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595A -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595A
KR20200028595A KR1020180106840A KR20180106840A KR20200028595A KR 20200028595 A KR20200028595 A KR 20200028595A KR 1020180106840 A KR1020180106840 A KR 1020180106840A KR 20180106840 A KR20180106840 A KR 20180106840A KR 20200028595 A KR20200028595 A KR 20200028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artificial marble
composition
parts
unsaturated polye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43441B1 (ko
Inventor
김혜원
조홍관
최영우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8010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3441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5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1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18Polyesters;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05UV-stabilis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C04B2111/545Artificial mar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상기 인조 대리석을 포함하는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에 따르면,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갖는 외장재용 인조 대리석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RTIFICIAL MARBLE}
본 출원은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상기 인조 대리석을 포함하는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인조 대리석은 아크릴 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등의 합성 수지, 또는 시멘트와 같은 베이스에 천연석분, 입자 또는 칩 형태의 광물 및 수지 칩 등의 첨가물을 배합하고, 필요에 따라 안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여 천연석의 질감을 구현한 인조 합성체이다.
인조 대리석의 대표적인 종류로는 아크릴계 인조 대리석, 폴리에스테르계 인조 대리석, 에폭시계 인조 대리석, 멜라민계 인조 대리석, 이스톤(Engineered stone) 계열의 인조 대리석 등이 있다.
이러한 인조 대리석은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 및 내후성을 가짐으로, 주로 실내 바닥과 벽 장식, 주방 상판, 화장실 세면대, 실외 벽 장식과 아웃도어 키친 등에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조 대리석은 외장재로 적용 시 자외선에 의해 변색, 즉, 황변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어, 아직까지는 외장재로 적용이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광성을 향상시켜 외장재로 사용할 수 있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이 요구되고 있다.
본 출원의 과제는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지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상기 인조 대리석을 포함하는 외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은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은 도 1과 같이 자연스러운 미감을 나타낸다. 예시적인 본 출원의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은 하기 a 및 b를 만족한다.
a. 석영계 입자 8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b.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자외선 반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 5 중량% 내지 20 중량%.
상기 석영계 입자는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내에 과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과량은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내에 가장 많은 함량으로 함유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석영계 입자의 함량은 81 중량% 이상, 82 중량% 이상, 83 중량% 이상, 84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86 중량% 이상, 87 중량% 이상, 88 중량% 이상, 89 중량% 이상 또는 9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상기 석영계 입자 함량의 상한은 94 중량% 이하, 93 중량% 이하, 92 중량% 이하 또는 9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함량은 구체적으로, 6 중량% 이상, 7 중량% 이상, 8 중량% 이상, 9 중량% 이상 또는 1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함량의 상한은 19 중량% 이하, 18 중량% 이하, 17 중량% 이하, 16 중량% 이하,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또는 1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은 각각의 성분이 전술한 범위 내의 조성비를 가짐으로써,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석영계 입자를 혼합하여 제조된 것이다. 즉, 본 출원의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은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석영계 입자와 혼합하기 이전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자외선 반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 등이 먼저 배합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준비한 후,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석영계 입자와 혼합하여 제조된다. 이를 통해 자외선 반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의 분산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반사제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 자외선 영역의 광을 인조 대리석 표면에서 반사시켜 상기 자외선 영역의 광이 바인더 수지 조성물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자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자외선 영역의 광은 일반적으로 400 nm 이하의 파장 범위를 갖는 광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외선 반사제는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량부는 어떠한 물질의 중량을 기준으로 다른 물질의 중량을 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 상기 자외선 반사제의 함량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3 중량부 내지 17 중량부, 4 중량부 내지 14 중량부 또는 5 중량부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반사제를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반사제를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전술한 범위 초과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반사제의 고유 색상에 의해 색상을 변화시키고, 원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외선 반사제로는 분자량이 50 g/mol 내지 