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5005A - 멀티미디어 케이블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5005A
KR20170055005A KR1020160149235A KR20160149235A KR20170055005A KR 20170055005 A KR20170055005 A KR 20170055005A KR 1020160149235 A KR1020160149235 A KR 1020160149235A KR 20160149235 A KR20160149235 A KR 20160149235A KR 20170055005 A KR20170055005 A KR 201700550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ductor
audio
optical
retur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9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태경
전영호
한관희
이만수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55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50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22Cables including at least one electrical conductor together with optical fib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12Arrangements for exhibiting specific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18Coaxial cables; Analogous cables having more than one inner conductor within a common outer conductor
    • H01B11/1834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 H01B11/1839Construction of the insulation between the conductors of cellula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리턴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장거리 연결이 가능하며 케이블의 단면적이 최소화된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케이블{Multimedia Cable}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오디오 리턴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장거리 연결이 가능하며 케이블의 단면적이 최소화된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모니터, TV, 프로젝터 등을 포함하는 각종 디스플레이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외부입력장치와 연결되어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전송받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는 디지털화 방식으로 구성되고, 종래에는 외부입력장치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포트나 케이블)의 종류가 매우 다양했고 연결해서 사용하는 방법도 각각이므로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용자들은 컴퓨터의 주변기기의 연결을 원하는 경우 어떤 케이블을 써서 어떤 포트에 꽂아야 하는지 등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었다.
그러나 비압축 방식의 디지털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를 통합전송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규격인 HDMI 규격이 소개되었다. HDMI 규격은 PC와 디스플레이의 인터페이스 표준 규격인 DVI 규격에를 음향 신호의 전송기능까지 포함한 규격이다.
HDMI 규격은 기존의 아날로그 규격을 대체하며, 하나의 HDMI 케이블로 영상신호와 음향신호 모두를 전송할 수 있으므로, DVD 플레이어 또는 PC 등의 외부입력장치와 스피커 등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하나의 HDMI 케이블로 연결하면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모두 감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었으며, 최근 디스플레이장치와 외부입력장치를 연결하는 표준 규격화되어 사용이 급격히 증가되고 있다.
일반적인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자체적으로 음향 출력수단를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음향출력장치, 예를 들면 홈씨어터의 고음질 스피커 등을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DVD 플레이어 등은 HDMI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이용하여 홈씨어터를 매개로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각각 HDMI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의하여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DVD 미디어에 포함된 에 포함된 영상 신호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감상하고 음향 신호는 홈씨어터 등을 사용하여 청음할 수 있다.
이러한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홈씨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통해 지상파 방송을 시청하는 경우,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에 내장된 TV 튜너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에 포함된 영상신호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하고 방송신호에 포함된 음향신호는 홈씨어터 등으로 전송하여 출력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홈씨어터를 연결하는 HDMI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양방향 신호 전송 목적으로 설계된 케이블이 아니므로,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홈씨어터 측으로 제공되는 음향 신호의 전송을 위해서는 별도의 오디오백 케이블로 디스플레이장치와 홈씨어터를 연결하는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개수를 줄이고 시스템을 간소화하기 위하여 HDMI 1.4 규격에서는 오디오 리턴 기능을 구비하여 지상파 TV 신호를 홈씨어터 측으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HDMI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주된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을 적용하는 경우, 수십 미터(m)를 넘는 장거리 연결이 가능하지만, 장거리 연결시 오디오 리턴 기능은 수 미터(m) 이내로 제한을 받는다.
