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225A - Battery Module - Google Patents
Battery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30225A KR20200030225A KR1020180108797A KR20180108797A KR20200030225A KR 20200030225 A KR20200030225 A KR 20200030225A KR 1020180108797 A KR1020180108797 A KR 1020180108797A KR 20180108797 A KR20180108797 A KR 20180108797A KR 20200030225 A KR20200030225 A KR 2020003022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ttery cells
- bus bar
- stacked
- battery
- bar assembl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90
- 210000005056 cell body Anatomy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RNFJDJUURJAICM-UHFFFAOYSA-N 2,2,4,4,6,6-hexaphenoxy-1,3,5-triaza-2$l^{5},4$l^{5},6$l^{5}-triphosphacyclohexa-1,3,5-triene Chemical compound N=1P(OC=2C=CC=CC=2)(OC=2C=CC=CC=2)=NP(OC=2C=CC=CC=2)(OC=2C=CC=CC=2)=NP=1(OC=1C=CC=CC=1)OC1=CC=CC=C1 RNFJDJUURJAIC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9000003063 flame retard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OJIJEKBXJYRIBZ-UHFFFAOYSA-N cadmium nickel Chemical compound [Ni].[Cd] OJIJEKBXJYRI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987 metal hyd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21 over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01M2/1077—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 H01M2/206—
-
- H01M2/26—
-
- H01M2/34—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module.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는 디지털 카메라, 셀룰라 폰, 노트북,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 첨단 분야의 개발로 활발한 연구가 진행중이다. 이차 전지로는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 전지를 들 수 있다. 이중에서, 리튬 이차 전지는 작동 전압이 3.6V 이상으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다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사용되는데, 니켈-카드뮴 배터리나, 니켈-메탈 하이드라이드 배터리에 비하여 작동 전압이 3배가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의 특성도 우수하여 급속도로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are being actively research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high-tech fields such as digital cameras, cell phones, notebooks, and hybrid vehicles. Examples of the secondary battery include a nickel-cadmium battery, a nickel-metal hydride battery, a nickel-hydrogen battery,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mong them, lithium secondary batteries have a working voltage of 3.6 V or higher and are used as power sourc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or are used in high-power hybrid vehicles by connecting multiple series in series, such as nickel-cadmium batteries or nickel-metal hydride batteries. Compared to this, the operating voltage is three times higher, and the energy density per unit weight is also excellent.
위와 같이, 상기 이차 전지 다수개를 직렬 연결하여 고출력의 하이브리드 자동차나 전기자동차에 사용하는 경우, 커버 또는 케이스 등의 부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이차 전지를 고정하고, 이를 버스바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복수 개의 이차 전지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하나의 배터리 모듈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connected in series and used in a high-power hybrid vehicle or an electric vehicle, a plurality of secondary batteries are fixed using a member such as a cover or a case, and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bus bar is used. Thus,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used as a single battery module.
다만, 종래의 배터리 모듈의 경우 복수 개의 이차 전지 적층 후 버스바 각각을 전극 탭에 접촉시켜 용접 등의 공정으로 연결하거나, 복수 개의 버스바를 포함하는 버스바 조립체를 기 조립시킨 후 전극 탭 측에 접촉시켜 연결하였고, 이후 배터리 셀의 온도 및 전압 등의 상태 정보 센싱을 위한 센싱 모듈과 커버부가 각각 별도의 공정으로 체결되었다.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battery module,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secondary cells, each of the busbars is contacted with an electrode tab to be connected by a process such as welding, or after assembling a busbar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busbars to contact the electrode tab side. After that, the sensing module and the cover part for sensing state information such as temperature and voltage of the battery cell were each fastened in a separate process.
