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905A -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 Google Patents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905A
KR20200027905A KR1020190110292A KR20190110292A KR20200027905A KR 20200027905 A KR20200027905 A KR 20200027905A KR 1020190110292 A KR1020190110292 A KR 1020190110292A KR 20190110292 A KR20190110292 A KR 20190110292A KR 20200027905 A KR20200027905 A KR 20200027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aiming
optical device
prism
ballistic cor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희
정인
강경우
정보선
Original Assignee
정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선 filed Critical 정보선
Publication of KR20200027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4Rearsights with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6Rearsights
    • F41G1/16Adjusting mechanisms theref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8Telescopic 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Supports or mounting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08Aiming or laying mean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speed, direction, temperature, pressure, or humidity of the atmosphe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조준장치의 조준축 상에 배치되고, 프리즘 굴절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 및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조준장치의 조준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의 회전 각도는 목표물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도보정용 광학장치{OPTICAL DEVICE FOR TRAJECTORY CORRECTION}
본 발명은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준장치의 조준축과 총열의 발사축 사이의 각인 탄도보정각을 광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에 관한 것이다.
총기의 사격 정밀도는 신속하게 조준을 할 수 있는지와 정확하게 목표물을 조준할 수 있는지에 의해 좌우된다. 총기로부터 발사되어 총구를 떠난 탄환은 중력의 영향을 받아 수직방향에 대해서 휘어지면서 포물선 형태의 탄도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조준선 정렬을 통해 정확하게 조준을 하더라도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탄환이 타격하게 되는 위치가 변경되므로, 총기의 탄환 발사축을 사용자의 조준축에 대해서 약간 위쪽으로 향하도록 탄환 발사축의 탄도보정을 해야만 한다. 즉 총기의 조준의 정확성은 가늠자와 가늠쇠의 조준축 정렬이 목표물을 향하여 얼마나 잘 조준 되어 있는지와,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탄도보정이 얼마나 잘 조절되어 있는지에 의해 좌우된다. 이는 총열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늠쇠와 총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가늠자의 조준축 정렬에 의한 기존의 조준은 그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실력에 따라서 정확한 사격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탄도보정을 위해 사용자의 목측에 의해 목표물과의 거리를 가늠하여 총기에 장착된 가늠쇠 가늠자의 상대적인 높이를 조절하거나 총기와 조준장치 사이에 기구적인 탄도보정 장치를 설치하고, 레이저나 적외선 등을 이용한 별도의 거리측정 기구를 통해 목표물의 거리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이 측정값에 따라 기구적인 탄도보정 장치를 사용하여 총기류의 탄환 발사축과 목표물을 주시하는 조준장치의 조준축 사이의 각인 탄도보정각을 조절함으로써 사격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중,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탄도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조준장치의 조준축과 총열 발사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탄도보정각 적용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과 총기의 총열 발사축(10a)이 나타나 있는데, 중력의 영항이 없다면 먼 거리의 목표물(T)을 사격하기 위해서는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과 총기(10)의 총열 발사축(10a)이 나란하면 된다. 즉 탄도보정각이 0도이면 된다.
그러나 총기(10)로부터 발사된 탄환은 지구상의 중력의 영향을 받아 수직방향에 대해서 휘어지면서 포물선 형태의 탄도 곡선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사격 목표물(T)이 멀리 있을수록 사격 정밀도가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달라지는 탄도보정각을 조정하기 위해 조준장치(20)와 총기(10) 사이에 마련된 탄도보정장치(30)를 통하여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과 총기(10)의 총열 발사축(10a) 사이의 탄도보정각을 조절함으로써 포물선 형태의 탄도 곡선이 목표물(T)과 일치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860호)과 같은 종래의 탄도보정장치는, 총기류의 탄환 발사축과 조준장치의 조준축 사이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기구장치를 구비해야 하므로, 총기의 중량 및 부피가 현저하게 증가하여 휴대성이 떨어지는 문제와, 기구장치의 구동에 따른 흔들림 또는 진동에 의한 총기류의 조준장치의 조준축 진동을 초래하기 때문에 목표물에 대한 신속한 정조준에 시간적 오차를 유발할 수 있어서 사격의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30860호 (2010년03월19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벼우면서 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사격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조준장치의 조준축 상에 배치되고, 프리즘 굴절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 및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조준장치의 조준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의 회전 각도는 목표물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상기 조준장치의 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서로 마주하는 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기어와, 상기 프리즘 렌즈가 고정되는 고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의 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상기 한 쌍의 고정링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상기 하우징과 고정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와 고정링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회전식 노브(turning knob)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에는 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목표물과의 거리 값이 표시된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따라 상기 구동축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상기 조절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는, 탄도보정각이 실질적으로 0도인 상태에서 기저부가 각각 양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탄도보정을 위해 기저부가 중력 방향을 향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벼우면서 부피를 최소화하는 동시에, 사격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가 제공된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탄도보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탄도보정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프리즘 렌즈의 굴절력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탄도보정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사시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탄도보정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프리즘 렌즈의 굴절력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이용한 탄도보정 개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는 하우징(110), 프리즘 렌즈(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10)은 내부에 중공홀(111)이 마련되고 양단이 개구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중공홀(111)을 통해 전방의 목표물을 관찰할 수 있도록 상기 조준장치의 조준축 상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외주면 일측에는 상기 하우징(110)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중공홀(111)과 연통하는 관통홀(112)이 마련된다.
