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186A -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186A
KR20200028186A KR1020180106547A KR20180106547A KR20200028186A KR 20200028186 A KR20200028186 A KR 20200028186A KR 1020180106547 A KR1020180106547 A KR 1020180106547A KR 20180106547 A KR20180106547 A KR 20180106547A KR 20200028186 A KR20200028186 A KR 2020002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ask pack
essential oil
citrus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3448B1 (ko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트리플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리플협동조합 filed Critical 트리플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180106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34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5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for selecting or displaying personal cosmetic colours or hairsty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팩의 유효성분이 쉽게 유실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유지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를 주어 피부가 탄력을 유지하여 피부손상을 억제하면서 내구성도 우수하므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귤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미부미백은 물론 항염증, 보습력 향상,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Citrus Essential Oil Mask Pack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팩의 유효성분이 쉽게 유실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유지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를 주어 피부가 탄력을 유지하여 피부손상을 억제하면서 내구성도 우수하므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귤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미부미백은 물론 항염증, 보습력 향상,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피부의 구성은 각질,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체를 외부적 요인이나 환경으로부터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해주는 기능을 한다.
피부의 구조를 살펴보면 바깥쪽의 표피(Epidermis)는 기능적으로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각질층, 투명층, 과립층, 기저층으로 나뉘며, 안쪽의 진피(Dermis)는 치밀한 결합조직이고, 진피 안쪽에는 피하조직(hypodermis)으로 피부를 안쪽 기관에 고정 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중 표피는 3개의 피부 구조 중에서 가장 얇은 층으로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기능으로 피부미용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표피의 각질층은 수분 함유량이 10% 이상 필수적으로 유지가 되어 있어야 되며, 함유량에 따라 각질층의 두께 정도가 달라진다고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각질층을 구성하고 있는 세포에는 수용성 성분인 고농도의 자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가 존재하여 피부가 유연성을 나타내도록 작용함은 물론 적절한 수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데, 예를 들면 아미노산과 같은 물질은 수용성일 뿐만 아니라 효과적으로 수분과 결합하여 피부에서 수분이 건조되는 것을 억제한다.
그러나, 연령, 성별, 구체적 부위, 지속적인 환경자극 및 스트레스의 증가 등의 외부 자극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피부 노화의 원인 중 가장 큰 요인은 피부 내의 각종 다당류의 함유량 및 외부 환경에 대한 면역작용능력 등 여러 가지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중 큰 영향을 미치는 것들 중에 하나가 피부 수분 함유량으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는 이를 위해 보습제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는 휴멕턴트(humectant)나 수분 증발을 방지하는 폐쇄 보습제(occlusive moisturizer)를 사용하여 수분 보유를 증가시키는 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
또한, 최근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라멜라 액정을 함유한 제형들은 피부 각질 구조와 유사한 장점으로 수분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원료들의 특정 조성에서만 제조가 가능하여 보편적으로 사용하기에는 문제점들이 있다.
화장품 산업에 있어서 피부보습을 특징으로 하는 기술들이 다수의 논문 및 특허를 통하여 발표되고 있으며, 매우 다양한 제품으로 산업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천연추출물을 이용하여 보습기능을 부여하는 물질로써 오이추출물, 당근추출물, 녹차추출물, 홍화씨추출물, 마치현추출물, 은행잎추출물 등의 다양한 식물의 추출물질을 이용한 피부보습 화장료인 스킨류, 로션류, 크림류, 에센스류, 팩류 등의 제품으로 많이 출시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추출물은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유효성분의 분리과정이 어렵고 번거로워 제품 단가를 높일 뿐만 아니라, 광고나 홍보에 비해 주름개선효과나 피부 미백효과가 크지 않아 소비자의 불만이 높아가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보편적인 피부 보습제공, 피부 탄력유지를 위한 화장제품으로는 주로 얼굴에 사용되는 마스크팩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얼굴(Face) 피부미용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신경을 쓰는 관심대상으로서 이러한 얼굴의 피부를 보호하고 탄력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 얼굴의 피부에 영양크림을 바르거나 팩을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의 얼굴 부위 미용수단이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천연 재료를 이용한 팩(예. 오이나 과일 등을 적당한 크기로 잘라 얼굴에 직접 붙이거나 바름)은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선호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천연 팩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보다 편리하게 천연 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마스크팩은 손쉽게 얼굴을 마사지하기 위하여 미용필름에 피부 미용을 위한 기능성 화장품을 겔 형태로 함침시켜 얼굴 형태에 맞게 마스크 형상으로 제작한 것이다.