이는 연결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특성 임피던스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어렵고,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케이블에 오디오 리턴을 담당하는 특수임피던스설계 구조나 차폐층 등을 구비해야 하지만 비용이 크고 효과 크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오디오 리턴 기능을 구비하면서도 장거리 연결이 가능하며 케이블의 단면적이 최소화된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광유닛, 도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 상기 광유닛의 영상신호 전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음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리턴 유닛, 상기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은 3개 내지 5개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경화성 수지로 감싸도록 경화시켜 형성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유닛은 단면이 원형 또는 리본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의 광섬유는 4개가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이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상기 광섬유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광유닛의 직경은 0.7 밀리미터(mm) 내지 0.9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의 광섬유는 4개가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이 리본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광섬유는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는 외부도체를 포함하는 미세 동축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내부도체는 30 AWG 내지 26 AWG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는 구리 재질이며, 상기 외부도체는 주석코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절연체는 폴리에틸렌(PE) 또는 불화폴리에틸렌(FEP)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부도체는 상기 절연체 외부를 복수 개의 금속 와이어를 횡권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특성 임피던스는 30옴(Ohm) 내지 80옴(Oh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경은 0.7mm 내지 1.3mm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의 외경의 0.5 내지 2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선 유닛은 도체선 및 상기 도체선을 감씨는 피복층이 구비되고, 상기 도체선은 하나의 도체 와이어 또는 복수 개의 도체 세선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선이 하나의 도체 와이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도체 와이어는 29 AWG 내지 27 AWG 규격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선이 복수 개의 도체 세선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도체 세선은 37 AWG 내지 35 AWG 규격을 가지며, 6개 내지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선 유닛의 피복층은 로우스모크-제로할로겐(LSZH)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선 유닛의 직경은 0.65밀리미터(mm) 내지 0.7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선 유닛은 5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외부자켓은 LSZH 또는 PVC 재질이며, 상기 외부자켓의 두께는 0.45밀리미터(mm) 내지 0.55 밀리미터(mm)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지상파 텔레비전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에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 중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역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이더넷 통신 채널로 사용되어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이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광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은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원주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이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은 상기 미세 광유닛이 주위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유닛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 외경의 0.5 내지 2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의 0.8 내지 1.2배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유닛,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외부자켓은 상기 광유닛,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빈틈없이 감싸도록 충실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피복되지 않고 나도체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파 텔레비전,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과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으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연결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있어서,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유닛, 도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는 외부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광유닛을 통한 영상신호의 전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을 통해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 중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리턴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리턴 유닛 및 상기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정방향으로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구비되는 광유닛, 상호 연결되는 장치의 전원 연결상태에 관한 신호, 연결되는 양 장치 사이의 기간제어 자동연동 관련 신호, 영상신호 클럭 관련 신호, 양방향 시리얼통신, 데이터 포맷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각각 도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 및, 내부도체, 절연체, 외부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광유닛의 영상신호 전송방향과 반대방향 역방향으로 음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리턴 유닛 및, 상기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이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지상파 텔레비전,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과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으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오디오 리턴 유닛은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이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 중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의하면, 오디오 리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오디오 리턴유닛을 구비하여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홈씨어터 등의 음향 출력장치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의하면, 영상 신호와 음향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광섬유가 구비된 광유닛을 채용하고, 오디오 리턴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오디오 리턴유닛이 차폐층을 구비하는 미세 동축 케이블로 구성되어 특성 임피던스 및 노이즈 차단 성능이 우수하여,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와 홈씨어터 및 DVD 플레이어 또는 컴퓨터 등의 소스 장치 사이의 장거리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의하면,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오디오 리턴유닛 등을 나란히 배치하고 외부자켓을 피복하는 경우 충실형으로 구성하여 케이블 단면적을 줄이고 유연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의하면, 오디오 리턴유닛을 이더넷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UTP 케이블 등으로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연결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로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실시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오디오 리턴유닛의 부분 탈피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100)로 연결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구성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a)는 오디오 리턴 기능이 제공되지 않는 종래의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하며, 도 1(b)는 오디오 리턴 기능이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이 적용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는 지상파 TV 신호를 안테나(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가 자체적으로 스피커 등을 구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별도의 음향출력장치, 예를 들면 홈씨어터 등을 구성하는 음향 출력장치(3)의 고음질 스피커 등을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상파 TV 신호를 안테나(2)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영상신호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로 출력하고 음향신호는 홈씨어터 등을 구성하는 음향 출력장치(3) 등으로 전송하여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와 홈씨어터 등을 구성하는 음향출력장치(3)를 연결하는 HDMI 규격의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영상신호와 음향신호를 함께 제공하는 DVD 플레이어 등의 멀티미디어장치(4),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음향 출력장치(3) 및 영상신호를 출력하는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1)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시스템 등에서 디스플레이장치(1)가 안테나(2)를 통해 수신한 음향신호를 역방향으로 음향 출력장치(3)로 리턴 전송하여 음향 출력장치(3)에서 음향신호를 출력하게 하는 오디오 신호의 리턴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오디오 신호의 리턴 기능을 제공하는 HDMI 규격의 멀티미디어 케이블이 소개된 바가 있으나 디스플레이장치와 음향 출력장치의 연결거리가 길어지는 경우, 충분한 임피던스 성능을 확보할 수 없고 노이즈가 증가하여 음향 신호의 전송에 한계가 있었다.
