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3163B1 -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3163B1
KR100233163B1 KR1019960020045A KR19960020045A KR100233163B1 KR 100233163 B1 KR100233163 B1 KR 100233163B1 KR 1019960020045 A KR1019960020045 A KR 1019960020045A KR 19960020045 A KR19960020045 A KR 19960020045A KR 100233163 B1 KR100233163 B1 KR 100233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state
power
charged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6596A (ko
Inventor
김동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200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3163B1/ko
Priority to DE19723263A priority patent/DE19723263A1/de
Priority to SE9702106A priority patent/SE522338C2/sv
Publication of KR98000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31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24Alkaline accumulators
    • H01M10/2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충전을 필요로 하는 장치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인가 여부 및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동작을 하여 상태를 표시하는 회로는 두 개의 별도의 단색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제품자체의 디자인이나 회로실장상의 문제점과, 상기 전원 인가상태 표시램프는 충전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점등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소비전력의 낭비가 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충전장치의 상태표시에 있어서, 전원인가 여부 및 충전되는 상태를 모두 표시 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Description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제1도는 종래의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충전을 필요로 하는 장치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인가 여부 및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충전용 밧데리를 사용하여 동작되는 장치는 일반 AC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여 충전시키는 충전장치를 필요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충전장치는 상기 변환된 DC전원을 인가받은 상태를 표시하는 회로와, 상기 충전되는 장치에 상기 DC전원이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회로가 각기 별도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표시회로에는 각각 자신의 상태를 외부에 표시해 주는 단색의 발광다이오드를 가지고 있다.
그러면 제1도를 통해 상기 종래에 충전장치의 동작상태 표시회로를 좀 더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충전장치에 인가된 AC전원이 DC변환부(4)를 통해 DC전원으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 출력된 DC전원은 로드(20)를 통해 충전접속부(2)에 인가된다. 그런후, 상기 충전접속부(2)에 충전될 장치가 접속될 시 폐루프가 형성되고, 상기 충전될 장치로 상기 DC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충전될 장치가 충전된다. 또한, 상기 전원이 충전접속부(2)로 인가되는 상태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해 상기 로드(20)에 병렬로 상기 전원인가상태 표시회로를 연결하여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른 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상기 전원인가상태 표시회로는 전원의 인가여부에 따라 온/오프되는 발광다이오드(6)와 상기 발광다이오드 보호저항(14)으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DC전원이 상기 충전접속부(2)로 인가될 시 발광다이오드(6)가 “온”되어 DC 전원이 인가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충전접속부(2)에 충전될 장치가 연결되어 폐루프가 형성될 경우 상기 충전될 장치가 충전되는 상태를 알리기 위해 상기 로드(20)에 병렬로 상기 충전상태 표시회로를 연결하여 충전되는 상태를 외부에 표시한다. 이때, 상기 충전상태 표시회로는 충전상태에 따라 온/오프 동작되는 발광다이오드(8)과, 발광다이오드(8)의 보호저항(16)과, 상기 충전될 장치의 접속여부에 따라 온/오프동작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8)로 연결된 로드를 스위칭하는 PNP형 트랜지스터(12)로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상기 충전될 장치가 상기 충전접속부(2)에 접속될 시 다이오드(18)에 걸리는 전위차에 위해 상기 트랜지스터(12)가 “온”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8)를 “온”시켜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태를 표시하는 회로는 두개의 별도의 단색표시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해야 하기때문에 제품자체의 디자인이나 회로실장상의 문제점과, 상기 전원 인가상태를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가 충전되는 동안에도 계속해서 점등되어 있으므로 불필요한 소비전력의 낭비가 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충전장치의 상태표시에 있어서, 전원인가 여부 및 충전되는 상태를 모두 표시 할 수 있는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C전원이 인가될 시 DC전원으로 변환하는 DC변환부와, 충전될 장치가 접속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충전접속부를 가지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DC변환부로부터의 DC전원출력 여부에 따라 상태를 표시한 후 상기 충전접속부에 충전될 장치가 접속되어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되는 제2도의 블록 구성도를 통해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AC전원이 인가될 시 DC전원으로 변환하는 DC변환부(4)와, 충전될 장치가 접속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충전접속부(2)와, 상기 DC변환부(4)로부터의 DC전원출력 여부에 따라 상태를 표시한 후 상기 충전접속부(2)에 충전될 장치가 접속되어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두가지색깔 표시램프(44)와, 상기 충전접속부(2)의 상태를 체크하여 상기 두가지색깔 표시램프(44)중 전원상태 표시램프를 온/오프시키는 트랜지스터(38)와, 충전시 상기 두가지색깔 표시램프(44)중 충전상태 표시램프를 온/오프시키는 트랜지스터(24)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충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DC변환부(4)로부터 로드(46)에 인가된 DC전압은 다이오드(20)를 통해 충전접속부(2)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인가된 전압은 상기 충전접속부(2)에 충전될 장치를 접속할때의 전압보다 높다.
상기 충전접속부(2)에 인가되는 전압은 저항(32)와 저항(30)에 의해 분배되어 저항(28)을 통해 NPN형인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단이 “하이”상태가 되어 상기 트랜지스터(38)가 턴-온(turn-on)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38)의 컬렉터의 전압이 로우레벨로 떨어져 PNP형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단에 인가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단이 “로우”상태가 되어 트랜지스터(38)가 턴-온(turn-on)된다. 그러므로, 상기 인가되는 DC전압에 의해 루프가 형성되어 두색표시 발광다이오드(44)중 첫번째 색깔(즉 황색)의 발광다이오드를 발광시켜 DC전원이 인가됨을 표시한다. 이때 상기 두색표시 발광다이오드(44)는 두가지의 색깔을 표시하도록 두개의 발광다이오드를 일체형으로 내부에 가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두색표시 발광다이오드(44)의 전단에 저항(42)는 보호용 저항이다.
그런후, 상기 충전접속부(2)를 통해 상기 충전될 장치를 접속하였을 시 상기 충전접속부(2)에 인가되는 전압이 낮아진다. 그러므로, 상기 저항(32)와 저항(30)에 의해 분배되어 트랜지스터(38)의 베이스단에 “로우”레벨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트랜지스터(38)이 턴-오프되어 트랜지스터(40)의 베이스단이 하이레벨의 전압을 인가받게 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40)이 턴-오프된다. 이때, 상기 첫 번째 색깔(즉, 황색)로 발광중이던 발광다이오드를 소등시킨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상기 충전될 장치가 접속되어 충전될때 상기 다이오드(20)에 걸리는 전위차에 의해 상기 트랜지스터(24)가 턴-온된다. 그러므로, 상기 트랜지스터(24)에 연결된 두번째 색깔(즉, 청색)의 발광다이오드를 발광되어 충전중임을 표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불필요한 발광다이오드를 줄여 하나의 일체형으로서 상기 충전상태 및 전원인가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를 제공함으로서, 외형상 충전장치의 디자인을 보다 심플(simple)하게 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를 방지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2)