때문에, 상술한 각각의 부품 조립에 대한 조립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했고, 또한 각각의 부품 조립 시 조립 정위치에 필요한 지그(jig)가 추가로 요구되었다. 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배터리 셀에 버스바가 연결된 후 최종 단계에 이르러 센싱 모듈과 버스바 간의 용접 연결이 이루어졌는 바, 센싱 모듈과 버스바 간의 용접 불량 확인은 최종 조립 단계에서 가능하였고, 배터리 모듈 최종 조립 후 센싱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였다. Therefore, the assembly time and manpower for each of the above-described parts assembly had to be input, and a jig required for the assembly in place was additionally required when assembling each part. In addition, after the bus bars wer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welding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module and the bus bar was reached after reaching the final stage, and it was possible to check the welding failure between the sensing module and the bus bar in the final assembly stage. There was a possibility that a defective sensing would occur lat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종래에는 최종 조립 라인에서 소요되었던 각각의 부품 조립에 대한 시간 및 인력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reduce the cost, such as time and manpower for each component assembly, which was conventionally required in the final assembly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각각의 부품 조립 시 조립 정위치에 필요한 추가 지그(jig)를 필요로 하지 않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does not require an additional jig (jig) required for assembly in place when assembling each compon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센싱 모듈과 버스바 조립체의 연결이 배터리 셀과의 결합 전에 이루어지는 바, 용접 상태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고 센싱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module and the busbar assembly is made before the connection with the battery cell, it is easy to check the welding state and to provide a battery module that can reduce the likelihood of sensing failure occurring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 조립된 조립 구조체의 배터리 셀 안착 간 전극 탭과 버스바 조립체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avoiding interference between an electrode tab and a busbar assembly between battery cell seating of a preassembled assembly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조립 구조체의 배터리 셀 연결 간 회전 범위 제한을 통해 전극 탭 파손 등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module capable of reducing problems such as electrode tab breakage by limiting the rotation range between battery cell connections of the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인출된 측부에 배치된 버스바 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면에서 상기 전극 탭이 인출된 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 상기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센싱 모듈은 하나의 조립 구조체로 형성된 배터리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tacked on each other; A bus bar assembly disposed on a side where the electrode tab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drawn out; An upper surface cov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side on which the electrode tab is pulled out from the laminated surface formed by stack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a sensing module connected to the busbar assembly to sense state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wherein the busbar assembly, the top cover part, and the sensing module provide a battery module formed of one assembly structure. can do.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상면 커버부의 말단부에 상기 말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The bus bar assembly may be fastened to an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end portion.
상기 상면 커버부는 상기 말단부에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에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portion may include a hinge axis formed parallel to the stack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t the distal end, and one end of the bus bar assembly may be rotatably fastened to the hinge axis based on the hinge axis.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측 측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외면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한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상기 배터리 셀 측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The bus bar assembly further includes a rotation stopp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a side surface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to contact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rotation stopper includes the bus bar assembly It is possible to limit the rotation range to the battery cell side.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electrode tab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the busbar assembly can b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버스바; 및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를 고정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상호 간의 통전(通電)을 차단하는 절연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us bar assembly includes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n insulating support portion fixed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busbars and blocking energization between the plurality of busbars.
상기 센싱 모듈은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각각에 연결된 복수 개의 센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nsing module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nsing members, each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상기 상면 커버부는, 상기 적층면에서 상기 전극 탭이 인출된 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부 중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cover portion may be formed to be seated on one side of the other side portions except for the side on which the electrode tab is pulled out from the stacked surface, so a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stacked battery cells.