특히, HDMI 규격의 멀티미디어 케이블이 광섬유를 구비하는 광유닛이 적용되는 경우 장거리 신호 전송은 가능한데 반해 오디오 리턴 기능은 노이즈 또는 임피던스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였다.
즉, 본 발명의 오디오 리턴 유닛(40)은 지상파 텔레비전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1),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와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3)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3)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으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에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 중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역방향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의 오디오 리턴 유닛(40)은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이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 중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3)를 통해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대하여 상세하게 검토하기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한 복수 개의 광섬유(1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유닛(10),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 전송을 위한 도체선을 포함하는 도체선 유닛(30), 제어신호 전송, 접지 및 오디오 리턴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리턴유닛(40) 및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의 외형을 구성하는 외부자켓(6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은 구체적으로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는 광유닛(10)이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40)과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30)이 상기 광유닛(10)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b)에 도시된 실시예는 오디오 리턴 유닛(40)이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광유닛(10)과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30)이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와 같은 각각의 유닛의 배치 위치 선정은 각각의 유닛의 외경에 따라 전체 멀티미디어 케이블이 원형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도체선 유닛(30)이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중심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최근 소개되는 HDMI 2.0 규격은 해상도 2560 * 1600 이상, 더 나아가 4K 영상 신호의 전송을 위한 10Gbps 이상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있다.
최근 소개된 고해상도 영상신호 및 음향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구리선 등의 데이터선을 사용하는 경우, 케이블 길이에 따른 손실과 인접한 신호선들 간의 크로스토크 간섭 및 EMI 전자파 등의 문제가 심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은 광섬유를 포함하는 광유닛(10)을 적용하여 해상도 2560 * 1600 이상의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한 10Gbps 이상의 신호 전송이 가능하며, 최근 소개되는 HDMI 2.0 규격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최대 18Gbps의 전송송도가 가능하여, 해상도 4840 * 2160 및 주사율 60 헤르쯔(hz)의 영상신호의 전송이 가능한 HDMI 2.0 속도까지 지원하는 케이블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구리선이 아닌 광섬유를 적용하는 경우, 케이블의 직경 또는 단면적 충분히 줄이고, 인접한 도체선 간의 간섭을 제거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광섬유 보호층(13)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되는 경우, 빈공간 만큼 광유닛(10)의 직경이 증가되므로 광유닛(10)의 직경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광섬유 보호층(13) 내부 공간에 빈공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광섬유(11)를 보호하기 위한 광섬유 보호층(13)을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재질로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성형한 결과, 일반 PVC 코팅된 제품에 비해 강도/경도/탄성이 높아 벤딩이나 수축에 따른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광유닛(10)은 다수의 광섬유, 바람직하게는 3개 내지 5개의 광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광유닛(10)은 4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광유닛(10)을 구성하는 단일 광섬유(11)는 코어(Core), 클래딩(Cladding)층, 1차 코팅층 및 2차 코팅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정보를 포함한 광신호는 굴절률이 높은 코어층과 굴절률이 낮은 클래딩(Cladding)층의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광섬유(11) 코어를 따라 전파되게 된다.
