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6169B1 -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6169B1
KR101496169B1 KR20140124547A KR20140124547A KR101496169B1 KR 101496169 B1 KR101496169 B1 KR 101496169B1 KR 20140124547 A KR20140124547 A KR 20140124547A KR 20140124547 A KR20140124547 A KR 20140124547A KR 101496169 B1 KR101496169 B1 KR 1014961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test
master device
ports
tone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124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근호
Original Assignee
(주) 티씨아이네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티씨아이네트 filed Critical (주) 티씨아이네트
Priority to KR20140124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61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61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61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04B3/462Testing group delay or phase shift, e.g. timing j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6Monitoring; Testing
    • H04B3/487Testing crosstalk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마스터 장치; 및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INSPECTING LOCAL AREA NETWORK CABLES}
본 발명은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이용한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를 기반으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및 연결 상태를 점검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업 또는 데이터 센터 내에 구비되는 네트워크 장비들 간의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기 위해 케이블 테스터(Cable Tester)를 사용할 수 있다. 케이블 테스터는 네트워크 장비들 간에 연결된 랜 케이블에 대한 단선, 꼬임 및 길이 등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는 장치로, 마스터 디바이스(Master Device) 및 리모트 디바이스(Remot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케이블 테스터를 이용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측정하는 기술은 마스터 디바이스에서 케이블 측정 신호를 케이블 초단에 인가하고, 리모트 디바이스에서 케이블 종단으로 들어오는 케이블 측정 신호를 수신하여 랜 케이블들에 대한 이상 유무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기술은 랜 케이블 특정을 위한 1:1 구조로써, 케이블 측정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조작부가 포함된 마스터 디바이스가 일측에 구비되고, 케이블 종단으로 들어오는 케이블 측정 신호를 계측하는 리모트 디바이스가 다른 일측에 구비되어 양측에 연결된 선로의 장애유무(단선, 꼬임, 길이)를 측정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마스터 디바이스 측의 마스터 사용자와 리모트 디바이스 측의 리모트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 및 무전기를 이용한 음성 통화를 통하여 랜 케이블들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거나, 스피커를 이용한 청취를 통하여 랜 케이블들에 대한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때문에, 케이블 테스터 외의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단점과 마스터 디바이스 및 리모트 디바이스를 각각 관리하는 복수의 사용자들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케이블 테스터를 이용한 기술은 복수의 인력이 소요되어 케이블 테스트에 대한 신속성, 인력 운용 대한 효율성 및 별도의 장비의 사용에 대한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각각의 신호선(PIN)에 대한 신호선 배열 정보, 단선 길이 정보 및 단선 위치 정보를 모드별로 구분하지 못하고, 복수의 랜 케이블들을 점검하지 못하여 랜 케이블을 점검을 위한 소요 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통신 포트들을 어드레싱하기 위한 신호가 존재하지 않아, 랜 케이블에 대한 점검이 필요치 않는 포트에게도 점검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신뢰성이 높은 점검 정보를 생성하지 않고, 교체 또는 신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하지 못하고 있으며, 단순히 랜 케이블에 대한 단선, 꼬임 및 길이 정보만을 제공하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랜 케이블에 대한 측정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 및 마스터/리모트 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 등 실시간으로 공유하지 않고, 단지 마스터 디바이스와 리모트 디바이스 간의 통신만을 수행하여 통합적 모니터링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9221호(2006.05.05), "발명의 명칭: 랜케이블 멀티 테스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5431호(2013.02.14), "발명의 명칭: 인터넷 및 전화 선로 결함 측정용 점검장치" 미국 등록특허 제8179144호(2012.05.15), "발명의 명칭: CABLE TESTER" 미국 등록특허 제6803770호(2004.11.12), "발명의 명칭: WIRELESS MULTICONDUCTOR CABLE TEST SYSTEM AND METHOD" 미국 등록특허 제5532603호(1999.07.02), "발명의 명칭: CROSS-TALK MEASUREMENT APPRATUS WITH NEAR-END COMPENSA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모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랜 케이블들의 점검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제1 모드 및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상세 점검할 수 있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생성된 신뢰성이 높은 점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점검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가 점검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케이블 사용량 및 장비별 운영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전산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교체, 증설 또는 신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함으로써,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실제 공사에 소요된 랜 케이블 자재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공사견적 대비 실 공사비의 산출하여 발주업체 측에 대한 공사 검증을 할 수 있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마스터 장치; 및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테스트 정보는 상기 랜 케이블들의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상기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 단선 위치 정보,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정보, 지연왜곡(Delay Skew) 정보, 삽입손실(Insertion Loss) 정보, 반사손실(Return Loss) 정보, 근단누화(NEXT, Near End Crosstalk) 정보, 전력합 근단누화(PS NEXT, Power Sum NEXT) 정보, 등위원단누화(ELFEXT,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정보, 전력합 등위원단누화(PS ELFEXT, Power Sum ELFEXT) 정보, 감쇠 대 누화비(ACR, 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정보 및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PS ACR, Power Sum AC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 정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 및 상기 점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종단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마스터 장치는 현재 테스트 포트에 포함된 복수의 핀(PIN)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포트를 점검하고, 다음 포트에 대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은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리모트 장치를 통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초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테스트 정보에 의해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은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는 현재 테스트 포트에 포함된 복수의 핀(PIN)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포트를 점검하고, 다음 포트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리모트 장치로부터 수신된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랜 케이블들의 점검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제1 모드 및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상세 점검할 수 있는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생성된 신뢰성이 높은 점검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점검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가 점검 정보를 실시간으로 공유함으로써, 케이블 사용량 및 장비별 운영 상태 등을 통합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고, 전산 자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교체, 증설 또는 신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함으로써, 네트워크의 가용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실제 공사에 소요된 랜 케이블 자재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공사견적 대비 실 공사비의 산출하여 발주업체 측에 대한 공사 검증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마스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예이다.
