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934A -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934A
KR20200028934A KR1020207000711A KR20207000711A KR20200028934A KR 20200028934 A KR20200028934 A KR 20200028934A KR 1020207000711 A KR1020207000711 A KR 1020207000711A KR 20207000711 A KR20207000711 A KR 20207000711A KR 20200028934 A KR20200028934 A KR 202000289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lc
buffer
sdu
data transmission
transmiss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3408B1 (ko
Inventor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89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9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3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3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5Setup of multiple wireless link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12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 H04L1/1816Hybrid protocols;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with retransmission of the same, encoded, mess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8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repeating transmission, e.g. Verdan syste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74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67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ansmitter end
    • H04L1/188Time-out mechanisms
    • H04L1/1883Time-out mechanisms using multiple tim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42Determining whether packet losses are due to overload or to deterioration of radio communication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5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per individual bearer or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7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buffer status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6Transport layer protocols, e.g. TCP [Transport Control Protocol] over 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8Upper layer protocols
    • H04W80/12Application layer protocols, e.g. WAP [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여, RLC 버퍼 중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RLC 버퍼는 제1 RLC 실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RLC 버퍼는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것이 포함된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캐리어 집합 상황 하에서,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PDCP) 계층은 데이터 중복 기능을 지원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즉 PDCP 실체는 하나의 PDCP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PDU) 두 개(또는 여러 개)로 중복하여, 각각 두 개의 무선 링크 제어(Radio Link Control, RLC) 실체(또는 더욱 많은 RLC 실체)로 송신할 수 있으며, RLC 실체는 PDCP 실체가 송신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우선 이를 RLC 버퍼(buffer)에 보관하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기를 기다린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로 말하면, 어떻게 RLC 버퍼 중의 데이터를 처리할 것인가 하는 것은 시급히 해결하여야 할 과제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에 의하여, RLC 버퍼 중의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구현할 수 있다.
제1 방면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RLC 버퍼는 제1 RLC 실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RLC 버퍼는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것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어느 한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 또는 정시키시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디스에이블시키도록 지시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다른 RLC 실체를 통하여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어느 한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지시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기타 정지되지 않은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RLC 실체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상기 단말 장치가 각 RLC SDU를 위하여 하나의 타이머를 할당하고, 해당 타이머를 통하여 대응되는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는 것을 통하여, RLC SDU가 적시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되지 못하여, 장시간 RLC 버퍼를 차지하여, 버퍼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아울러 RLC 버퍼의 이용율을 향상시키는 것에도 유리하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같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적어도 두 개의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다르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는 것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각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거나, 또는 중복 데이터가 어떤 RLC 실체를 통하여 전송되는 지. 어떤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 중의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킬 수 있는지를 제어하여,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통하여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여, RLC SDU가 장시간 RLC 버퍼를 차지하여, 버퍼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유리하고, 나아가 RLC 버퍼의 이용율을 향상시키는 것에도 유리하다.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할 때, 이 상황 하에서, 다른 RLC 실체가 전송하는 것은 다른 데이터이고,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이 상황 하에서,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희생시키는 것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RLC 버퍼와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바, 즉 더는 각 RLC 버퍼 중의 RLC SDU의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지 않는 바, 이렇게 하여야만 RLC 버퍼 중의 RLC SDU 전송 기능이 비로소 RLC 버퍼 중에서 제거될 수 있어,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데 유리하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될 때,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 장치는 RLC SDU가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여, RLC 버퍼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되었을 때,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상황 하에서,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희생시키는 것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우선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고려할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기초 상에서 버퍼의 이용율을 겸하여 고려할 수 있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RLC 버퍼에는 제1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SDU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RLC PDU를 매체 접근 제어(MA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재구성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가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위하여 하나의 타이머를 온시킬 수 있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통하여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대응되는 RLC SDU가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해당 RLC SDU를 폐기하며, 또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대응되는 RLC SDU가 이미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해당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생성된 RLC PDU를 MAC 실체로 제출하고, 나아가 물리 캐리어를 통하여 RLC PDU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된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상기 제2 RLC 버퍼는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된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물리 캐리어의 채널 조건이 비교적 열악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바, 즉 제2 RLC 실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단말 장치에 의하여 오프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할 수 있고, 이로써 이 부분의 RLC SDU가 제2 RLC 버퍼를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2 RLC 버퍼에는 제2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2 RLC SDU는 제2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기 전, 만일 상기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다시 말하면, 제2 RLC 실체가 데이터 전송이 정지되기 전, 만일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는 계속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할 수도 있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즉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의 전송에 성공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여, 상기 제2 RLC PDU의 반복 전송의 자원에 대한 낭비를 방지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즉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의 전송에 실패한 상황 하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며; 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상기 MAC CE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시시키도록 지시한다.