그런데, 팩 기능을 갖도록 함침액을 함침시켜야 하므로 함침성이 우수한 면화 또는 천연펄프, 비스코스 레이온(viscose rayon) 등의 재질을 쓸 수 밖에 없고 이로 인해 스판성(span)이 떨어지기 때문에 당겼을 때 쉽게 찢어져 버리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PE 소재 등의 두 겹 시트 사이에 팩 성분을 넣고 열접합, 접착 혹은 재봉하여 합지한 예가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합지부위가 잘 떨어지므로 팩 성분의 유실이 쉽게 발생하여 사용시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하기한 [선행기술문헌]에서와 같이 얼굴의 피부 노화를 방지하고, 트러블을 억제하면서 윤기있고 탄력적인 피부관리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기능성 팩 성분을 포함한 마스크팩들이 개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대부분 피부를 진정시키고 보습하는 개념에 국한되고 있어 피부트러블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지는 못한다는 한계에 봉착해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0057호(2013.01.30.)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50175호(2013.05.15.)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1066호(2016.05.11.) '토르마린 탄소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08701호(2017.12.07.) '천연오일이 함유된 폴리우레탄 재료를 이용한 화장용 시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팩의 유효성분이 쉽게 유실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유지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를 주어 피부가 탄력을 유지하여 피부손상을 억제하면서 내구성도 우수하므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귤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미부미백은 물론 항염증, 보습력 향상,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개선된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Web)을 생산하는 단계와; 생산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을 감귤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함침액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함침액에 함침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 여러개를 적층하되 웹과 웹 사이에 pH 4.5-5.5의 약산성을 유지시키는 충전물을 살포하는 단계와; 충전물이 살포된 상태로 적층된 여러개의 웹을 니들펀칭하여 하나의 부직포로 만드는 단계와; 만들어진 부직포의 일면에 고흡수성 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합지된 부직포를 일정크기로 재단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흡수성 시트는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로 성형된 두께 0.5mm의 시트인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팩의 유효성분이 쉽게 유실되지 않고 장기간 동안 유지될 뿐만 아니라, 피부트러블을 억제하고 항산화 효과를 주어 피부가 탄력을 유지하여 피부손상을 억제하면서 내구성도 우수하므로 쉽게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감귤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함으로써 미부미백은 물론 항염증, 보습력 향상, 피로회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버멕틴 펠릿의 예시적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이버멕틴의 화학 구조식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마스크팩 사용 전, 후의 얼굴(이마)에 있던 홍반 가라앉음 여부를 동일 인물에 대하여 촬영산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은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Web)을 생산하는 단계와, 생산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을 함침액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함침액에 함침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 여러개를 적층하되 웹과 웹 사이에 충전물을 살포하는 단계와, 충전물이 살포된 상태로 적층된 여러개의 웹을 니들펀칭하여 하나의 부직포로 만드는 단계와, 만들어진 부직포의 일면에 고흡수성 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합지된 부직포를 일정크기로 재단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스크팩 제조를 위한 단계중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을 생산하는 단계에서는 수중에 폴리에스터 단섬유를 균일하게 현탁시킨 후 두 개의 벨트 사이로 통과시켜 웹을 만드는 공지된 방식을 그대로 이용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은 진피 충전효과를 높이기 위해 함침액에 함침되는 단계를 거친다.
