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930A - 인조 잔디용 충전재 혼합물 - Google Patents

인조 잔디용 충전재 혼합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930A
KR20200026930A KR1020207003090A KR20207003090A KR20200026930A KR 20200026930 A KR20200026930 A KR 20200026930A KR 1020207003090 A KR1020207003090 A KR 1020207003090A KR 20207003090 A KR20207003090 A KR 20207003090A KR 20200026930 A KR20200026930 A KR 202000269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cork
filler
artificial tur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0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프란체스코 안토니우스 로데위지크 하멜링
바트 위저스
프레데릭 잔 반 데르 가그
Original Assignee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filed Critical 텐 게이트 씨오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20002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9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01C13/08Surfaces simulating grass ; Grass-grown sports grou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Abstract

인조 잔디 시스템용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로, 상기 충전재 혼합물은 우세한 코르크계 미립자들 및 상기 미립자들 사이에 배치된 다량의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조 잔디용 충전재 혼합물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시스템(artificial turf system)용 충전재 혼합물(infill mixture), 특히 코르크계(cork-based) 충전재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시스템 및 인조 잔디 시스템용 충전재 혼합물에 관한 것이다.
인조 잔디 시스템은 다양한 스포츠 및 미학적 목적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현재의 형태까지 여러 세대를 거쳐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시스템은 특정 영역에서 이들은 적어도 동작의 예측 가능성 관점에서 이미 능가할 수 있지만, 이들의 천연 시스템과 동일한 특성을 달성하고자 한다.
일반적인 3세대 잔디 시스템은 상부 표면을 갖는 이면층(backing layer) 및 섬유들 사이에 배치된 부드러운 미립자의 충전재 층을 포함한다. 이면층은, 인조 잔디 섬유(artificial grass fibre)가 술로 달려 상향 위치로 배향되고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의 이면층에 의해 직물(woven fabric)에 고정된 파일 섬유(pile fibre)를 제공하는 직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면 섬유 및 파일 섬유는 카펫을 직조함으로써 동시에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파일 섬유 및 이면 구조물의 위치에 상당한 자유가 있다.
잔디 시스템의 설치는 일반적으로 직립하는(upstanding) 잔디 섬유들 사이에 흩뿌려진 느슨한 모래 층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는 그 무게에 의해, 이면을 제자리에 고정시키고, 파일을 위쪽 위치에서 지지한다. 이 모래 층 위에 및 인조 잔디 섬유들 사이에, 부드러운 엘라스토머(elastomer) 과립이 흩뿌려져, 필요한 스포츠 성능을 제공하는 느슨한 성능 충전재 층을 형성한다. 이러한 성능 특성은 의도된 용도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의 스포츠에서, 회전 및 선형 그립; 힘 감소; 수직 볼 바운스(ball bounce); 및 회전 마찰을 포함할 것이다. 이 성능은 이면층 바로 아래에 충격 패드(shock pad) 또는 e-층을 적용함으로써 더 지지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모래 층은 생략될 수 있다. 이러한 유형 중 하나의 시스템은 영국 특허 출원 GB2429171에 기술되어있다.
최근에, SBR 또는 기타 고무와 같은 일반 충전재 재료에 대한 천연의 대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천연의 대안은 코르크, 코코넛 섬유, 껍질 등을 포함한다. 코르크는 유연성과 스포츠 성능이 우수하고 천연 충전재 재료 중에서 가장 일관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선호된다. 인조 잔디 시스템도 촉촉하게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는 냉각 효과가 있지만, 경기 특성과 슬라이딩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는 정기적으로 물을 분무하거나 뿌리는 것을 필요로 한다. 일단 물에 젖으면, 코르크는 특히 물을 잘 유지한다. 그러나, 엘라스토머성 충전재 재료와 비교할 때, 코르크는 압축이 심하다. 장기간 사용하는 동안, 코르크 미립자 층은 입자와 유사한 구조를 유지하는 대신 견고한(solid) 층으로 진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포츠 신발 스터드(stud)가 층에 들어가는데 방해가 되고, 볼 바운스 특성이 변경되어, 경기 성능이 저하된다. 다른 천연 대체 충전재 재료로 유사한 효과를 볼 수 있다. 정기적인 유지 관리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압축으로 인해 천연 재료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허용될 수 없도록 나빠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압축이 적은 충전재 재료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시스템용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에 관한 것이고, 상기 충전재 혼합물은 우세량의 코르크 미립자들 및 상기 미립자들 사이에 배치된 소정량의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미립자에 대한 언급은 코르크를 말하고, 과립에 대한 언급은 아래에 명시된 바와 같이 비-코르크(non-cork) 재료를 말한다. 또한, 코르크에 대한 언급은 코코넛 섬유 및 껍질과 같은 다른 유사한 천연 충전재 재료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 발명의 충전재 혼합물은 우수한 수분 보유력, 충격 흡수 및 입자 이동성을 겸비하며, 이는 정상적인 사용 하에서 압축되지 않는 충전재 층에 사용될 수 있다.
