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0099A -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 Google Patents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0099A
KR20200030099A KR1020207004450A KR20207004450A KR20200030099A KR 20200030099 A KR20200030099 A KR 20200030099A KR 1020207004450 A KR1020207004450 A KR 1020207004450A KR 20207004450 A KR20207004450 A KR 20207004450A KR 20200030099 A KR20200030099 A KR 202000300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rational amplifier
resistor
switching circuit
status indicator
indicat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5909B1 (ko
Inventor
용 양
팡윈 리우
Original Assignee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전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세미컨덕터 디스플레이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30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0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4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95Linear reg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02J7/0049Detection of fully charged cond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로서, 상기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제1 연산 증폭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에는 제1 기준 전압이 인가되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1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저항을 경유하여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3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컬렉터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접지되며, 발광 색상은 상이하다.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Description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본 발명은 충전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관한 것이다.
납 축전지는 주로 전기 자동차에 사용되며, 납 축전지에 합리적이고 신속하며 효율적으로 충전하기 위해, 납 축전지용 충전기는 흔히 "3단계"로 충전하며, 즉 정전류, 정전압, 세류 충전의 세 단계인, 일정한 전류로 충전하는 제1 단계; 전압이 사전 설정값에 도달하면 정전압으로 전환하여 충전하고, 이때 전류는 점차 작아지는 제2 단계; 축전지가 거의 완전히 충전된 상태에서 작은 전류로 계속하여 충전을 유지하는 세류 충전 방식의 제3 단계;로 충전한다.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보다 잘 관찰하기 위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설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나타내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제공하며,
상기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제1 연산 증폭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에는 제1 기준 전압이 인가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음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제1 샘플링 전압을 획득하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1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저항을 경유하여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3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컬렉터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접지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상이하다.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녹색이고,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적색이다.
제2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류 루프 회로를 포함하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3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4 저항 및 제1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더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된다.
제3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압 루프 회로를 포함하며,
제3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5 저항 및 제2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2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된다.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양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획득하고; 상기 양극 단자는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되며,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연결점에서 획득한다.
제1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은 제8 저항의 일단 및 제9 저항의 일단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8 저항의 타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고, 상기 제9 저항의 타단은 접지된다.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제10 저항의 일단 및 제11 저항의 일단에 각각 더 연결되며, 상기 제10 저항의 타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고, 상기 제11 저항의 타단은 접지된다.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정전압 충전 전압을 설정한다.
상기 제8 저항 및 제9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를 설정한다.
본 발명은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더 제공하며, 상기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제1 연산 증폭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에는 제1 기준 전압이 인가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음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제1 샘플링 전압을 획득하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1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저항을 경유하여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3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컬렉터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접지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상이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녹색이고,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적색이며;
제2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류 루프 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3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4 저항 및 제1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더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되며;
제3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압 루프 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3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5 저항 및 제2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2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되며;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양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획득하고; 상기 양극 단자는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되며,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연결점에서 획득한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고, 상이한 색상의 LED 램프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비교적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기술 방안 및 기타 유익한 효과를 명백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비교적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회로 개략도이며,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보다 잘 관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납 축전지의 충전 회로에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추가하였으며, 충전 회로에서 각 소자의 규격 및 전류 전압 등 핵심 파라미터는 도 1의 표기를 참조할 수 있다. 외부 전원은 변압기(T1)를 경유하여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입력되고, 납 축전지는 양극 단자(V+)와 음극 단자(V-)의 사이에 연결되어 충전되며, 양극 단자(V+) 및 음극 단자(V-)의 이전에 공통 모드 초크(LF1) 필터가 더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주요하게 제1 연산 증폭기(IC1), PNP 형 제1 트랜지스터(Q1), NPN형 제2 트랜지스터(Q2)를 포함하며, 제1 연산 증폭기(IC1)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Ub)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에는 제1 기준 전압(Uc)이 인가되며; PNP 형 제1 트랜지스터(Q1)의 베이스는 제1 저항(R1)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IC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저항(R2)을 경유하여 제2 기준 전압(Ue)이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녹색)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NPN형 제2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는 제3 저항(R3)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IC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적색)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2 기준 전압(Ue)에 연결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 및 제2 발광 다이오드(LED2)의 캐소드는 접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연산 증폭기(IC1)의 핀(4, 11)에는 고전위 및 저전위가 각각 인가되어 보호회로로 작용하며, 일단은 외부 전원에서 변압기(T1)에 의해 처리된 후의 고전위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다. 제1 샘플링 전압(Ub)은 음극 단자(V-)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획득한다.
