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8085A -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8085A
KR20200028085A KR1020180106288A KR20180106288A KR20200028085A KR 20200028085 A KR20200028085 A KR 20200028085A KR 1020180106288 A KR1020180106288 A KR 1020180106288A KR 20180106288 A KR20180106288 A KR 20180106288A KR 20200028085 A KR20200028085 A KR 20200028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ameras
recorded
video
came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2438B1 (ko
Inventor
박주언
백운현
임장혁
백운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80106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243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8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8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2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2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 H04N21/2342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manipulating MPEG-4 scene graphs involving splicing one content stream with another content stream, e.g. for inserting or substituting an advertis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05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enabling multiple viewpoints, e.g. using a plurality of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8Source of audio or video content, e.g. local disk arrays
    • H04N21/2187Live f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e.g.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of a video stream to network bandwidth; Processing of multiplex streams
    • H04N21/2385Channel allocation; Bandwidth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2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n the sam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5/9201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 H04N5/92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the multiplexing of an additional signal and the video signal the additional signal being a sound signal

Abstract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카메라 별로 구별하여 녹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녹화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선택에 따라 상기 녹화된 각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새롭게 촬영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각 카메라별로 채널을 할당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카메라별로 녹화된 영상을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영상을 대신하여 각 카메라별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ING CONTENTS}
본 발명은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간 방송과 녹화방송을 전환하면서 송출하는 방송 송출 서버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생방송은 실시간으로 촬영되는 영상을 송출하는 것이고, 녹화 방송은 미리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였다가 정해진 시간 또는 사용자의 요청시 송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최근에는 생방송 중 특정 시점에는 미리 녹화하였던 영상을 송출하는 방식이 이용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음악 순위 방송의 경우, 가수들의 라이브 무대를 실시간으로 방송하는 중에, 미리 녹화되었던 가수들 영상을 중간에 끼워 방송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처럼 실시간 방송과 녹화 방송을 전환하면서 송출하는 기법은 종래에는 어느 하나의 채널에서만 이루어져 왔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가수들의 모습을 촬영하는 카메라는 복수 개일 수 있고, 그 각각의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각각 서로 다른 채널을 통해 송출되는 경우에는 각 복수 개의 채널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들의 동기화가 문제가 된다.
즉, 채널별 정확한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생방송과 녹화방송의 절체시 채널별로 싱크가 이루어지지 않아 각 채널을 전환하는 사용자들로부터 불만이 제기될 수 있는 것이다.
공개특허 제10-2008-0035148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요청에 부응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별도의 채널로 할당되어 송출되는 경우 그 복수의 카메라에 의한 생방송 송출 중에 녹화방송으로 전환되더라도 녹화 방송들 간의 채널별 싱크가 제대로 들어맞도록 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카메라 별로 구별하여 녹화하는 녹화 처리부와; 상기 녹화 처리부에 의해 녹화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선택에 따라 상기 녹화된 각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영상 시작점 판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새롭게 촬영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각 카메라별로 채널을 할당하여 송출하는 방송 송출부와; 외부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카메라별로 녹화된 영상이 상기 영상 시작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영상을 대신하여 각 카메라별 채널을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은,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카메라 별로 구별하여 녹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녹화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선택에 따라 상기 녹화된 각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새롭게 촬영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각 카메라별로 채널을 할당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외부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카메라별로 녹화된 영상을 상기 단계에서 판단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영상을 대신하여 각 카메라별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이 별도의 채널(주 채널 또는 부 채널)로 할당되어 송출되므로 시청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대상(가수, 스포츠 선수 등)의 모습을 위주로 시청할 수 있다.