도 4는 마스터 장치의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복수의 통신 포트들이 연결되는 패치 패널부의 내부를 도시한 예이다.
도 5는 리모트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예이다.
도 6은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만을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하는 예이다.
도 7은 테스트 정보를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하는 예이다.
도 8은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리모트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마스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는 리모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들 및 첨부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300) 및 리모트 장치(500)를 포함한다.
마스터 장치(300)는 패치 패널부(100)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패치 패널부(100)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한다.
마스터 장치(300)의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은 24개로 구성될 수 있고, 다양한 실시예(8개 포트, 16개 포트, 32개 포트 및 그 이상의 포트 등)로 구성될 수 있으며, RJ-45 타입의 커넥터(Connector)일 수 있다. 랜 케이블은 8개의 신호선이 내장되는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일 수 있다.
리모트 장치(500)는 패치 패널부(100)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한다.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복수의 통신 포트들 사이에 패치코드(Patch Cord)(150a)가 존재할 수 있고, 패치코드(150a)를 통하여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 포트들이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통신 포트들과 통신 케이블의 종단 사이에는 랜 케이블들이 존재할 수 있고, 랜 케이블을 통하여 복수의 통신 포트들과 이에 대응하는 통신 케이블 종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 케이블들과 통신 케이블의 종단 사이에는 아울렛(200) 및 패치코드(150b) 중 적어도 하나가 존재할 수 있고, 아울렛(200) 및 패치코드(150b)를 통하여 랜 케이블들과 이에 대응하는 통신 케이블 종단이 연결될 수 있다.
아울렛(200)은 복수의 통신 케이블을 구별하여 연결하는 접속용 단자함일 수 있다. 패치코드(150a, 150b)는 양단에 접속 포트(예를 들어, 접속 소켓 또는 잭(JACK) 등)가 구비되고, 교차 접속점에서 통신 회선을 상호 접속하는데 사용되는 케이블일 수 있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랜 케이블에 대한 신호선 길이는 마스터 장치(300)와 패치 패널부(100)간에 연결된 패치코드(150a)의 길이(a)와 패치 패널부(100)와 리모트 장치(500)간에 연결된 케이블 길이를 합한 총 길이(d)일 수 있다.
또한, 도 1의 (b)를 참조하면, 랜 케이블에 대한 신호선 길이는 마스터 장치(300)와 패치 패널부(100)간에 연결된 패치코드(150a)의 길이(a1), 패치 패널부(300)와 아울렛(200)간에 연결된 케이블 길이(b1) 및 아울렛(200)과 리모트 장치(500)간에 연결된 패치코드(150b)의 길이(b2)를 합한 총 길이(d1)일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마스터 장치(300) 및 리모트 장치(500)를 포함한다.
마스터 장치(300)는 패치 패널부(100)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패치 패널부(100)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300)는 각 PIN들의 결선 상태를 고주파 톤 제너레이션 신호에 의한 임피던스(Impedance) 측정법을 응용하여 케이블의 길이 및 PIN들의 연결 상태(예를 들어, 8개 신호선별 연결 상태)에 대한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고, 집합형 복수의 통신 포트들에 연결된 다수의 랜 케이블들을 동시에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300)는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랜 케이블들의 개별 신호선별로 하나씩 송출하여 신호선별 연결 상태 및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장치(300)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의 개별 신호선 별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할 수 있고, 각각의 신호선을 구분하기 위한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을 갖는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는 현재 테스트 포트에 포함된 복수의 핀(PIN)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포트를 점검하고, 다음 포트에 대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300)는 랜 케이블의 1번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고, 다음에 2번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며, 마지막에 8번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순차적으로 8개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8개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가 인가된 후에 다른 랜 케이블의 8개 신호선에 대한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터 장치(300)는 통신 포트를 어드레싱하기 위한 신호 뿐만 아니라, 하나의 포트 내의 각각의 PIN을 구분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종래기술 대비 정확하고 다양한 테스트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마스터 장치(300)의 외관 구성예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마스터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예이다.