상기 코어(Core)는 굴절률이 약간 높아지도록 게르마늄(Ge)을 첨가한 실리카 재질로 구성되며, 1차 코팅층 및 2차 코팅층은 주로 UV 경화성 수지등으로 코팅 후 경화시켜 제조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경우 데이터 통신을 위하여 광섬유(11)가 구비된 광유닛(10)을 적용하고 더 나아가 광유닛(10)의 보호층을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로 구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신호선 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차폐층 등을 생략하여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밴딩 특성까지 향상되며, 데이터 전송을 위하여 광섬유(11)에 의한 광유닛(10)을 적용하여 거리에 따른 감쇄 문제가 해소되어 디스플레이장치와 홈씨어터 등의 음향출력장치의 장거리 연결시에도 안정적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광유닛(10)을 구성하는 광섬유(11)는 다중모드 섬유(multimode fibe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유닛(10)이 4개의 광섬유(11)가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10) 전체의 단면이 원형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광섬유(11)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이 원형인 경우 상기 광유닛(10)의 직경(d1)은 0.7 밀리미터(mm) 내지 0.9 밀리미터(mm) 정도가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도체선 유닛(30)은 각각의 도체선(31)이 피복층(33)으로 각각 피복된 상태로 외부자켓(60) 내에 수용되며, 각각의 도체선 유닛(30)을 구성하는 하나의 도체 와이어 형태의 도체선(31)은 29AWG 내지 27AWG 규격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상기 도체선 유닛(30)은 복수 개의 도체 세선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체선 유닛(30)이 복수 개의 도체 세선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도체 세선은 37AWG 내지 35AWG 규격이며, 6개 내지 8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체선 유닛(30)의 피복층(33)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일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로 피복된 상기 도체선 유닛(30)의 직경은 0.65밀리미터(mm) 내지 0.75 밀리미터(mm)일 수 있으며, 이러한 도체선 유닛(30)의 직경은 상기 광유닛(10)의 직경과 비슷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도체선 유닛(30)은 5개가 구비될 수 있다.
5개의 도체선 유닛(30)은 전원(전력),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연결상태에 관한 신호, 연결되는 양 장치 사이의 기간제어 자동연동 관련 신호, 영상신호 클럭 관련 신호, 디스플레이장치와 소스 장치 사이의 양방향 시리얼통신, 데이터 포맷 신호(디스플레이장치의 해상도 등)의 전송 채널로 사용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도체선 유닛(30)은 합선 또는 쇼트 방지를 위하여 각각 피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플렛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적어도 일부의 도체선 유닛은 나도체 형태로 피복층 없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제어신호 전송 기능, 접지 기능 및 음향신호 리턴 전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오디오 리턴유닛(4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은 장거리 연결에도 임피던스 특성 만족과 노이즈 저감을 위하여 미세 동축 케이블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미세 동축 케이블은 이동통신용 또는 TV용 동축케이블에 비해 케이블 직경이 매우 작으며, 케이블 직경은 0.7 mm 내지 1.3 mm일 수 있다. 그 구조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은 지상파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과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으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DVD 플레이어 등의 소스 장치, 도 1 참조)로 연결된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에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 중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영상신호의 전송방향의 역방향(멀티미디어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로의 영상신호 또는 음향신호의 전송방향을 정방향으로 가정하는 경우 그 역방향)으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로 연결된 시스템에서, 오디오 리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블이 생략되어도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제공되는 음향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므로 기기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의 특성 임피던스가 확보되면, 수십미터 이상의 거리, 예를 들면 100 미터(m) 정도의 거리에서도 광유닛을 통한 역방향 영상신호의 전송이 가능함과 동시에 음향신호의 리턴 전송도 노이즈 또는 잡음 등의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개의 광유닛(10), 5개의 도체선 유닛(30) 및 1개의 오디오 리턴유닛(40)의 크기가 대략 비슷하게 구성하는 경우, 광유닛(10) 또는 오디오 리턴유닛(40) 등을 중심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나머지를 둘레에 6각형 형태로 배치한 후 외부자켓(60)으로 피복하여 원형 케이블을 구성할 수 있다.