이때, 함침액은 수용성 실리콘 폴리에스터수지 1000g 당 폴리감마 글루탐산 하이드로겔 150mg과; 감귤계 에센셜 오일과 팜오일 및 코코넛오일이 2:1:1의 중량비로 혼합된 혼합오일 200mg과; 올레아미드 50g 및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 75g의 첨가비율로 혼합 조성된다.
여기에서, 수용성 실리콘 폴리에스터수지(Waterbase silicone modified polyester resin)는 부직포의 주원료인 폴리에스터와의 교합성, 침투성을 좋게 하므로 사용되는 베이스 수지이다.
그리고, 상기 폴리감마 글루탐산 하이드로겔은 다음과 같은 공정을 거쳐 만들어진 것을 사용한다.
즉, 상기 폴리감마 글루탐산 하이드로겔의 제조는 비이커에 pH 5.5의 포스페이트 솔벤트(Phosphate Solvent) 100㎖와 폴리감마 글루탐산 1mol을 넣고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완전히 용해시킨 후 1,4-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4-butanediol diglycidyl ether)를 0.5mol 첨가하여 재교반하는 공정; 교반이 완료되면 25℃의 항온조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꺼내어 마그네슘 아스코빌 포스페이트(magnesium ascorbyl phosphate)를 0.5mol 첨가한 상태에서 1시간 동안 다시 교반하는 공정; 교반이 완료되면 다시 25℃의 항온조에 넣고 24시간 동안 유지하여 폴리감마 클루탐산 하이드로겔을 만드는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폴리감마 글루탐산 하이드로겔은 약산성을 갖게 되어 후술되는 피부에 존재하는 모낭충 활성억제 및 그로 인한 사멸에 탁월한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폴리감마 글루탐산 하이드로겔은 피부 항산화작용을 통해 피부가 탄력을 유지하도록 하여 주는데 이것은 이미 화장품업계에 보고되어 있는 내용이다.
또한, 혼합오일중 감귤계 에센셜 오일은 시트러스 계열의 상쾌한 향을 제공하여 코로 들이 마셨을 때 심신을 안정시키고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팜오일과 코코넛오일은 글리세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합성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보습성, 세정성, 천연거품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울러, 올레아미드(Oleamide)는 슬립성을 강화시켜 함침액의 흐름성과 유동성을 높여 함침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이소퀴놀린 알칼로이드는 암팔라야(Bitter Melon), 황련 뿌리, 매발톱나무 뿌리에서 추출되는 추출물로서 곰팡이는 물론 살모넬라균 등 널리 알려진 균류에 대한 천연 항균제이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의 표면에서 항균성을 높이되, 인공적인 합성항균제가 아닌 천연항균제를 활용함으로써 피부자극을 줄이고 친환경성을 확보하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한편, 여러개의 웹을 적층할 때 웹과 웹 사이에 충전물을 살포하는 단계는 본 발명이 목적하는 효과를 충분히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충전물이 단지 웹 표면에 부착되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니들펀칭 단계를 통해 웹과 웹 사이에 갇히도록 하여 유효물질(충전물)의 유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때, 살포되는 충전물은 겔 형태가 바람직하며, 물과 이버멕틴 펠릿이 700:1의 중량비로 혼합 용해된 용액 30중량%와; 물과 레몬즙이 200:1의 부피비로 희석된 희석액 20중량%와; 유칼립투스 추출액 5중량%와; 프로스타그란딘 0.5중량%와;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 5중량%와; 퓨시드산화나트륨 하이드로겔 5중량%와;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 5중량% 및 나머지 수용성 실리콘 폴리에스터수지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이버멕틴 펠릿은 이버멕틴(Ivermectin)을 펠릿화시킨 것으로, 도 1과 같은 형태의 펠릿이며, 이버멕틴은 도 2와 같은 화학 구조식을 갖는다.
