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63A -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 Google Patents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63A
KR20200027163A KR1020180105120A KR20180105120A KR20200027163A KR 20200027163 A KR20200027163 A KR 20200027163A KR 1020180105120 A KR1020180105120 A KR 1020180105120A KR 20180105120 A KR20180105120 A KR 20180105120A KR 20200027163 A KR20200027163 A KR 20200027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dule
button
electric line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남진
Original Assignee
(주)두두스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두두스토리 filed Critical (주)두두스토리
Priority to KR1020180105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7163A/ko
Publication of KR2020002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16Telepho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제1케이스부, 내부에 전원모듈이 배치되고 제1케이스부와 연결되는 제2케이스부, 판 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전기선로가 형성되어 제2케이스부 내부에 놓여지며 전원모듈과 연결되는 전기선로판부, 복수 개의 버튼모듈이 형성되어 개구홀로 버튼모듈이 돌출되도록 전기선로판부에 배치되고, 버튼모듈의 작동에 따라 전기선로판부에 서로 다른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키패드부;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버튼모듈의 작동될 때,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되는 진동부;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사운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버튼모듈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운드메모리부; 및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출력되는 사운드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수신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Phone Toy For Generating Vibration And Bell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가지고 노는 장난감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어린아이는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사물에 대한 형상 및 사물의 특성을 파악한다. 장난감은 어린아이들이 다양한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며 어린아이의 종합지능 수준을 높인다.
이에, 어린아이를 키우는 부모는 아이의 지능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장난감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아이가 흥미를 보이는 장난감을 구매한다.
현재, 아이의 지능 개발에 도움이 되는 장난감에 대한 수요가 커지면서, 어린아이의 장난감 분야의 산업에선 아이의 종합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난감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전화기의 특성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장난감 전화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개발된 대다수의 장난감 전화기는 숫자를 표시하는 버튼이 형성되어 있고 형성된 버튼을 눌렀을 때, 그에 따라 멜로디가 나오도록 하고 있다. 즉, 이러한 장난감 전화기는 실제 전화기의 특성 즉, 진동, 문자가 수신되었을 때 및 카메라를 작동시켰을 때 등과 같은 특성을 나타내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아이의 흥미를 크게 유발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6834호 (2003년 12월 11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어린아이가 실제 전화기를 작동시키는 거와 같은 느낌이 나도록 가지고 놀게 하며 어린아이가 상대방의 말을 집중하여 듣고, 그에 따라 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아이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자연스럽게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 및 대화 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는, 전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제1케이스부;
내부에 전원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와 연결되는 제2케이스부;
판 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전기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놓여지며 상기 전원모듈과 연결되는 전기선로판부;
복수 개의 버튼모듈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홀로 상기 버튼모듈이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서로 다른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키패드부;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모듈의 작동될 때, 상기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되는 진동부;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사운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모듈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운드메모리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사운드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사운드메모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수신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모듈은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접하며 눌려졌을 때에는 전기선로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눌려지지 않았을 때에는 전기선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내피스위치모듈과 상기 내피스위치부에 끼움 결합되는 외피버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면에 복수 개의 버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와 상기 키패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홀로 상기 외피버튼모듈을 돌출시키며 상기 외피버튼모듈의 측면을 누르는 키패드고정내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선로판부는 상기 복수 개의 버튼모듈이 놓여지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버튼모듈이 작동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발광부를 턴-온 시킬 수 있다.
상기 전기선로판부는 상기 버튼모듈이 작동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설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킨 후 턴-오프 하고, 다른 하나의 발광부를 설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킨 후, 턴-오프 되도록 하는, 타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임설정부는 상기 발광부를 통해 흐르는 전기를 충전하는 제2커패시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2커패시터에서 전기를 출력하는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를 턴-온 시킬 수 있다.
상기 진동부는 일단이 전원모듈과 연결되는 모터모듈과 제1단이 상기 모터모듈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고, 제3단이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제2단을 통해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모터모듈을 구동시키는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핀 가운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핀은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모듈과 연결된 제1커패시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패시터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는 내부에 상기 진동부가 고정되도록, 수용홈이 형성된 제1파지모듈과 상기 수용홈에 탈착되는 걸쇠가 형성된 제2파지모듈로 형성된 파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운드메모리부는, 모드전환부와 연결된 상기 제어모듈을 통해, 상기 모드전환부의 작동에 따라 제1모드와 제2모드로 설정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상기 사운드데이터를 다르게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키패트부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버튼모듈과 문양이 표시된 문양버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부는 상기 전원모듈과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모듈에서 출력되어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키패트부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버튼모듈과 문양이 표시된 문양버튼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부와 상게 제2케이스부의 모서리는 라운딩(rounding)될 수 있다.
