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9280A -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 Google Patents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9280A
KR20200029280A KR1020180107930A KR20180107930A KR20200029280A KR 20200029280 A KR20200029280 A KR 20200029280A KR 1020180107930 A KR1020180107930 A KR 1020180107930A KR 20180107930 A KR20180107930 A KR 20180107930A KR 20200029280 A KR20200029280 A KR 20200029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ceiving
receiving device
pushing pad
control signal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7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5204B1 (ko
Inventor
이두현
Original Assignee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젼테크놀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7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52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29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9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5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5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5Arrangements of devices on wash-basins, baths, sinks, or the like for remote control of taps
    • E03C1/055Electrical control devices, e.g. with push buttons, control panels or the lik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7/00Control of flow
    • G05D7/06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7/0617Control of flow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luid material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2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linear movement, e.g. push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는 사용자의 발동작으로 조작되는 푸싱패드의 누름횟수에 따라 수전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젖은 손이나 고무장갑을 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전장치 동작제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음성인식으로도 수전장치의 유량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조건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방식으로 수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Flow adjustable pushing pad for control faucet device}
본 발명은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용자의 발동작으로 조작되는 푸싱패드의 누름횟수에 따라 수전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이 조절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는 한편 젖은 손이나 고무장갑을 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전장치 동작제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음성인식으로도 수전장치의 유량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조건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방식으로 수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에 관한 것이다.
수전장치는 수돗물을 나오게 하거나 막는 장치로서, 주방, 화장실, 욕실 등에 설치되고, 수동수전 방식과 자동수전 방식으로 구분된다.
전자의 경우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레버 수동 조작에 따른 냉온수량 조절밸브(통상 '카트리지'라고도 함)의 작동 상태를 가변시켜 냉수와 온수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냉수와 온수를 혼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온도로 조절된 혼합수가 토출되도록 하거나, 또는 토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나, 물을 자동으로 단속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현재 물이 토출되고 있다는 상황을 망각할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후자의 경우에는 비접촉식 인체감지센서의 감지 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전자밸브가 작동되어 물이 토출되도록 하거나 토출되지 못하게 막도록 구성되어 있어, 전자의 수동수전 방식에 비해 물의 소비량을 줄이고 또한 불필요하게 물을 낭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등 절수기능이 우수하며, 특히 공공 장소에서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만지면서 조절하지 않아도 되므로 여러 사람이 꺼림직한 느낌없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자동수전 방식의 경우에는 전자의 방식과는 달리 냉온수량 조절밸브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 사용자가 냉수와 온수를 선택할 수 없고, 토출되는 물의 유량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 향상을 위해 수전장치의 동작이 발에 의해 조작되도록 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9-0046580호 "발로 조작하는 수도장치",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6828호 "발조작형 씽크대 급수장치", 등록번호 제20-0326116호 "절수형 수도꼭지" 등이 안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조작형 수전장치 동작제어기술은 폐달과 같은 발조작기기와 수전장치와 직접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구조임에 따라 설치에 번거로움이 따르고, 사용자가 힘을 주어 폐달을 밟아야 하는 등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는데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1999-0046580호 "발로 조작하는 수도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6828호 "발조작형 씽크대 급수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26116호 "절수형 수도꼭지"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푸싱패드 본체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동작이 누름동작 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되어 푸싱패드 본체의 누름동작 여부 및 누름동작 횟수에 따라 수전장치의 동작여부 및 수전장치의 배출유량이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고, 특히 젖은 손이나 고무장갑을 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전장치 동작제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인식으로도 수전장치의 