상기 프리즘 렌즈(120)는 조준장치의 조준축이 통과하는 2개의 면을 구비한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측단면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즘 굴절력(refractive power)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가 하나의 세트를 구성한다.
이러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는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홀(111) 내에 상호 이격 배치되며, 렌즈의 가장 두꺼운 부분인 기저부(base)(도 10의 120a)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인 좌측과 우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도 10 참조).
한편,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는 각각 고정링(140)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0)의 중공홀(111) 내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될 수 있으며,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를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링(140)의 사이에는 링형의 파이프 형태의 스페이서(150)가 개재됨에 따라,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의 사이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양측 개구에는 링형 고정캡(160)이 조립되어 상기 프리즘 렌즈(120)가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캡(160)과 상기 고정링(140) 사이에는 상기 고정링(140)을 스페이서(150)를 향해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7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70)는 코일 스프링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링(14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다수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부재(170)와 고정링(140) 사이에는 상기 고정링(14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70)가 고정링(14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링(140)의 후단에 밀착되는 지지링(1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를 조준장치의 조준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부(130)는 상기 하우징(110)의 관통홀(1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니언(131)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링(140)의 서로 마주하는 면의 테두리에는 상기 피니언(131)과 각각 맞물리는 기어(142)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130)는, 일단부가 상기 피니언(13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되는 구동축(132)과, 상기 구동축(132)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110)의 외부에서 상기 구동축(132)에 연결되는 조절부(133)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133)는 회전식 노브(turning knob)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조절부(133)가 회전식 노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조절부(133)의 외주면에 조절부(133)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목표물과의 거리 값을 표시하는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다수의 거리 값 중 조절부(133)의 회전에 의해 선택된 어느 하나의 거리 값을 지시할 수 있는 기준점(M, 도 4 참조)이 마련될 수 있다.
도 6의 (a)와 같이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과 총기(10)의 총열 발사축(10a)이 나란한 상태, 즉 탄도보정각이 0도인 상태에서, 조준장치(20)의 조준선(20a)을 목표물(T)에 조준한 다음 총기를 격발하면, 목표물(T)의 거리가 멀수록 총기(10)에서 발사된 탄환의 탄착점은 아래쪽으로 향하게 되므로 목표물(T)을 타격할 수 없다.
이때, 도 6의 (b)와 같이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 상에 프리즘 렌즈(120)를 배치하면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을 하향 굴절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6의 (c)와 같이 사격자가 프리즘 렌즈(120)에 의해 하향 굴절된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을 목표물(T)에 조준하기 위해서 조준장치(20)의 선단부를 상측 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총기(10)의 총열 발사축(10a)도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므로, 총기(10)에서 발사한 탄환의 탄착점을 목표물(T)에 일치시킬 수 있다.
즉,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 상에 프리즘 렌즈(120)를 배치하여 조준장치(20)의 조준축(20a)을 광학적으로 하향 굴절시킨 상태에서 목표물(T)을 조준하면, 총기(10)의 총열 발사축(10a)을 위로 향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리즘 렌즈(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즘 렌즈(120)의 가장 두꺼운 부분을 기저부(120a)라고 하는데, 이 프리즘 렌즈(120)를 통과하는 광선은 기저부(120a) 방향으로 굴절된다(편향되게 된다).
따라서 프리즘 렌즈(120)를 통해서 수평방향으로 X m의 거리에 있는 목표물(T)을 보면, 목표물의 상(T')은 수직방향으로 Y cm만큼 내려간 위치에 보이게 된다.
