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326A -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326A
KR20200029326A KR1020190013052A KR20190013052A KR20200029326A KR 20200029326 A KR20200029326 A KR 20200029326A KR 1020190013052 A KR1020190013052 A KR 1020190013052A KR 20190013052 A KR20190013052 A KR 20190013052A KR 20200029326 A KR20200029326 A KR 2020002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insulating film
disposed
interlayer insulating
transis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3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김대원
이동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6/520,730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03216B2/en
Priority to CN201910827503.9A priority patent/CN110890372A/zh
Publication of KR2020002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326A/ko
Priority to US17/137,684 priority patent/US1162641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7/10844
    • H01L27/10897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50Peripheral circuit region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한다. 이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을 덮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어 영역을 가지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층간절연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2 기판, 상기 제 1 접착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코어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들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그 내부에 다수의 회로 영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메모리 기능을 하는 셀 어레이 영역과 이를 구동하고 데이터 입출력하는 회로들이 형성된 주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각 영역들에 배치되는 소자들에 요구되는 주요 전기적 특성들은 영역별로 다를 수 있다. 한편,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고집적화되면서 제한된 칩 영역에 더 많은 회로들을 형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폼 팩터(form factor)를 줄이는 동시에 각 영역별로 소자들을 최적화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향상된 신뢰성을 가지며 고집적화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 영역별로 공정을 최적화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을 덮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어 영역을 가지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층간절연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2 기판, 상기 제 1 접착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코어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어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기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을 덮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직 영역을 가지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층간절연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2 기판, 상기 제 1 접착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로직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들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은, 칩 영역들과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을 가지는 제 1 웨이퍼를 제조하는 단계; 제 2 웨이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웨이퍼 상에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웨이퍼 상에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과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이 접하도록 상기 제 1 웨이퍼 상에 상기 제 2 웨이퍼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과 상기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을 접착 절연막으로 바꾸는 단계; 및 상기 제 2 웨이퍼 상에 제 1 트랜지스터들과 제 1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각 회로 영역들의 소자들이 서로 다른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회로 영역에 최적화된 구조/성능을 가지는 소자들을 구현하기 용이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셀 어레이 영역들에 각각 대응되는 코어 영역들이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 상에 배치되어 수평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폼 팩터(form factor)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필요로 하는 소자들을 각각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고 적층 및 연결함으로써 각 영역들 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회로 영역들에서 요구되는 소자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기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웨이퍼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m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의 단면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예를 들면 디램(DRAM)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셀 어레이 영역(1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10)에는 서로 교차하는 워드라인들(WL)과 비트라인들(B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10)의 주변에는 코어 영역(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20)에는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Sub-Word line driver)(22)와 감지 증폭기(Sense Amplifier)(2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20) 주변에는 주변회로 영역(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30)에는 로우 디코더(32)와 컬럼 디코더(3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20)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30)은 통칭하여 로직 영역으로 명명될 수도 있다.
상기 로우 디코더(32)는 로우 어드레스 신호 또는 리프레쉬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상기 컬럼 디코더(34)는 컬럼 어드레스 신호를 디코딩하고 비트라인(BL)에 대한 선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워드 라인 드라이버(22)는 로우 어드레스 신호 또는 리프레쉬 어드레스 신호에 응답하여 특정 워드 라인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감지 증폭기(24)는 선택된 메모리 셀의 셀 캐패시터에 저장된 전하량이 매우 낮기 때문에 바로 디지털 신호로 만들어 외부로 출력시킬 수 없어, 낮은 전하량을 증폭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서로 차례로 적층된 제 1 기판(100), 제 2 기판(200) 및 제 3 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에는 서로 이격된 셀 어레이 영역들(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은 각각 복수개의 서로 교차하는 워드라인들과 비트라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에는 코어 영역들(2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은 각각 제 1 및 제 2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22a, 22b)과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들(24a, 24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코어 영역(20)에서 제 1 및 제 2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22a, 22b)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코어 영역(20)에서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들(24a, 24b)은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22a, 22b)은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에 배치되는 워드라인들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들(24a, 24b)은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에 배치되는 비트라인들의 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 중 하나는 바로 그 위에 배치되는 코어 영역(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10)에 배치되는 비트 라인들의 단부들은 제 1 콘택플러그들(MC1)에 의해 상기 코어 영역(20)의 상기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들(24a, 24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셀 어레이 영역(10)에 배치되는 워드 라인들의 단부들은 제 2 콘택플러그들(MC2)에 의해 상기 코어 영역(20)의 상기 제 1 및 제 2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22a, 2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콘택 플러그들(MC1)의 하부면들의 높이는 상기 제 2 콘택 플러그들(MC2)의 하부면의 높이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 1 콘택 플러그들(MC1)의 하부면들의 높이는 상기 제 2 콘택 플러그들(MC2)의 하부면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에는 로우 디코더들(32), 컬럼 디코더들(34) 및 입출력 단자 영역(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에 각각 포함된 제 1 및 제 2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22a, 22b)은 로우 디코더들(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에 각각 포함된 제 1 및 제 2 감지 증폭기들(24a, 24b)은 컬럼 디코더들(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단자 영역(36)에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입출력 단자들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예시적으로 4개의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이 도시되었으나,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의 개수는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의 개수와 같거나 보다 작을 수 있다.