제1 방면을 참조하면, 제1 방면의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하면, 상기 단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실체가 전송하고자 하는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두 개로 중복시키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가 전송하고자 하는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가 전송하고자 하는 제1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제2 PDCP PDU를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상기 제1 PDCP PDU와 상기 제2 PDCP PDU가 다른 것이 포함된다.
제2 방면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유닛을 포함한다.
제3 방면으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장치에는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기억장치, 프로세서, 입력 인터페이스와 출력 인터페이스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한다.
제4 방면으로, 컴퓨터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명령을 저장하며, 여기에는 상기 방면을 실행하기 위하여 설계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제5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이가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
도 2는 캐리어 집합 상황 하의 중복 데이터 전송의 프로토콜 구조도.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도 5는 본 출원의 다른 일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의 예시적 블록도.
아래 본 출원 실시예 중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시스템"과 "네트워크"는 본 명세서에서 경상적으로 서로 바꾸어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일반 패킷 무선 서비스(General Packet Radio Service, GPRS),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월드와이드 상호운영성 마이크로파 접속(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WiMAX) 통신 시스템, 엔알(New Radio, NR) 또는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GSM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고, 또는 클라우드 무선 접속 네트워크(Cloud Radio Access Network, CRAN) 환경 하의 무선 제어기일 수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장치 등일 수 있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20)는 단말 장치(1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10)는 네트워크 장치(2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한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10)와 네트워크 장치(2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하여 진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캐리어 집합 상황 하에서, PDCP는 데이터 중복 전송 기능을 지원할 수 있어, 즉 PDCP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이용하여, 중복된 데이터가 두 개 또는 다수의 논리 채널에 대응되도록 하고, 또한 최종적으로 중복된 다수의 동일한 PDCP PDU가 서로 다른 물리 계층 수렴 캐리어 상에서 전송되도록 확보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이루어 데이터 전송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아래 도 2를 참조하여 어떻게 중복 데이터를 서로 다른 물리 캐리어 상에 스케줄링하는지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PDCP 계층은 분열 베어러 중복 기능을 갖고 있어, PDCP SDU1의 데이터를 복제하여PDCP PDU1과 PDCP PDU2로 패키징하고, PDCP PDU1과 PDCP PDU2가 같은 내용을 가지는 바, 즉 베어링된 데이터 payload와 패킷 헤더header가 모두 같다. 각각 PDCP PDU1과 PDCP PDU2를 다른 RLC 실체로 맵핑시키고, RLC 실체가 PDCP PDU1과 PDCP PDU2를 서로 다른 논리 채널(논리 채널1과 논리 채널2)에 놓으며, MAC로 말하면, 어떤 논리 채널이 동일한 PDCP PDU의 중복 데이터를 전송하는지 알게 된 후, 이러한 중복 데이터를 서로 다른 혼합 자동 재전송 요청(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실체를 통하여 서로 다른 캐리어 상에서 전송하는 바, 예를 들면, 논리 채널1에 베어링된 중복 데이터를 HARQ 실체1을 통하여 물리 캐리어1 상에서 전송하고, 논리 채널2에 베어링된 중복 데이터를 HARQ 실체2를 통하여 물리 캐리어2 상에서 전송한다.
그 중에서, RLC 실체가 PDCP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PDCP 계층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RLC SDU 또는 PDCP PDU라 칭한다. RLC 실체가 MAC 계층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또는 MAC 계층으로 송신하는 데이터를 RLC PDU 또는 MAC SDU라 칭한다.
캐리어 집합 상황에 대하여,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는 바, 즉 PDCP 실체는 서로 다른 RLC 실체를 통하여 같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고, 또한 서로 다른 RLC 실체를 통하여 다른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으며, RLC 실체는 PDCP 계층이 전송하는 RLC SDU를 수신한 후, 이를 RLC 버퍼에 보관하고,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기를 기다린다. 그러므로, RLC 버퍼 중의 RLC SDU에 대한 처리를 구현할 수 있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도 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300)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방법(300)에는 하기 단계가 포함된다.
