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77A -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77A
KR20200027177A KR1020180105158A KR20180105158A KR20200027177A KR 20200027177 A KR20200027177 A KR 20200027177A KR 1020180105158 A KR1020180105158 A KR 1020180105158A KR 20180105158 A KR20180105158 A KR 20180105158A KR 20200027177 A KR20200027177 A KR 20200027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package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태경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5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177A/ko
Publication of KR20200027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2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d protocol, e.g. IEEE 139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배경과의 일체감을 제공하는 이미지,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 등을 연결부재 전방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출력하여 인테리어 통일성, 인테리어 자유도 또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CONNECTING PACKAGE OF ELECTRIC DEVICES AND ELECTRIC DEVICE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배경과의 일체감을 제공하는 이미지,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 등을 연결부재 전방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출력하여 인테리어 통일성, 인테리어 자유도 또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3D 컨텐츠, 스마트 TV, 초고화질 TV 등 초고화질 영상구현을 위해 대용량 신호 대역폭이 필요한 영상 전자기기 등이 활발히 개발 및 상용화 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UHD(Ultra High Definition)급 방송시작을 필두로 초고화질 해상도의 구현이 가능한 영상 전자기기 개발 및 상용화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영상품질의 발전과 함께 TV 등의 전자기기는 대형화됨과 동시에 초슬림화되고 있다.
예전의 CRT 방식의 TV는 선반 등에 거치하고, 최근의 평판형 TV는 무게와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벽걸이 방식이 많이 적용된다. 더 나아가 최근에는 TV 등의 전자기기가 면적은 확대되되 두께가 초박형화되어 벽걸이 방식을 넘어 액자 수준으로 벽체 거치 또는 부착하는 수준으로 발전하고 있다.
도 1은 영상 전자기기(300)로서의 대형 TV와 셋톱박스 등의 소스 전자기기(400) 설치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초고화질 영상 구현이 가능한 영상 전자기기는 전력 및 데이터 전송이 요구되며, 데이터 전송의 경우 도체 방식 또는 광섬유 방식의 고속 통신 케이블이 적용될 수 있고, 전력 전송을 위해서는 아직까지 금속 재질의 도체를 사용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연결부재를 은폐하는 방법으로 TV 또는 모니터 등의 영상 전자기기(300) 후방에 데이터 또는 전력 단자를 시공하여, 케이블 등이 외부에서 관찰되지 못하도록 하거나, 커버부재(일명 '쫄대') 등을 사용하여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를 감싸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 인테리어 공사 수준의 시공비가 소요되고, 후자의 경우 TV 등이 설치되는 공간의 배경과 동화되지 못하고 인테리어의 미감을 손상시키는 문제가 있다.
초고화질 영상 구현이 가능한 영상 전자기기는 지속적으로 초슬림화되고 있으나, 초고화질 영상 데이터와 대형화된 TV의 구동 전력을 안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100')은 오히려 굵어지고 투박해지는 경향이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자기기 등을 연결하는 케이블을 일체화하거나 초소형화 하여 최대한 눈에 보이지 않게 하는 케이블 기술들이 검토되고 있으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셋톱박스 등의 소스 전자기기(400)와 TV 또는 모니터 등의 영상 전자기기(300)와 연결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100')를 육안으로 식별이 안될 정도로 폭 또는 두께를 줄이기 쉽지 않고, 상기 연결부재(100')를 투명하게 구성하려 하여도 전력 전송을 위한 금속 재질의 도체를 사용하기 때문에 기술적 한계가 있다.
또한, 사용환경에 필요한 난연성 자켓 등은 색상이 제한적이라 투명화가 곤란하여 최근 추세인 미니멀리즘의 영향을 받은 인테리어의 구현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한다.
