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7107A -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 Google Patents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7107A
KR20200027107A KR1020180104450A KR20180104450A KR20200027107A KR 20200027107 A KR20200027107 A KR 20200027107A KR 1020180104450 A KR1020180104450 A KR 1020180104450A KR 20180104450 A KR20180104450 A KR 20180104450A KR 20200027107 A KR20200027107 A KR 20200027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checker
tag
uni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6078B1 (ko
Inventor
이종관
최상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주)에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주)에디테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044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078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9/00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 G08C19/02Electric signal transmission systems in which the signal transmitted is magnitud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는 옥외 배전반 내 누전 차단기의 케이블을 통해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태그; 및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점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APPARATUS FOR CHECKING WIRING STATE USING EARTH LEAKAGE BREAKER}
본 발명은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전력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케이블의 배선 상태를 점검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은 전자식 전력량계, 차단기, 분배기 및 통신 단자대 등에 설치되어 전력 전달 및 통신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사용된다. 이에 케이블의 단선(Open)이나 단락(Short) 및 오결선 등의 상태를 점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케이블 구분시 케이블의 양끝을 멀티미터 테스터기로 측정하여 단락 여부를 확인하여 케이블 단선 및 구분을 수행한다. 이러한 방법은 케이블의 양끝이 원거리에 놓여지거나, 케이블이 여러 가닥일 경우 각 케이블 구분이 더욱 어려워져 측정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2인 1조 점검의 경우 케이블의 양끝에 위치하고 서로 통신을 이용하여 케이블 단락 및 단선을 구분하거나, 1인 점검의 경우 케이블 한쪽 끝에 신호 발생기를 연결하여 케이블의 다른 한쪽 끝에서 1인이 점검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나, 2개 이상의 케이블 구분시에는 한 번에 여러 개의 케이블을 측정하는 것은 불가능한 실정이다.
게다가, 여러 개의 케이블을 동시에 구분하는 장치는 한쪽 장소에 위치한 케이블 끝지점에 여러 개의 신호 발생장치를 연결하여 동시에 케이블을 구분할 수 있으나, 신호 발생장치에 필요한 전원을 내장하고 있어 전원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케이블 점검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10-1527129호(2015.06.02)의 '다심선 구별 테스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목적은 송신기가 옥외 배전반의 누전 차단기에 연결되고 점검기가 옥내 분전반 또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송신기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식별정보가 점검기에 정확하게 입력되는지를 토대로 케이블 결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는 옥외 배전반 내 누전 차단기의 케이블을 통해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태그; 및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점검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송신 태그의 태그 정보 및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송신 태그가 상기 점검기에 연결되어 상기 점검기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송신 태그는 상기 누전 차단기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태그 단자부;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 상기 태그 단자부가 상기 누전 차단기에 연결되면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점검기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태그 단자부로부터 무극성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신호 송신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점검기로부터 상기 태그 단자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점검기는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는 점검기 단자부; 표시부; 및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점검기 단자부로 송신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송신 태그에 입력하여 상기 송신 태그가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측이 상기 점검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송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로부터 상기 점검기에 전달하는 검출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는 송신 태그가 옥외 배전반의 누전 차단기에 연결되고 점검기가 옥내 분전반 또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전달된 식별정보가 점검기에 정확하게 입력되는지를 토대로 케이블 결선 상태를 점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의 설치 예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가 점검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이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의 설치 예시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별정보의 예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는 송신 태그(100), 검출 프로브(300) 및 점검기(200)를 포함한다.
송신 태그(100)는 옥외 배전반 내 누전 차단기(10)의 케이블(40)에 연결되며 기 저장된 식별정보를 케이블(40)을 통해 점검기(200)에 송신한다.
점검기(200)는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에 연결되어 송신 태그(100)로부터 케이블(40)을 통해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식별정보를 표시한다.
여기서, 검출 프로브(300)는 일측이 점검기(2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에 연결되어 송신 태그(100)로부터 케이블(40)을 통해 송신된 식별정보를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를 통해 전달받아 점검기(200)에 전달한다.
즉, 송신 태그(100)는 각 세대의 누전 차단기(10) 각각에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누전 차단기(10)와 연결된 케이블(40)을 통해 식별정보를 전달하고, 점검기(200)가 해당 케이블(40)과 연결된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를 통해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식별정보를 통해 세대 내 케이블 배선 상태를 인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식별정보는 케이블 배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설정되는 정보로서, 식별 정보에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태그(100)를 식별하기 위한 태그 정보(01) 및 세대를 식별하기 위한 세대 정보(123)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 정보는 점검기(200)로부터 전달받아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는 점검기(200)를 통해 표시되는 식별정보가 부정확하거나 점검기(200)에 식별정보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세대의 케이블 배선 상태가 부정확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선 상태 점검 장치를 도 2 내지 도 7 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의 사시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의 블럭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100)는 태그 단자부(110), 식별정보 저장부(120), 신호 송신부(130) 및 전원 공급부(140)를 포함한다.