도 3에서 (a)는 마스터 장치의 전면 구성예를 나타내고, (b)는 마스터 장치의 후면 구성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300)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310),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310) 각각에 구비되는 발광 모듈(320), 테스트 정보 또는 점검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30), 선정된 테스트 모드를 선택하는 토글 스위치(340), 전원 스위치(350), 이동식 디스크(360), 내장형 디스크(미도시), 내장형 배터리(370), 전원 공급 모듈(380) 및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310)과 복수의 통신 포트들 사이에는 패치코드가 존재할 수 있고, 패치코드를 통하여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310)과 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통신 포트들이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복수의 통신 포트들이 연결되어 구성되는 패치 패널부(100)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마스터 장치의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복수의 통신 포트들이 연결되는 패치 패널부의 내부를 도시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패치 패널부(100)는 RJ-45 타입의 커넥터일 수 있고, 복수 개의 커넥터(예를 들어, PORT#11 내지 PORT#21 또는 그 이상의 개수 등)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패치 패널부(100)는 패치코드를 이용하여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상호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랜 케이블들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랜 케이블들을 테스트할 수 있는 집합형 포트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마스터 장치(300)로부터 각각의 개별적 포트들에게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는 회로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310) 각각에 구비되는 발광 모듈(320)은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접속되고,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포트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발광 다이오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발광 모듈(320)은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포트에 대한 테스트 포트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테스트 중인 포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330)은 리모트 장치(500)로부터 생성된 테스트 정보,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 메뉴 정보, 세팅(예를 들어, 초기화) 정보 및 랙 정보 및 포트별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및 다양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테스트 정보는 랜 케이블들의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 단선 위치 정보,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정보, 지연왜곡(Delay Skew) 정보, 삽입손실(Insertion Loss) 정보, 반사손실(Return Loss) 정보, 근단누화(NEXT, Near End Crosstalk) 정보, 전력합 근단누화(PS NEXT, Power Sum NEXT) 정보, 등위원단누화(ELFEXT,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정보, 전력합 등위원단누화(PS ELFEXT, Power Sum ELFEXT) 정보, 감쇠 대 누화비(ACR, 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정보 및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PS ACR, Power Sum AC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신호선 배열 정보는 UTP 케이블의 8개 신호선(4쌍(또는 4페어)의 신호선) 각각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고, 단선 길이 정보는 마스터 장치(300)부터 리모트 장치(500)까지 연결된 랜 케이블 길이와 패치코드 길이의 합일 수 있으며, 단선 위치 정보는 단선 길이 정보를 기반으로 랜 케이블의 단선된 지점을 나타낼 수 있다.
단선 길이 정보는 임피던스와 전송속도를 계산하여 생성될 수 있고, 단선 길이를 측정하는 방식은 TDR(Time Domain Reflectometry)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TDR 방식은 마스터 장치(300)에서 생성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리모트 장치(500)에 전송하고, 리모트 장치(500)에서 반사하여 돌아오는 시간 또는 반사하여 돌아오는 임피던스 및 전송속도를 계산하는 방식일 수 있다.
지연왜곡 정보는 랜 케이블의 꼬임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지연왜곡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지연왜곡 정보는 페어별 신호선 간의 전파지연에 대한 시간차를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삽입손실 정보는 마스터 장치(300)와 리모트 장치(500) 간의 랜 케이블의 거리에 따른 신호 레벨의 강도를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반사손실 정보는 랜 케이블의 임피던스 부정합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반사손실 정보는 랜 케이블의 입사 전력과 반사 전력의 비를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근단누화 정보는 랜 케이블의 페어별 신호선 간의 간섭 또는 혼선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고, 전력합 근단누화 정보는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페어들이 끼치는 근단누화의 총 합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등위원단누화 정보는 리모트 장치(500) 측에서 발생하는 출력 신호에 대한 감쇠와 간섭의 차이를 측정한 정보일 수 있고, 전력합 등위원단누화 정보는 하나의 페어에 나머지 페어들이 끼치는 원단누화의 총 합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감쇠 대 누화비 정보는 신호 감쇠와 근단누화 사이의 차이를 측정한 정보일 수 있고,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 정보는 각 페어 별 신호 감쇠와 근단누화 사이의 차이의 총 합을 측정한 정보일 수 있다.
다시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참조하면, 메뉴 정보는 마스터 장치(300)의 조작법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다.
세팅 정보는 마스터 사용자에 대한 등록, 랜 케이블 테스트를 실시하는 회사에 대한 등록 및 테스트 장소에 대한 등록 정보일 수 있고, 과거에 검사한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삭제 또는 초기화한 정보일 수 있다.