상기 제2케이스부는, 상기 전원모듈이 수용되는 면과 동일 면상에 형성된 연결고리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는 전화 모드로 작동될 때, 전화기에 형성된 각 숫자버튼이 눌리면 그에 대응하는 전화벨이 울리면서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눌린 버튼에 대응해 서로 다른 질문이 나오도록 한다. 그리고 전화기에 형성된 문자메시지버튼과 카메라버튼이 눌려지면 그에 맞는 음이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숫자모드로 작동될 때, 전화기의 각 버튼이 눌리면 그에 대응하는 숫자의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아이가 장난감을 가지고 놀며 자연스럽게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대방의 말을 경청한 후, 대답할 수 있도록 하며 아이의 대화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기선로판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된 구성요소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의 회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가 제1모드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가 제1모드로 작동하며 발광부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가 제2모드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의 연결고리모듈에 연결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단지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만, 도면상에서 표시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의 사시도이다.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버튼이 눌리면 음과 함께 진동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모드 전환 되며 어린아이가 전화놀이 및 숫자놀이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가 전화놀이 모드인 제1모드로 설정되어 어린아이가 버튼을 누르면,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진동부(50)와 사운드메모리부(60)가 작동되어 전화벨과 진동을 동시에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눌린 버튼에 대응하여 다양한 동물들이 묻는 질문을 출력 한다.
또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가 숫자놀이 모드인 제2모드로 설정되면, 어린아이가 버튼을 눌렀을 때, 누른 버튼에 해당하는 숫자의 음과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상부 케이스가 되는 제1케이스부(10), 하부 케이스가 되는 제2케이스부(20), 여러 반도체 소자가 부착되는 전기선로판부(30), 전기선로판부(30)에 놓여지는 키패드부(40), 전기선로판부(30)와 연결되어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50), 전기선로판부(30)와 연결되는 저장된 소리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운드메모리부(60) 및 사운드메모리부(60)에서 출력되는 소리데이터를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부(70)를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전환부(80) 및 작동을 온-오프 하는 전원스위치부(100) 등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로 구성되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구성요소 간 유기적인 작동을 통해, 어린아이가 전화놀이 및 숫자놀이를 하며 사물에 대한 인지능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 및 각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기선로판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도 3의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된 구성요소를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1케이스부(10)는 본 발명의 상부 케이스가 된다. 제1케이스부(10)는 어린아이가 가지고 놀다 다치지 않도록 네 곳의 모서리가 라운딩(rounding) 처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부(10)의 전면에는 키패트부(40)가 돌출되도록 하는 개구홀(110)이 형성된다. 개구홀(110)은 제1케이스부(10)의 전면에는 숫자가 표시된 숫자버튼모듈의 키패트부(40)가 돌출되는 제1개구홀(110)과 문양이 표시된 문양버튼모듈의 키패트부(40)가 돌출되는 제2개구홀(110)을 포함한다.
제1케이스부(10)는 하부 케이스가 되는 제2케이스부(20)와 볼트 연결된다.
제2케이스부(20)는 제1케이스부(10)와 같이 네 곳의 모서리가 라운딩(rounding) 처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케이스부(20)는 제1케이스부(10)보다 높은 높이로 형성되어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제2케이스부(20)의 내부에는 전기선로판부(30), 진동부(50) 및 스피커부(7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케이스부(20)의 수용공간에는 후면에서 수용공간으로 들어가며 형성된 전원모듈수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모듈수용홈(211)은 전원모듈(210)이 수용되는 공간이 된다. 전원모듈(210)은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모듈(210)은 1.5V 배터리 두 개가 직렬로 연결되는 전원을 공급하는 모듈이 될 수 있다.