15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반사제의 분자량은 55 g/mol 내지 140 g/mol 또는 60 g/mol 내지 130 g/mol일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을 만족하는 이상, 자외선 반사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이산화규소(SiO2), 지르코니아(ZrO2), 이산화티타늄(TiO2) 및 알루미나(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외선 반사제는 입자의 크기가 0.1 ㎛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반사제가 전술한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가짐으로써,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 중 적어도 일부 자외선 영역의 광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고 열의 형태로 변화시켜 상기 자외선 영역의 광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열화를 방지함으로써, 상기 자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함량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100 중량부 대비 0.2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또는 0.3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흡수제를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전술한 범위 초과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고유 색상에 의해 색상을 변화시키고, 원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로는 분자량이 50 g/mol 내지 5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분자량은 60 g/mol 내지 450 g/mol 또는 70 g/mol 내지 400 g/mol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분자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을 만족하는 이상, 상기 자외선 흡수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사닐라이드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는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에 의해 생성된 라디칼을 제거하여 라디칼에 의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의 광산화 작용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광을 차단하는 특성을 가지는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광 안정제는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 상기 광 안정제의 함량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2 중량부 내지 2 중량부 또는 0.3 중량부 내지 1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를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안정제를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내에 전술한 범위 초과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경우, 상기 광 안정제의 고유 색상에 의해 색상을 변화시키고, 원재료비가 상승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광 안정제로는 분자량이 300 g/mol 내지 1600 g/mol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광 안정제의 분자량은 350 g/mol 내지 1570 g/mol, 400 g/mol 내지 1540 g/mol 또는 440 g/mol 내지 1500 g/mol일 수 있다. 상기 광 안정제의 분자량이 전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분산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분자량을 만족하는 이상, 광 안정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힌더드 아민계(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LAS) 광 안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로는 N-OR(알콕시기)형, N-H(수소 원자)형 또는 N-R(알킬기)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OR형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로는 NOR형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시스템(티누빈 PA123, 바스프(BASF)사제), NOR형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시스템(티누빈 XT850FF, 바스프(BASF)사제), NOR형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시스템을 기본으로 하는 내후 안정제 시스템(티누빈 855FF, 바스프(BASF)사제), 과산화 처리한 4-부틸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과 2,4,6-트리클로로-1,3,5-트리아진 및 시클로헥산, N,N'-에탄-1,2-디일비스(1,3-프로판디아민)과의 반응 생성물(Flamestab NOR116FF, 바스프(BASF)사제) 또는 비스(1-운데칸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4-일)카르보네이트(LA-81, 아데카(ADEKA)사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H형 힌더드 아민계 광안정제로는 N-H형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 시스템(N30, 클라리언트(Clariant) 사제),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부탄-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아데카스탭 LA-57, 아데카(ADEKA)사제),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티누빈(TINUVIN) 770DF, 바스프(BASF)사제),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N,N'-디포르밀헥사메틸렌디아민(UVINUL4050FF, 바스프(BASF)사제), 디부틸아민·1,3,5-트리아진·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6-헥사메틸렌디아민과 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부틸아민의 중축합물(치마소르브(Chimassorb) 2020FDL, 바스프(BASF)사제),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아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치마소르브 944FDL, 바스프(BASF)사제) 또는 올레핀(C20-C24)·무수 말레산·4-아미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공중합물(UVINUL5050H, 바스프(BASF)사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형 힌더드 아민계 안정제로는,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3,5-비스(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메틸]부틸말로네이트(티누빈 144, 바스프(BASF)사제),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및 메틸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혼합물(티누빈 765, 바스프(BASF)사제), 숙신산과 디메틸-1-(2-히드록시에틸)-4-히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중축합물(티누빈 622SF, 바스프(BASF)사제), N,N'-비스(3-아미노프로필)에틸렌디아민-2,4-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6-클로로-1,3,5-트리아진 축합물(SABOSTABUV119, SABO S.r.l사제),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아데카스탭 LA-52, 