제2 연산 증폭기(IC2), 제1 커패시터(C1), 제4 저항(R4), 제1 다이오드(D1) 등으로 구성된 전류 루프 회로는 주요하게 제2 연산 증폭기(IC2)를 포함하며, 제2 연산 증폭기(IC2)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3 기준 전압(Ua)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4 저항(R4) 및 제1 커패시터(C1)를 경유하여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Ub)이 더 인가되며, 출력단은 제1 다이오드(D1)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D1)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샘플링 전압(Ub)은 음극 단자(V-)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획득한다.
제3 연산 증폭기(IC3), 제5 저항(R5), 제2 커패시터(C2), 제2 다이오드(D2) 등으로 구성된 전압 루프 회로는 주요하게 제3 연산 증폭기(IC3)를 포함하며, 제3 연산 증폭기(IC3)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2 기준 전압(Ue)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5 저항(R5) 및 제2 커패시터(C2)를 경유하여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2 샘플링 전압(Ud)가 더 인가되며, 출력단은 제2 다이오드(D2)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에 고전위가 인가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샘플링 전압(Ud)은 양극 단자(V+)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얻고, 양극 단자(V+)는 제6 저항(R6) 및 제7 저항(R7)을 경유하여 접지되며, 제2 샘플링 전압(Ud)은 제6 저항(R6) 및 제7 저항(R7)의 연결점에서 얻고; 제2 다이오드(D2)의 애노드는 발광 다이오드(U2)를 경유하여 외부 전원에서 변압기(T1)에 의해 처리된 후의 고전위에 연결된다.
제8 저항(R8)의 양단은 제2 기준 전압(Ue) 및 제1 기준 전압(Uc)에 각각 연결되며, 제9 저항(R9)의 일단은 제1 기준 전압(Uc)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다. 제10 저항(R10)의 양단은 제2 기준 전압(Ue) 및 제3 기준 전압(Ua)에 각각 연결되며, 제11 저항(R11)의 일단은 제3 기준 전압(Ua)에 연결되고 타단은 접지된다.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동작 원리는 다음과 같으며, 납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3단계"로 충전하며, 즉 정전류, 정전압, 세류(정전압)의 세 단계; 로 충전한다.
1) 정전류 충전 단계: 부하단의 전압이 비교적 낮을 경우, 충전시 전원은 비교적 큰 전류(I0)로 배터리를 충전하며, 이때 제2 연산 증폭기(IC2)의 반전 입력단의 제1 샘플링 전압(Ub)은 제3 기준 전압(Ua)보다 크고, 제2 연산 증폭기(IC2)는 저전위를 출력하며, 제1 다이오드(D1)는 도통되고, 전류 루프(전압 루프, 이하 동일)가 하나의 폐루프 시스템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전원은 제2 연산 증폭기(IC2)를 피드백으로 하여 정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때 제1 샘플링 전압(Ub) > 제1 기준 전압(Uc)이고, 제1 연산 증폭기(IC1)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며, 제2 트랜지스터(Q2)는 도통되고, 제1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지 않으며, 이때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전원은 정전류 충전 단계로 진입한다.
2) 정전압 충전 단계: 정전류 충전이 계속되면서, 배터리의 전압은 점차 높아지며, 전원에서 출력하는 전압이 V0보다 클 경우, 제2 샘플링 전압(Ud) > 제2 기준 전압(Ue)이고, 제3 연산 증폭기(IC3)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2 다이오드(D2)는 도통되며, 전원은 제3 연산 증폭기(IC3)를 피드백으로 하여 정전압으로 배터리를 충전한다.