본 발명은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배경과의 일체감을 제공하는 이미지,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 등을 연결부재 전방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출력하여 인테리어 통일성, 인테리어 자유도 또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수단은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유닛 및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는 폭이 두께보다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은 OLED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 사이의 배경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경 이미지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 사이의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적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양단 중 일단의 커넥터에서 분기된 분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기기 또는 상기 제2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전자기기 이외의 제3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신호유닛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닛 및 전력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방향 중심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 중심부에 배치되며 두께보다 폭이 큰 광섬유 리본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력유닛은 두께보다 폭이 클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유닛은 상기 광유닛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유닛은 단일 세각 선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유닛은 복수 개의 소선 선재를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력유닛은 복수 개의 세각 선재를 상기 전자기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전력유닛은 절연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전력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가장자리에 환형 전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전력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가장자리에 환형 전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전자기기;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제2 전자기기; 및,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신호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전술한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전자기기는 영상 전자기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에 의하면,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를 은폐시킴과 동시에 배경과의 일체감을 제공하는 이미지,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또는 정보 전달을 위한 메시지 등을 연결부재 전방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유닛으로 출력하여 인테리어 통일성, 인테리어 자유도 또는 사용자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영상 전자기기로서의 대형 TV와 셋톱박스 등의 소스 전자기기 설치상태의 예를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를 구축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의 구축을 완료하고 이를 구동시킨 상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의 단면 방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를 구성하는 연결부재의 예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을 구축하는 과정의 예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기기(300)로서의 영상 전자기기인 TV가 설치장소의 벽면에 설치되고, 그 하부에 구비된 셋톱박스와 케이블 형태의 연결부재(100)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종래에는 상기 제1 전자기기(300)는 상기 제2 전자기기(400)를 복수 개의 케이블로 연결하고 데이터와 전력을 별도로 전송하는 방법이 사용되지만, 최근의 대형 TV 등의 경우 전력과 데이터를 함께 전송할 수 있는 기술도 소개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자기기(300)와 제2 전자기기(400)를 하나의 연결부재(100)로 연결하고 전력과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100)는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가 많지만, 최근에는 연결부재(100)의 부피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폭이 두께보다 큰 플랫한 형태의 연결부재(100)가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는 제1 전자기기(300)와 제2 전자기기(400)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연결부재(100) 및 상기 연결부재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수단은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유닛 및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신호유닛은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광유닛이거나 광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제2 전자기기(40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상기 연결부재(100)에 전방에 부가되어, 연결부재(100)가 전방에서 관찰되지 못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영상신호를 수신하여 이미지 등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사이의 배경 이미지 등이 디스플레이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연결부재(100) 전방에 장착하고 제1 전자기기(300)와 제2 전자기기(400) 사이 공간의 배경 이미지를 촬영 등의 방법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사이 공간의 배경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카메라 등을 활용하여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사이 공간의 배경을 촬영한 후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으로 출력하여 연결부재(100)를 은폐하기 적당한 출력 영역을 특정하여 편집하고 편집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으로 출력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 이미지 이외에도 이미지 검색 등으로 이미지의 선택 또는 편집하여 마찬가지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으로 출력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5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의 구축을 완료하고 이를 구동시킨 상태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촬영 이미지 등을 출력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촬영 이미지는 배경 이미지일 수 있으나, 사용자가 출력을 원하는 다양한 정적 이미지 또는 동적 이미지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에서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사이 공간의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는 방법으로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2 전자기기(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0)를 그 전방에서 관찰되지 않도록 은폐하여, 연결부재(100)를 시각적으로 차단하고 배경과 통일감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인테리어적인 만족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는 사용자의 기호와 배경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 이미지일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선호 이미지를 출력하여 연결부재(100)를 은폐함과 동시에 인테리어적 만족감을 부가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이미지 선택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출력되는 이미지는 정적 이미지 이외에도 동적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정적 또는 동적 이미지를 순차적 또는 랜덤하게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이미지 이외에도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메시지 등을 출력할 수도 있다.