아데카사제),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트리데실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아데카스탭 LA-62, 아데카사제),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릭 애시드,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올과 3,9-비스(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아데카스탭 LA-63, 아데카사제),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딘올과, 트리데실알코올과의 축합물(아데카스탭 LA-63P, 아데카사제) 또는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메타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및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및 비닐계 단량체가 혼합된 수지 혼합물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는 후술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의 종류가 적어도 2000 이상 또는 3000 이상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가지는 화합물을 의미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비닐계 단량체 25 중량%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에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의 함량은 하한이 61 중량% 이상, 62 중량% 이상, 63 중량% 이상, 64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66 중량% 이상, 67 중량% 이상 또는 68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상한이 74 중량% 이하, 73 중량% 이하, 72 중량% 이하, 71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또는 69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내에 상기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하한이 26 중량% 이상, 27 중량% 이상, 28 중량% 이상, 29 중량% 이상 또는 30 중량% 이상일 수 있고, 상한이 39 중량% 이하, 38 중량% 이하, 37 중량% 이하, 36 중량% 이하, 35 중량% 이하, 34 중량% 이하, 33 중량% 이하 또는 3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통상적으로 상기 비닐계 단량체 내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가 희석되어 점성이 있는 용액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를 전술한 범위의 함량으로 만족시킴으로써, 점도를 줄여주어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취급하는데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부산물의 생성 없이,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폴리에스테르 분자 사슬의 교차결합에 의해 액체에서 고체로 경화시킬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의 종류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포화 또는 불포화 이염기산; 및 다가 알코올의 축합반응을 통해 제조되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포화 또는 불포화 이염기산으로는 오쏘(ortho)-프탈산, 이소프탈산, 무수말레산, 시트라콘산, 푸마르산, 이타콘산, 프탈산, 무수프탈산, 테레프탈산, 호박산, 아디핀산, 세바신산 또는 테트라히드로프탈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가 알코올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수소화 비스페놀 A, 트리메틸롤 프로판 모노아릴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2,2,4-트리메틸-1,3-펜타디올 및/또는 글리세린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아크릴산, 프로피온산 또는 안식향산과 같은 일염기산; 또는 트리멜리트산 또는 벤졸의 테트라카본산과 같은 다염기산을 더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비닐계 단량체의 종류로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또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으나,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와의 반응성을 고려하여,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비닐 톨루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 스티렌 및 할로겐으로 치환된 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의 종류로는 스티렌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인조 대리석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조 대리석은 전술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물에 관한 것으로, 후술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조 대리석은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물이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인조 대리석은 적절한 열의 인가 또는 숙성(aging) 공정을 통하여, 경화되는 열경화 공정을 이용하여 경화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인조 대리석은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물로써,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경화물은 KS F 4739에 따른 굴곡 강도가 30 MPa 내지 80 MPa일 수 있다. 상기 굴곡 강도는 굽힘 하중에 의해 상기 경화물이 파단에 이르기까지의 최대 응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물의 굴곡 강도는 40 MPa 내지 70 MPa, 또는 50 MPa 내지 60 MPa일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이 전술한 범위 내의 굴곡 강도를 가짐으로써, 외장재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물은 KS F 2519에 따른 압축 강도가 200 MPa 내지 250 MPa일 수 있다. 상기 압축 강도는 상기 경화물이 압축력을 받았을 때 파괴에 이르기까지의 최대 응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경화물의 압축 강도는 210 MPa 내지 240 MPa 또는 220 MPa 내지 230 MPa일 수 있다. 상기 경화물이 전술한 범위 내의 압축 강도를 가짐으로써, 외장재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출원은 또한, 외장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외장재는 전술한 인조 대리석을 포함하는 외장재에 관한 것으로, 후술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각각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에서 기술한 내용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상기 외장재는 상기 인조 대리석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외장재는 QUV 장비를 통해 1000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된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내광성(ΔE)이 5 이하일 수 있고, 또한, 4.5 이하일 수 있다.
[수학식 1]
ΔE=(ΔL*2 + Δa*2 + Δb*2)1/2
상기 수학식 1에서, L*은 밝은색과 어두운색의 차이이고, a*는 붉은색과 초록색의 차이이며, b*는 노란색과 파란색의 차이이다. 또한, 상기 ΔL*은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L*의 차이이고, Δa*는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a*의 차이이며, Δb*는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b*의 차이이다.