3) 세류 충전 단계: 일정 시간 동안 충전한 후, 전원과 배터리 사이의 전압 강하는 점차 줄어들고, 배터리의 충전 전류도 줄어들기 시작하며, 제1 샘플링 전압(Ub)은 낮아지고, 전류 루프는 동작을 멈춘다. 충전 전류가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I1)보다 클 경우, 제1 기준 전압(Uc) > 제1 샘플링 전압(Ub)이고, 제1 연산 증폭기(IC1)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2 트랜지스터(Q2)는 턴 오프되고, 제1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전원은 V0으로 시작하여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세류 충전을 진행한다.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0 저항(R10), 제11 저항(R11)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정전류 충전 전류(I0)를 설정하고; 제8 저항(R8), 제9 저항(R9)을 통해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I1)를 설정하며; 제7 저항(R7), 제6 저항(R6)을 통해 정전압 충전 전압(V0)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제공하여, 상이한 색상의 LED 표시등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실용적이어서, 기타 회로에도 확대 적용할 수 있다.
아래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회로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교적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0 저항(R10) = 100K, 제11 저항(R11) = 1.63K; 제8 저항(R8) = 100K, 제9 저항(R9) = 245Ω; 제6 저항(R6) = 86K, 제7 저항(R7) = 10K이다. 계산에 의해 제3 기준 전압(Ua) = 0.04V, 제1 기준 전압(Uc) = 0.006V, 제2 기준 전압(Ue) = 2.5V, 정전류 충전 전류(I0) = 2A,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I1) = 300mA, 정전압 충전 전압(V0) = 24V임을 알 수 있다.
1) 정전류 충전 단계: 충전을 시작할 때 배터리의 전압이 비교적 낮기 때문에 전원은 배터리에 비교적 큰 충전 전류를 인가하며, 충전 전류(I0) ≥ 2A일 경우, 이때 제1 샘플링 전압(Ub) ≥ 0.04V이고, 제2 연산 증폭기(IC2)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1 다이오드(D1)는 도통되고, 전원은 전류 루프의 작용하에, 제2 연산 증폭기(IC2)를 음의 피드백으로 하여 배터리를 정전류 충전하며, 충전 전류(I0) = 2A이고, 제1 샘플링 전압(Ub) = 0.04V이다. 제1 기준 전압(Uc) = 0.006V이므로, 제1 샘플링 전압(Ub) > 제1 기준 전압(Uc)이며, 제1 연산 증폭기(IC1)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고, 제2 트랜지스터(Q2)는 도통되며, 이때 제2 발광 다이오드(LED2)는 적색으로 점등되고, 전원은 정전류 충전 단계에 진입한다.
2) 정전압 충전 단계: 충전이 계속되면서, 배터리의 전압은 점차 높아지며, 배터리 전압 ≥24V일 경우, 이때 제2 샘플링 전압(Ud) ≥ 2.5V이며, 다시 말해 이때 제2 샘플링 전압(Ud) > 제2 기준 전압(Ue)이고, 제3 연산 증폭기(IC3)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며, 제2 다이오드(D2)는 도통되고, 전원은 정전압 충전 단계에 진입하기 시작하며, 정전압 충전 전압(V0) = 24V이다. 충전 전류가 감소하면(2A를 초과하지 않음), 제1 샘플링 전압(Ub) < 0.04V이고, 즉 제1 샘플링 전압(Ub) < 제3 기준 전압(Ua)이며, 제2 연산 증폭기(IC2)는 하이 레벨을 출력하고, 제1 다이오드(D1)는 도통되지 않으며, 정전류 루프는 동작을 멈춘다.
3) 세류 충전 단계: 정전압 충전 단계에서, 충전 전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며, 충전 전류가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I1) 300mA보다 작을 경우, 제1 샘플링 전압(Ub) < 0.006V이고, 즉 제1 샘플링 전압(Ub) < 제1 기준 전압(Uc)이다. 제1 연산 증폭기(IC1)는 로우 레벨을 출력하고, 제1 트랜지스터(Q1)는 도통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LED1)는 녹색으로 점등되고, 전원은 V0 = 24V로 세류 충전하며, 충전 전류는 계속하여 줄어들다가, 배터리의 전압과 충전기의 전압이 기본적으로 동일해지면 충전을 멈춘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이용하여 충전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회로에 의해, 납 축전지 충전기의 지능형 설계를 실현할 수 있고, 배터리의 지능형 설계가 가능하며, 간단하고 실용적이며, 생산 비용이 저렴하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본 발명의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용이하게 관찰할 수 있으며, 상이한 색상의 LED 램프에 의해 배터리의 충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간단하고 실용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기술방안과 기술구상에 근거하여, 기타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형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모든 변경 및 변형은 모두 본 발명 청구범위의 보호범위에 속해야 한다.