도 2의 구조를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대하여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는 제 1 기판(100)을 포함한다. 상기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는 반도체 패키지로도 명명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은 반도체 단결정 기판 또는 반도체 에피택시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에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셀 어레이 영역들(10)이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셀 어레이 영역에 배치되는 메모리 셀들의 레이아웃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상기 제 1 기판(100)에는 소자분리막(102)이 배치되어 활성 영역들(AR)을 정의할 수 있다. 상기 활성 영역들(AR)은 제 1 방향(D1)으로 길쭉한 바(bar)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에는 워드라인들(WL)이 배치된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제 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 2 방향(D2)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상기 제 1 기판(100) 내에 매립될 수 있다. 즉, 상기 워드라인들(WL)의 상부면들은 상기 제 1 기판(100)의 상부면 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들(WL)은 워드라인 캐핑 패턴들(103)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에는 서로 이격된 제 1 및 제 2 소오스/드레인 영역들(101a, 101b)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소오스/드레인 영역(101a)은 상기 워드라인들(WL) 중 하나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소오스/드레인 영역(101b)은 상기 워드라인들(WL) 중 상기 하나의 다른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은 패드 절연막(104)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패드 절연막(104) 상에는 비트라인들(BL)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상기 제 1 및 제 2 방향들(D1, D2)과 교차하는 제 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라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비트라인 캐핑 패턴(105)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의 측벽은 절연 스페이서(SP)로 덮일 수 있다.
상기 비트라인들(BL)은 비트라인 컨택 플러그(DC)에 의해 제 1 소오스/드레인 영역(10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웃하는 비트라인들(BL) 사이에는 스토리지 노드 콘택 플러그(BC)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 플러그(BC)는 상기 제 2 소오스/드레인 영역(101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 노드 콘택 플러그들(BC) 상에는 하부 전극들(BE)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들(BE)은 유전막(DL)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유전막(DL) 상에는 상부 전극(TE)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전극들(BE), 상기 유전막(DL) 및 상기 상부 전극(TE)은 캐패시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전극(TE)은 제 1 층간절연막(106)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 상에는 접착 절연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절연막(150)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절연막(150)은 질소나 탄소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절연막(150) 상에는 제 2 기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절연막(150)은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과 상기 제 2 기판(20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에는 상기 제 2 기판(200)은 예를 들면 실리콘 에피택시얼층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에는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은 각각 제 1 게이트 절연막(GL1)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은 제 2 층간절연막(210)으로 덮일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실리콘탄화질화막, 다공성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 내에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배선들(2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 상단에는 제 1 도전 패드(2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 패드(214)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에는 도 2를 참조한 코어 영역들(20)에 해당하는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과 상기 제 1 배선들(212)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코어 영역들(20)에 포함된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22a, 22b)과 감지 증폭기들(24a, 24b)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배선들(212) 중 일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 플러그들(MC1, MC2)에 의해 상기 비트라인들(BL) 및 상기 워드라인들(WL)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콘택 플러그(MC1)는 상기 제 2 기판(200), 상기 접착 절연막(150),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 및 상기 비트라인 캐핑 패턴(105)을 관통하여 상기 비트라인(BL)의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콘택 플러그(MC2)는 상기 제 2 기판(200), 상기 접착 절연막(150), 상기 제 1 층간 절연막(106), 상기 패드 절연막(104) 및 상기 워드라인 캐핑 패턴(103)을 관통하여 상기 워드라인(WL)의 단부와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 콘택 플러그(MC1)과 상기 제 2 기판(200) 사이에는 제 1 콘택 절연막(12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 콘택 플러그(MC2)와 상기 제 2 기판(200) 사이에는 제 2 콘택 절연막(122)이 개재될 수 있다.