상기 버스바 조립체, 상기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센싱 모듈로 형성된 상기 조립 구조체는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에 조립 가능하다.The assembly structure formed of the bus bar assembly, the upper cover portion, and the sensing module may be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s in a pre-assembled state.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래에는 최종 조립 라인에서 소요되었던 각각의 부품 조립에 대한 시간 및 인력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costs such as time and manpower for assembling each component, which was conventionally required in the final assembly lin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각각의 부품 조립 시 조립 정위치에 필요한 추가 지그(jig)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ssembling each component, an additional jig required for assembly in place may not be requir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센싱 모듈과 버스바 조립체의 연결이 배터리 셀과의 결합 전에 이루어지는 바, 용접 상태에 대한 확인이 용이하고 센싱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nsing module and the busbar assembly is performed before the battery cell is coupled, it is easy to check the welding state and reduce the possibility of a defective sens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기 조립된 조립 구조체의 배터리 셀 안착 간 전극 탭과 버스바 조립체 간의 간섭을 회피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ference between the electrode tab and the busbar assembly between battery cell seats of the preassembled assembly structure can be avoi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조립 구조체의 배터리 셀 연결 간 회전 범위 제한을 통해 전극 탭 파손 등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roblems such as electrode tab breakage can be reduced by limiting the rotation range between battery cell connections of the assembly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조립 구조체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버스바 조립체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조립 구조체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에 조립되는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조립 구조체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에 조립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assembly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ated on a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s
2 is a view showing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n aspect of a bus bar assembly of a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 side view of the assembled structure of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tacked assembly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assembled to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stacked assembly structure of the battery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a user's or operator's intention or practic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merely a means for efficient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조립 구조체(20)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에 안착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상호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이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면에서 전극 탭(110)이 인출된 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상면 커버부(220) 및 버스바 조립체(210)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210), 상면 커버부(220) 및 센싱 모듈(230)은 하나의 조립 구조체(20)로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즉, 버스바 조립체(210), 상면 커버부(220) 및 센싱 모듈(230) 각각이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과 체결되는 과정에서 각각이 별개의 공정으로 연결되는 것이 아닌, 버스바 조립체(210), 상면 커버부(220) 및 센싱 모듈(230)이 하나의 조립 구조체(20)로 가조립된 상태에서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과 체결 및 연결될 수 있다.That is, each of the
위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버스바 조립체(210), 상면 커버부(220) 및 센싱 모듈(230)이 기 조립되어 일체형의 조립 구조체(20)를 형성한 후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과 조립되고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바, 종래에 최종 조립 라인에서 소요되었던 각각의 부품 조립에 대한 시간 및 인력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버스바 조립체(210), 상면 커버부(220) 및 센싱 모듈(230) 각각의 조립 시 조립 정위치에 필요하였던 추가 지그(jig) 등을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싱 모듈(230)과 버스바 조립체(210)의 연결이 버스바 조립체(210)와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간의 결합 전에 이루어지는 바, 센싱 모듈(230) 용접 상태에 대한 확인이 즉시 가능하게 되어 센싱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After the
또한, 상술한 적층면은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이 상호 적층됨으로써 형성된 것으로,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외면 중 적층 방향에 수직한 평면의 둘레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상면 커버부(220)는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외면 중 배터리 셀(10) 적층 방향에 수직한 둘레 면에서 전극 탭(110)이 인출되지 않은 측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도면상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stacked surface is formed by stacking a plurality of