즉, 상업시설(예를 들면, 병원 등의 대기실 등) 또는 공공기관(예를 들면, 관공서) 등에 설치된 TV 등을 통해 안내 메시지, 홍보 메시지 또는 정보 메시지 등을 출력하여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메시지를 출력하는 경우에도 그 메시지 배경 이미지는 전술한 이미지들 중 하나의 이미지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는 연결부재(100) 전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주변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여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연결부재(100)를 은폐시키며 배경과의 일체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등을 출력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거나, 메시지까지 출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전자기기(300)는 TV 또는 모니터 등의 영상 전자기기로 도시하며, 제2 전자기기(400)는 셋톱박스 등의 전자기기로 도시하여 그 연결부재(100)를 통해 전력과 데이터가 함께 전송되는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한가지의 전송을 위하여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100)로 유선 연결되는 전자기기라면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의 단면 방향 사시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00)에 디스플레이유닛(200)을 장착하는 과정을 도시하며, 도 8(b)는 상기 연결부재(100)에 디스플레이유닛(200)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다.
상기 연결 패키지를 구성하는 연결부재(100)는 전력 공급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전력유닛 및 상기 전력유닛의 외부를 감싸는 시스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력유닛 등의 경우 금속 도체가 사용되므로 투명하게 하거나 소형화에 한계가 있다.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100)는 전력유닛 이외에도 광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폭이 두께보다 큰 플랫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1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에 도시된 연결부재(100)의 단면은 긴 트랙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케이블과 같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을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0)에 의한 은폐 효과를 극대화하고, 입체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폭이 두께보다 크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는 연결부재(100) 외측으로 디스플레이유닛(200)이 장착된다.
상기 연결부재(100)와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부착 등의 방법을 일체화될 수도 있고, 단순히 상기 연결부재(100) 외측에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을 체결하는 방법으로 구성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일반 LCD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가장자리 곡면 구성이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는 방법도 가능하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란 기존의 금속 기판을 대체하여 얇고 유연한 금속 박막, 유리 또는 플라스틱 필름 등을 가지고 구부리거나 휘어져도 작동이 가능한 디스플레이를 의미한다. 별도의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고 가벼운 OLED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에 대한 개발이 활발하다.
따라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방식의 디스플레이유닛(200)을 적용하여 연결부재(100)의 폭방향 가장자리까지 감싸는 구조로 연결부재(100) 전방에서 연결부재(100)의 시각적 은폐각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는 연결부재(100) 전방에 배치된 디스플레이유닛(200)을 통해 주변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여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사용되는 연결부재(100)를 은폐시키며 배경과의 일체감을 제공하거나,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등을 출력하여 다양한 인테리어 효과를 연출하거나, 메시지까지 출력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전력 및 이미지 등의 신호(영상 또는 메시지 포함) 공급이 요구된다.
이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상기 제1 전자기기(300) 및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중 하나의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셋톱박스 등의 제2 전자기기(400)로부터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되는 것으로 도시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상기 제1 전자기기(300)와 상기 제2 전자기기(40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00) 양단 중 일단의 커넥팅부(500, 600)에서 분기된 분기 연결부재(800)를 통해 상기 제1 전자기기(300) 또는 상기 제2 전자기기(400)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커넥팅부'란 각각의 전자기기의 커넥터 및 연결부재(100) 단부에 구비되는 커넥터 등이 체결되어 접속되는 접속부위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는, 즉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이 상기 제1 전자기기(300) 및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중 하나, 즉 TV와 셋톱박스 중 일측에서 전력과 데이터가 공급되는 방식으로 구동되는 예이다.