제2케이스부(20)는 전원모듈(210)과 전기선로판부(30)에 연결되어 전원모듈(210)에서 출력되어 전기선로판부(30)에 인가되는 전기를 제어하는 전원스위치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선로판부(30)는 판 상으로 형성되어 제2케이스부(2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전기선로판부(30)에는 복수 개의 전기선로(320)가 형성되고, 전기선로에 복수 개의 반도체 소자 즉, LED, 트랜지스터와 같은 소자 및 제어모듈(310) 및 사운드메모리부(60) 등과 같은 IC 칩이 설치된다. 그리고 전기선로판부(30)에는 진동부(50) 및 스피커부(70)가 연결된다.
전기선로판부(30)는 일단이 전원모듈(210)과 연결되며 전원모듈(210)에서 인가되는 전기가 복수 개의 전기선로(320)를 통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복수 개의 반도체 소자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전기선로판부(3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해 설명을 할 때 구체적으로 하도록 한다.
전기선로판부(30)의 상측면에는 키패트부(40)가 배치된다. 키패트부(40)는 전기선로에 흐르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키패트부(40)에 의해 제어되는 전류는 진동부(50) 및 사운드메모리부(6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키패트부(40)의 작동에 따라 진동부(50) 및 사운드메모리부(60)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키패드부(40)는 복수 개의 버튼모듈을 포함한다. 버튼모듈은 일부가 전기선로판부(30)에 놓여지는 내피스위치모듈(411)과 내피스위치모듈(411)에 끼움 결합되는 외피버튼모듈(412)로 구성된다. 이때, 내피스위치모듈(411)은 외피버튼모듈(412)이 눌려졌을 때, 개방된 전기선로를 단락 시키며 전류가 도통되도록 하고, 눌려지지 않았을 때에는 전기선로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전류가 도통되지 않도록 한다.
키패트부(40)는 키패드고정내피부(35)의 일면에 형성된 복수 개의 버튼홀(351)로 버튼모듈이 돌출되며 제1케이스부(10)와 키패드부(40)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키패드고정내피부(35)는 버튼홀(351)외의 면으로 외피버튼모듈의 외측면을 누르며 외피버튼모듈이 버튼홀(351)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진동부(50)는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전기선로판부(30)와 연결되어 버튼모듈의 작동될 때, 인가되는 전류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진동부(5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모듈(510)과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모터모듈(5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모터모듈(510)은 제2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된 파지부(90) 즉, 수용홈이 형성된 제1파지모듈(910)과 수용홈에 탈착 되는 걸쇠가 형성된 제2파지모듈(920)로 형성된 파지부(90)에 파지되어 제2케이스부(20)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운드메모리부(60)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IC칩으로 형성된다. 일례로, 사운드메모리부(60)는 “따르릉”과 같은 벨소리, “너의 이름은 뭐야?”, “너는 몇 살이야?” 등과 같은 질문, “생일 축하합니다.”와 같은 동요, “띠리링”과 같은 메시지 수신음, “촬칵”과 같은 카메라 효과음 및 “일”,”이”와 같은 각 숫자의 음을 사운드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운드메모리부(60)는 제2케이스부의 내부 및 전기선로판부(30)에 고정된다. 사운드메모리부(60)는 전기선로판부(30)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따라 전술한 사운드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사운드메모리부(60)는 모드전환부(80)와 연결된 제어모듈(310)을 통해, 모드전환부의 작동에 따라 제1모드와 제2모드로 설정되고 설정된 모드에 따라 전술한 사운드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사운드메모리부(60)는 출력한 사운드데이터를 스피커부(70)로 전송한다.
스피커부(70)는 제2케이스부 내부에 끼움 고정된다. 스피커부(70)는 사운드메모리부(60)와 연결되어 사운드메모리부(60)에서 출력되는 사운드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수신하며 소리로 출력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간 전기적 관계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회로도이다.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도 5에 도시된 회로도와 같은 회로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선로판부(30)에는 연결된 반도체 소자 즉,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 발광부트랜지스터모듈(3301), 제어모듈(310), 타임설정부(340) 등과 같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부(50), 모드전환부(80), 전원스위치부(100)와 같은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측면에 키패트부(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전기선로판부(30)에 설치 및 연결되는 각종 장치 그리고 각종 장치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제어모듈(310)은 전원핀으로 전압이 인가되면, 복수 개의 출력핀으로 디지털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제어모듈(310)은 일례로 IC 161 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모듈(310)은 전원핀이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모듈(210)과 연결된 제1커패시터(C1)와 연결되어, 제1커패시터(C1)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때, 제1커패시터(C1)는 전원모듈(21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충전한 후, 전원핀(VPD)에 일정한 크기로 전압을 인가한다.