특히, 녹화 영상들간의 동기화가 특정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내부 알고리즘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작업에 비해 정확한 동기화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생방송에서 녹화방송으로 절체시 복수의 채널들 간의 동기화가 정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시청자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녹화 영상들 간의 채널 전환을 하는 경우 녹화 영상 내의 사운드(노래, 연설 등)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를 포함하는 전체 방송 송출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송 송출 서버의 기능 블록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은 각 실시예에 포함되는 개별 구성, 개별 기능, 또는 개별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편의상 청구 범위의 일부 청구항에는 '(a)'와 같은 알파벳을 포함시켰으나, 이러한 알파벳이 각 단계의 순서를 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각 실시예에서 언급하는 각 신호는 한 번의 연결 등에 의해 전송되는 하나의 신호를 의미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특정 기능 수행을 목적으로 전송되는 일련의 신호 그룹을 의미할 수도 있다. 즉, 각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시간 간격을 두고 전송되거나 상대 장치로부터의 응답 신호를 수신한 이후에 전송되는 복수 개의 신호들이 편의상 하나의 신호명으로 표현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100)를 포함하는 전체 방송 송출 시스템의 개략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전체 방송 송출 시스템은 시청자 단말기(400), 복수 개의 카메라(200), 관리자 단말기(300), 방송 송출 서버(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시청자 단말기(400)는 방송 콘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들이 조작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댁내에 구비된 텔레비전이나 IPTV 수신 장치, 또는 휴대용 무선 통신 단말기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시청자 단말기(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방송 송출 서버(100)가 송출하는 영상(방송 콘텐츠)을 수신하여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한다.
관리자 단말기(300)는 방송 전송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조작하는 단말기로서, 예를 들어 컴퓨터에 해당할 수도 있고, 또는 관리자가 조작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200)는 방송 콘텐츠용 영상을 촬영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용 영상을 촬영하거나 또는 녹화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200)의 운영 주체는 다양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메라(200) 중 어느 하나는 방송국에서 관리하는 카메라이고, 나머지는 방청객이 소지하거나 또는 별도의 사업자가 관리하는 카메라일 수 있다.
방송 송출 서버(10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 녹화하거나 실시간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상술한 관리자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관리자의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송 송출 서버(100)의 구체적인 기능 블록의 일 예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100)는 녹화 처리부(110),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 방송 송출부(130),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녹화 처리부(11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카메라(200) 별로 구별하여 녹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실시간 방송 즉, 생방송 영상과 구별되는 사전 녹화 영상을 저장함을 의미한다.
이때 녹화 처리부(110)는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 중 동시점에 촬영된 영상 프레임에 동일한 타임코드를 주기적으로 삽입한 후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메라가 동일한 무대를 서로 다른 각도에서 촬영하는 것인 경우, 녹화 처리부(110)는 소정의 타이머(미 도시함)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미리 촬영되는 동시점의 영상들의 각 프레임에는 그 시점의 동일한 시간 정보를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는 녹화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선택에 따라 녹화된 각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특정 사운드 신호는 영상에 포함된 전체 오디오 신호에서 사람의 음성 신호를 제거한 MR(Music Recorded) 신호일 수 있다.
특히, 녹화 처리부(110)에 의해 저장된 각 영상에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타임코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특정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 프레임의 타임코드를 추출하고,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추출한 타임코드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을 특정한 후, 해당 타임코드를 추출한 영상 프레임과 해당 타임코드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기초로 상기 각 녹화된 영상들의 시작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 중 어느 하나의 카메라(즉,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에서 기 설정된 사운드와 동일한 특정 사운드 신호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을 특정한 후, 그 특정된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타임코드를 추출하고, 나머지 카메라들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에서 앞서 추출한 타임코드와 동일한 타임코드를 포함하는 영상 프레임을 특정하고, 이렇게 각 녹화 영상에서 특정된 영상 프레임을 재생 시작점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에서 특정 사운드 신호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을 특정하는 과정은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녹화된 영상을 재생하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사용자는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의 재생 과정에서 특정 사운드 신호가 들리는 시점에 기 설정된 버튼(미 도시함)을 누름으로써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가 해당 특정 사운드 신호가 포함된 영상 프레임을 특정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는 각각의 녹화된 영상에서 시작점을 판단한 경우 그 시작점을 마킹해 둘 수도 있고, 또는 그 시작점 이전의 영상 프레임을 아예 일괄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들이 모두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시작점 이전의 영상 프레임들이 모두 제거된 경우 각 영상들 간의 표시 동기화를 위해 별도로 시작점을 찾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신호는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수신된 사운드 신호일 수도 있고, 또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에서 추출된 사운드 신호일 수도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녹화된 영상에서 추출된 것을 일 예로 한다.