S310: 단말 장치가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할 수 있고, 또한 어느 한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 또는 정시키시도록 지시할 수 있으며,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디스에이블시키도록 지시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다른 RLC 실체를 통하여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어느 한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지시키도록 지시하는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기타 정지되지 않은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RLC 실체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이나 비제한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에는 제1 RLC 실체와 제2 RLC 실체가 포함될 수 있고, 각 RLC 실체는 상응한 RLC 버퍼와 대응되고,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전송하고자 하는 PDCP PDU를 두 개로 중복할 수 있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고,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를 통하여 같은 PDCP PDU를 전송할 수 있다.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를 통하여 다른 PDCP PDU를 전송하며, 또는 만일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되었다면, 상기 단말 장치는 또한 단지 제1 RLC 실체를 통하여 PDCP PDU를 전송하고, 제2 RLC 실체는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S310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며; 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
상기 단말 장치는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온시켰을 때, 서로 다른 RLC 실체를 사용하여 같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오프시켰을 때, 서로 다른 RLC 실체를 통하여 다른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단지 하나의 RLC 실체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300)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상기 MAC CE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MAC CE 등 동적 신호를 통하여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고,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기타 신호를 통하여 상기 단말 장치를 제어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 대응되는 통지 방식을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S320: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RLC 버퍼는 제1 RLC 실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RLC 버퍼는 제2 RLC 실체에 대응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단말 장치는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현재 온 상태인지 아니면 오프 상태 처하는지에 의하여, RLC 버퍼 중의 RLC SDU를 폐기할 것인지 아니면 상기 RLC SDU가 계속 RLC 버퍼를 사용하는 것을 유지시킬지 것인지, 즉 상기 RLC 버퍼 중의 RLC SDU를 폐기하지 않을 것인지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가 만일 제1 RLC 실체와 제2 RLC 실체를 통하여 중복 데이터의 전송을 진행한다면,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가 전송하는 것이 같은 데이터라면,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되었을 때, 상기 단말 장치는 그 중의 한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 중의 RLC SDU를 폐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제1 RLC 실체에 대응되는 물리 캐리어1의 채널 조건이 상기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물리 캐리어2의 채널 조건보다 우수하다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RLC 실체에 대응되는 제1 RLC 버퍼 중의 RLC SDU가 더욱 빠르게 물리 캐리어1을 통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고 판단하는 바,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RLC SDU가 제1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상기 단말 장치는 제2 RLC 버퍼 중의 RLC SDU를 폐기할 수 있는 바, 즉 그 중의 한 중복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어, 물리 캐리어2의 채널 조건이 비교적 열악하여 제2 RLC 버퍼 중의 RLC SDU가 제때에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되지 못하여, 장시간 상기 제2 RLC 버퍼를 차지하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유잇하다.
다시 말하면,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되었을 때, 만일 제1 RLC 실체와 제2 RLC 실체는 중복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것이라면, 그 중의 한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 중의 중복 데이터를 폐기할 수 있으며, 또는 만일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되었을 때, 그 중 한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되었다면, 해당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 중의 중복 데이터를 폐기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S320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상기 단말 장치는 각 RLC SDU를 위하여 하나의 타이머를 할당할 수 있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또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최대 기간이 타이머의 기간이고, 상기 단말 장치가 각 RLC SDU를 위하여 하나의 타이머를 할당하여, 해당 타이머를 통하여 대응되는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할 수 있어, RLC SDU가 장시간 RLC 버퍼를 차지하여, RLC버퍼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하고, 아울러 RLC 버퍼의 이용율을 향상시키는 것에도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은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단말 장치는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상태에 의하여,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킬지 아니면 오프시킬지 결정하고, 그 후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예를 들면, 타이머가 타임아웃되지 않았을 때, 만일 RLC SDU1이 이미 RLC 헤더(header)를 추가하여 RLC PDU1을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는 RLC 버퍼 중의 RLC SDU1을 폐기할 수 있고(이 상황은 UM 모드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즉 네트워크 장치가 피드백을 진행할 필요가 없음), 또는 잠시 RLC SDU1을 폐기하지 않고, 네트워크 장치의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다시 해당 RLC SDU1을 폐기할 수 있으며(이 상황은 AM 모드에 대응될 수 있는 바, 즉 네트워크 장치가 피드백을 진행하여야 함), 해당 피드백 정보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해당 RLC PDU1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해당 RLC PDU1의 오리지널 데이터, 즉 RLC SDU1을 폐기할 수 있다는 것을 지시한다.