랙 정보는 랙에 수용된 전산 장비들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포트별 연결 정보는 현재 각 PIN들(8개 신호선들)의 연결 정보, 각 PIN들의 포트에 대한 연결 정보 및 집합형 통신 포트들에 대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토글 스위치(340)는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Nor 스위치)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Auto 스위치)를 선택하는 스위치일 수 있다.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Nor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테스트 대상이 되는 케이블의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추출할 수 있어, 테스트 소요시간이 매우 짧을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하여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300)는 사용자에 의해 Auto 스위치에 대한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테스트 대상이 되는 케이블의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 및 단선 위치 정보를 추출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350)는 마스터 장치(300)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이고, 이동식 디스크(360) 및 내장형 디스크는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일 수 있다.
내장형 배터리(370)는 마스터 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일 수 있고, 전원 공급 모듈(380)은 내장형 배터리(370)를 충전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으며, 외부 DC 전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어댑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300)는 내장형 배터리(370) 및 전원 공급 모듈(38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90)은 리모트 장치(500), 중앙 서버(400) 및 이동통신 단말기(예를 들어, 마스터 또는 리모트 사용자의 개인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예를 들어, RS-485 및 RS-23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고, 마스터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390)을 통하여 리모트 장치(500), 중앙 서버(400) 및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게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장치(500)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300)로 테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리모트 장치(500)의 외관 구성예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리모트 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리모트 장치(500)는 패치 패널부(100)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300)로 전송한다.
리모트 장치(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케이블의 종단 잭(510), 포트 표시 모듈(520), 테스트 정보를 표시하는 테스트 표시 모듈(530), 전원 스위치(540), 이동식 디스크(미도시), 내장형 디스크(미도시), 전원 공급 모듈(550) 및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포트 표시 모듈(520)는 현재 마스터 장치(300)와 연결된 테스트 포트 번호 및 패치 패널부(100)와 연결된 통신 포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7-세그먼트 조합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고,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테스트 표시 모듈(530)은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포트 표시 모듈(520) 및 테스트 표시 모듈(530)은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 표시 모듈은 발광 다이오드의 색깔을 구분하여 현재 랜 케이블의 8개 페어별 신호선들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테스트 표시 모듈(520)은 랜 케이블의 모든 신호선들이 정상으로 배열된 경우에 'Pass'란 문자표시 및 파란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될 수 있고, 비정상 신호선이 배열된 경우에 'Fail'이란 문자표시 및 빨간색 다이오드가 점등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표시 모듈(520)은 4개 페어별로 체크중인 신호선의 경우에 빨간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될 수 있고, 체크 결과가 정상인 경우에 녹색 발광 다이오드가 점등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테스트 정보를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하는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만을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하는 예이고, 도 7은 테스트 정보를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하는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마스터 장치(300)의 디스플레이 모듈, 도 5에 도시된 리모트 장치(500)의 테스트 표시 모듈(530) 및 별도로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테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 테스트 표시 모듈을 통하여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를 표시하는 예를 설명하기로 하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테스트 표시 모듈은 신호선 배열 정보(610 내지 650) 및 단선 길이 정보(660 및 670)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스트 표시 모듈은 연결도(611)에 대한 선택 입력(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신호선 배열 정보(또는 신호선의 오결선 정보 등)를 표시할 수 있고, 연결 길이(612)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단선 길이 정보(또는 배선 길이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종료(613)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하면, 랜 케이블에 대한 점검을 종료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표시 모듈은 검사된 랜 케이블들이 접속된 테스트 포트들의 포트 번호, 테스트 시간(615), 테스트 장소 및 내장형 배터리의 잔여량(614) 등을 포함하여 표시할 수 있다.
테스트 표시 모듈은 8개 신호선(PIN)의 배열 상태를 독립적으로 표시할 수 있고, 8개 신호선 각각의 배선 길이 및 8개 신호선의 배선 평균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6의 식별번호 610은 정상 상태의 신호선, 식별번호 620은 쇼트(Short)된 상태의 1번 및 2번 신호선, 식별번호 630은 오픈(Open)된 상태의 2번 신호선, 식별번호 640은 크로스(Cross)된 상태의 3번 및 4번 신호선 및 식별번호 650은 쇼트된 상태의 1번 및 2번 신호선과 크로스된 상태의 3번 및 4번 신호선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식별번호 660은 단선이 없는 상태의 8개 신호선과 8개 신호선에 대한 평균 길이가 90m임을 의미할 수 있다. 식별번호 670은 2번 신호선이 단선됨을 의미할 수 있고, 2번 신호선의 단선 길이가 30m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2번 신호선을 제외한 7개 신호선에 대한 평균 길이가 90m임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도 6의 식별번호 660 또는 670을 참조하여 테스트 결과에 대한 랜 케이블의 총 길이를 산출할 수 있고, 사용자는 산출된 랜 케이블의 총 길이와 랜 케이블의 설치공사에서 산출된 랜 케이블의 길이에 대한 견적을 대조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테스트 표시 모듈은 랜 케이블들의 신호선 배열 정보 및, 테스트 표시 모듈은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 단선 위치 정보, 전파지연 정보, 지연왜곡 정보, 삽입손실 정보, 반사손실 정보, 근단누화 정보, 전력합 근단누화 정보, 등위원단누화 정보, 전력합 등위원단누화 정보, 감쇠 대 누화비 정보 및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전원 스위치(540)는 리모트 장치(500)의 전원을 On/Off하는 스위치이고, 이동식 디스크 및 내장형 디스크는 테스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일 수 있다.