이러한 이버멕틴은 충류 살균에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모낭충 사멸에 기여할 수 있도록 충전물 형태로 웹과 웹 사이에 충전되게 한다.
다만, 과량 첨가시 부작용의 우려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인체에 사용할 수 있음이 공인되기는 하였지만 인체 접촉을 감안하여 물과 700:1의 비율로 희석한 혼합용액을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희석액은 레몬즙을 이용하여 마스크팩을 하고 있는 동안 얼굴 피부가 약산성(pH 4.5-5.5)을 유지하도록 희석비율을 정해 희석시킨 것이다.
알려진 바에 따르면, 모낭충은 약알카리에서 매우 활발한 활성을 보이고, 약산성이 되면 활성이 떨어지면서 사멸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보고되어 있으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은 약산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모낭충은 피부진드기로서 피부의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먹이로 하는데, 세안 등을 통해 피부가 알카리성 상태로 유지되면 각질층에 유분과 수분밸런스가 깨져 저항력이 약해지고, 이로 인해 세균 번식이 왕성하게 되므로 무좀, 피부노화, 가려움증, 건선, 아토피 등을 일으키게 되며, 이에 따라 모낭충의 활성이 커지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것은 통상 인체의 피부(표피-진피-피하조직으로 구성됨)가 pH 4.5-5.5를 유지하는 이유이기도 한데, 표피를 통해 각종 세균이 쉽게 침투하기 때문에 이를 억제하기 위해 약산성을 유지하고 있는 바, 세안 후 마스크팩 사용시 이러한 환경을 그대로 유지시켜 모낭충 활성 억제 기능을 강화시키면서 피부 보습, 항산화억제, 진피 충전 등의 효과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본 발명이 착상된 것이다.
아울러, 상기 유칼립투스(Gum Tree)는 도금양목 도금양과에 속하는 상록교목 또는 관목으로서 수분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으며, 유칼립투스도 잎과 줄기로부터 얻은 추출액을 사용하고, 피부를 약산성으로 유지시키면서 모낭충에 대한 살균 기능을 갖는 물질이므로 본 발명에서 첨가 사용된다.
또한, 상기 프로스타그란딘(prostaglandin)은 생리활성 물질로서 피부 접촉시 염증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첨가된다.
그리고, 상기 셀룰로오스 디아세테이트는 셀룰로오스를 구성하는 파라노스(pyranose) 고리로 인해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게 되므로 충전물이 충전된 부직포의 인장강도, 굴곡강도, 충격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퓨시드산화나트륨 하이드로겔은 흡습성이 강한 퓨시드산화나트륨 백색분말을 친수성 고분자가 물을 함유하면서 팽창하여 하이드로겔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3차원 망목구조와 미결정 구조를 갖추도록 함으로써 흡습성을 강화시켜 마스크팩 사용시 쾌적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첨가된다
아울러, 상기 노닐페놀 에톡시레이트는 부직포와의 교합성을 증대시키면서 계면활성 기능을 제공하고, 특히 산화방지 효과를 얻기 위해 첨가된다.
이와 같은 단계를 통해 충전물의 충전이 완료되며, 이어 적층된 다겹의 웹들을 니들펀칭하여 하나의 부직포로 만드는 단계가 수행된다.
여기에서, 니들펀칭이란 촉(barb, hook)이 있는 바늘로 포개어진 웹들을 찔러 웹을 구성하는 섬유를 얽어서 일체화되게 만드는 방법으로 이를 거치게 되면 겹과 겹 사이에 충전되어 있는 충전물이 완전히 결속되어 고정되므로 겹과 겹 사이로 유실되지 못하게 되어 장기간동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특히, 충전물에는 셀룰로오스와 같은 섬유질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니들펀칭되는 과정에서 이들도 같이 얽히게 되어 결속력이 더욱 강화되며, 그 만큼 고정력이 증대되므로 유실 우려가 없어지게 된다.