유량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환경조건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방식으로 수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수전장치(2)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수전장치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설정크기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유연성 또는 탄성을 가져 수전장치 사용자의 발동작에 따라 눌려진 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푸싱패드 본체(100);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에 배치되어 수전장치 사용자의 누름동작과 누름동작 횟수를 검출하는 누름동작 검출센서(200);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의 측방에 일체로 연결되고, 설정크기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는 푸싱패드 날개편(300); 상기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동작 검출센서(200)로부터 누름동작 검출신호 및 누름동작 횟수 검출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누름동작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수전장치(2)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상기 누름동작 횟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수전장치(2)의 유량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400); 및 상기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전장치(2)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온오프 제어신호와 유량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에서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와 푸싱패드 날개편(300)은 직사각형 수평단면 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는 수평한 바닥체(110)와 볼록한 누름용 상면체(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에서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는 바닥체(110)의 저면을 거친면이나 마찰력이 큰 재질의 천소재가 부착된 것으로 구성하여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가 수전장치(2)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 움직임이 최소화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에서 상기 컨트롤러(400)는 1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50%, 2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30%, 3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10%만 수전장치(2)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는 설정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 음성정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유닛(700); 수전장치 제어신호와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가 서로 연동되어 저장되는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 상기 음성인식유닛(700)에서 인식된 사용자 음성정보와 상기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에 저장된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에 연동된 수전장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 상기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에서 생성된 수전장치 제어신호를 상기 수전장치(2)로 전달하는 수전장치 제어신호 송신유닛(900b);을 포함하여, 상기 수전장치(2)에 대한 음성인식 가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에 의하면, 사용자의 발동작으로 조작되는 푸싱패드 본체의 누름횟수에 따라 수전장치를 통해 배출되는 유량이 조절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고, 젖은 손이나 고무장갑을 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전장치 동작제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는 음성인식으로도 수전장치의 유량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므로, 다양한 환경조건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방식으로 수전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의 구성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의 외형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싱패드 본체의 단면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의 제어 구성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의 음성인식 기반 제어 구성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수전장치, 푸싱패드, 센서, 압력센서, 컨트롤러, 무선통신기기 등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1)는 도 1에서와 같이 푸싱패드 본체(100), 누름동작 검출센서(200), 푸싱패드 날개편(300), 컨트롤러(400), 통신모듈(500), 배터리(60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푸싱패드 본체(100)는 수전장치(2)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전장치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설정크기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유연성 또는 탄성을 가져 수전장치 사용자의 발동작에 따라 눌려진 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푸싱패드 본체(100)는 도 2에서와 같이 직사각형 수평단면 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푸싱패드 본체(100)는 도 3에서와 같이 수평한 바닥체(110)와 볼록한 누름용 상면체(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바닥체(110)는 거친면으로 이루어진 저면을 가지거나, 마찰력이 큰 재질의 천소재 시트(130)가 부착된 저면을 가지게 되는데, 이에 따라 푸싱패드 본체(100)는 수전장치(2)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 움직임이 최소화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누름동작 검출센서(200)는 푸싱패드 본체(100)에 배치되어 수전장치 사용자의 누름동작과 누름동작 횟수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누름동작 검출센서(200)로는 도 3에서와 같이 압력센서, 리미트 스위치, 근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푸싱패드 날개편(300)은 도 2에서와 같이 푸싱패드 본체(100)의 측방에 일체로 연결되는 것으로,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컨트롤러(400)와 통신모듈(500)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푸싱패드 날개편(300)도 푸싱패드 본체(100)와 마찬가지로 설정크기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특히 직사각형 수평단면 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싱패드 날개편(300)은 푸싱패드 본체(100)의 좌우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배치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컨트롤러(400)는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누름동작 검출센서(200)로부터 누름동작 검출신호 및 누름동작 횟수 검출신호를 전달받게 된다. 