제1커패시터(C1)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을 제어모듈(310)에 인가하며 제어모듈(310)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모듈(310)의 복수 개의 핀은 발광부(330)와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트랜지스터모듈(3301)과 발광부(330)의 타단과 연결된다. 여기서, 발광부트랜지스터모듈(3301)은 PNP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발광부(330)는 양극이 애노드가 되고, 음극이 캐소드가 되는 LED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330)는 복수 개의 버튼모듈이 놓여지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작동되는 버튼모듈에 대응하여 작동될 수 있다.
PNP트랜지스터는 베이스단자, 이미터단자 및 컬렉터단자를 포함한다. PNP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자는 제어모듈(310)의 복수 개의 핀 가운데 하나의 핀과 연결되고, PNP트랜지스터의 이미터단자는 출력단자가 연결된다.
PNP트랜지스터는 제어모듈(310)이 구동될 때, 베이스단자와 이미터단자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되어 컬랙터단자를 통해 전류를 출력한다. 이러한 구조의 PNP트랜지스터는 컬랙터단자에 애노드가 연결되어 있는 발광부(330)에 일정한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발광부(330)를 턴-온 시킨 후, 빛이 일정한 세기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발광부(330)에서 빛이 출력되는 시간 즉, 발광부(330)의 턴-온 시간은 타임설정부(340)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타임설정부(340)는 발광부(330)를 통해 흐르는 전기를 충전하는 제2커패시터(C2)와 연결된다. 제2커패시터(C2)는 제어모듈(310)에서 출력되는 전기를 충전한다. 그리고 충전된 전기를 타임설정부(340)에 일정한 세기의 전압으로 인가한다. 이러한 제2커패시터(C2)는 타임설정부(340)에 일정한 세기의 전압을 인가하여 방전 되면 다시 제어모듈(310)에서 출력되는 전기로 충전된다.
타임설정부(340)는 제2커패시터(C2)가 충전되는 동안 작동하지 않게 되며 발광부(330)가 턴-오프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발광부(330)의 턴-온 및 턴-오프 시간은 제2커패시터(C2)의 충/방전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타임설정부(340)는 어느 하나의 발광부(330)를 턴-온, 턴-오프 시킨 후에는 다른 하나의 발광부(330)를 턴-온 및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진동부(50)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모터모듈(510)과 모터모듈(510)에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은 제1단이 이미터단자, 제2단이 베이스단자 그리고 제3단이 컬렉터단자가 되는 NPN트랜지스터가 될 수 있다.
모터모듈(510)의 일단은 전원모듈(210)과 연결되고, 타단은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의 제1단과 연결된다.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의 제2단은 전기선로판부(30)와 연결되고, 제3단은 접지(GND)와 연결된다.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520)은 제2단을 통해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제1단과 제3단 사이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며 모터모듈(510)이 작동하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모드전환부(80)는 제어모듈(310)이 제1모드 또는 제2모드로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모드전환부(80)는 사용자 즉, 어린아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며 제어모듈(3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제1출력핀(PA4) 또는 제2출력핀(PA5)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스위치부(100)는 제어모듈(310)이 턴-온 또는 턴-오프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전원스위치부(100)는 사용자 즉, 어린아이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 되며 제어모듈(310)에서 출력되는 전기신호가 제어모듈(310)에 연결되어 있는 각종 장치에 인가 또는 인가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키패트부(40)의 제1버튼, 제4버튼, 제7버튼, 좌버튼, 문자버튼의 일단은 제어모듈의 PB5핀에 연결되고, 제2버튼, 제5버튼, 제8버튼, 제0버튼 및 전화버튼의 일단은 제어모듈의 PB6핀에 연결된다. 키패트부(40)의 제3버튼, 제6버튼, 제9버튼, 우버튼 및 카메라버튼의 일단은 제어모듈의 PB6핀에 연결된다.
아울러, 키패트부(40)의 제1버튼, 제2버튼 및 제3버튼의 타단은 제어모듈의 PB0핀에 연결되고, 제4버튼, 제5버튼 및 제6버튼의 타단은 제어모듈의 PB1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7버튼, 제8버튼 및 제9버튼의 타단은 제어모듈의 PB2핀에 연결되고, 좌버튼, 제0버튼 및 우버튼의 타단은 제어모듈의 PB3핀에 연결된다. 그리고 문자버튼, 전화버튼 및 카메라버튼의 타단은 제어모듈의 PB4핀에 연결된다.