또한, 상술한 센싱 모듈(230)은 버스바 조립체(210)에 연결되어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온도 또는 전압 등의 상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센싱 모듈(230)의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배터리 셀(10)은 외장재(미도시 됨)에 의해 감싸진 전극 조립체(미도시 됨) 부분인 셀 바디(120)와 셀 바디(120)로부터 인출된 전극 탭(110)을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 셀(10)에서 전극 탭(11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셀 바디(120)로 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배터리 셀(10)은 전극 탭(110)이 셀 바디(120)의 양측으로 인출된 양 방향 배터리 셀(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간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버스바 조립체(210)는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양측에 배치되어 양측의 전극 탭(110)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the
또한, 상술한 상면 커버부(220)는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적층면에서 전극 탭(110)이 돌출되지 않은 측면 중 일측(도면상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상측)에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일 측면인 안착면(130)을 감싸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술한 상면 커버부(220) 및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양측의 버스바 조립체(210)는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셀(10)은 2개의 전극 탭(110)이 일측에서 인출된 일 방향 배터리 셀(10)로 형성될 수도 있고, 버스바 조립체(210)는 상면 커버부(220)와 기 조립된 상태로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면 커버부(220) 및 버스바 조립체(210)가 하나의 조립 구조체(20)로 형성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에 체결되는 경우, 조립 구조체(20)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안착면(13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전극 탭(110)과 버스바 조립체(210) 간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버스바 조립체(210)는 상면 커버부(220)의 말단부에 말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체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버스바 조립체(210)는 상면 커버부(220)의 말단에서 소정 각도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바, 조립 구조체(20)의 안착면(130) 안착 간 양측의 버스바 조립체(210)는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외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되어 전개될 수 있고, 조립 구조체(20) 안착 간 전극 탭(110)과 버스바 조립체(210) 간의 간섭을 회피 할 수 있다. That is, the
구체적으로, 상술한 상면 커버부(220)의 말단부에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적층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힌지축(221)이 형성될 수 있고, 버스바 조립체(210)의 상면 커버부(220) 측 일단에는 상술한 힌지축(221)에 힌지(hinge)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힌지 체결부(212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힌지 체결부(2121)의 힌지축(221) 체결을 통해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210)는 상면 커버부(220)의 힌지축(221)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될 수 있다.Specifically, a
한편, 상술한 힌지 체결부(2121)는 힌지축(221)에 후크(hook) 체결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힌지축(221)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는 방식이면 충분하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나아가, 상술한 버스바 조립체(210)는 각각이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전극 탭(110)과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하고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버스바(211) 및 복수 개의 버스바(211)를 고정 지지하며 복수 개의 버스바(211) 상호 간의 통전(通電) 가능성을 차단하는 절연 지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above-described
구체적으로, 상술한 복수 개의 버스바(211) 각각은 플레이트(plat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동일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되어 복수 개의 버스바(211) 각각에 접촉된 전극 탭(110)과의 용접 등의 연결을 통해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상호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나아가, 복수 개의 버스바(211) 상호 간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단락(short)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복수 개의 버스바(211) 상호 간의 통전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도록 프레임(frame) 형상으로 형성된 절연 지지부(212)가 복수 개의 버스바(211) 상호 간의 이격 배치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plurality of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절연 지지부(212)는 복수 개의 버스바(211) 중 상호 인접한 버스바(211) 사이마다 배치되어 상호 대면하는 버스바(211) 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세로 프레임(212a) 및 버스바(211) 둘레 면 중 상기 버스바(211) 측부를 제외한 버스바(211) 상하 측부를 감싸도록 형성되고 복수 개의 세로 프레임(212a)을 연결하는 가로 프레임(212b)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세로 프레임(212a) 및 가로 프레임은(212b)은 일체로 형성되어 일체형의 절연 지지부(212)를 형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bove-described