케이블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외부자켓(60) 내에 아라미드얀 등의 보강재(50)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외부자켓(60)은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자켓(60)의 두께는 0.45밀리미터(mm) 내지 0.55 밀리미터(mm) 정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적으로, 상기 광유닛(10)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30) 외경의 0.5 내지 2.0 배의 크기를 가지며, 오디오 리턴유닛(40)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30)의 0.5 내지 2.0 배의 범위에서 그 크기가 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은 상기 광유닛(10), 상기 도체선 유닛(30)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40)을 감싸는 외부자켓(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외부자켓(60)은 LSZH 또는 PVC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외부자켓(60)의 두께는 0.45밀리미터(mm) 내지 0.55 밀리미터(mm) 범위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오디오 리턴유닛(40)으로서의 동축 케이블을 도시한다.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은 내부도체(41), 상기 내부도체(41)를 감싸는 절연체(43) 및 상기 절연체(43) 외측을 감싸는 외부도체(45)를 포함하는 미세 동축 케이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을 구성하는 오디오 리턴유닛(40)의 외부도체(45)는 접지에 사용되고, 내부도체(41)는 오디오 리턴 기능 및/또는 이더넷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을 구성하는 미세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41) 및 외부도체(45)는 구리 재질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도체(45)는 항부식 성능 강화를 위하여 주석코팅(TA, Tinned Anneal) 처리될 수 있으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40)의 내부도체(41)는 30 AWG 내지 26 AWG규격일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을 구성하는 미세 동축 케이블의 내부도체(41)는 30AWG 내지 26AWG 규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의 내부도체(41)와 외부도체(45)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체(43)는 폴리에틸렌(PE) 또는 불화폴리에틸렌(FEP)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45)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금속 와이어를 절연체(43) 외부를 횡권하는 방법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절연체(43) 외부를 편조체로 감싸거나, 박막의 금속테이프로 테이핑 하는 방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외부도체(45) 외부에는 피복층이 더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딸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경우에는 별도의 외부자켓이 구비되므로 생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디오 리턴유닛(40)의 특성 임피던스는 30옴(Ohm) 내지 80옴(Ohm)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오디오 리턴 기능은 홈씨어터 등의 음향출력장치와 연결된 디스플레이장치로 음향신호를 영상신호 전송방향과 역방향으로 리턴 전송하는 기능 이외에도 이더넷 통신 채널로 사용되기 위하여 구비되고, 더 나아가, 오디오 리턴유닛(40)을 이더넷 채널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인터넷 기능을 위하여 별도의 UTP 케이블 등으로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PC 등을 연결할 필요가 없다.
구체적으로, 최근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는 스마트 티비 형태로 출시되는 경우가 많고, 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UTP 케이블 등의 랜선을 사용하거나, 무선 안테나를 장착해서 무선 인터넷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전자의 경우,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 홈씨어터 등의 음향 출력장치 및 인터넷에 연결된 PC 등의 소스장치를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로 직렬로 순차 연결하면 별도의 UTP 케이블 등의 랜선을 사용하지 않아도 인터넷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자켓(60)에 의하여 피복된 상태에서 인장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재(50)로서의 아라미드얀 등이 외부자켓(60) 내부에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들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한 설명과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은 더 나아가 케이블의 직경과 단면적을 줄임과 동시에 케이블의 밴딩 유연성을 극대화하고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형태를 납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케이블의 형태를 납작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광유닛(10), 상기 도체선 유닛(30) 및 상기 오디오 리턴유닛(40)이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외부자켓(60)에 의하여 피복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의 단면 형상은 납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을 납작하게 하여 케이블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나란히 배치한 후 외부자켓(60)에 의하여 내부에 빈공간이 존재하지 않도록 충실형으로 피복하여 케이블의 단면적을 최소화하고 더 나아가 케이블의 밴딩방향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이 납작한 플랫형으로 구성되어 동일한 면적의 원형 케이블보다 유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납작한 형태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밴딩의 방향성은 존재하지만 밴딩방향 두께를 줄일 수 있으므로, 밴딩시의 유연성이 향상된다고 이해될 수 있다.