첨가되는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은 매우 이동성이 있다. 이론에 얽매이지 않고, 이들은 코르크의 압축을 방해하지만, 동시에 코르크는 부드럽고 단단한 과립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로 인해 압축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지만 여전히 충분한 그립(grip)을 갖는 충전재 층이 생성된다. 실제로, 과립은 볼-베어링(ball-bearing)으로서 작용하여, 코르크 미립자의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가능한 한 압축을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립은 매끄럽다. 당업자들은 매끄러움이 다수의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을 위해 비교적 낮은 마찰 계수를 필요로 하는 것으로 정의된다는 것을 인지할 것이다. 과립은 마찰 계수가 0.5 미만인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의 마찰 계수는 ASTM G115 - 10(2013)에 따라 접촉하는 동일한 재료의 두 표면에 대해 측정된 정적 마찰 계수(static frictional coefficient)이다.
코르크는 천연 재료이고, 과립은 물을 잘 유지하여, 살수(sprinkling) 후 장시간 동안 인조 잔디가 수분을 유지하는 이점을 갖는다. 코르크는 일반적으로 약 0.15 kg/리터의 벌크 밀도를 갖지만, 이는 입자 크기 및 코르크 유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코르크 미립자는 0.5 mm 내지 3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2.0 mm,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mm 내지 1.5 mm의 일반적인 크기를 갖는다. 추가 양태에 따르면, 코르크 미립자는 불규칙한, 특히 각이 진 형상을 갖는다.
일 양태에 따르면, 충전재 혼합물은 각각 70 체적% 내지 50 체적%의 코르크 미립자 및 30 체적% 내지 49 체적%의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을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충전재 혼합물은 약 60 체적%의 코르크 미립자 및 약 40 체적%의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을 포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체적 퍼센트는 혼합물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과립 및 부드러운 충전재 미립자의 퍼센트를 나타내며, 혼합 전에 정의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과립은 사실상 구형을 가져야 한다. 바람직하게는, 과립은 0.5 초과 또는 0.7 초과 또는 0.9 초과의 구형도(sphericity)를 가지며, 여기서 구형도는 과립에 대한 동일한 체적의 구의 직경 대 외접 구(circumscribing sphere)의 직경의 비로 정의된다.
과립은 0.5 초과 또는 0.7 초과 또는 0.9 초과의 조도(roundness) 값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조도는 과립의 코너 및 에지의 평균 곡률 반경 대 외접할 수 있는 최대 구의 반경의 비로 정의된다.
당업자는 '사실상 구형(substantially spherical)'은 원통이 약 1,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2 또는 0.8 내지 1.5의 길이 대 직경 비를 갖는 한, 매끄러운 에지를 갖는 원통형을 포함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과립은 이들이 견고하고 중공이 아니라는 점에서 사실상 균일한 밀도를 갖는다. 그러나, 과립은, 예를 들어 발포에 의해 확립된 복수의 가스 버블을 포함할 수 있다.