도 3에서, 예를 들면 홀수 번째 비트라인들(BL)의 단부들은 도면의 뒷쪽으로 돌출되고, 짝수 번째 비트라인들(BL)의 단부들은 도면의 앞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홀수 번째 워드라인들(WL)의 단부들은 도면의 왼쪽으로 돌출되고, 짝수 번째 워드라인들(WL)의 단부들은 도면의 오른쪽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 플러그들(MC1, MC2)를 형성할 때 오정렬 마진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 상에는 제 3 층간절연막(3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 상에는 제 3 기판(3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은 반도체 단결정 웨이퍼 또는 반도체 에피택시얼층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을 향하며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으로 덮이는 상기 제 3 기판(300)의 일 면 상에는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은 각각 제 2 게이트 절연막(GL2)일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 내에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배선들(3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절연막의 하단에는 제 2 도전 패드(3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드(314)는 구리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은 실리콘 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 산화질화막, 실리콘탄화질화막, 다공성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의 단일막 또는 다중막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에는 이를 관통하는 관통 비아(TSV)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 비아(TSV)의 상단에는 외부 도전 패드(3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도전 패드(316)는 외부 장치와 연결되는 입출력 패드일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과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은 서로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드(314)는 상기 제 1 도전 패드(214)와 접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 상에는 도 2의 주변회로 영역(30)에 해당하는 회로들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과 상기 제 2 배선들(312)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로우 디코더들(32)과 컬럼 디코더들(34)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2 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의 밀도는 상기 제 3 기판(3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의 밀도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의 개수는 상기 제 3 기판(300) 상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GL2)은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GL1) 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은 바람직하게는 고전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은 바람직하게는 저전압 트랜지스터일 수 있다.
주변회로 영역(30)에는 입출력 패드가 배치되며 데이터의 입출력을 빠르게 진행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이 고전압 트랜지스터들이기에(또는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GL2)이 상대적으로 두껍기에) 고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데이터의 입출력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속도를 빠르게 향상시킬 수 있어 고성능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코어 영역(20)에서는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의 밀도가 크기에(개수가 많기에), 각각의 제 1 트랜지스터들(TR1)에서 발생될 수 있는 누설전류의 양이 작더라도,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코어 영역(20)에서는 전체적인 누설전류의 양을 줄이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이 저전압 트랜지스터들이기에 (또는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GL1)이 얇기 때문에) 저전압을 인가할 수 있어, 누설전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 각 회로 영역들의 소자들이 서로 다른 기판 상에 구현될 수 있다. 이로써 각각의 영역에 최적화된 회로들을 구현하기 용이하여 신뢰성이 향상된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셀 어레이 영역들(10)에 각각 대응되는 코어 영역들(20)이 제 1 및 제 2 콘택 플러그들(MC1, MC2)에 의해 상기 셀 어레이 영역들(10)과 수직적으로 연결될 수 있어 수평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이로써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폼 팩터(form factor)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설계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웨이퍼의 평면도를 나타낸다. 도 6a 내지 도 6m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4의 단면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면, 먼저 제 1 웨이퍼(100w)를 제조한다. 상기 제 1 웨이퍼(100w)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서로 이격된 칩 영역들(CHR)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칩 영역들(CHR)은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CL)에 의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상기 칩 영역들(CHR) 각각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셀 어레이 영역들(1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웨이퍼(100w)은 제 1 기판(100)과 제 1 층간절연막(1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퍼(100w)에서 상기 칩 영역들(CHR)에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워드라인들(WL), 비트라인들(BL) 및 캐패시터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퍼(100w)에서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CL)에는 제 1 정렬키(AK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렬키(AK1)은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 1 웨이퍼(100w)의 제조 과정은 디램의 셀 어레이 영역의 메모리 셀들을 제조하는 공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여 제 2 웨이퍼(200w)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제 2 웨이퍼(200w)를 제조하기 위하여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 상에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을 형성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과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은 예를 들면 제 1 도전형의 제 1 불순물로 도핑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전형의 상기 제 1 불순물은 예를 들면 P형의 붕소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에 도핑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에 도핑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에 도핑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에 도핑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의 차이에 의해 후속의 연마/식각 공정에서 식각률/연마율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웨이퍼(200w)의 가장자리를 일부 제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의 가장자리를 일부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100s)을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후속의 연마/그라인딩 공정 중 발생될 수 있는 공정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진행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웨이퍼(100w)의 전면 상에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150a)을 증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150a)은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웨이퍼(200w)의 전면 상에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150b)을 증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150b)은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들(150a, 150b)은 실리콘산화막, 실리콘 질화막, 실리콘산화질화막, 실리콘탄화막, 실리콘 탄화질화막, 금속산화막 및 금속질화막 중 적어도 하나의 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e 및 도 6f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및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들(150a, 150b)이 서로 접하도록 상기 제 1 웨이퍼(100w) 상에 상기 제 2 웨이퍼(200w)을 올려놓을 수 있다. 