상기 외장재가 전술한 조건에서 전술한 범위의 ΔE를 만족함으로써,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본 출원의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상기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 및 상기 인조 대리석을 포함하는 외장재는 천연석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미감을 갖고, 외장재에 적용하기 위한 우수한 내광성 및 내후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구현예에 따른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168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된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출원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의 제조
바인더 수지 조성물 및 석영 입자를 10:90의 중량비율(중량%)로 균일하게 혼합하여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오쏘(ortho)-프탈산이 다가 알코올과 중축합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와 스티렌 모노머가 65:35의 중량비율(중량%)을 갖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후,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자외선 반사제로서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CR826, Tronox) 10 중량부,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1 중량부,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1 중량부, 경화제로서 터트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열경화제(TBPB, Trigonox C, akzo nobel) 1.5 중량부 및 촉매제로서 코발트 6% 촉매제(Hex-Cem, Borchers) 0.1 중량부를 혼합하고, 분산시켜 바인더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인조 대리석의 제조
상기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몰드에 투입하여 진공 조건 하에서 상하 진동으로 2 분 내지 5 분간 진동시키면서 압력을 가해 판 형태로 성형한 후, 오븐에서 120℃에서 열경화시켜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5 중량부 및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8 중량부 및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1 중량부 및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5 중량부 및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8 중량부 및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8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1 중량부 및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5 중량부 및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8 중량부 및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1 중량부 및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1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5 중량부 및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5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각각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10 중량부,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8 중량부 및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8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바인더 수지 조성물에 자외선 반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2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80 g/mol의 이산화티타늄 자외선 반사제(CR826, Tronox) 5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61 g/mol의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Uvinul 3039,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94 g/mol의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571,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50 g/mol의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PR25, Clariant)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12 g/mol의 옥사닐라이드계 자외선 흡수제(Tinuvin 312,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광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8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737 g/mol의 N-O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PA123,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9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0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440 g/mol의 N-R형 아민계 광 안정제(Tinuvin 765, BASF)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500 g/mol의 N-H형 아민계 광 안정제(N30, Clariant) 0.8 중량부를 사용하고, 자외선 반사제 및 자외선 흡수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및 인조 대리석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내광성 테스트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을 QUV 장비(QUV, Q-LAB)에 거치 후, 340 nm의 자외선을 0.6 W/m2의 강도로 조사하였으며, 장비 내부의 온도를 50℃로 유지하였다. 실험 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 표면의 색을 색차계(Spectro-guide, BYK)로 측정하여 L*, a*, b* 값을 기록하고, 자외선 노출 시간 경과에 따라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의 색을 다시 색차계로 측정하여 △L*, △a*, △b*를 계산하였다. 실험 1000 시간 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의 색을 다시 색차계로 측정하여 계산된 △L*, △a*, △b*를 하기 수학식 1에 대입하여 내광성(△E)을 구하고, 그 결 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E=(△L*2 + △a*2 + △b*2)1/2
상기 수학식 1에서, L*은 밝은색과 어두운색의 차이이고, a*는 붉은색과 초록색의 차이이며, b*는 노란색과 파란색의 차이이다.
내광성(△E)
실시예 1 3.6
실시예 2 3.3
실시예 3 3.2
실시예 4 3.8
실시예 5 3.5
실시예 6 3.4
실시예 7 3.7
실시예 8 3.5
실시예 9 3.4
실시예 10 4.2
실시예 11 3.7
실시예 12 3.4
비교예 1 25.8
비교예 2 15.2
비교예 3 5.2
비교예 4 15.3
비교예 5 12.0
비교예 6 11.7
비교예 7 14.2
비교예 8 20.1
비교예 9 17.5
비교예 10 16.4
비교예 11 6.5
L*: 밝은색과 어두운색의 차이
a*: 붉은색과 초록색의 차이
b*: 노란색과 파란색의 차이
ΔL*: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L*의 차이
Δa*: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a*의 차이
Δb*: 자외선에 노출되기 전과 후의 b*의 차이
내광성 테스트 결과,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동시에 첨가한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은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첨가하지 않거나, 상기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 광 안정제 중 한 종류 또는 두 종류만 첨가한 비교예 1 내지 11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에 비해 내광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또는 광 안정제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내광성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각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 광 안정제의 고유 색상으로 인해 과량 첨가될 경우, 단가가 높고, 인조 대리석의 색상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반해,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과 같이, 자외선 반사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로 첨가하였을 때, 내광성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로 첨가 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과 같이, 자외선 흡수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첨가하였을 때, 내광성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2, 3, 5, 6, 8, 9, 11 및 1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과 같이, 0.3 중량부 내지 0.8 중량부로 첨가 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과 같이, 광 안정제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2 중량부로 첨가하였을 때, 내광성이 개선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2, 3, 5, 6, 8, 9, 11 및 1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과 같이, 0.3 중량부 내지 0.8 중량부로 첨가 시,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2에서 제조된 인조 대리석을 실험 168 시간 후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 광 안정제 중 UV 반사제만 첨가한 비교예 2의 경우, 1000 시간에 한참 못 미치는 168 시간(7일) 가량만 자외선에 노출 되어도 변색이 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UV 반사제, UV 흡수제 및 광 안정제 3종을 동시에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에서 제조된 대리석은 외장재로 사용하기에 매우 부적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하기 a 및 b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a. 석영계 입자 80 중량% 내지 95 중량% 및
    b.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자외선 반사제, 자외선 흡수제 및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바인더 수지 조성물 5 중량% 내지 20 중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사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2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정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 대비 0.1 중량부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반사제는 이산화규소(SiO2), 지르코니아(ZrO2), 이산화티타늄(TiO2) 및 알루미나(Al2O3)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트리아졸계 자외선 흡수제, 말론산계 자외선 흡수제, 옥사닐라이드계 자외선 흡수제, 벤조페논계 자외선 흡수제 및 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안정제는 힌더드 아민계 광 안정제를 포함하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및 비닐계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지 혼합물인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고분자 60 중량% 내지 75 중량% 및 비닐계 단량체 25 중량% 내지 40 중량%로 이루어지는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계 단량체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인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11. 제 1 항의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물인 인조 대리석.