내장형 배터리는 리모트 장치(500)를 구동하기 위한 배터리일 수 있고, 전원 공급 모듈(550)은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으며, 외부 DC 전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어댑터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리모트 장치(500)는 내장형 배터리 및 전원 공급 모듈(55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 모듈은 마스터 장치(300)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모듈일 수 있고, 리모트 장치(500)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300)로 테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300)는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30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300)는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테스트 포트들에게 2회 이상 반복 인가하여 리모트 장치(500)로부터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을 수신할 수 있고,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300)는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장치(300)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330)을 통하여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300)는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터 장치(300)는 포트별 또는 장비 그룹별로 연결된 네트워크상의 어드레싱 정보 및 네트워크상의 어드레싱 정보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테스트 통신 포트에 적응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적응적으로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포트별, 장비 그룹별 및 사용자의 선택 어드레싱 중 적어도 하나로 구분하여 랜 케이블을 점검할 수 있으므로, 랜 케이블들의 점검이 용이하고, 랜 케이블들의 점검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중앙 서버(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마스터 장치(300)는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400)와 공유할 수 있다.
중앙 서버(400)는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400)는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신호선 배열 정보, 단선 길이 정보 및 단선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점검 정보를 기초하여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점검 정보를 참조하여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400)는 수신된 점검 정보를 로컬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고, 로컬 관리부는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300)는 중앙 서버(400)로부터 점검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수신된 요청 메시지의 명령에 따라 패치 패널부로 랜 케이블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리모트 장치(500)는 상기 마스터 장치(300)의 제어에 따라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제1 모드 및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810에서,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810에서 마스터 장치는 랜 케이블 점검을 담당하는 마스터 사용자에 대한 등록, 랜 케이블 테스트를 실시하는 회사에 대한 등록 및 테스트 장소에 대한 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810에서 마스터 장치는 과거에 측정한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이력을 초기화하기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고, 현재 측정하고자 하는 리모트 장치와의 통신 링크(예를 들어, 리모트 장치로부터 생성된 테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 등)를 설정하기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마스터 장치는 단계 820 및 단계 830에서,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810에서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신호를 선택 받으면, 마스터 장치는 톤 제네레이션 신호에 제1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하여 종단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리모트 장치는 제1 모드에 따라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포함하는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 830에서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리모트 장치는 마스터 장치로부터 제2 모드로 동작한다는 신호를 수신하고,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1 모드로 결정되면,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821에서,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테스트 포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822에서,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할 수 있다.
이때, 마스터 장치는 현재 테스트 포트에 포함된 복수의 핀(PIN)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포트를 점검하고, 다음 포트에 대한 점검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는 단계 823에서, 리모트 장치로부터 신호선 배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계 824에서, 신호선 배열 정보를 분석하여 랜 케이블의 연결도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모드로 결정되면, 마스터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831에서,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테스트 포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는 단계 832에서,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할 수 있다.
또한, 마스터 장치는 단계 833에서, 리모트 장치로부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단계 834에서,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분석하여 랜 케이블의 연결도 및 연결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도 9는 리모트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리모트 장치는 단계 910에서,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910에서 리모트 장치는 랜 케이블 점검을 담당하는 리모트 사용자에 대한 등록, 랜 케이블 테스트를 실시하는 회사에 대한 등록 및 테스트 장소에 대한 등록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단계 910에서 리모트 장치는 이전에 측정한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이력을 초기화하기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고, 현재 통신하고자 하는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 링크(예를 들어,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에게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 등)를 설정하기 위한 세팅을 수행할 수 있다.
리모트 장치는 단계 920 및 단계 930에서,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910에서 리모트 장치는 마스터 장치와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고, 단계 930에서 리모트 장치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리모트 사용자의 선택 입력에 따라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모드로 결정되면, 리모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921에서,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922에서, 통신 케이블 종단으로부터 인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단계 923에서,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신호선 배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계 924에서, 생성된 신호선 배열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모드로 결정되면, 리모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931에서,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장치의 동작 방법은 단계 932에서, 통신 케이블 종단으로부터 인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단계 933에서,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에 기반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단계 924에서, 생성된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단계 1010에서,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한다.
또한,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은 단계 1020에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1020에서 시스템은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은 단계 1030에서,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리모트 장치를 통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고, 단계 1040에서,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초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한다.