그리고 어닐링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어닐링 공정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들(150a, 150b)이 합쳐져 접착 절연막(15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g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웨이퍼(200w)에서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을 제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백 그라인딩 공정,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 및 습식 식각 공정 중 적어도 하나의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에천트는 불소, 질산, 인산 및 아세트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과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에 도핑된 제 1 불순물의 농도 차이에 의해 이들 간의 연마율/식각율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써 선택적으로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을 제거할 수 있다.
만약 도 6c의 과정에서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의 가장자리를 제거하지 않았다면,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을 제거한 후에 남은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의 가장자리는 메인 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얇을 수 있어 기계적으로 취약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의 가장자리 부분은 상기 그라인딩/연마 공정에서 깨질 수 있으며 공정 불량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6c에서 미리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의 가장자리 부분을 제거하여 공정 불량 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다. 이로써 공정 불량을 줄일 수 있다.
도 6g 및 도 6h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200s)를 제거한 후에 상기 접착 절연막(150) 상에는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이 남을 수 있다. 도 6h는 도 6g의 일부분을 확대한 도면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은 후에 도 4의 제 2 기판(200)에 대응될 수 있다.
도 6i를 참조하면, 상기 제 1 웨이퍼(100w)의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CL)과 중첩되는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을 제거하여 상기 접착 절연막(150)을 노출시키는 그루브(GR)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그루브(GR)는 상기 제 1 웨이퍼(100w)의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CL)과 중첩될 수 있다. 상기 그루브(GR)를 채우는 매립 절연막(20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매립 절연막(202)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립 절연막(202), 상기 접착 절연막(150)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하여 투명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그루브(GR) 또는 상기 매립 절연막(202)을 통해 상기 제 1 정렬키(AK1)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정렬키(AK1)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웨이퍼(100w) 내에서의 상기 비트라인들(BL)과 상기 워드라인들(WL)의 단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콘택홀들(MH1)과 제 2 콘택홀들(MH2)을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고 오정렬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기 접착 절연막(150),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 및 상기 비트라인 캐핑 패턴(105)을 차례대로 식각하여 상기 비트라인들(BL)의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 1 콘택홀(MH1)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기 접착 절연막(150),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 상기 패드 절연막(104) 및 상기 워드라인 캐핑 패턴(103)을 차례대로 식각하여 상기 워드라인들(WL)의 단부를 노출시키는 제 2 콘택홀(MH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들(MH1, MH2)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6j를 참조하면, 절연막을 콘포말하게 적층하고 이방성 식각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들(MH1, MH2)의 측벽을 각각 덮는 제 1 콘택 절연막(120)과 제 2 콘택 절연막(122)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전막을 적층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들(MH1, MH2)을 채우고 연마 공정/식각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콘택홀들(MH1, MH2) 안에 각각 제 1 및 제 2 콘택 플러그들(MC1, MC2)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k를 참조하면,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에 제 1 트랜지스터들(TR1), 제 1 배선들(212), 제 1 도전 패드(214) 및 제 2 층간절연막(2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 상기 제 1 배선들(212) 및 상기 제 1 도전 패드(214)는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CL)에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에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SCL)에는 제 2 정렬키(AK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은 저전압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l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3 웨이퍼(300w)를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제 3 웨이퍼(300w)는 후에 도 4의 제 3 기판(300)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3 웨이퍼(300w) 상에 제 3 층간절연막(310)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웨이퍼(300w) 상에 도 4에 개시된 제 2 트랜지스터들(TR2), 제 2 배선들(312) 및 제 2 도전 패드(314)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은 고전압 트랜지스터의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이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과 접하고 상기 제 2 도전 패드(314)가 상기 제 1 도전 패드(214)와 접하도록 상기 제 3 웨이퍼(300w)를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에 위치시킨 후에 열압착 공정을 진행하여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을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에 본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도전 패드(314)는 상기 제 1 도전 패드(214)에 본딩될 수 있다.