또 예를 들면,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RLC SDU1이 아직 RLC PDU1을 생성하지 않았다면, 즉 해당 RLC SDU1을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지 않았다면(RLC 실체에 대응되는 물리 캐리어의 채널 조건이 비교적 열악하여 초래된 것일 수 있음), RLC SDU1이 장시간 RLC 버퍼를 차지하여 RLC 버퍼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해당 RLC SDU1을 폐기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는 것을 유지한다.
다시 말하면,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할 때, 상기 단말 장치가 각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거나, 또는 중복 데이터가 어떤 RLC 실체를 통하여 전송되는 지, 어떤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 중의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킬 수 있는지 제어하여,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통하여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여, RLC SDU가 장시간 RLC 버퍼를 차지하여, 버퍼가 누설되는 문제를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할 때, 이 상황 하에서, 다른 RLC 실체가 전송하는 것은 다른 데이터이고, 중복 데이터 전송을 사용하는 방식에 비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이 떨어지며, 그러므로,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RLC 버퍼와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오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는 바, 즉 더는 각 RLC 버퍼 중의 RLC SDU의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지 않으며, 다시말하면, RLC SDU를 성공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하기 전, 상기 RLC SDU는 시종 RLC 버퍼를 차지한다.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할 때,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희생시키는 것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될 때,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 장치는 RLC SDU가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여, RLC 버퍼의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되었을 때,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상황 하에서,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희생시키는 것을 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바,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과 버퍼 이용율의 종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일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 상태에 처한다면, 즉 상기 제2 RLC 실체가 데이터 전송에 이용되지 않는다면, 이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도 단지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만 오프시키고, 제1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온을 유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 가능한 실시방식에서, 상기 제1 RLC 버퍼에는 제1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SDU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RLC PDU를 매체 접근 제어(MA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상기 제1 RLC PDU는 상기 제1 RLC SDU가 RLC header를 추가하는 것을 통하여 생성한 것이고,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한 후, 상기 제1 RLC 실체는 상기 제1 RLC PDU를 MAC 실체로 제출할 수 있고, 나아가 상기 제1 RLC 실체에 대응되는 물리 캐리어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는 것은 상기 제1 RLC SDU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바, 즉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버퍼를 차지않을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RLC SDU에 대응되는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단말 장치는 직접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다시 상기 제1RLC SDU를 폐기할 수 있으며, 상기 피드백 정보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PDU를 수신하였기 때문에, 즉 상기 제1 RLC SDU가 성공적으로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되었기 때문에,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여 상기 제1 RLC SDU가 계속 RLC 버퍼를 차지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RLC SDU가 제1 RLC PDU를 생성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 있고, 또는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피드백 정보를 수신한 후 다시 상기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타이머의 정지 조건은 데이터 전송 신뢰성과 RLC 버퍼 이용율을 확보하는 조건 하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하지 않는다.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될 수 없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이 상황 하에서, 상기 제1 RLC SDU가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이 상기 제1 타이머의 기간에 도달하고, 상기 제1 RLC SDU가 장시간 RLC 버퍼를 차지하여 버퍼 누설을 초래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여 기타 RLC SDU가 상기 제1 RLC 버퍼를 사용하도록 하여, RLC 버퍼 이용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가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위하여 하나의 타이머를 온시키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통하여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대응되는 RLC SDU가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해당 RLC SDU를 폐기하며, 또는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RLC SDU가 이미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해당 타이머를 정지시키고, RLC PDU를 MAC 실체로 제출하고, 나아가 물리 캐리어를 통하여 RLC PDU를 네트워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S320에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상기 제2 RLC 버퍼는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된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RLC 버퍼이고, 선택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물리 캐리어의 채널 조건이 비교적 열악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지시킬 수 있는 바, 즉 제2 RLC 실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정지시킨다.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단말 장치에 의하여 오프될 때,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할 수 있고, 이로써 이 부분의 RLC SDU가 제2 RLC 버퍼를 차지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유리하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RLC 버퍼에는 제2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2 RLC SDU는 제2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S320에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기 전, 만일 상기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되기 전, 만일 제2 RLC 버퍼 중의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는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할 수도 있다.