그리고, 슬림한 케이블 형태의 연결부재(100)를 통해 공급되는 전력 또는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으로 분기하기 쉽지 않으므로, 신호 또는 전력이 공급되는 전자기기 측 커넥팅부(600)에서 분기되는 분기 연결부재(800)를 통해 디스플레이유닛(200)의 커넥터 등의 접속부(210)로 신호와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기 연결부재(800)는 케이블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의 접속부가 전자기기측 커넥팅부에 직결되는 방식으로 케이블 등을 생략하는 방식으로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으로 공급되는 전력 또는 신호 공급을 제1 전자기기(300) 또는 제2 전자기기(400)로부터 제공할 수 없는 경우, 별도의 제3 전자기기(700)를 연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유닛(200)은 상기 제1 전자기기(300) 및 상기 제2 전자기기(400) 이외의 제3 전자기기(700)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기기는 예를 들면 PC, 모바일 단말기 또는 전용 컨트롤러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또는 수집된 이미지 등을 PC, 모바일 단말기 또는 전용 컨트롤러의 디스플레이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여 전술한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00)의 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1)을 구성하는 연결부재(100)는 플랫한 형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를 구성하는 디스플레이유닛(200)에 의하여 은폐되도록 하기 위하여 폭이 두께보다 큰 플랫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는 주로 TV설치 위치와 같이 시각적으로 집중되는 영역에서 고정형 케이블 등의 연결부재를 은폐하기 위한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연결부재가 도체 재질의 전력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전제로 하지만 TV 등과 셋톱박스와 같이 전력과 데이터를 함께 공급해야 하는 경우를 중점적으로 고려하기 위하여, 도 11 이하에서는 데이터 및 전력 전송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연결부재를 검토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00)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광유닛(12), 전력 공급을 위한 복수 개 또는 복수 쌍의 전력유닛(20A, 20B, 26A, 26B) 및 상기 광유닛(12) 및 전력유닛(20A, 20B, 26A, 26B)의 외부를 감싸는 시스층(3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시스층(30)은 상기 연결부재(1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시스층(30)은 예를 들어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지만 상기 시스층(30) 내에는, 예를 들어 아라미드 얀(aramid yarn)과 같은 인장재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인장재는 인장력이 뛰어나고 유연하여 연결부재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내부 구성물을 외부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시스층(30)의 내부에 전술한 광유닛(12)과 전력유닛(20A, 20B, 26A, 26B)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유닛(12)은 '광섬유 리본(optical fiber ribbon)'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섬유 리본은 리본화된, 즉 일렬로 배열된 복수 개의 광섬유(14)가 UV 경화성 수지(16) 등에 의해 코팅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유닛(12)은 전체적으로 보면 그 두께보다 폭이 넓은 '플랫(flat)'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12)을 구성하는 광섬유는 통상 중앙의 코어(core)라고 하는 부분을 주변에서 클래딩(cladding)이라고 하는 부분이 감싸고 있는 이중원기둥 구조로 되어 있고, 여기서 상기 코어(core)는 굴절률이 높은 실리카 재질의 유리광섬유를 사용하고, 상기 클래딩(cladding)은 상기 코어(core) 보다 굴절률이 낮은 실리카 재질의 유리 또는 합성수지 등을 사용함으로써, 중심부를 통과하는 빛이 전반사가 일어나도록 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을 하도록 구현한다.
이때, 상기 광섬유의 코어(core)의 지름이 수 ㎛인 것을 단일모드 광섬유, 수십 ㎛인 것을 다중 모드 광섬유라 하고, 코어의 굴절률 분포에 따라 계단형, 언덕형 광섬유 등으로 분류된다. 상기 광섬유의 외경은 예를 들어 200 내지 250 ㎛일 수 있다.
하나의 광섬유 리본에 포함되는 광섬유의 갯수는 광유닛의 단위 시간당 전송 가능한 데이터 송수신 효율, 케이블의 유연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예를 들어 4 내지 24개일 수 있으며, 12개 또는 24개일 수 있다. 상기 광섬유의 갯수에 따라 상기 광섬유 리본의 폭과 높이, 그리고 광섬유의 외경이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광섬유 리본의 폭은 1.0 밀리미터(mm) 내지 6.2 밀리미터(mm) 일 수 있다.
또한, 광유닛의 고밀도화 관점에서 보면 광섬유 리본의 높이와 폭은 작을수록 유리하다. 그러나, 상기 광섬유 리본을 설계할 때에는 광섬유의 기계적 특성과 접속 시 핸들링의 문제 등도 함께 고려해야 하므로 적절한 광섬유 리본)의 치수를 결정해야 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광유닛은 광섬유 리본이 단층으로 구성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광섬유 리본은 복층으로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섬유 리본의 층 수에 따라 상기 광섬유 리본의 폭은 상이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광섬유 리본의 폭은 1.0 밀리미터(mm) 내지 3.2 밀리미터(mm)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유닛(12)은 연결부재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 중심부에 배치되며, 상기 광유닛(12)을 중심으로 양측에 복수 개의 전력유닛(20A, 20B, 26A, 26B)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상기 광섬유 리본으로 구성되는 광유닛(12)이 단층으로 구성되며, 상기 광섬유 리본의 층방향과 상기 연결부재의 폭방향이 일치되도록 연결부재의 중심부에 배치되어 연결부재의 슬림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유닛(12)에 포함된 광섬유는 기계적 특성이 취약하므로 외력 등이 작용되는 경우에 손상 또는 단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광유닛(12)은 상기 시스층(30)의 내부 폭방향 및 두께방향 중심부에 배치된다.