이후, 만들어진 부직포의 일면에 고흡수성 시트를 합지하는 단계를 거친다.
상기 고흡수성 시트는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로 성형된 두께 0.5mm의 시트로서 두께가 두꺼우면 사용시 충전물의 피부 침착이 저해되므로 상기 두께로 유지해야 한다.
이러한 고흡수성수지는 아크릴산과 가성소다를 혼합해 제조한 백색 분말 형태 합성수지이며, 이를 용융시켜 카렌다링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0.5mm 두께의 고흡수성 시트가 된다.
상기 고흡수성 시트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직포에 합지된다.
이렇게 하여 합지가 완료되면 일정크기로 재단되어 제품화되는 단계를 거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마스크팩은 사용시 고흡수성 시트가 합지된 반대면에 물분무기로 물을 일정량 분무시킨다.
그런 다음, 고흡수성 시트 쪽을 사용자의 얼굴에 부착한다.
그러면, 고흡수성 시트가 반대면의 수분을 끌어당기면서 충전물의 충전성분을 함께 끌어와 얼굴 표면으로 도입하고, 도입된 성분들은 얼굴 피부에 침착된다.
이때, 고흡수성 시트는 아주 얇기 때문에 습기를 머금고 있을 수 있는 양이 작아 대부분의 충전물은 얼굴 피부로 침착되게 된다.
특히, 그 과정에서 약산성이 유지됨은 물론 모낭충을 죽일 수 있는 이버멕틴과 같은 성분, 항균 성분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이 함께 침착되므로 모낭충 사멸에 효과를 볼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이미 화장료 산업분야에서 성능이 확인된 폴리감마 클루탐산 하이드로겔이 함께 침착되므로 피부 보습은 물론 항산화효과를 더 갖게 되어 피부노화도 방지하고, 피부 탄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제조된 마스크팩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0대 여성 5명을 선발하여 점심 후, 그리고 취침전 하루 2번 30분씩 5일간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을 사용한 결과 피부 탄력이 살아나고 보습이 충분히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특히, 모낭충에 의한 홍반 발생 부위에 대해 5명중 한 명의 사진을 촬영하여 5일 전,후를 비교하였으며, 이는 도 3과 도 4에 예시하였다.
도 3과 같이 모낭충에 의한 원인으로 홍반이 상당부분 발생되어 있고 간지러움이 심하였던 30대 여성이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을 5일간 사용한 결과, 도 4의 예시와 같이 홍반이 많이 줄어 들었으며 간지러움이 사라졌고, 피부탄력과 윤기도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항곰팡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조된 마스크팩에 곰팡이 균주를 각각 1㎖씩 2군데에 떨어뜨린 후 5일, 10일간 항균 활성여부를 체크하였다.
이때, 시험방법은 ASTMG-21에 따랐고, 활성여부는 배양된 균주의 성장 유무로 확인하였으며, 시험한 곰팡이 균주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 ATCC 9642 였다.