풀-사이즈의 운동장을 구성하는데 사용되는 재료의 양은 충전재가 비교적 저렴하게 생산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이는 또한 재활용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자체로 재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특정 열가소성 수지가, 예를 들어 인조 잔디 섬유(artificial grass fibre) 제조에서 이미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고, 과립으로서의 이들의 추가적인 용도가 바람직할 수 있다. 과립의 재료는 폴리에틸렌 (PE, LDPE, LLDPE, MDPE, HDPE), 폴리프로필렌 (PP), 폴리아미드 (PA), 폴리우레탄 (PU), 폴리스티렌 (PS), 발포 폴리스티렌 (expanded polystyrene, EPS),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에틸렌 이소소르비드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isosorbide terephthalate, PEIT), 폴리에틸렌 푸라노에이트(polyethylene furanoate, PEF), 폴리하이드록시 알카노에이트(polyhydroxy alkanoates, PHA), 폴리아세트산(polylactic acid, PLA),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BS), 폴리부틸렌 석시네이트(polybutylene succinate, PBS), 폴리부틸렌 아디페이트 코-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adipate co-terephthalate, PBA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PCL), 페놀 포름알데히드(phenol formaldehyde, PF), 폴리프로필렌 카보네이트(polypropylene carbonate, PPC), 폴리트리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TT), 폴리비닐 클로라이드(polyvinyl chloride, PVC), 폴리비닐 알콜(polyvinyl alcohol, PVOH), 열가소성 전분(thermoplastic starch, TPS) 및 이의 유도체 및 조합을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특히, PE, PP, PA, PU, PS, ABS, PC, PET, PEF, PHA 및 PLA는 특히 유망한 후보자로 간주된다.
일 양태에 따르면, 과립은 0.1 kg/리터 내지 0.5 kg/리터, 바람직하게는 0.2 kg/리터 내지 0.4 kg/리터, 더욱 특히 0.25 kg/리터 내지 0.35 kg/리터의 벌크 밀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폴리머는 필요한 크기의 미립자의 벌크 밀도가 이들 범위의 상단에 다다르더라도, 이들 값보다 일반적으로 더 큰 비-밀도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발포된 과립은 재료의 비-밀도 및 따라서 이의 벌크 밀도를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는 전체 재료 비용을 감소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발포는 발열 및 흡열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공정 동안 블로잉제 및 화학적 또는 물리적 블로잉제의 도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포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일어난다. 발포된 과립은 개방된 셀 또는 폐쇄된 셀일 수 있지만, 폐쇄된 셀 과립이 바람직할 수 있다. 언급된 밀도 값은 경제적 및 구조적 특성들 사이의 절충으로 선택될 수 있다. 추가로, 언급된 벌크 밀도는 과립과 코르크 미립자의 더 나은 혼합을 촉진시킬 수 있다.
과립은 구조물에서 균일할 수 있거나, 재료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재료는 쵸크 등과 같은 충전재로 혼합될 수 있으며, 이는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특정 밀도 또는 과립의 다른 특성을 조절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과립은 비-열가소성 코어 상에 코팅된 열가소성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과립은 부드러운 충전재의 평균 미립자 크기보다 더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코르크 미립자의 크기 분포는 사실상 보통일 수 있다. 과립 크기는 코르크 미립자의 적어도 50%가 과립보다 더 작도록 선택될 수 있다. 이는 상이한 재료의 혼합을 개선할 수 있다. 과립은 1 mm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 mm의 평균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당업자는 미립자 및 과립의 평균 크기가 언급되어 있지만, 이들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상이한 절차가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 값은 ASTM C136 / C136M - 14 "Standard Test Method for Sieve Analysis of Fine and Coarse Aggregates"에 따라 제공된다. 이러한 시험 절차는 범위 내에서 개별 수의 입자를 정의하기 위해 D10 및 D90 값을 사용하고, 10 %의 입자는 D10 값 미만일 수 있고, 90%의 입자는 D90 값 미만일 것이다. 과립에서, D10 및 D90 값은 평균 크기의 30% 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과립은 더 타이트한 크기이고, D10 및 D90 값은 평균 크기의 20% 내이거나 평균 크기의 10% 내일 수 있다. 코르크 미립자는 평균 값 또는 그 이상으로부터 30% 떨어질 수 있는 D10 및 D90 값으로 나타내는 더 넓은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일 양태에 따르면, 과립의 비-밀도(specific density)는 부드러운 충전재의 비-밀도보다 적어도 20% 더 크다. 분리된 비-밀도는 인조 잔디 시스템의 수명이 다했을 때 두 재료를 분리시킬 수 있게 하여 재활용을 촉진시킨다. 비-밀도에 기초한 분리는 부유, 사이클론 또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립은 매끄럽고 단단하다. 