한편, 도면에서 상기 광유닛(12)의 왼쪽에 위치한 복수 개의 전력유닛(20A, 26A)은 제1 전력유닛(20A)와 제2 전력유닛(26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력유닛(20A)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 예를 들어 5개의 개별전력유닛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전력유닛(20A)는 개별전력유닛이 서로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보아 두께보다 폭이 넓은 플랫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력유닛의 각각은 도체(22)와 상기 도체(22)의 외부를 감싸는 절연층(2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전력유닛의 구성도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전력유닛은 공급 전압 및 전류가 상이한 복수의 도체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력유닛(20A)는 고전류, 예를 들어 15A 이상의 고전류 전력을 공급하며, 연결부재(100)의 두께가 커지는 것을 방지하게 위해 복수개의 소경 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2 전력유닛(26A)은 저전류, 예를 들어 대략 3A의 저전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부재(100)는 두께(T1)에 비해 폭(W1)이 넓은 플랫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께(T1)에 대한 상기 폭(W1)의 비율이 대략 1 : 10 내지 1 : 15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폭(W1)은 수 밀리미터(mm) 내지 수십 밀리미터(mm) 정도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00)의 두께 방향 중심선(A)이 상기 광유닛(12) 및 전력유닛(20, 26)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광유닛(12) 및 상기 전력유닛(20, 26)이 상기 연결부재(100)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100)의 두께 방향으로 폭방향 및 두께방향 중심부에 배치된다. 이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형상을 볼 때 폭에 비해 두께가 얇으므로 상기 광유닛(12) 및 전력유닛(20, 26)을 연결부재의 두께방향으로 폭방향 및 두께방향 중심부에 배치하여 외력 등에 의한 손상 또는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00)는 전술한 실시예와 비교하여 단일 세각 선재로 이루어진 도체를 포함한 전력유닛(120A, 120B)을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력유닛(120A, 120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에 비해 폭이 큰 직사각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전력유닛(120A, 120B)은 적어도 한 쌍이 구비되고, 직사각형 형태의 전력유닛(120A, 120B)의 장변의 방향과 전체 연결부재의 폭방향이 일치되도록 상기 광유닛(11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상기 광섬유 리본 및 상기 전력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방향 중심선 상에 배치되어 전체 연결부재(100)를 더욱 슬림하게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각 선재라 함은 직사각형 모형의 선재로서, 원형의 구리 선재 소선과 비교할 때 도체 점적률을 높여 단면적 대비 공간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세각 선재는 환형의 선재를 압착 공정을 통해 각재로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에서 상기 연결부재(100)의 두께(T2)에 대한 폭(W2)의 비율은 대략 1:5 내지 1:10 정도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연결부재(100)의 두께(T2)에 대한 폭(W2)의 비율을 줄임으로써 연결부재(100)의 전체 단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재(100)의 두께(T2)에 대한 폭(W2)의 비율을 줄일 수 있는 이유는 단일 세각 선재로 이루어진 도체를 포함한 전력유닛(120A, 120B)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즉, 도 11에서 설명한 연결부재(100)에서 제1 전력유닛(20A)에 포함된 도체(22)의 전체면적과 동일 또는 그 이상의 면적을 가지는 '세각 선재'를 적용하여 전력유닛을 구성하는 경우 허용전류 측면의 열화특성은 종래에 비해 비슷한 수준 이상의 성능을 유지하며 연결부재(100) 전체 단면적을 대략 40% 정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에서 설명되지 않은 광유닛(112)과 시스층(130)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술한 연결부재(100)이 일회성으로 포설되는 환경에서는 굴곡특성이 크게 중요하지 않다. 하지만, 상기 연결부재(100)을 이동시켜 재설치하거나 또는 빈번하게 이동되는 포터블 디바이스(portable device)에 연결부재(100)을 연결하여 운용하는 경우, 연결부재(100)을 적당히 감아서 보관 또는 이동이 필요하므로 굴곡특성 및 굴곡 후 복원 특성이 매우 중요해진다.