Claims (14)

  1.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로서,
    상기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제1 연산 증폭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에는 제1 기준 전압이 인가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음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제1 샘플링 전압을 획득하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1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저항을 경유하여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3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컬렉터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접지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상이한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녹색이고,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적색인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제2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류 루프 회로로서,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3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4 저항 및 제1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더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되는 전류 루프 회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제3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압 루프 회로로서,
    제3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5 저항 및 제2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2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되는 전압 루프 회로를 더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양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획득하고; 상기 양극 단자는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되며,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연결점에서 획득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은 제8 저항의 일단 및 제9 저항의 일단에 각각 더 연결되며, 상기 제8 저항의 타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고, 상기 제9 저항의 타단은 접지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제10 저항의 일단 및 제11 저항의 일단에 각각 더 연결되며, 상기 제10 저항의 타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고, 상기 제11 저항의 타단은 접지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정전압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8 저항 및 제9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를 설정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10.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를 포함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로서,
    상기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는 제1 연산 증폭기, 제1 트랜지스터 및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에는 제1 기준 전압이 인가되며; 제1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에 연결되어 배터리의 음극 단자를 연결하며,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음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제1 샘플링 전압을 획득하며;
    제1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1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저항을 경유하여 제2 기준 전압에 연결되며, 컬렉터는 제1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제2 트랜지스터의 베이스는 제3 저항을 경유하여 제1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이미터는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애노드에 연결되며, 컬렉터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캐소드는 접지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 및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상이하며;
    상기 제1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녹색이고, 제2 발광 다이오드의 발광 색상은 적색이며;
    제2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류 루프 회로로서,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3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4 저항 및 제1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1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2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1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더 연결되고, 제1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되는 전류 루프 회로를 더 포함하며;
    제3 연산 증폭기를 포함하는 전압 루프 회로로서,
