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센서 조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056A (ko) * 2002-03-22 2003-09-26 학교법인 인하학원 해양 구조물의 견인 장치
KR20090047138A (ko) 2007-11-07 2009-05-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냉각장치를 구비한 예인형 소나
KR20100106710A (ko) * 2009-03-24 2010-10-04 삼아트론 주식회사 선재의 권취 포장용 박스 내에 설치되는 원통형중심지지대
KR20180046099A (ko) * 2016-10-27 2018-05-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 센서 조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잠수함 센서 조출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8900A (ko) * 2021-01-05 2022-07-12 김정구 전선 포설용 윈치
KR102502025B1 (ko) * 2022-09-05 2023-02-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초기조출 시스템
KR102530636B1 (ko) * 2022-09-05 2023-05-09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초기조출 시스템
KR102502030B1 (ko) * 2022-09-15 2023-02-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권선유지 및 조출 시스템
KR102502687B1 (ko) * 2022-09-15 2023-02-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처짐방지 및 조출 시스템
KR102530640B1 (ko) * 2022-09-15 2023-05-09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선배열예인센서 권선유지 및 조출 시스템
KR102524499B1 (ko) * 2022-12-27 2023-04-21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윈치시스템의 전향장치 고착방지 시스템
KR102541975B1 (ko) * 2022-12-28 2023-06-13 주식회사 디타스 잠수함용 선배열예인센서 2중절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0148B1 (ko) 202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0993A (ko) 선배열 예인소나 이탈방지장치
US8141260B2 (en) Cable fleet angle sensor
KR101674100B1 (ko) 로봇케이블 길이 조절장치
US4026483A (en) Device for an apparatus for coiling of cable, wire, wire rope or the like
JP6630486B2 (ja) ケーブルシステム
CN102036906A (zh) 用来提供关于船只流体加载系统的可动联接器的定位信息的设备
CA2996537C (en) A drum for a towed antenna, and incorporation thereof in a winch or a ship
US6536743B2 (en) Fixed umbilical cable flotation docking head
WO2021023653A3 (de) Seilwinde sowie hub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seilwinde
JP4605598B2 (ja) 船用給電装置とその制御方法
US2341369A (en) Wire coiling mechanism
JP2014092387A (ja) 遠隔モニター監視機能を備えた自動レベル測量装置および浚渫方法、杭打ち方法、ブロック据付方法
GB2146969A (en) Feed device for guiding a rope onto a winding drum
US6334586B1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double spooling
EP2921445A1 (en) Connecting an underwater vehicle to a tether
CN116199146A (zh) 一种万米深海绞车冗余自适应排缆控制方法
KR101894358B1 (ko) 탠덤 오프로딩 시스템
JP5683523B2 (ja) 船舶用陸上受電ケーブルリール
US3389875A (en) Wire payout system for measuring a ship's ground speed
US3222002A (en) Conduit windup reel
US1998877A (en) Apparatus for cutting coal pillars
US1107250A (en) Conduit-wiring device.
US1166651A (en) Submarine.
CN110632810B (zh) 一种全息投影系统
JP2017144851A (ja) 係留索拘束機構および係留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