식별정보 저장부(120)는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태그 단자부(110)는 누전 차단기(10)의 케이블(40)에 각각 연결된다. 태그 단자부(110)는 케이블(40)이 누전 차단기(10)에 접점되는 부위에 손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마그네틱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태그 단자부(110)는 누전 차단기(10)의 종류에 따라 그 거리가 다양하게 제작될 수 있다.
또한, 태그 단자부(110)는 점검기(200)의 단자홈부(250)에 삽입되어 점검기(200)의 점검기 단자부(210)에 직접 접속될 수 있다. 이 경우, 태그 단자부(110)는 점검기 단자부(210)로부터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신호 송신부(130)에 입력함으로써, 송신 태그(100)에 식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도록 한다.
신호 송신부(130)는 태그 단자부(110)가 누전 차단기(10)의 케이블(40)에 연결되면 식별정보 저장부(120)에 저장된 식별정보를 케이블(40)을 통해 점검기(200)로 송신한다.
또한, 신호 송신부(130)는 태그 단자부(110)가 후술한 점검기(200)의 점검기 단자부(210)에 직접 접속되어 점검기 단자부(210)로부터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점검기 단자부(210)로부터 입력된 식별정보를 식별정보 저장부(120)에 저장한다. 즉, 송신 태그(100)에 저장되는 식별정보는 점검기(200)에 직접 접속되어 입력받아 저장됨으로써,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점검기(200)를 통해 송신 태그(100)에 식별정보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전원 공급부(140)는 태그 단자부(11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무극성 전원을 생성하여 신호 송신부(130)에 공급한다.
아울러, 송신 태그(100)에는 그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신호 송신부(130)는 송신 태그(100)가 현재 동작 중 경우,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경우, 및 점검기(200)로부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경우 등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를 서로 다른 색상 또는 점멸 속도로 제어함으로써, 송신 태그(100)의 동작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의 사시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검기의 블럭 구성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신 태그가 점검기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 을 참조하면, 점검기(200)는 점검기 단자부(210), 표시부(230), 입력부(220) 및 제어부(240)를 포함한다.
점검기(200)는 그 본체에 단자홈부(250)가 형성되며 이 단자홈부(250)에 검출 프로브(300)가 삽입되어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가 점검기 단자부(210)와 연결되거나, 태그 단자부(110)가 삽입되어 점검기 단자부(210)와 연결된다.
점검기 단자부(210)는 검출 프로브(300)를 통해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에 연결되거나, 또는 송신 태그(100)의 태그 단자부(110)와 직접 연결된다. 이 경우, 검출 프로브(300)를 통해 옥내 분전반(20) 또는 옥내 콘센트(30)에 연결되는 경우에는 케이블(40)을 통해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제어부(240)에 전달하고, 송신 태그(100)의 태그 단자부(110)와 직접 연결되는 경우에는 제어부(240)로부터 식별정보를 송신 태그(100)에 전달한다.
표시부(230)는 점검기(200)의 동작 상태 및 송신 태그(100)로부터 전달된 식별정보를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부(2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LED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표시부(23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부(220)를 통해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경우, 송신 태그(100)로부터 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경우, 배터리 상태 등을 LED의 색상이나 점멸 속도, 또는 문자나 이미지 등을 통해 표시한다.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점검기(200)의 동작 상태 등을 설정하거나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입력부(220)는 식별정보 입력, 식별정보 삭제, 전원 공급 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한 기능 버튼, 및 식별정보 입력을 위한 숫자키나 방향키 등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각각의 기능 버튼을 입력하고 숫자키 등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입력부(220)는 식별정보 입력 버튼이 입력된 후에는 숫자키를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식별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제어부(240)는 해당 식별정보를 점검기 단자부(210)를 통해 송신 태그(100)에 전달한다.
제어부(240)는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각종 기능 버튼에 따라 그 동작 모드를 제어한다.