케이블의 직경을 줄이면, 케이블의 단면적 및 무게를 줄임과 동시에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재료비를 절감 및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의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상기 두께(T)가 1.3 밀리미터(mm) 내지 1.7 밀리미터(mm)이고 상기 폭(W1 또는 W2)이 3.5 밀리미터(mm) 내지 5.5 밀리미터(mm)까지 그 크기를 줄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여기서, 케이블의 외부자켓(60)에 의하여 수용되는 구성요소들을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유닛(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고, 나란히 대칭되도록 배치하는 방법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내부 공간 또는 빈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실형으로 케이블을 구성하므로 케이블을 구성하는 도체선 유닛(30)을 별도의 피복없이 나도체 상태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도 4(a)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광유닛(10)이 원형 단면을 갖도록 구성되나,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유닛(10)은 납작한 형태, 즉 리본 형태를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광유닛(10)이 원형인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광유닛(10)의 직경(d1)은 0.7 밀리미터(mm) 내지 0.9 밀리미터(mm) 정도이나, 상기 광유닛(10)을 리본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상기 광유닛(10)의 폭(w1)은 1.0 밀리미터(mm) 내지 1.2 밀리미터(mm)로 커지지만, 두께(t)가 0.2 밀리미터(mm) 내지 0.4 밀리미터(mm)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이 리본형인 경우는 원형인 경우보다 광유닛(10)의 두께를 줄여 케이블을 더욱 납작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광유닛(10)이 중심부에 배치되고 광유닛(10)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들을 나란히 이격되도록 배치되면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와 달리 도체선 유닛(30) 또는 오디오 리턴유닛(40) 상호 절연할 필요가 없고, 물리적 스트레스에 가장 민감한 광유닛(10) 보호에 유리하며, 케이블의 직경을 줄여 결과적으로 케이블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광유닛(10)과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는 상호 절연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그 간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유닛(10)이 정중앙에 배치된 경우만 도시하였으나, 최외곽만 아니라면 위치 변경도 가능하다.
상기 광유닛(10) 양측으로 상호 이격되고,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들이 상호 이격된 상태로 나란히 배치하는 방법으로 도체선 유닛(30)의 절연 피복을 줄여 케이블의 직경 또는 단면적을 줄이는 것에 일조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케이블의 중심부에 광유닛(10) 이외에도 도체선 유닛(30) 또는 오디오 리턴 유닛(4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음은 전술한 도 2를 참조한 실시예들과 마찬가지이다.
각각의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을 나도체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케이블의 구성요소로서 금속 도체 형태의 도체선 유닛(30) 또는 도체선 유닛(40)의 절연 공정을 생략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케이블 제조공정 또한 간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은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광유닛(10) 및 도체선 유닛(30)이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하여 외부자켓(60)에 의하여 피복된 상태에서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의 단면 형상은 납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달리, 보강재로서의 아라미드얀 등은 생략될 수 있다.
납작하게 케이블을 구성하면 밴딩의 방향에 따른 특성이 이원화되어 케이블의 비틀림 억제 특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기본적인 케이블의 유연성이 향상되고 더 나아가 케이블의 꼬임까지 감소될 수 있다.
반면,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과 같이, 원형으로 케이블을 구성하는 경우 외부자켓(60) 내부에 수용되는 전도성 구성요소, 즉 도체선 유닛(30)은 상호 접촉에 의하여 단락 또는 쇼트 등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디오 리턴유닛(40)을 제외한 도체선 유닛(30)들은 상호 절연되어야 했으나,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멀티미디어 케이블(100)은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들이 광유닛(10)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배치됨과 동시에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들이 각각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 후 상태로 외부자켓(60)에 의하여 충실형으로 피복되므로 케이블을 원형으로 구성하는 경우 각각의 도체선 유닛(30)을 별도로 절연하기 위하여 피복을 생략할 수 있다.
각각의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은 케이블의 폭방향으로 나란히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유닛(10) 및 상기 도체선 유닛(30)이 나란히 배치된 상태로 피복하는 외부자켓(60)은 마찬가지로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또는 LSZH(Low Smoke Zero Halogen) 재질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는 광유닛(10) 양측에 3개의 도체선 유닛(30)이 이격되어 배치되고, 다른 쪽에 2개의 도체선 유닛(30)과 오디오 리턴유닛(40)이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의 절연이 보장된다면 이를 상호 이격시킬 필요가 없다.