시험 결과, 5일, 10일간 균주의 성장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 항균성(항곰팡이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2)

  1. 마스크팩 제조방법에 있어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Web)을 생산하는 단계와;
    생산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을 감귤계 에센셜 오일을 포함하는 함침액에 함침시키는 단계와;
    함침액에 함침된 폴리에스터 부직포 웹 여러개를 적층하되 웹과 웹 사이에 pH 4.5-5.5의 약산성을 유지시키는 충전물을 살포하는 단계와;
    충전물이 살포된 상태로 적층된 여러개의 웹을 니들펀칭하여 하나의 부직포로 만드는 단계와;
    만들어진 부직포의 일면에 고흡수성 시트를 합지하는 단계와;
    합지된 부직포를 일정크기로 재단하여 제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시트는 고흡수성수지(Super Absorbent Polymer)로 성형된 두께 0.5mm의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KR1020180106547A 2018-09-06 2018-09-06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KR10210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47A KR102103448B1 (ko) 2018-09-06 2018-09-06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547A KR102103448B1 (ko) 2018-09-06 2018-09-06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186A true KR20200028186A (ko) 2020-03-16
KR102103448B1 KR102103448B1 (ko) 2020-04-22

Family

ID=69948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547A KR102103448B1 (ko) 2018-09-06 2018-09-06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03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1829A1 (en) * 2020-11-30 2022-06-02 Symrise Ag Essential oils of citrus fruits for use as medicament for induced, increased and/or accelerated autophagy in human keratinocyt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6910A (ko) * 2022-04-13 2023-10-20 김드보라 레몬즙에 크림 제형을 혼합 및 숙성한 동물 소양증성 피부트러블 완화 기능성 졸 및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57B1 (ko) 2011-07-15 2013-03-11 (주)페가서스리서치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0175A (ko)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5356A (ko) * 2014-01-15 2015-07-23 이태완 천연소재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미용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1066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토르마린 탄소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702590B1 (ko) * 2016-07-12 2017-02-03 에이치앤비 주식회사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701B1 (ko) 2017-08-31 2017-12-14 주식회사 이노코아 천연오일이 함유된 폴리우레탄 재료를 이용한 화장용 시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057B1 (ko) 2011-07-15 2013-03-11 (주)페가서스리서치 해조류 섬유를 함유한 마스크팩용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0175A (ko) 2011-11-07 2013-05-15 주식회사 제이앤케이얼라이언스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085356A (ko) * 2014-01-15 2015-07-23 이태완 천연소재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는 미용팩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51066A (ko) 2014-10-31 2016-05-11 주식회사 이앤코리아 토르마린 탄소 마스크팩의 제조방법
KR101702590B1 (ko) * 2016-07-12 2017-02-03 에이치앤비 주식회사 마스크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808701B1 (ko) 2017-08-31 2017-12-14 주식회사 이노코아 천연오일이 함유된 폴리우레탄 재료를 이용한 화장용 시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1829A1 (en) * 2020-11-30 2022-06-02 Symrise Ag Essential oils of citrus fruits for use as medicament for induced, increased and/or accelerated autophagy in human keratinocyt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03448B1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3301B1 (ko) 이수 방지 기능을 갖는 하이드로겔 조성물 및 이를포함하는 성형체
US7452547B2 (en) Product for treating the skin comprising a polyamine microcapsule wall and a skin lightening agent
EP2384734A2 (en) Transparent facial treatment mask
CN104010662B (zh) 使皮肤回春的组合物和方法
KR101592242B1 (ko) 식물성콜라겐을 함유한 화장 제거 및 피부 관리용 다기능성 클렌징 티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3448B1 (ko) 감귤계 에센셜 오일 마스크팩 제조방법
KR101909980B1 (ko) 보습 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3615A (ko) 키토산을 이용한 diy 마스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50175A (ko) 천연잎 마스크팩 시트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9044907A (zh) 一种无痛透皮美容微针贴及其制备方法
KR102613845B1 (ko) 천연물 유래의 피부개선용 화장조성물
CN105496886B (zh) 植物鞘氨醇护肤液
KR20170012810A (ko) 천연꽃잎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
CN111603426A (zh) 一种补水保湿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N103070795A (zh) 一种有机护肤湿巾
KR100955085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40143973A (ko) 색상을 갖는 천연섬유 마스크팩
KR101127190B1 (ko) 약초 필링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1974B1 (ko) 피부 보습 또는 탄력개선용 마스크팩 조성물
KR20100137219A (ko) 한지에 홍삼을 적층시킨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050470A (ko) 멍제거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재
KR20070119971A (ko) 나노 은이 함유된 피부개선 기능을 갖는 기능성 화장품
KR102462647B1 (ko) 피부 탄력 개선 및 미백용 마스크 시트
KR102267190B1 (ko) 나노 리포좀 처리 공법에 의해 우수한 보습력 및 피부 침투 효과를 갖는 인공크림막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