바람직하게는, 과립은 쇼어(Shore) D 40 초과의 표면 경도(surface hardness)를 갖는 재료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쇼어 A 경도 규모는 고무 및 엘라스토머의 경도를 정의하는데 사용된다. 과립으로 선택되는 재료는 쇼어 A 규모보다 크거나 적어도 쇼어 A 90 이상일 수 있다. 쇼어 D 규모는 과립으로 사용되는 열가소성 재료의 경도를 결정하기에 더욱 적절하고, 쇼어 D 40의 값은 최소인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과립은 쇼어 D 45 초과, 또는 쇼어 D 50 초과의 표면 경도를 가질 수 있다. 로크웰(Rockwell) R 경도 규모에서 더 자주 측정되는 실제로 훨씬 더 단단한 재료는, 예를 들어 로크웰 R 경도가 20보다 크고 세라믹, 석재, 실리카 및 금속을 포함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경도에 대한 언급이 있지만, 과립의 파쇄 경도도 중요하며, 정상적인 사용 중에 부서지거나 파손되지 않아야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직립하는(upstanding) 파일 섬유들(pile fibres)을 포함하는 인조 잔디 층(artificial grass layer); 상기 파일 섬유들 사이에 배치되고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충전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충전재 층;을 포함하는 인조 잔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재된 충전재 혼합물 이외에, 충전재 혼합물 아래에 배치되는 모래와 같은 안정화 층의 형태로 추가 충전재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인조 잔디 시스템은 기판 아래에 충격 패드 또는 다른 형태의 탄력층(resilient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충전재 층은 이들의 길이의 사실상 일부 상에 파일 섬유를 적절하게 지지하기에 충분한 깊이로 존재할 수 있고, 이러한 섬유 및 목적하는 프리 파일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충전재 층은 적어도 10 mm의 깊이를 갖는다. 이는 목적하는 스포츠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스터드의 깊이 이상에 대응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충전재 층은 적어도 20 mm의 깊이 또는 30 mm 초과의 깊이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최종 깊이는 충전재 층이 파일 섬유를 지지하는 기판 상의 유일한 층인지 및 충격 패드나 다른 형태의 탄력층이 적용되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 스포츠의 특성에 따라, 파일 섬유는 충전재 수준보다 적어도 10 mm 또는 적어도 15 mm 또는 20 mm 초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시스템의 충전재 층의 압축을 억제하기 위한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인조 잔디 시스템은 충전재 층 아래의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직립하는 파일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 층은 우세량의 코르크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과립은 발포재로 제조된다.
충전재 층은 추가로 또는 대안적으로 스티렌-부타디엔(SBR),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모노머(EPDM), HoloTM, 또는 비교할만한 대안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시스템의 충전재 층의 압축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고, 상기 인조 잔디 시스템은 충전재 층 아래의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직립하는 파일 섬유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기판 상에 충전재를 분포시키기 전 또는 후에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을 충전재와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새로 설치하는 경우, 충전재를 분포시키기 전에 과립과 충전재의 미립자의 혼합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기존 경기장의 리노베이션이 필요한 상황이 존재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충전재 층을 긁어내거나 그렇지 않으면 건드리고, 필요한 양으로 매끄러운 단단한 과립에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조 잔디 시스템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충전재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드 하키, 풋볼, 미식 축구 또는 럭비 경기장의 건설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바와 같은 충전재 혼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인조 잔디 시스템의 단면도를 도시하는 하기 도면을 참조하면 이해될 것이다.
실시예 1
도면은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인조 잔디 시스템(10)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잔디 시스템(10)은 안정화 서브-베이스(12), 탄력층(13), 직립하는 파일 섬유(16)를 갖는 직조된 인조 잔디 기판(14), 안정화 모래 층(17) 및 충전재 층(18,19)을 포함한다. 잔디 기판(14)은 50 mm 트리멘션(Trimension) 섬유를 사용하는 Greenfields의 직조된 카페트 MX Elite 50이다. 안정화 모래 층(17)은 22.4 kg/㎡의 커버리지로 0.5-1.0 mm 등급의 10 mm 두께의 필콤 (Filcom) 모래였다. 탄력층은 TrocellenTM의 HP XC 050010의 10 mm 층이다. 충전 층은 0.5 mm-2.5 mm의 크기 범위, 0.12 kg/리터의 벌크 밀도 및 1.3 kg/m²의 커버리지를 갖는 코르크(Amorim) 입자(18)로 구성되고, 1 mm-1.6 mm의 크기 범위, 0.29 kg/리터의 벌크 밀도 및 2.0 kg/m의 커버리지를 갖는 매끄럽고 단단한 PE 과립(19)과 혼합되었다. 혼합비는 60/40 체적%의 코르크/PE 과립이었다.