일 구체적인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되기 전, 상기 단말 장치는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를 통하여 중복 데이터를 전송한 것인 바, 다시 말하면,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가 전송한 것은 같은 데이터이다. 이 상황 하에서,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정지되기 전, 만일 제2 RLC 버퍼 중의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의 전송 상황, 즉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에 의하여,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면, 상기 단말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즉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의 전송에 성공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여, 상기 제2 RLC PDU의 반복 전송의 자원에 대한 낭비를 방지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즉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의 전송에 실패한 상황 하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설명하여야 할 바로는,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단지 상기 단말 장치에 제1 RLC 실체와 제2 RLC 실체가 포함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였으나, 본 출원의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상기 단말 장치에는 또한 더욱 많은 RLC 실체, 예를 들면 제3 RLC 실체 또는 제4 RLC 실체등이 포함될 수 있고, 더욱 많은 RLC 실체가 포함될 때, 마찬가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각 RLC 실체 중의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위에서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을 설명하였으며, 아래 도 4 내지 도 5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를 설명하기로 하는 바, 방법 실시예에서 설명한 기술 특징은 하기 장치 실시예에 적용된다.
도 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400)의 예시적 블록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장치(400)에는,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모듈(410);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제1 RLC 버퍼는 제1 RLC 실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RLC 버퍼는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처리 모듈(420)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420)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같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두 개의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다르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420)은 또한,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는 것을 유지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RLC 버퍼에는 제1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SDU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처리 모듈(420)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제1 RLC PDU를 매체 접근 제어(MA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RLC PDU를 폐기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420)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타이머를 재구성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킨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420)은 또한,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2 RLC 버퍼에는 제2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2 RLC SDU는 제2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처리 모듈(420)은 또한,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기 전, 만일 상기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420)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하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410)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며; 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로서, 상기 장치(400)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상기 MAC CE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시시키도록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일부 실시예로서, 상기 장치(400)에는 또한,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한 상태 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두 개로 중복시키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RLC 실체와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제2 PDCP PDU를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상기 제1 PDCP PDU와 상기 제2 PDCP PDU가 다른 제출 모듈이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장치(400)는 본 출원의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장치(400) 중의 각 유닛의 상기와 기타 조작 및/또는 기능은 각각 도 3의 방법 중의 단말 장치의 상응한 흐름을 구현하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500)를 제공하는 바, 해당 장치(500)는 도 4 중의 장치(400)일 수 있고, 이는 도 3 중의 방법(300)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의 내용을 실행할 수 있다. 해당 장치(5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기억장치(540)가 포함되고, 해당 입력 인터페이스(510), 출력 인터페이스(520), 프로세서(530) 및 기억장치(540)는 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상호 연결될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540)은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저장한다. 해당 프로세서(530)는 해당 기억장치(540) 중의 프로그램, 명령 또는 코드를 실행하여, 입력 인터페이스(51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고, 출력 인터페이스(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조작을 완성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53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53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54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53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54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억장치(540)는 또한 장치 유형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5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5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30)가 기억장치(5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일 구체적인 실시방식에서, 장치(400) 중의 제어 모듈(410), 처리 모듈(420)은 도 5 중의 프로세서(530)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고, 장치(400)의 통신 모듈과 제출 모듈은 도 5의 입력 인터페이스(510)와 출력 인터페이스(520)에 의하여 구현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내용은 프로세서(53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내용과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54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530)가 기억장치(54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내용을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해당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해당 하나 또는 다수의 프로그램에는 명령이 포함되며, 해당 명령은 다수의 응응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휴대식 전자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해당 휴대식 전자 장치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또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바,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에는 명령이 포함되고,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이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될 때, 컴퓨로 하여금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방법의 상응한 과정을 실행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 중의 용어 "및/또는"은 단지 관련 대상의 관련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바, 예를 들면 A 및/또는 B는 단독으로 A가 존재하거나, 동시에 A와 B가 존재하거나, 단독으로 B가 존재하는 세 가지 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부호"/"는 일반적으로 전후 관련 대상이 "또는"의 관계라는 것을 표시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않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상기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처리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보호 범위는 상기 청구항의 보호 범위를 기준으로 하여야 한다.