한편,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에서 특정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고, 해당 추출된 영상 프레임의 타임코드와 다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영상 프레임의 타임코드를 비교하여 동 시점에 촬영된 각 영상 프레임을 확인할 수도 있지만, 타임코드에 대한 비교 없이 모든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녹화된 영상에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여 서로 비교하여 동일한 시점에 촬영된 영상 프레임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 수행을 위해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는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 탐색부(122), 판단부(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사용자(즉,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구간에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관리자가 관리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기준 카메라를 선정하고, 그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녹화 영상 중에서 특정 영상 구간을 선택하면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는 그 선택된 영상 구간에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것이다.
여기서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가 추출하는 사운드 신호는 해당 특정 영상 구간에 포함된 전체 오디오 신호에서 사람의 음성 신호를 제거한 MR(Music Recorded) 신호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는 전체 오디오 신호를 인간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하여 사운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메라(200)가 가수가 노래를 부르는 무대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촬영하는 경우 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는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노래 사운드는 물론이고 주변의 사람들의 말소리 등이 함께 포함될 수 있는데(특히 리허설 등을 촬영하는 경우 주변 사람들의 말소리가 함께 포함될 수 있음),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인간의 음성 주파수 대역을 필터링 처리하는 경우 노래 멜로디에 대응되는 사운드 신호만 남게 되므로 다른 카메라 영상의 사운드 신호와 보다 정확하게 비교가 가능하게 된다.
탐색부(122)는 기준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를 스캔하여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에 의해 추출된 사운드 신호와 동일한 사운드 신호를 포함하는 영상 구간을 탐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탐색부(122) 역시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에 포함된 전체 오디오 신호에서 인간의 음성 신호를 필터링한 MR신호만을 추출하여 사운드 신호 추출부(121)에 의해 추출된 사운드 신호와 비교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판단부(123)는 관리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구간과 탐색부(122)에 의해 탐색된 영상 구간을 기초로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각각의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녹화 영상과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 녹화 영상에서 동일한 시작점을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방송 송출부(13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새롭게 촬영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각 카메라(200)별로 채널을 할당하여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카메라(200)별로 할당되는 채널은 텔레비전 채널과 같이 특정 채널 번호가 할당되는 주 채널일 수도 있고, 또는 특정 채널 번호가 할당된 주 채널 내에 포함되는 부 채널일 수도 있다.
즉, 각 카메라(200)별로 할당되는 채널은 사용자가 각각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선택하여 별도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면 되는 것이고, 반드시 특정 채널 번호에 대응되는 주 채널일 필요는 없다.