Lisport XL를 이용한 시험
실시예 1의 시스템에 Lisport™ XL 기기를 사용하여 몇 가지 시험을 수행했다. Lisport XL은 몇 년 사용 후 스포츠 경기장의 마모 시뮬레이션을 현식적으로 복제하는 마모 시뮬레이션 기기이다. 마모 패턴은 풋볼 스터드 (클릿(cleat))의 압축 응력과 평평한(flat-soled) 스포츠 신발로 인한 마모가 특징이다. 이 테스트에서, 필드는 스터드가 있는 롤러에 적용되며, 필드에서 앞뒤로 롤링된다. 테스트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시험 방법의 FIFA 핸드북에서 확인할 수 있다(https://football-technology.fifa.com/en/media-tiles/football-turf-handbook-of-test-methods-2015/). Lisport XL은 70 페이지, 부록 I에 기재된다.
Lisport XL 기기의 다수의 사이클 후, 볼 바운스 및 회전 마찰을 5개의 분리된 위치에서 측정하고, 평균 결과를 FIFA Quality Pro, FIFA Quality and IRB (International Rugby Board)에 의해 정의된 국제 표준과 비교했다. 결과를 하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표 1]
Figure pct00001
추가로, 충격 흡수율(shock absorption), 수직 변형(vertical deformation), 및 볼 롤(ball roll)을 측정했다:
[표 2]
Figure pct00002
5번의 사이클 후 수직 변형을 제외하고, 측정된 파라미터 전체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이 국제 표준을 따랐다.
상기 시험 결과는, 측정된 볼 바운스, 충격 흡수율 및 볼 롤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시스템이 Lisport XL의 9000 사이클 초과 후에도 거의 압축되지 않는 시스템을 나타내는 것임을 보여준다. 중요하게는, 이러한 결과는 표면을 긁어내거나 다른 뒤섞음 없이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Lisport XL 시험은 시험 전에 표면의 가벼운 긁어냄을 허용하고 필요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래의 충전재는 충전재의 압축을 상쇄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이러한 긁어냄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재 혼합물의 경우, 압축이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긁어냄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실시예 1과 관련하여 기재된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 당업자는 다수의 다른 구성이 고려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청구 범위 내에 동등하게 포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상기 기재된 것들 이외에 다수의 다른 변형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조물 및 기술로 제조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양태가 기재되지만, 이들은 단지 예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Claims (20)

  1. 인조 잔디 시스템(artificial turf system)용 코르크계(cork-based) 충전재(infill) 혼합물로서,
    상기 충전재 혼합물은 우세량의 코르크 미립자들(cork particulates) 및 상기 미립자들 사이에 배치된 소정량의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들(granules)을 포함하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크 미립자는 0.5 내지 3 mm의 평균 크기를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르크 미립자는 불규칙적인 형상을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혼합물은 70 체적% 내지 50 체적%의 코르크 미립자 및 30 체적% 내지 49 체적%의 과립을 포함하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혼합물은 약 60 체적%의 코르크 미립자 및 약 40 체적%의 과립을 포함하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사실상 구형을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바람직하게는 PE, PP, PA, PU, PS, ABS, PC, PET, PEF, PHA 및 PLA를 포함하는 군에서 선택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발포재(foamed material)로 제조되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0.1 kg/리터 내지 0.5 kg/리터, 바람직하게는 0.2 kg/리터 내지 0.4 kg/리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 kg/리터 내지 0.35 kg/리터의 벌크 밀도를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코르크 미립자의 평균 미립자 크기보다 큰 평균 크기를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은 1 내지 5 mm,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5 mm, 가장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2.0 mm의 평균 크기를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의 비-밀도(specific density)는 코르크의 비-밀도보다 적어도 20% 더 큰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과립의 재료는 적어도 쇼어(Shore) 경도 D 40을 갖는 것인, 코르크계 충전재 혼합물.
  14. 인조 잔디 시스템으로서,
    상기 시스템은,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직립하는(upstanding) 파일 섬유들(pile fibres)을 포함하는 인조 잔디 층(artificial grass layer);
    상기 파일 섬유들 사이에 배치되고 기판 상에 배치된 충전재 층으로서, 상기 충전재 층은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의 충전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충전재 층;을 포함하는 것인, 인조 잔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 층은 10 m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mm 이상, 및 임의로 30 mm 초과의 깊이를 갖는 것인, 인조 잔디 시스템.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LisportXL 시험의 9000 사이클 후, 볼 바운스(ball bounce) 높이는 100 cm 미만인 것인, 인조 잔디 시스템.