테스트 정보는 랜 케이블들의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 단선 위치 정보, 전파지연 정보, 지연왜곡 정보, 삽입손실 정보, 반사손실 정보, 근단누화 정보, 전력합 근단누화 정보, 등위원단누화 정보, 전력합 등위원단누화 정보, 감쇠 대 누화비 정보 및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1040에서 시스템은 통신 케이블의 종단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은 단계 1050에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테스트 정보에 의해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단계 1050에서 시스템은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랜 케이블들의 이상유무를 점검할 수 있다.
리모트 장치는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은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도 11은 마스터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마스터 장치(1100)는 신호 배선부(1120), 커넥터부(1125), 입력 감지부(1130), 디스플레이부(1140), 저장부(1150), 전원 공급부(1160), 통신부(1170), 분석부(1180) 및 제어부(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배선부(1120)는 통신 포트들(집합형 포트)과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에게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배선부(1120)는 테스트 포트에 대응하는 통신 포트의 랜 케이블 중 1번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고, 다음에 2번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며, 마지막에 8번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순차적으로 8개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고, 8개 신호선에 대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가 인가된 후에 다른 랜 케이블의 8개 신호선에 대한 검사를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커넥터부(1125)는 테스트 포트들과 개별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랜 케이블들을 테스트할 수 있는 통신 포트들로 구성될 수 있고, 신호 배선부(1120)로부터 각각의 개별적 통신 포트들에게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는 회로적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부(1125)는 패치코드를 이용하여 테스트 포트들과 통신 포트들을 연결할 수 있고,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상호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마스터 장치(1100)는 커넥터부(1125)를 통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각각의 신호선들로 분기시켜 제공할 수 있고, 커넥터부(1125)를 통하여 리모트 장치로부터 톤 제너레이션 신호에 대한 응답 신호 또는 테스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테스트 정보는 랜 케이블들의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 단선 위치 정보, 전파지연 정보, 지연왜곡 정보, 삽입손실 정보, 반사손실 정보, 근단누화 정보, 전력합 근단누화 정보, 등위원단누화 정보, 전력합 등위원단누화 정보, 감쇠 대 누화비 정보 및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부가 정보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1130)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세팅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1130)는 과거에 측정한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이력을 초기화하기 위한 세팅 정보, 현재 측정하고자 하는 리모트 장치와의 통신 링크(예를 들어, 리모트 장치로부터 생성된 테스트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링크 등)를 설정하기 위한 세팅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부(1130)는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113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토글 스위치((Nor 스위치 및 Auto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부(1130)는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고, 신호 배선부(1120)는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40)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과 접속되고,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포트들을 표시하는 것으로,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40)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통신 포트에 대한 테스트 포트의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 테스트 중인 포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40)는 세팅 정보, 리모트 장치로부터 생성된 테스트 정보 및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 메뉴 정보, 랙 정보 및 포트별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메뉴 정보는 마스터 장치의 조작법에 관련된 정보일 수 있고, 랙 정보는 랙에 수용된 전산 장비들에 대한 정보일 수 있고, 포트별 연결 정보는 현재 각 PIN들(8개 신호선들)의 연결 정보, 각 PIN들의 포트에 대한 연결 정보 및 집합형 통신 포트들에 대한 연결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부(1150)는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동식 디스크 또는 내장형 디스크를 통하여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60)는 마스터 장치(11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내장형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160)는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 및 외부 DC 전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어댑터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170)는 리모트 장치, 중앙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예를 들어, RS-485 및 RS-232 인터페이스 등의 유선 통신 모듈, 이동통신 및 위성통신 등의 무선 통신모듈 및 와이파이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모듈 등)을 수행할 수 있고, 마스터 장치는 통신부(1170)를 통하여 리모트 장치, 중앙 서버 및 이동통신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에게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장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로 테스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통신부(1170)는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와 공유할 수 있다.
중앙 서버는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앙 서버는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신호선 배열 정보, 단선 길이 정보 및 단선 위치 정보가 포함된 점검 정보를 기초하여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고, 데이터베이스에 누적된 점검 정보를 참조하여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중앙 서버는 수신된 점검 정보를 로컬 관리부로 전달할 수 있고, 로컬 관리부는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통신부(1170)는 중앙 서버로부터 점검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저장부(115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저장할 수 있으며, 입력 감지부(113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감지할 수 있고, 신호 배선부(112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를 기반으로 랜 케이블들을 테스트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측에 따르면, 통신부(1170)는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리모트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분석부(1180)는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분석부(1180)는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점검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110)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신호 배선부(1120), 입력 감지부(1130), 디스플레이부(1140), 저장부(1150), 전원 공급부(1160), 통신부(1170) 및 분석부(118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리모트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리모트 장치(1200)는 커넥터부(1220), 입력 감지부(1230), 디스플레이부(1240), 저장부(1250), 전원 공급부(1260), 통신부(1270) 및 제어부(12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부(1220)는 케이블 타단에 연결된 커넥터(마스터 장치 측의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하나의 소켓으로 이루질 수 있고, 커넥터에 내장된 4쌍의 신호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커넥터부(1220)는 마스터 장치에서 발생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할 수 있고,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에 대응하는 응답 신호를 마스터 장치로 인가할 수 있다.