이때, 광선이 꺾이는 정도(도 7에서 편향각 A)는 프리즘 굴절력(Prism Diopter:Δ)이라는 물리량으로 정의되는데, 프리즘 굴절력(P)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pat00001
(여기서, X는 프리즘 렌즈와 목표물의 수평방향 거리, Y는 목표물 상의 수직방향 이동거리임)
그런데, 일반적인 탄도보정장치의 경우에는 목표물의 거리에 따라 탄도보정각을 변경할 수 있어야 하는데, 도 5와 같이 한 장의 프리즘 렌즈(12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프리즘 렌즈(120)의 프리즘 굴절력이 고정되어 있어 거리별 탄도보정각의 조정이 곤란하므로 탄도보정장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조준장치의 조준축을 Y축 방향으로 원하는 만큼 굴절시키기 위해, 프리즘 굴절력이 동일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하였다.
즉, 도 8의 (a)와 같이 조준장치의 조준축(20a)이 프리즘 굴절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의 중심을 지나는 상태에서,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의 기저부(120a)가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하면(도 8의 (a)에서는 프리즘 렌즈(120)의 기저부(120a)가 각각 수평방향(X축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음), 프리즘 굴절력이 상쇄되어 프리즘 렌즈(120)에 의한 굴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프리즘 렌즈(120)에 의한 굴절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상태는 탄도보정각이 실질적으로 0도인 상태에 해당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8의 (b)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의 기저부(120a)를 중력 방향을 향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도 8의 (b)에서는 프리즘 렌즈(120)의 기저부(120a)가 각각 만큼 회전된 상태를 나타냄), 각각의 프리즘 렌즈(120)가 갖는 프리즘 굴절력은 바뀌지 않은 채 회전하게 된다.
이때, 각각의 프리즘 렌즈(120)의 프리즘 굴절력을 X축 방향 성분과 Y축 방향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는데,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프리즘 렌즈(120)의 프리즘 굴절력의 X축 방향 성분은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이기 때문에 상쇄되어 없어지고, Y축 방향 성분만 서로 합성되어 나타나게 되므로, 조준장치의 조준축(20a)을 Y축 방향으로만 굴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리즘 렌즈(120)의 굴절력이 K인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를 도 8의 (c)와 같이 배열하면, 합성 프리즘 렌즈(120)의 굴절력은 2K가 된다.
그런데, 이를 도 8의 (b)와 같이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Θ만큼 회전한 상태에서의 합성프리즘 굴절력은, 아래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난다.
Figure pat00002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의 회전각(Θ)을 변경하여 조준장치 조준축(20a)의 Y축 방향 굴절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목표물과의 거리에 따라 프리즘 렌즈(120)의 회전각을 변경함으로써 탄도보정각을 조절하는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9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중공홀(111) 내에는 한 쌍의 고정링(140)이 스페이서(150)를 사이에 두고 이격 배치되고, 한 쌍의 고정링(140)의 고정홀(141)에는 프리즘 렌즈(120)가 각각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10)의 양단부 개구에는 링형의 고정캡(160)이 각각 고정되어 프리즘 렌즈(120) 및 고정링(140)이 개구를 통해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고정캡(160)과 고정링(140) 사이에는 탄성부재(170)가 각각 개재되어 상기 고정링(140)을 스페이서(150)를 향하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므로,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부재의 사이간격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70)와 고정링(140) 사이에는 상기 고정링(14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성부재(170)가 고정링(140)과 함께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링(180)이 배치된다.
한편, 상기 하우징(110)의 측면에 형성된 관통홀(112)에는 구동부(130)의 구동축(132)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하우징(110)의 중공홀(111) 내에 위치한 구동축(132)의 선단에는 피니언(131)이 고정되며, 상기 피니언(131)은 상기 한 쌍의 고정링(140)에 각각 마련된 기어(142)와 맞물린다.