일 예로, 제어부(240)는 입력부(220)를 통해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식별정보를 점검기 단자부(210)로 전달함으로써 송신 태그(100)가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홈부(250)를 통해 태그 단자부(110)가 삽입된 상태에서, 입력부(220)를 통해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식별정보를 송신 태그(100)에 전달함으로써, 송신 태그(100)가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240)는 현재의 동작 상태에 따라 표시부(230)를 제어하고, 특히 송신 태그(100)로부터 식별정보가 전달되면 해당 식별정보를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해당 식별정보를 통해 케이블 배선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되는 식별정보가 부정확하거나 표시부(230)를 통해 식별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케이블 배선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한, 제어부(240)는 오결선에 따라 잘못 입력된 식별정보를 저장하거나, 삭제할 수 있으며, 입력부(220)를 통해 입력되는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식별정보를 표시부(230)를 통해 표시하거나, 이들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여 삭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는 송신 태그(100)가 옥외 배전반의 누전 차단기(10)에 연결되고 점검기(200)가 옥내 분전반(20) 또는 콘센트에 연결되어 송신 태그(100)로부터 케이블(40)을 통해 전달된 식별정보가 점검기(200)에 입력되는지를 토대로 케이블(40) 결선 상태를 정확하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10: 누전 차단기 20: 옥내 분전반
30: 옥내 콘센트 40: 케이블
100: 송신 태그 110: 태그 단자부
120: 식별정보 저장부 130: 신호 송신부
140: 전원 공급부 200: 점검기
210: 점검기 단자부 220: 입력부
230: 표시부 240: 제어부
250: 단자홈부 300: 검출 프로브

Claims (8)

  1. 옥외 배전반 내 누전 차단기의 케이블을 통해 식별정보를 송신하는 송신 태그; 및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표시하는 점검기를 포함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송신 태그의 태그 정보 및 세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정보는 상기 송신 태그가 상기 점검기에 연결되어 상기 점검기로부터 입력된 제어명령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태그는
    상기 누전 차단기의 케이블에 연결되는 태그 단자부;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식별정보 저장부;
    상기 태그 단자부가 상기 누전 차단기에 연결되면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식별정보를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점검기로 송신하는 신호 송신부; 및
    상기 태그 단자부로부터 무극성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신호 송신부에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송신부는 상기 점검기로부터 상기 태그 단자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식별정보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기는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는 점검기 단자부;
    표시부; 및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상기 점검기 단자부로 송신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입력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송신 태그에 입력하여 상기 송신 태그가 상기 식별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일측이 상기 점검기에 연결되고 타측이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에 연결되어 상기 송신 태그로부터 케이블을 통해 송신된 상기 식별정보를 옥내 분전반 또는 옥내 콘센트로부터 상기 점검기에 전달하는 검출 프로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KR1020180104450A 2018-09-03 2018-09-03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KR10259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50A KR102596078B1 (ko) 2018-09-03 2018-09-03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450A KR102596078B1 (ko) 2018-09-03 2018-09-03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107A true KR20200027107A (ko) 2020-03-12
KR102596078B1 KR102596078B1 (ko) 2023-11-02

Family

ID=69803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450A KR102596078B1 (ko) 2018-09-03 2018-09-03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60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02B1 (ko)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8406A (ja) * 2009-06-15 2010-12-24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ケーブル結線支援装置およびケーブル結線支援方法
KR20140038683A (ko) * 2012-09-21 2014-03-31 한국전력공사 옥내배선 점검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88406A (ja) * 2009-06-15 2010-12-24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ケーブル結線支援装置およびケーブル結線支援方法
KR20140038683A (ko) * 2012-09-21 2014-03-31 한국전력공사 옥내배선 점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1202B1 (ko) 2021-08-17 2021-10-13 주식회사 갑인엔지니어링 공동주택 전기의 변전실 변압기에 연결된 옥외 전기배선 누전차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6078B1 (ko) 2023-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7152A (en) Device for testing continuity and/or short circuits in a cable
EP2260312B1 (en) Arc fault root-cause finder system and method
US632365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hanging signal characteristics of a signal generator
CN105676840A (zh) 汽车电控系统测试仪及其测试方法
US20090212964A1 (en) Electrical Test Apparatus
US801821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electrical circuit mapping
KR101496169B1 (ko)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N106526457A (zh) 一种电路板检测仪器及系统
US6859041B2 (en) Methods for locating faults in aircraft branch conductors and determining the distance to the faults
KR20200027107A (ko) 누전 차단기를 이용한 배선 점검 장치
US20040251921A1 (en) Method and device system for testing electrical components
CN108205093B (zh) 一种工程施工用电缆接线校对工具
CN105738126A (zh) 换挡器档位功能检测装置
WO2023230031A1 (en) Integrated tool with circuit tracer, receptacle tester, and/or load continuity tester
US8018348B1 (en) Apparatus for identifying a circuit breaker feeding a remotely disposed electrical outlet and method of using the apparatus
CN217766789U (zh) 一种电力二次电缆核线装置
CN108023786B (zh) 局域网测试系统
KR101806929B1 (ko) 다중 신호선 연결 장치
JP2018186503A (ja) 判定装置
US303716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faults in transmission lines
CN203714184U (zh) 导航设备的测试系统
US20120319707A1 (en) Self-monitoring power supply cord and operating equipment
US6333625B1 (en) Fault localizing and identifying device for electric systems
CN106199289A (zh) 一种电梯操纵箱和召唤盒检测工装
KR100745081B1 (ko) 버너제어시스템의 제어카드 시험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