입력 감지부(1230)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세팅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감지부(1230)는 과거에 측정한 테스트 정보에 대한 이력을 초기화하기 위한 세팅 정보,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 링크(예를 들어, 마스터 장치로 테스트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 등)를 설정하기 위한 세팅 정보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입력 감지부(1230)는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단선 길이 정보를 포함한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에 대한 선택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입력 감지부(1230)는 리모트 사용자의 선택 입력(제1 모드 및 제2 모드에 대한 선택 )을 감지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40)는 마스터 장치와 연결된 테스트 포트 번호 및 패치 패널부와 연결된 통신 포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7-세그먼트 조합으로 구성하여 표시할 수 있고,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40)는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에 대한 테스트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발광 다이오드 또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40)는 발광 다이오드의 색깔을 구분하여 현재 랜 케이블의 8개 페어별 신호선들이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표시할 수 있다.
저장부(1250)는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이동식 디스크 또는 내장형 디스크를 통하여 테스트 정보 및 점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260)는 리모트 장치(1200)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내장형 배터리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260)는 내장형 배터리를 충전 및 외부 DC 전원 입력을 수신하기 위한 어댑터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1270)는 마스터 장치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부(1270)는 테스트 정보를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고, 제1 모드 및 제2 모드를 결정하기 위한 통신 링크를 설정할 수 있다.
제어부(1210)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커넥터부(1220), 입력 감지부(1230), 디스플레이부(1240), 저장부(1250), 전원 공급부(1260) 및 통신부(127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패치 패널부
200: 아울렛
300: 마스터 장치
400: 중앙 서버
500: 리모트 장치

Claims (14)

  1. 삭제
  2.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마스터 장치; 및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테스트 정보는
    상기 랜 케이블들의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상기 랜 케이블들의 단선 길이 정보, 단선 위치 정보, 전파지연(Propagation Delay) 정보, 지연왜곡(Delay Skew) 정보, 삽입손실(Insertion Loss) 정보, 반사손실(Return Loss) 정보, 근단누화(NEXT, Near End Crosstalk) 정보, 전력합 근단누화(PS NEXT, Power Sum NEXT) 정보, 등위원단누화(ELFEXT, Equal Level Far End Crosstalk) 정보, 전력합 등위원단누화(PS ELFEXT, Power Sum ELFEXT) 정보, 감쇠 대 누화비(ACR, Attenuation to Crosstalk Ratio) 정보 및 전력합 감쇠 대 누화비(PS ACR, Power Sum AC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부가 정보를 특징으로 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3.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마스터 장치; 및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4.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하고,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되면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마스터 장치; 및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고,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리모트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여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고,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는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테스트 정보 및 상기 점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상기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와 공유하고,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통신 케이블의 종단 및 유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마스터 장치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전송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 장치는
    현재 테스트 포트에 포함된 복수의 핀(PIN)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포트를 점검하고, 다음 포트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9. 삭제
  10.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리모트 장치를 통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초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테스트 정보에 의해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는
    적어도 둘 이상의 테스트 정보들에 대한 평균치를 분석하여 상기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
  11.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리모트 장치를 통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초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테스트 정보에 의해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케이블 연결 정보에 포함되는 포트별 어드레싱 정보, 장비 그룹별 어드레싱 정보 및 사용자의 선택입력에 의해 생성되는 사용자 어드레싱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어드레싱된 테스트 통신 포트들에게 적응적으로 스위칭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인가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
  12. 패치 패널부에 구비된 복수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1:1로 대응하는 복수의 테스트 포트들을 구비한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패치 패널부에 연결된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 점검 및 상기 통신 포트들 각각을 구분하기 위한 톤 제너레이션(Tone Generation) 신호를 기 설정된 신호주기에 따라 스위칭하여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
    상기 패치 패널부의 통신 포트들 각각에 대응되는 통신 케이블의 종단에 연결되는 리모트 장치를 통하여 상기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톤 제너레이션 신호를 기초하여 현재 연결된 통신 포트들의 테스트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테스트 정보를 상기 마스터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테스트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테스트 정보에 의해 생성된 점검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랜 케이블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리모트 장치는 상기 마스터 장치의 제어에 따라 상기 테스트 정보에 포함된 신호선 배열 정보만을 제공하는 제1 모드 또는 상기 신호선 배열 정보 및 부가 정보를 포함한 상기 테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마스터 장치를 통하여 상기 점검 정보를 원격지의 중앙 서버와 공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중앙 서버는
    상기 점검 정보를 각각의 포트별 및 장비 그룹별 중 적어도 하나로 데이터베이스화 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에 기반하여 교체 또는 증설할 케이블의 소요량을 예측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테스트 포트들에게 적어도 1회 인가하는 단계는
    현재 테스트 포트에 포함된 복수의 핀(PIN)들 각각에 순차적으로 톤 제네레이션 신호를 인가하여 현재 포트를 점검하고, 다음 포트에 대한 점검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방법.