    제3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반전 입력단은 제5 저항 및 제2 커패시터를 경유하여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에 연결되며, 반전 입력단에는 제2 샘플링 전압이 더 인가되며, 제3 연산 증폭기의 출력단은 제2 다이오드의 캐소드에 연결되고, 제2 다이오드의 애노드에는 고전위가 인가되는 전압 루프 회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양극 단자의 전위를 통하여 샘플링하여 획득하고; 상기 양극 단자는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되며, 상기 제2 샘플링 전압은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연결점에서 획득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산 증폭기의 반전 입력단은 제8 저항의 일단 및 제9 저항의 일단에 각각 더 연결되며, 상기 제8 저항의 타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고, 상기 제9 저항의 타단은 접지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산 증폭기의 비반전 입력단은 제10 저항의 일단 및 제11 저항의 일단에 각각 더 연결되며, 상기 제10 저항의 타단에는 제2 기준 전압이 연결되고, 상기 제11 저항의 타단은 접지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6 저항 및 제7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정전압 충전 전압을 설정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8 저항 및 제9 저항의 저항값을 설정하여 상기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의 상태 표시등 전환 전류를 설정하는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KR1020207004450A 2017-07-18 2017-12-06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KR102365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10586763.2 2017-07-18
CN201710586763.2A CN107332308A (zh) 2017-07-18 2017-07-18 充电转灯电路
PCT/CN2017/114868 WO2019015225A1 (zh) 2017-07-18 2017-12-06 充电转灯电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0099A true KR20200030099A (ko) 2020-03-19
KR102365909B1 KR102365909B1 (ko) 2022-02-23

Family

ID=60226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4450A KR102365909B1 (ko) 2017-07-18 2017-12-06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333325B2 (ko)
EP (1) EP3657625A4 (ko)
JP (1) JP6870147B2 (ko)
KR (1) KR102365909B1 (ko)
CN (1) CN107332308A (ko)
WO (1) WO20190152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332308A (zh) 2017-07-18 2017-11-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充电转灯电路
CN111404505B (zh) * 2020-04-24 2023-05-26 北京卫星环境工程研究所 一种用于空间低能等离子体探测器的电压放大器装置
CN117498509B (zh) * 2023-12-29 2024-04-09 广州市锐丰音响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音响自动充电电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4491A (ja) * 1996-05-15 1997-11-28 Kokusai Electric Co Ltd 充電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44845A (en) * 1976-10-05 1978-04-22 Suwa Seikosha Kk Electronic watch
US5481177A (en) * 1992-08-18 1996-01-02 Hamley; James P. Electronic charging system
KR100233163B1 (ko) 1996-06-05 1999-12-01 윤종용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CN2699561Y (zh) * 2004-03-17 2005-05-11 毛锦铭 锂电池充电器
CN201063453Y (zh) * 2007-04-26 2008-05-21 南京方驰电源设备有限公司 可提高蓄电池使用寿命的充电器
US8063606B2 (en) * 2007-05-11 2011-11-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Battery charger for a handheld computing device and an external battery
CN201504113U (zh) 2009-09-30 2010-06-09 东莞市盈聚电子有限公司 一种带转换灯的恒压恒流充电电路
CN104079023B (zh) * 2013-03-29 2016-12-28 深圳市海洋王照明工程有限公司 一种充电指示灯控制电路及充电器
CN203674759U (zh) 2013-08-07 2014-06-25 厦门创惟电子科技有限公司 锂电池充电器双色led指示电路
CN105471033B (zh) * 2015-12-21 2018-06-26 南京信息职业技术学院 基于充电曲线的智能充电方法及智能充电系统
CN205385300U (zh) * 2015-12-30 2016-07-13 广州梁氏通讯电器有限公司 一种充电指示电路
CN108270250A (zh) * 2016-12-30 2018-07-10 群光电能科技股份有限公司 充电系统
CN107332308A (zh) 2017-07-18 2017-11-07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充电转灯电路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04491A (ja) * 1996-05-15 1997-11-28 Kokusai Electric Co Ltd 充電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27011A (ja) 2020-08-31
US10333325B2 (en) 2019-06-25
CN107332308A (zh) 2017-11-07
WO2019015225A1 (zh) 2019-01-24
JP6870147B2 (ja) 2021-05-12
KR102365909B1 (ko) 2022-02-23
EP3657625A1 (en) 2020-05-27
US20190027948A1 (en) 2019-01-24
EP3657625A4 (en)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5909B1 (ko) 충전 상태 표시등 전환 회로
CN207588496U (zh) 一种蓝牙耳机充电装置
CN206602383U (zh) 一种充电状态提示电路
CN102710849A (zh) 一种通过闪光灯提示电池电量偏低的移动终端
CN206673631U (zh) 一种电池充电电路
CN104955193A (zh) 一种led灯电路
CN209170013U (zh) 一种同时过充转灯的电池保护电路
CN209730846U (zh) 一种充电电路及电气设备
CN203933116U (zh) 一种手机充电器
CN201382278Y (zh) 便携式太阳能照明装置
CN215498326U (zh) 充电器识别保护电路
EP2637281A2 (en) Charge indicator circuit
CN104836316A (zh) 一种可调节电流的恒流充电电路
CN113395804B (zh) 蓝牙产品的充电指示灯驱动电路
CN104518541A (zh) 一种防反接充电电路及灯具
CN102856937B (zh) 具有充电功能的应急电源
CN210273543U (zh) 充电电路及电子设备
CN211456136U (zh) 一种usb接口电路及智能插座
CN212085883U (zh) 一种电源自动切换电路
CN218449572U (zh) 一种信报箱充电供电电路
CN203722214U (zh) 一种采用可充电电池供电的自关断启动电路
CN214755629U (zh) 应急灯电池过放保护电路
CN212366850U (zh) 充电检测电路
CN113395803B (zh) 蓝牙产品的充电指示灯驱动电路
CN211655807U (zh) 一种便携式vr设备充电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