제어부(140)는 상술한 녹화 처리부(110),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 방송 송출부(13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특히 외부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각 카메라(200)별로 녹화된 영상이 영상 시작점 판단부(120)에 의해 판단된 시작점으로부터 실시간 영상을 대신하여 각 카메라(200)별 채널을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140)는 예를 들어 관리자 단말기(300)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방송 송출부(130)로 하여금 현재 실시간 영상 송출을 중단하고 녹화 처리부(110)에 의해 기 녹화 저장되어 있던 영상들을 추출하여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제어부(140)는 송출되는 각 녹화 영상의 시작점이 일치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가 각 채널들(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대응되는 채널들)을 전환하면서 시청하는 경우라도 각 채널들 간의 시간차를 느끼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여러 명의 멤버로 구성된 아이돌 그룹이 노래를 부르는 경우 특정 카메라(기준 카메라)는 아이돌 그룹 전체를 촬영하고, 나머지 카메라들은 각각의 멤버를 촬영할 수 있는데, 이 경우 시청자들은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영상(생방송 영상) 시청 중에 자신이 좋아하는 멤버를 촬영한 실시간 영상을 카메라(채널) 선택을 통해 시청할 수 있다. 만일 리허설 때의 아이돌 그룹 전체 및 각 멤버들의 모습이 미리 촬영/녹화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140)는 영상 전환 요청 신호에 따라 실시간 영상 대신에 리허설 때의 모습이 각 채널별로 송출되도록 할 수 있고, 이 경우 시청자들은 채널들을 전환하며 아이돌 그룹 전체의 녹화 영상 또는 각 멤버별 녹화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녹화 영상의 시작점이 일치하도록 되어 있으므로(예를 들어 시작점 이전의 영상 프레임이 모두 제거된 채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채널 전환 중에 시간 차(일 예로 노래가 앞뒤로 이동하는 등의 시간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100)의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녹화되는 영상들 간의 동기화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한다.
방송 송출 서버(10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 촬영 영상을 카메라별(채널별)로 녹화 저장한다(단계 S1).
이어서 방송 송출 서버(10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 중에서 기준 카메라를 선정하는데(단계 S3) 이러한 기준 카메라는 미리 정해진 것일 수도 있고, 또는 관리자에 의해 새로 선택된 것일 수 있다.
한편 관리자의 선택에 따라 방송 송출 서버(100)는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기준 영상 구간을 선정할 수 있는데(단계 S5), 여기서 기준 영상 구간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되는 영상의 시간 동기화를 위한 것이다.
즉, 방송 송출 서버(100)는 기준 영상 구간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추출하고(단계 S7), 그 추출된 오디오 신호에서 음성 신호를 주파수 필터링을 거쳐 제거한 MR신호를 추출한다(단계 S9).
이어서 방송 송출 서버(100)는 추출한 MR신호를 기초로 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 및 녹화된 영상을 동기화한다(단계 S11).
예를 들어 방송 송출 서버(100)는 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 및 녹화된 영상 프레임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이 사운드 신호 역시 음성 신호를 제거한 MR신호일 수 있음)와 앞서 기준 영상 구간에서 추출한 MR신호를 비교하여 동일한 영상 촬영 구간을 판단하는 것이다.
이렇게 동일한 영상 촬영 구간을 판단한 후에 각 녹화된 영상들의 시작점을 일치시키는 것은 마킹 방식(해당 프레임 정보 또는 시간 정보를 별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이 이용될 수도 있고 또는 시작점 이전 영상 프레임들을 아예 제거하는 방식이 이용될 수도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100)가 관리자 등의 요청에 따라 실시간 영상 송출 중에 채널별로 녹화된 영상으로 동일하게 전환시켜 송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방송 송출 서버(100)는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의해 실시간 촬영되는 영상(생방송 영상)을 각각의 채널에 할당하여 송출한다(단계 S21).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카메라(200)들이 가요 순위 무대에 배치되었고, 그 복수 개의 카메라(200) 중 어느 하나는 무대 전체를 촬영하고, 나머지는 무대에서 노래하는 아이돌 그룹 멤버들을 각각 촬영한다고 가정하면, 방송 송출 서버(100)는 이러한 각 카메라(200)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들을 채널별로 구분하여 송출할 수 있고, 따라서 시청자들은 채널 선택을 통해 무대 전체(아이돌 그룹 전체)를 보거나 또는 자신이 좋아하는 아이돌 그룹 멤버만을 볼 수도 있다.
방송 송출 서버(100)는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감지된 경우(단계 S23), 복수 개의 카메라(200)에 각각 대응되는 녹화 영상을 추출한다(단계 S25).