한편, 상술한 센싱 모듈(230)은 각각이 복수 개의 버스바(211) 각각에 연결된 복수 개의 센싱부재(2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복수 개의 센싱부재(231) 각각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양측의 버스바 조립체(210)에 배치된 복수 개의 버스바(211)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센싱 모듈(230)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양측에 위치된 센싱부재(231) 상호 간을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재(2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상술한 연결부재(232)는 상술한 상면 커버부(220)상에 위치되어 센싱 모듈(230)과 상면 커버부(220)는 일체의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연결부재(232)는 상면 커버부(220) 상에 매설된 와이어(wire)로 형성될 수 있고, 연결부재(232)를 통해 상면 커버부(220) 양측으로 돌출된 센싱부재(231) 각각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양측의 버스바(211) 각각에 접촉 및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한편, 연결부재(232)는 와이어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면 커버부(220) 상에 배치된 연성회로기판(FPC) 등으로 형성되어 양측의 버스바 조립체(210) 각각에 배치된 센싱부재(231)들을 상호 연결할 수도 있다. 이 때, 센싱부재(231) 각각은 접촉된 버스바(211)의 전압 및 온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할 수 있고, 센싱된 상태 정보는 연결부재(232)를 통해 외부의 센싱 회로기판(미도시 됨)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 Meanwhile, the
뿐만 아니라, 상술한 센싱 모듈(230)은 상면 커버부(220) 상에 형성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안착면(130)의 적어도 일부에 접촉 가능한 온도센서(233)를 더 포함 수 있고, 온도센서(233)를 통해 센싱부재(231)가 부착된 배터리 셀(10)의 전극 탭(110) 측 온도뿐만 아니라, 셀 바디(120) 중 상술한 안착면(130)에 대응되는 위치의 온도 역시 센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above-described
한편, 상술한 온도센서(233) 역시 연결부재(232)를 통해 복수 개의 센싱부재(231)와 연결될 수 있고, 온도센서(233)에서 센싱된 온도 정보 역시 외부의 연결부재(232)를 통해 외부의 센싱 회로기판 등으로 전달될 수 있다.Meanwhile, the above-described
한편, 상술한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중 하나 이상의 인접한 배터리 셀(10) 사이마다 면압패드(30) 및 난연패드(40) 중 선택된 어느 하나가 개재될 수 있다. 상술한 면압패드(30)는 스웰링(swelling)에 의해 배터리 셀(10)이 부푸는 것을 완충할 수 있고, 외부 충격 및 진동이 배터리 셀(1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난연패드(40)는 불에 타지 않는 난연(難燃)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배터리 셀(10) 과열로 인한 화재나 폭발 등의 사고에도 주변 배터리 셀(10)로 화재가 전이되거나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Meanwhile, any one of the
한편, 도면상 면압패드(30) 또는 난연패드(40)가 인접한 배터리 셀(10) 3개 묶음 사이마다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배터리 셀(10) 1개 또는 2개 묶음 사이마다 배치되는 등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용이하게 변동될 수 있다. 또한, 서로 마주보는 인접한 배터리 셀(10) 중 면압패드(30) 또는 난연패드(40)가 개재되지 않은 배터리 셀(10) 간은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와 같은 접착부재에 의해 상호 접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체 배터리 모듈(1)의 에너지 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drawing,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버스바 조립체(210)의 일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3 is a view showing one side of the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버스바 조립체(210)는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측 측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회전 스토퍼(21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회전 스토퍼(2122)는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의 외면 적어도 일부와 접촉되어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과 버스바 조립체(210) 간의 위치 관계를 지지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the
구체적으로, 회전 스토퍼(2122)는 상술한 절연 지지부(212)의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측 측면에서 배터리 셀(10) 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고, 복수 개로 구비되어 소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복수 개의 회전 스토퍼(2122)는 적층된 복수 개의 셀 바디(120)의 전극 탭(110)이 인출된 측 측면에 접촉 위치될 수 있고, 회전 스토퍼(2122)의 접촉 지지를 통해 버스바 조립체(210)의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측으로의 회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조립 구조체(20)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에 조립되는 모습을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의 조립 구조체(20)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에 조립된 상태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이다.FIG. 4A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도 4a 및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은 버스바 조립체(210), 상면 커버부(220) 및 센싱 모듈(230)이 일체화되어 기 조립된 조립 구조체(20)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상에 안착되어 체결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립 구조체(20)가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안착면(130)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버스바 조립체(210)와 전극 탭(110) 간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버스바 조립체(210)는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외측으로 소정 각도 벌어져 전개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s 4a and 4b, the
조립 구조체(20) 안착 후,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양측의 버스바 조립체(210)는 상면 커버부(220)의 말단에 형성된 힌지축(221)을 기준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측으로 소정 각도 회전될 수 있다. 이 때, 버스바 조립체(210)의 절연 지지부(212)상에 형성된 회전 스토퍼(2122)가 셀 바디(120)의 전극 탭(110)이 인출되는 측면 상에 접촉됨으로써 버스바 조립체(210)의 회동은 제한될 수 있고, 전극 탭(110)과 버스바 조립체(210)의 버스바(211) 상호 간은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회전 스토퍼(2122)를 통해 버스바 조립체(210)의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10) 측으로의 회동 범위가 제한되는 바, 버스바 조립체(210)의 과회동에 의한 전극 탭(110) 파손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After the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embodiments, but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not only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1 : 배터리 모듈