  14.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140124547A 2014-09-18 2014-09-18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4961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4547A KR101496169B1 (ko) 2014-09-18 2014-09-18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4547A KR101496169B1 (ko) 2014-09-18 2014-09-18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6169B1 true KR101496169B1 (ko) 2015-03-02

Family

ID=53025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124547A KR101496169B1 (ko) 2014-09-18 2014-09-18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6169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3945B1 (ko) * 2016-09-07 2017-04-06 주식회사 이노솔루텍 스위칭 장치용 포트 정보 표시장치
KR101744022B1 (ko) * 2016-08-11 2017-06-20 (주)처음정보기술 통신 포트와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한 멀티 테스터 장치
KR101865622B1 (ko) * 2017-07-12 2018-06-08 우성정보 주식회사 랜선 테스터기
KR20200079658A (ko) * 2018-12-26 2020-07-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신용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KR20200125084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유시스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328219B1 (ko) * 2021-05-31 2021-11-18 (주)영은시스템 패치 패널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시설 관리장치
KR102375201B1 (ko) * 2021-12-03 2022-03-16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용 통신케이블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WO2022107974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부명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36A (ko) * 2002-08-16 2004-02-21 조용걸 멀티 랜케이블 테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랜케이블 테스팅 방법
KR20100116064A (ko) * 2009-04-21 2010-10-29 (주)우진엔지니어링 마스터 디바이스 및 리모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6236A (ko) * 2002-08-16 2004-02-21 조용걸 멀티 랜케이블 테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랜케이블 테스팅 방법
KR20100116064A (ko) * 2009-04-21 2010-10-29 (주)우진엔지니어링 마스터 디바이스 및 리모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테스트 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4022B1 (ko) * 2016-08-11 2017-06-20 (주)처음정보기술 통신 포트와 케이블의 식별이 용이한 멀티 테스터 장치
KR101723945B1 (ko) * 2016-09-07 2017-04-06 주식회사 이노솔루텍 스위칭 장치용 포트 정보 표시장치
KR101865622B1 (ko) * 2017-07-12 2018-06-08 우성정보 주식회사 랜선 테스터기
KR20200079658A (ko) * 2018-12-26 2020-07-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신용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KR102611471B1 (ko) 2018-12-26 2023-12-0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통신용 플러그 및 이를 구비하는 통신용 패치코드
KR20200125084A (ko) * 2019-04-26 2020-11-04 주식회사 유시스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KR102191911B1 (ko) * 2019-04-26 2020-12-16 주식회사 유시스 식별 기능을 구비한 네트워크 시스템
WO2022107974A1 (ko) * 2020-11-23 2022-05-27 주식회사 부명 케이블을 식별하기 위한 전자 장치들을 포함하는 시스템
KR102328219B1 (ko) * 2021-05-31 2021-11-18 (주)영은시스템 패치 패널을 이용한 네트워크 기반시설 관리장치
KR102375201B1 (ko) * 2021-12-03 2022-03-16 대평엔지니어링(주) 공동주택용 통신케이블 고장구간 검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6169B1 (ko) 랜 케이블 점검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5063096B2 (ja) Mac誘導能力を備えたパワー・パッチ・パネル
US2006024446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haracterizing power on a local area network
JPWO2019235152A1 (ja) 検査システム及び検査方法
CN102907010B (zh) 损坏标识模块和方法
US11860058B2 (en) Fiber-optic testing source and fiber-optic testing receiver for multi-fiber cable testing
US20110211456A1 (en) High Performance Three-Port Switch For Managed Ethernet Systems
KR20100116064A (ko) 마스터 디바이스 및 리모트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이블 테스트 장치
US7366630B2 (en) Management of electrical cable installations in a building
US7979232B2 (en) Apparatuse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configuration of SAS and SATA cables
KR102046908B1 (ko) 엘이디 패치 패널 애널라이저
CN102854430A (zh) 多芯电缆混线、断线测试方法及测试系统
JP2009514471A (ja) インテリジェントパッチング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管理システム
US20120270436A1 (en) Identifying individual copper network cables on a patch panel
KR101527129B1 (ko) 다심선 구별 테스터
KR20040016236A (ko) 멀티 랜케이블 테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랜케이블 테스팅 방법
JP6533606B2 (ja) 判定装置
KR101499863B1 (ko) 집중형 배선반의 통신선 체크 시스템
KR20080043430A (ko) 케이블 오류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527130B1 (ko) 다장소 구별 테스터
US20110313692A1 (en) Enhanced Intelligent Patch Panel Diagnostic Management
US7324911B2 (en) Method of planning, installing, and verifying a set of electrical cables in a building
CN114614916B (zh) 具有PoE功能的通信设备产测系统及产测方法
KR20120140562A (ko) 지능형 Mini MDF를 이용한 광 운용 감시 시스템
KR20100100351A (ko) 통신회선 테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