그런데, 전술한 연결부재(100)는 종래 케이블과 비교하여 단면적을 40% 이상 줄일 수 있지만, 단일 세각 선재를 사용함으로써 연결부재(100)의 굴곡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00)의 굴곡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시예에 대해서 살펴본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00)는 시스층(230)의 내부에 광유닛(112) 및 전력유닛(220A, 220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유닛(220A, 220B)은 복수 개의 소선 선재(222)를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선 선재(222)는 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다각형 형태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전력유닛을 단일도체로 구성하지 않고 소선 선재로 구성하여 유연성 등의 밴딩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각각의 소선 선재가 절연 코팅될 수도 있고, 소선 선재가 집합된 전력유닛이 함께 절연 코팅될 수도 있다.
즉, 복수 개의 소선 선재(222)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두께보다 폭이 큰 직사각형 형태로 적층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소선 선재(220)를 직각틀에서 압착하거나 테이프(224)를 통한 바인딩 등에 의해 서로 밀집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소선 선재(222)의 전체 단면적은 도 12의 단일 세각 선재의 전체 단면적 이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전력유닛(220A, 220B)이 복수 개의 소선 선재(222)로 구성되므로 연결부재(100)의 굴곡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를 참조하면, 시스층(330)의 내부에 광유닛(112) 및 전력유닛(320A, 320B)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력유닛(320A, 320B)은 세각 선재(322)를 연결부재의 폭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세각 선재(322)는 그 단면적을 볼 때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력유닛(320A, 320B)은 이러한 세각 선재(322)가 연결부재의 폭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세각 선재(322)의 전체 단면적은 도 12의 단일 세각 선재의 전체 단면적 이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전력유닛(320A, 320B)이 복수 개의 세각 선재(322)를 연결부재의 폭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므로 연결부재의 굴곡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시스층(430)의 내부에 구비된 전력유닛(420A, 420B)은 세각 선재(422)를 연결부재의 두께방향으로 적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세각 선재(422)는 그 단면적을 볼 때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전력유닛(420A, 420B)은 이러한 세각 선재(422)가 연결부재의 두께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세각 선재(422)의 전체 단면적은 도 12의 단일 세각 선재의 전체 단면적 이상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전력유닛(420A, 420B)이 복수 개의 세각 선재(422)를 연결부재(100)의 두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므로 연결부재(100)의 굴곡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결국, 도 14 및 도 15의 연결부재(100)을 살펴보면, 각 전력유닛(320A, 320B, 420A, 420B)은 세각 선재(322, 422)를 각각 연결부재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며, 이에 따라 연결부재(100)의 굴곡 특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 12 내지 도 15에 따른 연결부재(100)를 커넥터(connector) 등에 배선 연결하는 경우에 쇼트(short)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쇼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력유닛의 외곽에 절연코팅층(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절연코팅층은 절연압출 방식이나, 에나멜 필름 코팅 방법 또는 절연압착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재(100)의 단면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6 내지 도 19에 따른 연결부재(100)는 각각 도 12 내지 도 15에 따른 연결부재(100)에서 환형 전력유닛(126A, 126B, 226A, 226B, 326A, 326B, 426A, 426B)을 더 구비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각 연결부재(100)에서 시스층(130, 230, 330, 430)의 내부에 광유닛(112)과 전력유닛(120A, 120B, 220A, 220B, 320A, 320B, 420A, 420B)을 구비하고, 전력유닛(120A, 120B, 220A, 220B, 320A, 320B, 420A, 420B)의 바깥쪽에 환형 전력유닛(126A, 126B, 226A, 226B, 326A, 326B, 426A, 426B)을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환형 전력유닛(126A, 126B, 226A, 226B, 326A, 326B, 426A, 426B)은 소선 선재(132, 232, 332, 432)와 상기 소선 선재(132, 232, 332, 432)의 외곽에 구비되는 절연층(134, 234, 334, 434)을 구비할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9에 따른 연결부재(100)에서 상기 전력유닛(120A, 120B, 220A, 220B, 320A, 320B, 420A, 420B)은 고전류를 전송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환형 전력유닛(126A, 126B, 226A, 226B, 326A, 326B, 426A, 426B)은 저전류의 전압을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Claims (25)