  1. AC전원이 인가될 시 DC전원으로 변환하는 DC변환부와, 충전될 장치가 접속되어 폐루프를 형성하는 충전접속부를 가지는 충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DC변환부로부터의 DC전원출력 여부에 따라 상태를 표시한 후 상기 충전접속부에 상기 충전될 장치가 접속될 경우 상기 DC전원출력여부에 따른 표시를 중지하고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DC전원출력 여부에 따른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충전될 장치에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두가지 색깔 표시램프와, 상기 DC변환부와 상기 충전접속부로 연결되는 전원라인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DC변환부로부터의 전원출력여부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되는 제1트랜지스터와,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턴온 및 턴오프 동작에 대응하여 턴온 및 턴오프되어 상기 두가지 색깔 램프 중 DC전원출력 여부를 알리는 램프의 온/오프를 제어하는 제2트랜지스터와, 상기 전원라인에 병렬로 연결되며 상기 충전접속부에 상기 충전될 장치가 접속될 시 상기 두가지 색깔램프 중 충전되는 상태를 표시하는 램프를 온시키는 제3트랜지스터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KR1019960020045A 1996-06-05 1996-06-05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KR10023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045A KR100233163B1 (ko) 1996-06-05 1996-06-05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DE19723263A DE19723263A1 (de) 1996-06-05 1997-06-03 Apparat für die Anzeige des Zustands einer Ladevorrichtung
SE9702106A SE522338C2 (sv) 1996-06-05 1997-06-04 Apparat för visning av tillstånd hos ladd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0045A KR100233163B1 (ko) 1996-06-05 1996-06-05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6596A KR980006596A (ko) 1998-03-30
KR100233163B1 true KR100233163B1 (ko) 1999-12-01

Family

ID=19460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045A KR100233163B1 (ko) 1996-06-05 1996-06-05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33163B1 (ko)
DE (1) DE19723263A1 (ko)
SE (1) SE522338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5225A1 (zh) * 2017-07-18 2019-01-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充电转灯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4915A1 (de) * 2009-09-23 2011-04-07 Robert Bosch Gmbh Ladevorrichtung zum Aufladen eines Akkupack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15225A1 (zh) * 2017-07-18 2019-01-24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充电转灯电路
US10333325B2 (en) 2017-07-18 2019-06-25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Charging state indicating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723263A1 (de) 1997-12-18
SE9702106D0 (sv) 1997-06-04
SE522338C2 (sv) 2004-02-03
KR980006596A (ko) 1998-03-30
SE9702106L (sv) 199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3163B1 (ko) 충전장치의 상태를 표시하는 장치
WO2019034148A1 (en) EMERGENCY LIGHTING DEVICE
JP2005123045A (ja) 電球形ledランプ
JP2004103256A (ja) 非常灯
CN2303150Y (zh) 交直流多功能强光灯
CN217591149U (zh) 具有电池保护功能的led驱动电路及对应的补妆镜
CN217335969U (zh) 一种led驱动电路
CN220673970U (zh) 根据输出电压并利用单个端口控制指示灯的电路
KR200272168Y1 (ko) 비상등
JP2001176681A (ja) 照明装置
CN210274633U (zh) 一种视力保护照明灯断电应急电路
TWI474760B (zh) 發光二極體燈具
CN219960877U (zh) 一种手电筒驱动电路
CN219107711U (zh) 露营灯
IT1275650B1 (it) Sorgente di corrente costante
JPS631568B2 (ko)
KR940001179Y1 (ko) 무선인터폰회로
KR0114905Y1 (ko) 소화전 표시램프(lamp) 회로
JPS6226972Y2 (ko)
JPS5828454Y2 (ja) 電源表示回路
KR200234322Y1 (ko) 소형밧데리용 충전기
JP3100721U (ja) ナイトライト
KR0128440B1 (ko) 교류/직류겸용 시한장입기
CN111526640A (zh) 一种led驱动电路
CN116685019A (zh) 根据输出电压并利用单个端口控制指示灯的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8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