도 6m을 참조하면, 싱귤레이션 공정을 진행하여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들(SCL)을 제거하여 복수개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들(1000)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필요로 하는 소자들을 각각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고 적층 및 연결한다. 만약, 셀 어레이 영역들, 코어 영역들 및 주변회로 영역들이 한 기판 상에 모두 존재한다면, 이들 영역에 배치되는 소자들을 형성할 때 서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로써 공정이 복잡해지거나 공정 불량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 어레이 영역의 메모리 셀들을 제조하는 동안 코어 영역들 및 주변회로 영역들을 덮는 마스크막을 추가로 형성하거나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에서는 서로 다른 특성을 필요로 하는 소자들을 각각 서로 다른 기판 상에 형성하고 적층 및 연결함으로써 각 영역들 간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공정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 회로들에서 요구되는 소자 특성에 맞게 최적화하기 용이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a)에서는 제 1 층간절연막(106) 상에 제 1 접착 절연막(1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 절연막(150) 상에는 제 2 기판(200)과 제 2 층간절연막(210)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 상에는 제 2 접착 절연막(25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250) 상에는 제 3 기판(300)과 제 3 층간절연막(310)이 차례로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접착 절연막(150)은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과 상기 제 2 기판(200)을 본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250)은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과 상기 제 3 기판(300)을 접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 상에는 제 2 트랜지스터들(TR2) 및 제 2 배선들(312)이 배치될 수 있다. 제 3 콘택 플러그(MC3)가 상기 제 3 기판(300),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250) 및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제 2 배선들(312)의 일부와 제 2 배선들(212)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7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a)에서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250)을 형성하는 과정은 도 6b 내지 도 6f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유사할 수 있다. 상기 제 3 콘택 플러그(MC3)를 형성하는 과정은 도 6i 및 도 6j를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과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b)에서는 제 1 도전 패드(214)와 제 2 도전 패드(314) 사이에 연결 부재(35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350)는 예를 들면 구리 범프, 솔더볼 및 솔더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8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b)는 제 3 기판(300)과 상기 제 2 기판(200)을 플립 칩 본딩 방식으로 연결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c)에서는 도 4의 상태에서 관통 비아(TSV), 제 1 및 제 2 도전 패드들(214, 314) 대신에 도전 구조체(3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전 구조체(330)는 백 비아 스택(Back Via Stack, BVS)로 명명될 수 있다. 상기 도전 구조체(330)는 제 3 기판(300)과 제 3 층간절연막(310) 그리고 제 2 층간절연막(210)의 일부를 관통하여 제 1 배선(212)의 일부와 제 2 배선(312)의 일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도전 구조체(330)과 상기 제 3 기판(300) 사이에는 절연막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 상에는 패시베이션막(33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332)은 상기 도전 구조체(330)의 내 측벽을 덮을 수 있다. 상기 도전 구조체(330)는 리세스 영역(R1) 안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패시베이션막(332)은 상기 리세스 영역(R1)을 채울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9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도 6l에서처럼 제 3 웨이퍼(300w)를 반도체 에피택시얼층(200e) 상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제 3 웨이퍼(300w), 상기 제 3 층간절연막(310) 및 상기 제 2 층간절연막(210)의 일부를 제거하여 리세스 영역(R1)을 형성할 수 있다. 도전막을 콘포말하게 적층하고 패터닝하여 도전 구조체(330)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패시베이션막(332)을 형성할 수 있다. 후속 공정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라 도 3의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A-A'선, B-B'선, C-C'선 및 D-D'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들을 나타낸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d)는 도 8의 상태에서 제 3 기판(300)과 제 3 층간절연막(310)의 위치가 뒤집혀진 구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은 제 2 층간절연막(210)에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제 3 기판(300) 내에는 관통 비아(TSV)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관통 비아(TSV)는 연결부재(350)에 의해 제 1 도전 패드(2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a)에서는 제 1 기판(100)이 셀 어레이 영역들(10)과 코어 영역들(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은 대응하는 셀 어레이 영역들(10)에 각각 인접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에는 제 1 트랜지스터들(TR1)이 배치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코어 영역들(20)에는 제 1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에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과 상기 제 1 배선들은 서브 워드라인 드라이버들과 감지 증폭기들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 상에는 제 2 기판(2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층간절연막(106)과 상기 제 2 기판(200) 사이에는 접착 절연막(150)이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은 주변 회로 영역(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 상에는 제 2 트랜지스터들(TR2), 제 2 배선들(312), 제 2 도전 패드(314) 및 제 2 층간절연막(2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30)에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TR2)과 