따라서 도 10과 같이 피니언(131)을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한 쌍의 고정링(140)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 상기 구동축(132)의 타단부에는 회전식 노브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부(133)가 고정되므로, 사용자는 상기 회전식 노브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부(133)를 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된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식 노브 형태로 이루어진 조절부(133)의 외주면에는 회전각도별로 목표물과의 거리 값이 표시된 표시부가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110)에는 다수의 거리 값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거리 값을 지시할 수 있는 기준점이 마련되므로, 사용자는 목표물과의 거리에 대응하는 거리 값이 기준점에 위치하도록 조절부(133)를 회전시킴으로써 탄도보정각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상기와 같이 조준장치의 조준축 상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프리즘 렌즈(120)를 이용하여 조준축을 원하는 각도로 굴절시킴으로써 탄도보정을 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기계적인 탄도보정장치에 비해 가벼우면서도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리즘 렌즈(120)의 회전에 의해 조준장치의 조준축을 광학적으로 굴절시킴으로써 탄도보정각을 조절하는 것이므로, 종래와 같은 기구적인 탄도보정장치의 구동에 따른 흔들림 또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사격의 신속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탄도보정용 광학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중공홀(111) 내에 마련되는 조준장치 조준축의 광경로 상에는 조절부(133)의 회전에 의해 선택된 거리 값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조절부(133)의 구동축(132)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되는 거리 값이 상기 디스플레이부(190)를 통해 표시되도록 하면, 사용자가 사격을 위해 조준장치를 통해 목표물을 계속 응시하면서도 목표물에 대한 탄도보정을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르면, 조절부(133')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따라 피니언(131)과 연결된 구동축(132)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모터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조절부(133)에 제어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입력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절부(133)가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입력부(134)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축(132)의 회전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부(134)는 버튼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목표물과의 거리를 측정하고 측정결과에 따라 상기 조절부(133')에 제어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거리측정기구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0:하우징, 111:중공홀, 112:관통홀,
120:프리즘 렌즈, 130:구동부, 131:피니언,
132:구동축, 133,133':조절부, 140:고정링,
141:고정홀, 142:기어, 150:스페이서,
160:고정 캡, 170:탄성부재, 180:지지링,
10:총기, 10a:발사축, 20:조준장치,
20a:조준축, T:목표물

Claims (12)

  1. 조준장치의 조준축 상에 배치되고, 프리즘 굴절력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한 쌍의 프리즘 렌즈; 및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조준장치의 조준축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의 회전 각도는 목표물까지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를 상기 조준장치의 조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서로 마주하는 면의 테두리에 형성되는 기어와, 상기 프리즘 렌즈가 고정되는 고정홀이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고정링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링의 기어와 각각 맞물리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링 사이에 개재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고정링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링을 탄력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와 고정링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피니언에 연결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기 위한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회전식 노브(turning knob)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는 조절부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목표물과의 거리 값이 표시된 표시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제어신호에 의해 따라 상기 구동축의 회전 각도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 모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에 제공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프리즘 렌즈는, 탄도보정각이 실질적으로 0도인 상태에서 기저부가 각각 양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탄도보정을 위해 기저부가 중력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KR1020190110292A 2018-09-05 2019-09-05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KR202000279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068 2018-09-05
KR20180106068 2018-09-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905A true KR20200027905A (ko) 2020-03-13

Family

ID=6972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292A KR20200027905A (ko) 2018-09-05 2019-09-05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27905A (ko)
WO (1) WO2020050662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860A (ko) 2008-09-11 2010-03-19 정인 탄도 보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34949A (en) * 1965-05-12 1977-07-12 Philco Corporation Optical apparatus
EP0025335B1 (en) * 1979-09-05 1983-06-08 The Marconi Company Limited Stabilisable optical sights and tank gun control system incorporating such an optical sight
DE19745971C1 (de) * 1997-10-17 1998-10-22 Stn Atlas Elektronik Gmbh Meßkopf
US20050115089A1 (en) * 2003-12-02 2005-06-02 Johnson Steven C. Optical aiming device
US7142357B2 (en) * 2004-11-22 2006-11-28 Knight's Armament Company Night-day boresight with adjustable wedge-prism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0860A (ko) 2008-09-11 2010-03-19 정인 탄도 보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50662A1 (ko) 2020-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2519B2 (ja) 改良型「移動式赤ドット」照準デバイス
US104881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iming point information
USRE47336E1 (en) Device for multi-correcting the trajectory
KR100210309B1 (ko) 무기용 야시 조준경
US7712225B2 (en) Shooting calibration systems and methods
KR101237602B1 (ko) 자동 탄도 보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정방법
CN102057246A (zh) 用于弹道瞄准的多重色彩十字标线
JP2009174845A (ja) 弾丸降下補正のための調節可能照準マークを有するガンサイト・レチクル
RU2294511C1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KR101375457B1 (ko) 권총용 도트사이트 장치
AU2017211292A1 (en) Turret with a zero stop
US20210033370A1 (en) Turret cap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aiming point information
CN116235019A (zh) 具有归零锁定的转台
US9222752B2 (en) Light gathering adjustable ballistic reticule
KR20200027905A (ko) 탄도보정용 광학장치
US20070199226A1 (en) Gun sight
KR101606209B1 (ko) 무빙 레드 도트형 조준 장치
RU2359199C2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для стрелкового оружия
US11692792B2 (en) Riflescope with optical aiming corrector
KR101522528B1 (ko) 영상분배모듈 및 이를 이용한 조준경
US2906160A (en) Automatic gunsight
TWI360638B (en) Improved
EA017930B1 (ru) Оптический прицел для легкого вооружения
RU2237227C1 (ru) Способ перемещения прицельной марки в оптических коллиматорных прицелах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целов, в которых он реализован
TW202020397A (zh) 瞄準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