  1. 제1 전자기기와 제2 전자기기를 연결하기 위한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외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연결수단은 신호 전달을 위한 신호유닛 및 전력 공급을 위한 전력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폭이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은 OLED 방식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유닛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 사이의 배경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배경 이미지는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 사이의 배경을 촬영하여 획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정지 이미지 또는 동적 영상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사용자에 의하여 입력된 문자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전자기기 중 하나의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양단 중 일단의 커넥터에서 분기된 분기 연결부재를 통해 상기 제1 전자기기 또는 상기 제2 전자기기로부터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유닛은 상기 제1 전자기기 및 상기 제2 전자기기 이외의 제3 전자기기에 연결되어, 디스플레이 신호 및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유닛은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광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 및 전력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두께방향 중심선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및 두께방향 중심부에 배치되며 두께보다 폭이 큰 광섬유 리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며, 적어도 하나의 전력유닛은 두께보다 폭이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상기 광유닛의 양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단일 세각 선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1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복수 개의 소선 선재를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복수 개의 세각 선재를 상기 전자기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또는 두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2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절연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2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력유닛은 상기 연결부재의 폭방향 가장자리에 환형 전력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유닛은 공급 전압 및 전류가 상이한 복수의 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24. 제1 전자기기;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연결되는 제2 전자기기; 및,
    상기 제1 전자기기와 상기 제2 전자기기를 연결하여 신호 및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제1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자기기는 영상 전자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KR1020180105158A 2018-09-04 2018-09-04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KR202000271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58A KR20200027177A (ko) 2018-09-04 2018-09-04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58A KR20200027177A (ko) 2018-09-04 2018-09-04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77A true KR20200027177A (ko) 2020-03-12

Family

ID=69802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58A KR20200027177A (ko) 2018-09-04 2018-09-04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1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62531B2 (ja) 表示装置用ケーブルおよび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US6463198B1 (en) Micro composite fiber optic/electrical cables
US5448669A (en) Hybrid communications cable for enhancement of transmission capability
US6343172B1 (en) Composite fiber optic/coaxial electrical cables
JP6143753B2 (ja) ケーブルおよび電子機器
US10564375B2 (en) Optical and electrical composite multimedia cable
WO2015026067A1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KR102181050B1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US20170148543A1 (en) Self-winding modular linear unit
KR20200027177A (ko) 전자기기 연결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시스템
JP2012038637A (ja) ケーブル
JP2013058335A (ja) 光電気複合ケーブル
CN203812645U (zh) 耐弯曲抗拉型双绞数据图象传输环保电缆
CN105845267A (zh) 一种hdmi数据传输用光电复合缆
KR20030075398A (ko) 데이터 전송과 전원 공급을 위한 복합케이블
KR102534067B1 (ko) 플랫 광전복합 케이블
CN205582615U (zh) 一种hdmi数据传输用光电复合缆
CN104979050A (zh) 一种微型hdmi光电复合缆
KR20180087647A (ko) 멀티미디어 케이블
CN204792179U (zh) 一种微型hdmi光电复合缆
KR20170089559A (ko) 범용 직렬 버스 규격용 케이블
JP2012048829A (ja) 複合ケーブル
KR20140118653A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KR20170055005A (ko) 멀티미디어 케이블
JP2004265780A (ja) メタル光複合ケーブ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