이러한 구조로 연결된 키패트부(40)의 버튼은 사용자에 의해 눌려졌을 때, 일단과 타단의 전기선로를 단락시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의 작동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가 제1모드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가 제1모드로 작동하며 발광부가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가 제2모드로 작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가 제1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어린아이(A)가 키패트부(40)의 버튼모듈을 누르면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진동벨 및 사운드를 출력한다. 일례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드로 설정되어, 어린아이가 제1버튼을 누르면 진동과 함께 “띠리링~, 여보세요 나는 토끼야!”라는 음을 출력한다. 또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모드로 설정되어, 어린아이가 제2버튼을 누르면 진동과 함께 “띠리링~, 여보세요 너는 이름이 뭐야?”라는 음을 출력한다. 이때, 어린아이에 의해 눌려진 버튼은 빛이 출력될 수 있다.
눌려진 버튼은 제어모듈(310)과 타임설정부(340)에 의해 설정 시간 동안 발광 한 후, 더 이상 발광하기 않게 된다. 이후, 눌려지지 않은 버튼이 제어모듈(310)과 타임설정부(340)에 의해 도 8의 (b)와 (c)와 같이 순차적으로 빛을 발광하게 된다.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가 제2모드로 설정되었을 때, 어린아이(A)가 키패트부(40)의 버튼모듈을 누르면 진동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어린아이(A)가 누른 버튼의 숫자 음을 출력한다. 일례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드로 설정되어, 어린아이가 제1버튼을 누르면 진동과 함께 “일!”이라는 음을 출력한다. 또한,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모드로 설정되어, 어린아이가 제2버튼을 누르면 진동과 함께 “이!”라는 음을 출력한다. 이때, 어린아이에 의해 눌려진 버튼은 빛이 출력될 수 있다.
이하,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연결줄과 연결된 상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의 연결고리모듈에 연결줄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제2케이스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모듈(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연결고리모듈(220)은 제2케이스부(20)의 후면 즉, 전원모듈수용홈(211)의 수용홈커버부(212)가 배치되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고리모듈(220)은 고리홈(221)과 고리홈(221)을 가르는 고리홈파티션(222)으로 구성된다. 연결고리모듈(220)은 연결줄(B)이 고리홈(221)을 통과하여 고리홈파티션(2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연결고리모듈(220)에 연결된 연결줄(B)은 어린아이가 손목 등에 걸고 본 발명을 파지하고 다닐 수 있도록 한다.
어린아이(A)는 연결줄(B)을 손목에 걸고 본 발명을 파지하고 다니며 실제 휴대폰을 조작하는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1)는 어린아이가 실제 전화기를 작동시키는 거와 같은 느낌이 나도록 하며 버튼을 눌렀을 때, 전화기를 통해 들려오는 상대방의 말을 집중하여 듣고, 그에 따라 말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어린아이의 인지능력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10: 제1케이스부 110: 개구홀
111: 제1개구홀 112: 제2개구홀
20: 제2케이스부 210: 전원모듈
211: 전원모듈수용홈 212: 수용홈커버부
220: 연결고리모듈 221: 고리홈
222: 고리홈파티션 30: 전기선로판부
310: 제어모듈 320: 전기선로
330: 발광부 3301: 발광부트랜지스터모듈
340: 타임설정부 35: 키패드고정내피부
351: 버튼홀 40: 키패드부
411: 내피스위치모듈 412: 외피버튼모듈
50: 진동부 510: 모터모듈
520: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 60: 사운드메모리부
70: 스피커부 80: 모드전환부
90: 파지부 910: 제1파지모듈
920: 제2파지모듈 100: 전원스위치부
C1: 제1커패시터 C2: 제2커패시터
A: 어린아이 B: 연결줄

Claims (7)

  1. 전면에 개구홀이 형성된 제1케이스부;
    내부에 전원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와 연결되는 제2케이스부;
    판 상으로 형성되어 일면에 제어모듈이 설치되고 복수 개의 전기선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놓여지며 상기 전원모듈과 연결되는 전기선로판부;
    복수 개의 버튼모듈이 형성되어 상기 개구홀로 상기 버튼모듈이 돌출되도록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모듈의 작동에 따라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서로 다른 전류경로를 형성하는 키패드부;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모듈의 작동될 때, 상기 전류가 인가되어 작동되는 진동부;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복수 개의 사운드데이터를 저장하고 있고, 상기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어 상기 버튼모듈의 작동에 따라 서로 다른 사운드데이터를 출력하는 사운드메모리부; 및