그리고 광유닛(10)과 도체선 유닛(30) 또는 오디오 리턴유닛(40)의 절연은 불필요하므로 5개의 도체선 유닛(30)과 오디오 리턴유닛(40)의 절연만 고려하면 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닛(10)과 인접한 도체선 유닛(30)은 광유닛(10) 약측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하고 이외의 유닛들이 상호 절연되도록 함과 동시에 케이블의 폭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유닛(10)과 인접한 도체선 유닛(30)은 광유닛(10) 양측에 접촉된 상태로 배치함과 동시에 나란히 배치된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을 절연하기 위하여 중심에 배치된 도체선 유닛(30)을 절연 피복하면 결국 도체선 유닛(30)과 오디오 리턴유닛(40)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게 배치하여도 각각의 절연을 보장할 수 있고, 케이블의 폭을 더욱 줄일 수 있다. 이는 오디오 리턴 기능 및 접지 기능을 제공하는 오디오 리턴유닛(40)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외부도체(45) 외부가 피복된 오디오 리턴유닛(40)을 중심에 배치하고 양측에 도체선 유닛(30)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광유닛(10), 도체선 유닛(30) 및 오디오 리턴유닛(40)을 각각 인접시켜 배치할 수 있음은 마찬가지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기본적으로 고화질 영상 정보와 음향신호의 전송 기능을 보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음향 출력장치와 TV 등의 디스플레이장치의 연결거리가 긴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오디오 리턴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케이블의 직경을 최소화고 유연성을 확보하면서도 케이블 제조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0 : 멀티미디어 케이블
10 : 광유닛
30 : 도체선 유닛
40 : 오디오 리턴유닛
50 : 보강재
60 : 외부자켓

Claims (30)

  1.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영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광유닛;
    도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
    상기 광유닛의 영상신호 전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음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리턴 유닛;
    상기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는 외부도체를 포함하는 미세 동축 케이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내부도체는 30 AWG 내지 26 AWG규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내부도체 및 외부도체는 구리 재질이며, 상기 외부도체는 주석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절연체는 폴리에틸렌(PE) 또는 불화폴리에틸렌(FEP)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부도체는 상기 절연체 외부를 복수 개의 금속 와이어를 횡권하여 구성되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특성 임피던스는 30옴(Ohm) 내지 80옴(Oh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경은 0.7mm 내지 1.3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의 외경의 0.5 내지 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3개 내지 5개의 광섬유 및 상기 광섬유를 경화성 수지로 감싸도록 경화시켜 형성한 광섬유 보호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은 단면이 원형 또는 리본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경화성 수지는 UV 경화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광섬유는 4개가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이 원형 단면을 갖는 경우 상기 광섬유는 사각형 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광유닛의 직경은 0.7 밀리미터(mm) 내지 0.9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광섬유는 4개가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이 리본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광섬유는 동일 평면상에 나란히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 유닛은 도체선 및 상기 도체선을 감씨는 피복층이 구비되고, 상기 도체선은 하나의 도체 와이어 또는 복수 개의 도체 세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이 하나의 도체 와이어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도체 와이어는 29 AWG 내지 27 AWG 규격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이 복수 개의 도체 세선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도체 세선은 37 AWG 내지 35 AWG 규격을 가지며, 6개 내지 8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 유닛의 피복층은 로우스모크-제로할로겐(LSZH) 또는 폴리염화비닐(PVC)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 유닛의 직경은 0.65밀리미터(mm) 내지 0.7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선 유닛은 5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켓은 LSZH 또는 PVC 재질이며, 상기 외부자켓의 두께는 0.45밀리미터(mm) 내지 0.55 밀리미터(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지상파 텔레비전 수신 기능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매개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의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에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 중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역방향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이더넷 통신 채널로 사용되어 데이터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이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광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은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원주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이 케이블 중심에 배치되고,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은 상기 미세 광유닛이 주위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 외경의 0.5 내지 2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5.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의 외경은 도체선 유닛의 0.8 내지 1.2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유닛,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나란히 배치되고, 상기 외부자켓은 상기 광유닛,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빈틈없이 감싸도록 충실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7. 제26항에 있어서,