상기 제 2 배선들(312)은 로우 디코더들(32) 및 컬럼 디코더들(34)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전 패드(314)는 입출력 패드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에서 상기 제 1 기판(100) 상에는 제 4 콘택 플러그들(MC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4 콘택 플러그(MC4)은 상기 코어 영역들(20)에 배치되는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TR1)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30)에 배치되는 상기 제 2 배선들(31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1000f)에서는 제 2 기판(200)이 코어 영역들(20)과 주변회로 영역(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기판(100)에는 셀 어레이 영역들(10)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 영역들(20)에서 상기 제 2 기판(200) 상에는 제 1 트랜지스터들(TR1)과 제 1 배선들(212)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회로 영역(30)에서 상기 제 2 기판(200) 상에는 제 2 트랜지스터들(TR2), 제 2 배선들(312) 및 제 2 도전 패드(314)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200)은 제 2 층간절연막(210)으로 덮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 상에 배치되는 비트라인들(BL)의 단부는 제 1 콘택 플러그(MC1)에 의해 상기 코어 영역(20)의 제 1 배선들(212) 중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100) 내에 배치되는 워드라인들(WL)의 단부는 제 2 콘택 플러그(MC2)에 의해 상기 코어 영역(20)의 제 1 배선들(212) 중 다른 일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 외의 구조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이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 있어서 셀 어레이 영역들, 코어 영역들 및 주변회로 영역의 배치에 관해 설명하였다. 도 2, 도 11 및 도 13에서 기판들(100, 200, 300)의 상하 위치관계는 반대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에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20)

  1.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을 덮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어 영역을 가지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층간절연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2 기판, 상기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코어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 배치되며 서로 평행한 워드라인들;
    상기 셀 어레이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워드라인들과 교차하되 서로 평행한 비트라인들;
    상기 코어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워드라인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워드라인 드라이버; 및
    상기 코어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비트라인들에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는 감지 증폭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콘택 플러그들은:
    상기 감지 증폭기와 상기 비트라인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 1 콘택 플러그들; 및
    상기 워드라인 드라이버와 상기 워드라인들의 단부들을 연결하는 제 2 콘택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콘택 플러그들의 하부면들의 높이는 상기 제 2 콘택 플러그들의 하부면의 높이와 다른 반도체 메모리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드라인들은 상기 제 1 기판 내에 매립되어 있고,
    상기 비트라인들은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제 1 접착 절연막과 직접 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코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회로 영역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회로 영역을 가지는 제 3 기판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제 1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 3 기판에 배치되는 제 2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은 저전압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은 고전압 트랜지스터인 반도체 메모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서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의 밀도는 상기 제 3 기판에서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의 밀도보다 높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제 1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 3 기판에 배치되는 제 2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은 제 1 게이트 절연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은 제 2 게이트 절연막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들은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들보다 얇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을 덮는 제 2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 3 기판을 덮는 제 3 층간절연막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2 층간절연막은 상기 제 3 층간절연막과 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층간절연막 내에 배치되는 제 1 배선;
    상기 제 3 층간절연막 내에 배치되는 제 2 배선; 및
    상기 제 3 기판, 상기 제 3 층간절연막 및 상기 제 2 층간절연막의 일부를 관통하며 상기 제 1 배선 및 상기 제 2 배선과 동시에 접하는 도전 구조체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을 덮는 제 2 층간절연막;
    상기 제 2 층간절연막과 상기 제 3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2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3 기판,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2 층간절연막의 일부를 관통하여 상기 주변회로 영역과 상기 코어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상부 콘택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4.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코어 영역을 포함하는 제 2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 상에 배치되며 상기 코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주변회로 영역을 포함하는 제 3 기판을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판에 배치되는 제 1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제 3 기판에 배치되는 제 2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 1 트랜지스터들은 제 1 게이트 절연막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트랜지스터들은 제 2 게이트 절연막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절연막들은 상기 제 2 게이트 절연막들보다 얇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16. 셀 어레이 영역을 가지는 제 1 기판;