10 : 배터리 셀
110 : 전극 탭
120 : 셀 바디
130 : 안착면
20 : 조립 구조체
210 ; 버스바 조립체
211 : 버스바
212 : 절연 지지부
212a : 세로 프레임
212b : 가로 프레임
2121 : 힌지 체결부
2122 : 회전 스토퍼
220 : 상면 커버부
221 : 힌지축
230 : 센싱 모듈
231 : 센싱부재
232 : 연결부재
233 : 온도센서
30 : 면압패드
40 : 난연패드1: Battery module
10: battery cell
110: electrode tab
120: cell body
130: seating surface
20: assembly structure
210; Busbar assembly
211: bus bar
212: insulating support
212a: Vertical frame
212b: Horizontal frame
2121: hinge fastener
2122: rotating stopper
220: top cover
221: hinge axis
230: sensing module
231: Sensing member
232: connecting member
233: temperature sensor
30: surface pressure pad
40: flame retardant pad
Claims (9)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전극 탭이 인출된 측부에 배치된 버스바 조립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이 적층되어 형성된 적층면에서 상기 전극 탭이 인출된 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부 중 적어도 일측에 배치된 상면 커버부; 및
상기 버스바 조립체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상태 정보를 센싱하는 센싱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 상기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센싱 모듈은 하나의 조립 구조체로 형성된, 배터리 모듈.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stacked together;
A bus bar assembly disposed on a side where the electrode tab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are drawn out;
An upper surface cover portion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remaining portions except for the side on which the electrode tab is pulled out from the laminated surface formed by stacking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It includes; a sensing module connected to the bus bar assembly to sense the status information of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us bar assembly, the top cover portion and the sensing module are formed of one assembly structure, a battery module.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상면 커버부의 말단부에 상기 말단부를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assembly,
A battery module, which is fastened to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cover portion to be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based on the end portion.
상기 상면 커버부는 상기 말단부에 상기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적층 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된 힌지축을 포함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일단은 상기 힌지축에 상기 힌지축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upper cover portion includes a hinge axis formed parallel to the plurality of battery cell stacking directions at the distal end,
One end of the bus bar assembly is fastened rotatably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to the hinge axis, the battery module.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측 측면 적어도 일부에 형성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외면 적어도 일부와 접촉 가능한 회전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 스토퍼는 상기 버스바 조립체의 상기 배터리 셀 측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bus bar assembly,
It further includes a rotation stopper formed on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and contactable with at least a portion of an outer surface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rotating stopper limits the rotation range of the busbar assembly to the battery cell side, the battery module.
상기 전극 탭은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양측에 위치되고,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 양측에 배치된,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ctrode tab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The bus bar assembly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a battery module.
상기 버스바 조립체는,
상기 전극 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호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버스바; 및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를 고정 지지하며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상호 간의 통전(通電)을 차단하는 절연 지지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us bar assembly,
A plurality of bus bar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lectrode tabs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Including ,; a support module for fixing the plurality of bus bars, and an insulating support for blocking electric current between each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상기 센싱 모듈은 각각이 상기 복수 개의 버스바 각각에 연결된 복수 개의 센싱부재;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sensing module includes a plurality of sensing members each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bus bars; including, a battery module.