    상기 제2케이스부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사운드메모리부와 연결되어, 사운드메모리부에서 출력되는 상기 사운드데이터를 전기신호로 수신하여 소리로 출력하는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모듈은 상기 전기선로판부에 접하며 눌려졌을 때에는 전기선로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고, 눌려지지 않았을 때에는 전기선로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하는 내피스위치모듈과 상기 내피스위치부에 끼움 결합되는 외피버튼모듈을 포함하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일면에 복수 개의 버튼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케이스부와 상기 키패드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버튼홀로 상기 외피버튼모듈을 돌출시키며 상기 외피버튼모듈의 측면을 누르는 키패드고정내피부를 더 포함하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로판부는 상기 복수 개의 버튼모듈이 놓여지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버튼모듈이 작동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상기 발광부를 턴-온 시키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선로판부는 상기 버튼모듈이 작동되었을 때,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를 설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킨 후 턴-오프 하고, 다른 하나의 발광부를 설정 시간 동안 턴-온 시킨 후, 턴-오프 되도록 하는, 타임설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임설정부는 상기 발광부를 통해 흐르는 전기를 충전하는 제2커패시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2커패시터에서 전기를 출력하는 시간 동안 상기 발광부를 턴-온 시키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는 일단이 전원모듈과 연결되는 모터모듈과 제1단이 상기 모터모듈의 타단과 연결되고, 제2단이 상기 전기선로판부와 연결되고, 제3단이 접지와 연결되어, 상기 제2단을 통해 전기가 인가되었을 때, 상기 모터모듈을 구동시키는 진동부트랜지스터모듈을 포함하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모듈은 복수 개의 핀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핀 가운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핀은 일단이 접지와 연결되고, 타단이 전원모듈과 연결된 제1커패시터와 연결되어, 상기 제1커패시터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는,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KR1020180105120A 2018-09-04 2018-09-04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KR202000271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20A KR20200027163A (ko) 2018-09-04 2018-09-04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120A KR20200027163A (ko) 2018-09-04 2018-09-04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63A true KR20200027163A (ko) 2020-03-12

Family

ID=698031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120A KR20200027163A (ko) 2018-09-04 2018-09-04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716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34Y1 (ko) 2003-09-25 2003-12-24 유정기 노래방 기능이 있는 전화기 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834Y1 (ko) 2003-09-25 2003-12-24 유정기 노래방 기능이 있는 전화기 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826131A1 (en) Wireless earphone charger, wireless earphones, and wireless earphone system
US6626554B2 (en) Light apparatus
US4237647A (en) Soft toy containing sounding device
KR20180067241A (ko) 구구단 학습용 큐브
CA2345083C (en) Toy telephone having phone number teaching system
US8137149B2 (en) Interactive doll
KR20200027163A (ko) 진동과 벨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전화기 완구
US10632391B2 (en) Building block toy figurine and system
CN202446825U (zh) 一种可以跟读的儿童智能语音互动手机玩具
US4397211A (en) Circuit for producing musical tones
KR900001823B1 (ko) 조립식 블록완구
CN209962444U (zh) 一种英语口语训练装置
KR200305686Y1 (ko) 음성출력 퍼즐기구
GB2155797A (en) Loud speaker with light-emitting means
KR200267300Y1 (ko) 착신알림완구
CN214510468U (zh) 一种智能爬行垫
KR950010249Y1 (ko) 노래하는 요술요
CN210901543U (zh) 一种表白用的花
CN214913270U (zh) 自定义声、光效的声光互动游戏板
CN212411370U (zh) 一种通过视觉动态反馈实现与儿童互动的儿童播放机
KR200170289Y1 (ko) 멜로디 포유병
JPH0578297U (ja) 電話機玩具
CN106166386A (zh) 一种启蒙早教玩具熊
EA000029B1 (ru) Электронный звуковой имитатор
RU2098868C1 (ru) Электронный звуковой имитато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