이와 같은 컨트롤러(400)는 PCB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400)는 누름동작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수전장치(2)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누름동작 횟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수전장치(2)의 유량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400)는 도 4에서와 같이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유닛(410)과 유량제어신호 생성유닛(420)을 구비하는데,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유닛(410)은 설정된 미사용 상태판단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누름동작이 없는 상태에서 최초 누름동작이 검출될 시 수전장치 온(on)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유닛(410)은 설정된 사용중 상태판단시간 이상의 시간동안 누름동작이 없는 상태에서 추가적인 누름동작이 검출될 시 수전장치 오프(off)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유량제어신호 생성유닛(420)은 상기 최초 누름동작 검출이후 설정된 유량제어신호 생성시간 이하의 시간동안 추가적인 누름동작이 검출될 경우 누름동작 횟수를 카운팅하여 누름동작 횟수에 대응하는 유량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400)는 1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50%, 2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30%, 3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10%만 수전장치(2)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하는데, 물론 이와 같은 설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400)는 도 2에서와 같이 푸싱패드 날개편(300)에 배치될 수 있는 모드변경 버튼(430)을 구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1)의 사용여부가 선택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러(400)는 푸싱패드 날개편(300)에 배치될 수 있는 상태표시등(440)을 구비하여 현재 동작상태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통신모듈(500)는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배치되는 것으로, 수전장치(2)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온오프 제어신호와 유량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통신모듈(500)은 수전장치(2)의 전자제어밸브(3)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기기(5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모듈(500)을 무선통신기기(510)로 구성할 경우, 연결케이블이 불필요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1)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통신모듈(500)은 수전장치(2)의 전자제어밸브(3)와 유선통신하는 유선통신기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배터리(600)는 누름동작 검출센서(200), 컨트롤러(400), 통신모듈(500)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1)는 도 5에서와 같이 음성인식유닛(700),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 수전장치 제어신호 송신유닛(900b)을 구비하여 수전장치(2)에 대한 음성인식 가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인식유닛(700),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 수전장치 제어신호 송신유닛(900b)은 제어보드에 집적 배치되는 칩셋의 조합 및 제어보드를 통해 운용되는 펌웨어/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음성인식유닛(700)은 설정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사용자 음성정보를 인식하게 된다.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는 수전장치 제어신호와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가 서로 연동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은 음성인식유닛(700)에서 인식된 사용자 음성정보와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에 저장된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에 연동된 수전장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유닛이다. 이와 같은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에도 도 5에서와 같이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과 유량제어신호 생성유닛(900b)이 구비된다. 수전장치 제어신호 송신유닛(900b)은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에서 생성된 수전장치 제어신호를 수전장치(2)의 전자제어밸브(3)로 전달하는 통신유닛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1)는 푸싱패드 본체(100)에 대한 사용자의 누름동작이 누름동작 검출센서(200)에 의해 검출되어 푸싱패드 본체(100)의 누름동작 여부 및 누름동작 횟수에 따라 수전장치(2)의 동작여부 및 수전장치(2)의 배출유량이 제어되도록 하므로,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되고, 특히 젖은 손이나 고무장갑을 낀 손을 사용하지 않고도 수전장치 동작제어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1)는 음성인식으로도 수전장치(2)의 유량조절이 가능해지도록 하므로, 다양한 환경조건이나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의 편의가 극대화되는 방식으로 수전장치(2)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2 : 수전장치
3 : 전자제어밸브
100 : 푸싱패드 본체
110 : 바닥체
120 : 누름용 상면체
130 : 천소재 시트
200 : 누름동작 검출센서
300 : 푸싱패드 날개편
400 : 컨트롤러
410 :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유닛
420 : 유량제어신호 생성유닛
430 : 모드변경 버튼
440 : 상태표시등
500 : 통신모듈
510 : 무선통신기기
600 : 배터리
700 : 음성인식유닛
800 :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
900a :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
900b : 수전장치 제어신호 송신유닛
910 : 온오프 제어신호 생성유닛
920 : 유량제어신호 생성유닛

Claims (5)

  1. 수전장치(2)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수전장치 사용자의 발이 놓이는 설정크기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며, 유연성 또는 탄성을 가져 수전장치 사용자의 발동작에 따라 눌려진 후 원상태로 복귀하게 되는 푸싱패드 본체(100);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에 배치되어 수전장치 사용자의 누름동작과 누름동작 횟수를 검출하는 누름동작 검출센서(200);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의 측방에 일체로 연결되고, 설정크기의 평판체로 이루어지는 푸싱패드 날개편(300);