녹화 영상이 저장되는 과정은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이어서 방송 송출 서버(100)는 각 카메라(200)별 할당된 채널을 통해 각각의 녹화 영상을 송출한다(단계 S27).
따라서 시청자들은 생방송 시청 중에 미리 녹화되었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데, 이때 그 녹화 영상들 간에도 시간 동기화가 정확하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녹화 영상 시청 중에 채널 전환(무대 전체를 보다가 개별 멤버를 보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을 하더라도 아이돌 그룹이 부르는 노래가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하는 과정은 소정의 기록 매체(예를 들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기록 매체는 RAM(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전자적 기록 매체,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적 기록 매체, CD(Compact Disk)와 같은 광학적 기록 매체 등을 모두 포함한다.
이때, 기록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은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과 같은 하드웨어 상에서 실행되어 상술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송출 서버의 기능 블록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이러한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및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면 본 발명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할 것이다.
100 : 방송 송출 서버 200 : 복수 개의 카메라
300 : 관리자 단말기 400 : 시청자 단말기
110 : 녹화 처리부 120 : 영상 시작점 판단부
130 : 방송 송출부 140 : 제어부

Claims (14)

  1. (a)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카메라 별로 구별하여 녹화하는 단계와;
    (b) 상기 (a) 단계에서 녹화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선택에 따라 상기 녹화된 각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단계와;
    (c)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새롭게 촬영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각 카메라별로 채널을 할당하여 송출하는 단계와;
    (d) 외부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카메라별로 녹화된 영상을 상기 (b) 단계에서 판단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영상을 대신하여 각 카메라별 채널을 통해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녹화되는 각 영상에는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타임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b) 단계에는,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특정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 프레임의 타임코드를 추출하는 단계와;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추출한 타임코드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을 특정하는 단계와; 해당 타임코드를 추출한 영상 프레임과 해당 타임코드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기초로 상기 각 녹화된 영상들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는 상기 시작점 이전의 영상 프레임을 일괄적으로 제거한 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 중 동시점에 촬영된 영상 프레임에 동일한 타임코드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구간에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단계와;
    (b2) 상기 기준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를 스캔하여 상기 (b1) 단계에서 추출된 사운드 신호와 동일한 영상 구간을 탐색하는 단계와;
    (b3) 상기 (b1)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구간과 상기 (b2) 단계에서 탐색된 영상 구간을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각각의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신호는 음성 신호를 제거한 MR(Music Recorded)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의 제어방법.
  7. 제1항 또는 제6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또는 제6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
  9.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을 카메라 별로 구별하여 녹화하는 녹화 처리부와;
    상기 녹화 처리부에 의해 녹화된 영상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에 기초한 선택에 따라 상기 녹화된 각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영상 시작점 판단부와;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새롭게 촬영되는 각각의 실시간 영상을 각 카메라별로 채널을 할당하여 송출하는 방송 송출부와;
    외부로부터 영상 전환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각 카메라별로 녹화된 영상이 상기 영상 시작점 판단부에 의해 판단된 시작점으로부터 상기 실시간 영상을 대신하여 각 카메라별 채널을 통해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처리부에 의해 저장된 각 영상에는 시간 정보에 해당하는 타임코드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영상 시작점 판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 포함된 특정 사운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된 영상 프레임의 타임코드를 추출하고,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에서 상기 추출한 타임코드에 대응하는 영상 프레임을 특정한 후, 해당 타임코드를 추출한 영상 프레임과 해당 타임코드에 대응되는 영상 프레임들을 기초로 상기 각 녹화된 영상들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시작점 판단부는 각각의 녹화된 영상에서 상기 시작점 이전의 영상 프레임을영상을 일괄적으로 제거한 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
  12.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 처리부는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 중 동시점에 촬영된 영상 프레임에 동일한 타임코드를 주기적으로 삽입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시작점 판단부는,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기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구간에서 사운드 신호를 추출하는 사운드 신호 추출부와;
    상기 기준 카메라를 제외한 나머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각각의 영상에 포함된 사운드 신호를 스캔하여 상기 사운드 신호 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사운드 신호와 동일한 영상 구간을 탐색하는 탐색부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영상 구간과 상기 탐색부에 의해 탐색된 영상 구간을 기초로 상기 복수 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어 녹화된 각각의 영상의 시작점을 판단하는 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
  14. 제9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되는 사운드 신호는 음성 신호를 제거한 MR(Music Recorded)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송출 서버.