  12. 제 11 항에 있어서, 경화물은 굴곡 강도가 30 MPa 내지 80 MPa이고, 압축 강도가 200 MPa 내지 250 MPa인 인조 대리석.
  13. QUV 장비를 통해 1000 시간 동안 자외선에 노출된 후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계산된 내광성(ΔE)이 5 이하이고, 제 11 항의 인조 대리석을 포함하는 외장재:
    [수학식 1]
    ΔE=(ΔL*2 + Δa*2 + Δb*2)1/2
    상기 수학식 1에서, L*은 밝은색과 어두운색의 차이이고, a*는 붉은색과 초록색의 차이이며, b*는 노란색과 파란색의 차이이다.
KR1020180106840A 2018-09-07 2018-09-07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KR10234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40A KR102343441B1 (ko) 2018-09-07 2018-09-07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840A KR102343441B1 (ko) 2018-09-07 2018-09-07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595A true KR20200028595A (ko) 2020-03-17
KR102343441B1 KR102343441B1 (ko) 2021-12-27

Family

ID=700040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840A KR102343441B1 (ko) 2018-09-07 2018-09-07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3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174A (ko) * 2021-11-23 2023-05-31 (주)엘엑스하우시스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238A (ja) * 2000-10-17 2002-04-23 Dainippon Ink & Chem Inc 耐候性に優れる人工大理石およびその組成物
KR20020062060A (ko) * 2001-01-19 2002-07-25 김성열 슬래그를 이용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20100020779A (ko) * 2008-08-13 2010-02-23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5990A (ko) * 2008-08-28 2010-03-10 임성진 인조석 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16814A (ko) * 2009-04-23 2010-11-02 지만희 인조 대리석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 대리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1238A (ja) * 2000-10-17 2002-04-23 Dainippon Ink & Chem Inc 耐候性に優れる人工大理石およびその組成物
KR20020062060A (ko) * 2001-01-19 2002-07-25 김성열 슬래그를 이용한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20100020779A (ko) * 2008-08-13 2010-02-23 (주)엘지하우시스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5990A (ko) * 2008-08-28 2010-03-10 임성진 인조석 판재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16814A (ko) * 2009-04-23 2010-11-02 지만희 인조 대리석의 제조방법 및 그 인조 대리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76174A (ko) * 2021-11-23 2023-05-31 (주)엘엑스하우시스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3441B1 (ko) 2021-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8799B1 (ko) 무기 재료 및 유기 중합체를 포함하는 복합재의 제조
US5280051A (en)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artificial marble or granite
US10766815B2 (en) Engineered ston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137733B2 (ja) ジアリルフタレート樹脂組成物
TW200823265A (en) Heat-curable silicone composition and light emitting diode element using same
KR101548342B1 (ko) 인조대리석용 칩, 이를 함유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14615A (ko) 경화성 중합체 콘크리트 혼합물
KR102343441B1 (ko) 인조 대리석용 조성물
KR102280744B1 (ko) 내광성이 개선된 인조대리석
US10961153B2 (en) Composition for synthetic stone
KR102343442B1 (ko) 인조대리석의 제조방법
KR101316478B1 (ko) 멜라민 수지칩을 포함하는 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2141491B1 (ko) 강화 천연석
KR20210129846A (ko) 실란계 커플링제로 전처리한 석영을 포함하는 엔지니어드 스톤 및 이의 제조 방법
AU2024100012A4 (en) Composite slab comprising recycled glass
WO2022114865A1 (ko)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WO2018130351A1 (en) Curing agent for curing a polymer resin
US20230416149A1 (en) Artificial marble having high light transmittance
WO2019088409A1 (ko) 내광성이 개선된 인조대리석
KR102657647B1 (ko)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027138A1 (ko) 엔지니어드 스톤용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엔지니어드 스톤
WO2018124427A1 (ko) 강화 천연석
KR20220074796A (ko) 높은 광 투과도를 갖는 인조대리석
KR20200051217A (ko) 안료 분산액 및 인조대리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