Claims (28)

  1.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단말 장치가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바, 제1 RLC 버퍼는 제1 RLC 실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RLC 버퍼는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는 것을 유지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LC 버퍼에는 제1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SDU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RLC PDU를 매체 접근 제어(MA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재구성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키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RLC 버퍼에는 제2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2 RLC SDU는 제2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기 전, 만일 상기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하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것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며; 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MAC CE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시시키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단말 장치의 패킷 데이터 수렴 프로토콜(PDCP) 실체가, 전송하고자 하는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두 개로 중복시키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가, 전송하고자 하는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다면, 상기 단말 장치의 PDCP 실체가, 전송하고자 하는 제1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제2 PDCP PDU를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상기 제1 PDCP PDU와 상기 제2 PDCP PDU가 다른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
  15.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로서,
    제1 시지 정보에 의하여,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를 제어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지 여부를 지시하는 제어 모듈;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제1 무선 링크 제어(RLC) 버퍼 및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서비스 데이터 유닛(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바, 제1 RLC 버퍼는 제1 RLC 실체에 대응되고, 상기 제2 RLC 버퍼는 제2 RLC 실체에 대응되는 처리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의 현재 상태에 의하여,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를 제어하고,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는 상기 각 RLC SDU가 RLC 버퍼를 차지하는 시간을 제어하며;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상태에 의하여, 상기 각 RLC SDU에 대하여 처리를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의 기간이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며; 또는
    만일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다면, 상기 제1 RLC 버퍼 및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키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정지시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에 대응되는 타이머를 온시키는 것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RLC 버퍼에는 제1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1 RLC SDU는 제1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제1 RLC PDU를 매체 접근 제어(MA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된 상황 하에서,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지 않았다면, 상기 제1 타이머를 재구성하며; 또는
    상기 제1 타이머가 타임아웃되기 전, 만일 상기 제1 RLC SDU가 이미 상기 제1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상기 제1 타이머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여 있는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버퍼 중의 각 RLC SDU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3.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RLC 버퍼에는 제2 RLC SDU가 포함되고, 상기 제2 RLC SDU는 제2 타이머에 대응되며, 상기 처리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하기 전, 만일 상기 제2 RLC SDU가 이미 제2 RLC PDU를 생성하였다면,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거나 또는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이미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한 상황 하에서, 상기 제2 RLC PDU를 폐기하며; 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성공적으로 상기 제1 RLC 버퍼 중의 상기 제2 RLC SDU의 중복 데이터를 수신하지 못한 상황 하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로 상기 제2 RLC PDU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5. 제15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구체적으로,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인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온시키도록 제어하며; 또는
    만일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킬 것을 지시하면,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오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6. 제15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MAC 제어 요소(CE)를 수신하는 바, MAC CE에는 상기 제1 지시 정보가 포함되는 통신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RLC 실체의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을 정시시키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28. 제15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에는 또한,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온 상태에 처한 상태 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PDCP 패킷 데이터 유닛(PDU)을 두 개로 중복시키고, 또한 각각 상기 제1 RLC 실체와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며; 또는
    상기 중복 데이터 전송 기능이 오프 상태에 처한 상황 하에서, 전송하고자 하는 제1 PDCP PDU를 상기 제1 RLC 실체로 제출하고, 전송하고자 하는 제2 PDCP PDU를 상기 제2 RLC 실체로 제출하며, 상기 제1 PDCP PDU와 상기 제2 PDCP PDU가 다른 제출 모듈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장치.
KR1020207000711A 2017-07-21 2017-07-21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 KR102373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3834 WO2019014916A1 (zh) 2017-07-21 2017-07-21 处理数据的方法和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934A true KR20200028934A (ko) 2020-03-17
KR102373408B1 KR102373408B1 (ko) 2022-03-10

Family

ID=65015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0711A KR102373408B1 (ko) 2017-07-21 2017-07-21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11219090B2 (ko)
EP (1) EP3634076B1 (ko)
JP (1) JP7166328B2 (ko)
KR (1) KR102373408B1 (ko)