상기 상면 커버부는,
상기 적층면에서 상기 전극 탭이 인출된 측을 제외한 나머지 측부 중 일측에 안착되어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의 일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된, 배터리 모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p cover portion,
The battery module is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stacked plurality of battery cells by being seated on one side of the rest of the sides except for the side where the electrode tab is drawn out from the stacked surface.
상기 버스바 조립체, 상기 상면 커버부 및 상기 센싱 모듈로 형성된 상기 조립 구조체는 가조립된 상태로 상기 적층된 복수 개의 배터리 셀에 조립 가능한, 배터리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y structure formed of the bus bar assembly, the top cover portion, and the sensing module is assembled to the plurality of stacked battery cells in a pre-assembled stat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797A KR102647282B1 (en) | 2018-09-12 | 2018-09-12 | Battery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8797A KR102647282B1 (en) | 2018-09-12 | 2018-09-12 | Battery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0225A true KR20200030225A (en) | 2020-03-20 |
KR102647282B1 KR102647282B1 (en) | 2024-03-12 |
Family
ID=69958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8797A KR102647282B1 (en) | 2018-09-12 | 2018-09-12 | Battery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647282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56631A1 (en) * | 2020-06-17 | 2021-12-2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employing weldless structure as structure for connecting busbar and voltage sensing member |
WO2022114529A1 (en) * | 2020-11-30 | 2022-06-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WO2022211250A1 (en) * | 2021-03-29 | 2022-10-0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0078A (en) | 2014-03-24 | 2015-10-02 |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 Busbar |
WO2018124494A2 (en) * | 2016-12-27 | 2018-07-05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Bus bar assembly and frame assembly |
KR20180078777A (en) * | 2016-12-30 | 2018-07-1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Hinge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
-
2018
- 2018-09-12 KR KR1020180108797A patent/KR10264728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110078A (en) | 2014-03-24 | 2015-10-02 | 에스케이배터리시스템즈 주식회사 | Busbar |
WO2018124494A2 (en) * | 2016-12-27 | 2018-07-05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Bus bar assembly and frame assembly |
KR20180078777A (en) * | 2016-12-30 | 2018-07-10 |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 Hinge structure of battery cell modul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1256631A1 (en) * | 2020-06-17 | 2021-12-23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employing weldless structure as structure for connecting busbar and voltage sensing member |
WO2022114529A1 (en) * | 2020-11-30 | 2022-06-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WO2022211250A1 (en) * | 2021-03-29 | 2022-10-0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647282B1 (en) | 2024-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027635B2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ntaining the battery module and automobile including the battery pack | |
CN110114905B (en) | Flexible circuit board and bracket assembly comprising same | |
KR101252413B1 (en) |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battery module | |
JP5743356B2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KR102379227B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comprising the battery module and vehicle comprising the battery pack | |
CN106876621B (en) | Rechargeable battery module | |
EP2955772B1 (en) | Battery pack | |
US20190291558A1 (en) | Battery pack | |
EP3828983A1 (en) | Battery module utilizing space-saving icb assembly | |
KR20200030225A (en) | Battery Module | |
KR102503536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EP3154108B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same | |
KR20190053124A (en) | Battery pack of one body busbar for energy storage system | |
WO2015133760A1 (en) | Battery module having voltage sensing member having receptacle structure | |
CN103972461A (en) | Rechargeable battery pack | |
KR20120108260A (en) | Battery pack of improved safety | |
CN209766537U (en) | Battery module and electric device | |
KR20170032098A (en) | Battery module and protecting structure applied for the same | |
WO2017052104A1 (en) | Battery module, battery pack includ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asing for battery module | |
KR20210060243A (en) | Battery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210069424A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 |
JP2013164975A (en) | Power storage device | |
EP3772124A1 (en) | Battery module and battery pack comprising same | |
KR102108648B1 (en) | Battery pack for energy storage system haveing terminal retainer | |
KR102364930B1 (en) | Battery Pack Comprising cover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