    나란히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 중 적어도 일부는 피복되지 않고 나도체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8. 지상파 텔레비전,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과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으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연결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에 있어서,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광유닛;
    도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은 내부도체, 상기 내부도체를 감싸는 절연체 및 상기 절연체 외측을 감싸는 외부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광유닛을 통한 영상신호의 전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을 통해 수신된 지상파 방송 신호 중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리턴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리턴 유닛; 및
    상기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29. 복수 개의 광섬유를 포함하며, 정방향으로 영상신호의 전송을 위하여 구비되는 광유닛;
    상호 연결되는 장치의 전원 연결상태에 관한 신호, 연결되는 양 장치 사이의 기간제어 자동연동 관련 신호, 영상신호 클럭 관련 신호, 양방향 시리얼통신, 데이터 포맷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전송하기 위하여 각각 도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복수 개의 도체선 유닛; 및,
    내부도체, 절연체, 외부도체를 포함하며, 상기 광유닛의 영상신호 전송방향과 반대방향 역방향으로 음향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오디오 리턴 유닛; 및,
    상기 광유닛, 도체선 유닛 및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을 감싸는 외부자켓;을 포함하며,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이 중심부에 구비되고, 상기 광유닛 및 복수 개의 상기 도체선 유닛이 상기 오디오 리턴 유닛 둘레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지상파 텔레비전,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과 연결된 별도의 음향 출력장치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에 연결되어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음향신호를 공급하고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으로 영상신호를 공급하는 멀티미디어 장치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서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은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 및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연결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케이블의 오디오 리턴 유닛은 상기 지상파 텔레비전이 수신한 텔레비전 신호 중 음향 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를 통해 출력하기 위하여 상기 음향신호를 상기 음향 출력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케이블.
KR1020160149235A 2015-11-10 2016-11-10 멀티미디어 케이블 KR201700550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7282 2015-11-10
KR20150157282 2015-11-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5005A true KR20170055005A (ko) 2017-05-18

Family

ID=59049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9235A KR20170055005A (ko) 2015-11-10 2016-11-10 멀티미디어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50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6690B2 (en) Multimedia cable
US6343172B1 (en) Composite fiber optic/coaxial electrical cables
JP4962531B2 (ja) 表示装置用ケーブルおよびテレビジョンシステム
JP5343960B2 (ja) 多心ケーブル
US6463198B1 (en) Micro composite fiber optic/electrical cables
WO2015026067A1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KR102181050B1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US10564375B2 (en) Optical and electrical composite multimedia cable
US11081254B2 (en) Smart home cable
US20050045367A1 (en) UTP cable apparatus with nonconducting core, and method of making same
CN103021554A (zh) 漏泄波导同轴电缆
KR20170055005A (ko) 멀티미디어 케이블
US20050199416A1 (en) Cable apparatus for minimizing skew delay of analog signals and cross-talk from digital signals and method of making same
KR20180087647A (ko) 멀티미디어 케이블
CN203038724U (zh) 漏泄波导同轴电缆
KR20170089559A (ko) 범용 직렬 버스 규격용 케이블
CN205582615U (zh) 一种hdmi数据传输用光电复合缆
KR20210153580A (ko) 멀티미디어용 광전복합 케이블
CN105845267A (zh) 一种hdmi数据传输用光电复合缆
CN104979050A (zh) 一种微型hdmi光电复合缆
KR20170033558A (ko) 멀티미디어 케이블
CN204792179U (zh) 一种微型hdmi光电复合缆
KR102475508B1 (ko) 범용 직렬 버스 규격용 케이블
KR20140118653A (ko) 광섬유 유닛을 구비한 hdmi 케이블
KR20210093660A (ko) 광동복합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