    상기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누름동작 검출센서(200)로부터 누름동작 검출신호 및 누름동작 횟수 검출신호를 전달받으며, 상기 누름동작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수전장치(2)의 온오프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한편, 상기 누름동작 횟수 검출신호에 대응하는 수전장치(2)의 유량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컨트롤러(400); 및
    상기 푸싱패드 날개편(300)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수전장치(2)와의 유무선 통신으로 온오프 제어신호와 유량제어신호를 송신하는 통신모듈(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와 푸싱패드 날개편(300)은 직사각형 수평단면 형상의 평판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는 수평한 바닥체(110)와 볼록한 누름용 상면체(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는 바닥체(110)의 저면을 거친면이나 마찰력이 큰 재질의 천소재가 부착된 것으로 구성하여 상기 푸싱패드 본체(100)가 수전장치(2)가 설치된 공간의 바닥면에 움직임이 최소화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400)는,
    1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50%, 2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30%, 3회 누름시 기준유량의 10%만 수전장치(2)를 통해 배출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5. 제 1항에 있어서,
    설정위치에 설치되고, 사용자 음성정보를 인식하는 음성인식유닛(700);
    수전장치 제어신호와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가 서로 연동되어 저장되는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
    상기 음성인식유닛(700)에서 인식된 사용자 음성정보와 상기 수전장치 제어용 음성정보 DB(800)에 저장된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제어신호 생성 음성정보에 연동된 수전장치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
    상기 수전장치 제어신호 생성유닛(900a)에서 생성된 수전장치 제어신호를 상기 수전장치(2)로 전달하는 수전장치 제어신호 송신유닛(900b);을 포함하여,
    상기 수전장치(2)에 대한 음성인식 가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KR1020180107930A 2018-09-10 2018-09-10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KR102175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30A KR102175204B1 (ko) 2018-09-10 2018-09-10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7930A KR102175204B1 (ko) 2018-09-10 2018-09-10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9280A true KR20200029280A (ko) 2020-03-18
KR102175204B1 KR102175204B1 (ko) 2020-11-06

Family

ID=6999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7930A KR102175204B1 (ko) 2018-09-10 2018-09-10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5204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9220A (ja) * 1991-02-25 1992-09-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ット式自動給水装置
KR19990046580A (ko) 1999-04-01 1999-07-05 김예애 발로조작하는수도장치
KR200196828Y1 (ko) 2000-04-20 2000-09-15 김도권 발조작형 씽크대 급수장치
KR200204207Y1 (ko) * 2000-04-27 2000-11-15 이기웅 절수형 수도 밸브
JP2001350492A (ja) * 2000-06-02 2001-12-21 Inax Corp 音声認識水栓
KR200289221Y1 (ko) * 2002-06-20 2002-09-16 주식회사 투원테크 주방용 자동 급수장치
KR200326116Y1 (ko) 2003-05-20 2003-09-13 이대형 절수형 수도꼭지
JP2010229765A (ja) * 2009-03-27 2010-10-14 Inax Corp 流量調節装置
KR20130124926A (ko) * 2013-08-29 2013-11-15 노장현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자동 급수 장치
KR101782140B1 (ko) * 2017-07-04 2017-09-26 (주)하인스 수통 세척기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9220A (ja) * 1991-02-25 1992-09-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フット式自動給水装置
KR19990046580A (ko) 1999-04-01 1999-07-05 김예애 발로조작하는수도장치
KR200196828Y1 (ko) 2000-04-20 2000-09-15 김도권 발조작형 씽크대 급수장치
KR200204207Y1 (ko) * 2000-04-27 2000-11-15 이기웅 절수형 수도 밸브
JP2001350492A (ja) * 2000-06-02 2001-12-21 Inax Corp 音声認識水栓
KR200289221Y1 (ko) * 2002-06-20 2002-09-16 주식회사 투원테크 주방용 자동 급수장치
KR200326116Y1 (ko) 2003-05-20 2003-09-13 이대형 절수형 수도꼭지
JP2010229765A (ja) * 2009-03-27 2010-10-14 Inax Corp 流量調節装置
KR20130124926A (ko) * 2013-08-29 2013-11-15 노장현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자동 급수 장치
KR101782140B1 (ko) * 2017-07-04 2017-09-26 (주)하인스 수통 세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5204B1 (ko) 2020-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69169A1 (en) Touch-flow water supply apparatus
TW200829819A (en) On demand electronic faucet
US8127782B2 (en) Multi-mode hands free automatic faucet
US8827239B2 (en) Touch-free automatic faucet
CN101223321B (zh) 具有电子开关的阀体装配件
CN105928208A (zh) 热水器及出水控制方法、出水控制装置、出水控制系统
MXPA05010894A (es) Interfaz de usuario que controla tina de hidromasaje.
US10550554B2 (en) Electronic water distribution center
CN108442485B (zh) 基于双旋钮的智能马桶控制方法以及相关的智能马桶
US20160032571A1 (en) Piezoelectric Touch-Controlled Faucet
US10870972B2 (en) Pressure sensitive touch electronic faucet
AU2015208624B2 (en) Touch Free Automatic Type Water Supply Device and Method
KR102175204B1 (ko) 수전장치 제어용 유량조절형 푸싱패드
KR101301299B1 (ko) 수도꼭지 개폐 조절용 급수밸브 제어방법 및 그 제어방법을 이용한 풋센서 스위치 장치
TWI443276B (zh) 自動供水混溫龍頭
KR20130076664A (ko) 힘 센서 기반의 리모콘 및 이를 구비한 비데
KR20180001794U (ko) 풋 터치 스위치와 핸드 터치 스위치를 동시에 갖는 전자밸브 개폐 싱크대 수전구
US20200109794A1 (en) Touch-sensitive faucet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785530A1 (en) Interface device particularly for shower cubicles or whirlpool baths
KR101944668B1 (ko) 서로 다른 기능의 이중 센서를 구비한 자동 급수 장치
CN217679466U (zh) 一种感应马桶
CN218094524U (zh) 一种电子淋浴装置
KR101944669B1 (ko) 비상 전원을 구비한 자동 급수 장치
KR20090109389A (ko) 샤워기 절수장치
KR200307819Y1 (ko) 절수 및 사용이 편리한 샤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