    상기 제 1 기판을 덮는 제 1 층간절연막;
    상기 제 1 층간절연막 상에 배치되며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로직 영역을 가지는 제 2 기판;
    상기 제 1 층간절연막과 상기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는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2 기판, 상기 제 1 접착 절연막 및 상기 제 1 층간절연막을 관통하여 상기 셀 어레이 영역과 상기 로직 영역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콘택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17. 칩 영역들과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을 가지는 제 1 웨이퍼를 제조하는 단계;
    제 2 웨이퍼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 1 웨이퍼 상에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웨이퍼 상에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과 상기 제 2 접착 절연막이 접하도록 상기 제 1 웨이퍼 상에 상기 제 2 웨이퍼를 올려놓는 단계;
    상기 제 1 예비 접착 절연막과 상기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을 접착 절연막으로 바꾸는 단계; 및
    상기 제 2 웨이퍼 상에 제 1 트랜지스터들과 제 1 배선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웨이퍼를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칩 영역들에 워드라인들과 비트라인들을 형성하고, 상기 스크라이브 레인 영역에 정렬키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웨이퍼를 준비하는 단계는 반도체 단결정 기판 상에 반도체 에피택시얼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과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은 제 1 불순물로 도핑되되,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에 도핑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는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에 도핑된 상기 제 1 불순물의 농도와 다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웨이퍼 상에 제 2 예비 접착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반도체 에피택시얼층의 가장자리를 제거하여 상기 반도체 단결정 기판을 노출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90013052A 2018-09-07 2019-01-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2932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20,730 US10903216B2 (en) 2018-09-07 2019-07-24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CN201910827503.9A CN110890372A (zh) 2018-09-07 2019-09-03 半导体存储器装置及其制造方法
US17/137,684 US11626411B2 (en) 2018-09-07 2020-12-30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07365 2018-09-07
KR1020180107365 2018-09-0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326A true KR20200029326A (ko) 2020-03-18

Family

ID=6999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052A KR20200029326A (ko) 2018-09-07 2019-01-31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93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5905B2 (en) 2020-08-07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65905B2 (en) 2020-08-07 2023-09-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6411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1195857B2 (en) Bonded three-dimensional memory devices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by replacing carrier substrate with source layer
US10998301B2 (en) Semiconductor device
US9236501B2 (en) Dummy bit line MOS capacitor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232766B1 (ko) 반도체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272251A1 (en) Methods of fabricating integrated circuit devices including self-aligned contacts with increased alignment margin
JP5697952B2 (ja) 半導体装置、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データ処理システム
KR101406225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US7605409B2 (en) Semiconductor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sense amplifier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690054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029326A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60560B1 (ko) 실리콘-온 인슐레이터 구조를 이용한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제조 방법
US20230180475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KR20080004285A (ko) 반도체 소자의 비트라인 및 그의 제조방법
US7733698B2 (en) Memory device, 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a method of forming a memory device
KR20080008909A (ko) 벌크 실리콘을 이용한 더블 게이트 1-트랜지스터 디램 셀과이를 구비한 디램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20007186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210108548A (ko) 3차원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11844214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20230307353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ssive data storage system including the same
US20230028532A1 (en) Three-dimens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electronic systems including the same
KR20100103992A (ko) 반도체 장치
KR20220017175A (ko) 웨이퍼 대 웨이퍼 본딩 구조를 갖는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17856A (ko)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CN117037874A (zh) 半导体装置及其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