CN (2) CN111278029B (ko)
AU (1) AU2017424164A1 (ko)
BR (1) BR112019027411A2 (ko)
CA (1) CA3064974A1 (ko)
IL (1) IL271030B2 (ko)
MX (1) MX2019015583A (ko)
PH (1) PH12019502684A1 (ko)
RU (1) RU2741625C1 (ko)
SG (1) SG11201911247VA (ko)
WO (1) WO2019014916A1 (ko)
ZA (1) ZA202000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37784B2 (en) * 2017-03-24 2019-03-19 Motorola Mobility Llc Split bearer packet data converge protocol protocol data unit routing
AU2017425323A1 (en) * 2017-07-28 2020-01-16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1711167B2 (en) * 2018-11-01 2023-07-25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20155124A1 (zh) * 2019-02-01 2020-08-0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复制数据的传输方法、终端设备及接入网设备
US20210007008A1 (en) * 2019-07-05 2021-01-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segmentation and reassembly over multiple wireless links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6309464B2 (en) 2005-10-31 2009-10-2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in a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513033B1 (ko) 2007-09-18 2015-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계층 구조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한 방법
CN101965705B (zh) 2007-10-01 2015-05-06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pdcp丢弃的方法和装置
WO2009045946A2 (en) 2007-10-01 2009-04-0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Radio link control operations and enhanced duplicate detection in a wireless receiver
US8208394B2 (en) 2007-10-30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Service data unit discard timers
KR101638195B1 (ko) * 2010-02-01 2016-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링크 제어 계층 및 패킷 데이터 융합 프로토콜 계층 간의 플로우 제어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838089B2 (en) 2011-10-07 2017-12-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multiple point transmiss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US20130088960A1 (en) 2011-10-07 2013-04-11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formation Delivery with Multiple Point Transmission
US8988994B2 (en) 2013-05-16 2015-03-24 Freescale Semiconductor, In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logical radio link control (RLC) and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data units (PDU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0764870B2 (en) * 2013-10-21 2020-09-0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uplink data in a dual connectivity and a device therefor
KR102157798B1 (ko) 2013-10-29 2020-09-1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는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039149B2 (en) 2014-03-19 2018-07-31 Ntt Docomo, Inc. User equipment and uplink data transmission method
US9628586B2 (en) * 2014-08-29 2017-04-18 Lg Electronics Inc. PDCP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dual connectivity
US10397754B2 (en) * 2015-08-06 2019-08-27 Qualcomm Incorporation 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eordering with enhanced component carriers
WO2017182927A1 (en) * 2016-04-19 2017-10-26 Nokia Technologies Oy Split bearer dual/multiple connectivity retransmission diversity
IL269497B2 (en) 2017-03-23 2023-09-01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10716094B2 (en) * 2017-03-23 2020-07-14 Ofinno, Llc Packet duplication in a wireless device and wireless network
EP4329272A3 (en) * 2017-04-24 2024-06-05 Motorola Mobility LLC Duplicating pdcp pdus for a radio bearer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707249* *
3GPP R2-1707368*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12019027411A2 (pt) 2020-07-07
US11219090B2 (en) 2022-01-04
US20220104309A1 (en) 2022-03-31
CN111278029A (zh) 2020-06-12
EP3634076B1 (en) 2023-01-11
US20200229269A1 (en) 2020-07-16
US11778689B2 (en) 2023-10-03
IL271030B1 (en) 2023-07-01
CN111278029B (zh) 2021-11-02
IL271030A (en) 2020-01-30
MX2019015583A (es) 2020-02-26
CN110800365B (zh) 2024-03-15
PH12019502684A1 (en) 2020-07-13
EP3634076A1 (en) 2020-04-08
ZA202000917B (en) 2021-08-25
CN110800365A (zh) 2020-02-14
JP7166328B2 (ja) 2022-11-07
RU2741625C1 (ru) 2021-01-28
JP2020532159A (ja) 2020-11-05
WO2019014916A1 (zh) 2019-01-24
AU2017424164A1 (en) 2019-12-19
SG11201911247VA (en) 2020-02-27
KR102373408B1 (ko) 2022-03-10
EP3634076A4 (en) 2020-06-24
IL271030B2 (en) 2023-11-01
CA3064974A1 (en) 2019-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3408B1 (ko)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과 장치
JP7168028B2 (ja) 命令指示方法及び装置、情報交換方法及び装置
KR102420332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 기기 및 네트워크 기기
TWI696368B (zh) 通訊設備、方法及電腦程式
US11711167B2 (en) 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200049769A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과 단말 장치
JP2019050587A (ja) 複数の同時無線アクセス技術によるデータ伝送のためのモバイル端末および方法
US2020024518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US20220377711A1 (en) Early Packet Delivery to Radio Link Control
US20210336732A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and terminal device
US201402116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ayer 2 Compression Signaling
US20220263606A1 (en) Ntn-based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20200128599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9153209A1 (zh) 处理无线链路失败rlf的方法和终端设备
WO2019127289A1 (zh) 传输数据的方法和终端设备
US11310103B2 (en) Method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RLF) and terminal device
WO2021016790A1 (zh) 无线通信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US20220247542A1 (en) Resource ac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22024826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