KR1020180106288A 2018-09-06 2018-09-06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52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88A KR102152438B1 (ko) 2018-09-06 2018-09-06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288A KR102152438B1 (ko) 2018-09-06 2018-09-06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8085A true KR20200028085A (ko) 2020-03-16
KR102152438B1 KR102152438B1 (ko) 2020-09-04

Family

ID=69948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288A KR102152438B1 (ko) 2018-09-06 2018-09-06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24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867A (ja) * 1999-07-23 2001-02-09 Gen Tec:Kk 複数チャネル動画像同期表示装置
KR20080035148A (ko) 2006-10-18 2008-04-2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생방송 돌려보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83448A (ja) * 2009-02-06 2010-08-19 Nec Corp ストリーム信号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JP2015082845A (ja) * 2013-10-23 2015-04-27 ソニー株式会社 Ipビデオ信号同期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6867A (ja) * 1999-07-23 2001-02-09 Gen Tec:Kk 複数チャネル動画像同期表示装置
KR20080035148A (ko) 2006-10-18 2008-04-23 주식회사 알티캐스트 생방송 돌려보기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0183448A (ja) * 2009-02-06 2010-08-19 Nec Corp ストリーム信号伝送装置及び伝送方法
JP2015082845A (ja) * 2013-10-23 2015-04-27 ソニー株式会社 Ipビデオ信号同期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2438B1 (ko) 2020-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0634A1 (en) Apparatus,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synchronizing the presentation of media content
KR101138396B1 (ko) Iptv 단말기에서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N103460128A (zh) 借助智能电话和音频水印的多种语言同步电影配音
EP2230841A2 (en) A media device and a method for capturing viewer images
US20090073314A1 (en) Summary Content Generation Device and Computer Program
JP2006528859A (ja) オーディオとビデオを同期させるための指紋生成及び検出の方法及び装置
JP3868820B2 (ja) 放送受信装置
CN103428555A (zh) 一种多媒体文件的合成方法、系统及应用方法
KR101599465B1 (ko) 동기화 정보 제공 서버 및 방법과, 클라이언트 기기 및 방송 프로그램과 부가 정보의 동기화 방법
CN110992993A (zh) 视频编辑方法、视频编辑装置、终端和可读存储介质
KR102025157B1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350925A (ja) 番組検索支援システム
CN110691633A (zh) 用于确定响应的反应时间以及使用户界面与正在渲染的内容同步的方法和系统
JP4353083B2 (ja) 視聴者間コミュニケーション方法及び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4312208A (ja) 映像提示装置、映像提示方法及び映像提示プログラム
US11094349B2 (en) Event source content and remote content synchronization
JP6433273B2 (ja) 端末装置、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2167276B1 (ko) 복수의 동영상 처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152438B1 (ko) 방송 콘텐츠 송출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90052871A1 (en) Image Playback System, Image Playback Method, and Image Playback Program
KR20190143599A (ko) 이차원 코드를 기반으로 방송 서비스 서버와 접속하여 개인 방송을 가능하게 하는 노래반주기 및 그 동작 방법
KR20190083905A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71303A (ko) 복수의 촬영 영상 전송을 위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30889A (ko) 멀티앵글영상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3813186B (zh) 应用于多个媒体通道的场景切播系统及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