  17. 인조 잔디 시스템의 충전재 층의 압축을 억제하기 위한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으로서,
    상기 인조 잔디 시스템은 충전재 층(infill layer) 아래의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직립하는 파일 섬유들(pile fibres)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재 층은 우세량의 코르크 미립자를 포함하고, 상기 과립은 발포재로 제조되는 것인, 과립.
  18. 인조 잔디 시스템의 충전재 층의 압축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인조 잔디 시스템은 충전재 층 아래의 기판 및 상기 기판으로부터 직립하는 파일 섬유들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기판 상에 충전재 층을 분포시키기 전 또는 후에 매끄럽고 단단한 과립을 충전재 층의 재료와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인조 잔디 시스템의 충전재 층의 압축을 억제하는 방법.
  19. 인조 잔디 시스템에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전재 혼합물의 용도.
  20. 필드 하키, 풋볼, 미식 축구 또는 럭비 경기장의 건설에서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충전재 혼합물의 용도.
KR1020207003090A 2017-07-05 2018-07-05 인조 잔디용 충전재 혼합물 KR2020002693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9187A NL2019187B1 (en) 2017-07-05 2017-07-05 Infill Mixture for Artificial Turf
NL2019187 2017-07-05
PCT/NL2018/050441 WO2019009718A1 (en) 2017-07-05 2018-07-05 FILLING MIXTURE FOR ARTIFICIAL TUR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930A true KR20200026930A (ko) 2020-03-11

Family

ID=596561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090A KR20200026930A (ko) 2017-07-05 2018-07-05 인조 잔디용 충전재 혼합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932998B2 (ko)
EP (1) EP3649292B1 (ko)
JP (1) JP7171631B2 (ko)
KR (1) KR20200026930A (ko)
CN (1) CN110914498A (ko)
AU (1) AU2018296004A1 (ko)
CA (1) CA3068804A1 (ko)
ES (1) ES2954297T3 (ko)
NL (1) NL2019187B1 (ko)
SG (1) SG11202000043RA (ko)
WO (1) WO20190097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80183A1 (en) * 2016-09-20 2018-03-22 Tarkett Inc. Organic infill for artificial turf fields
EP4047131A1 (en) 2021-02-22 2022-08-24 Improve Tec Hönö AB Infill granule for use in an aritificial turf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7283A (en) * 1980-09-11 1982-06-29 Haas Jr Frederick T Synthetic turf playing surface with resilient top-dressing
CA2247484C (en) * 1998-09-21 2001-07-24 Jean Prevost Process of laying synthetic grass
US6472041B1 (en) * 2000-02-28 2002-10-29 Richard L. Burke Monolithic surfac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A75599C2 (en) * 2000-06-21 2006-05-15 Fieldturf Inc Synthetic grass-plot with springy granulated upper surface layer
CA2436914C (en) * 2000-11-30 2013-01-22 Avturf L.L.C. Safety system for airports and airfields
AU2001242177A1 (en) * 2000-12-21 2002-07-01 Fieldturf Inc. Synthetic grass sport surfaces
JP4022441B2 (ja) 2002-07-04 2007-12-19 積水樹脂株式会社 人工芝製運動競技場
US7244477B2 (en) * 2003-08-20 2007-07-17 Brock Usa, Llc Multi-layered sports playing field with a water draining, padding layer
ITPI20040052A1 (it) * 2004-07-15 2004-10-15 Roberto Nusca Sistema costruttivo per la realizzazione di superfici sportive, ricreative e/o ornamentali con l'impiego della tecnologia in erba artificiale combinata con coperture vegetali viventi
EP1853765A1 (en) * 2005-03-01 2007-11-14 DSMIP Assets B.V. Artificial turf structure with granular infill
GB2429171A (en) 2005-08-17 2007-02-21 Edel Grass B V Artificial turf
ATE545735T1 (de) * 2007-04-12 2012-03-15 Mar Project S R L Verfahren zum erhalt eines kunstrasens
US20100055461A1 (en) * 2008-08-26 2010-03-04 Daluise Daniel A Artificial turf infill
IT1395627B1 (it) * 2009-08-27 2012-10-16 Nusca Materiale di intasamento per manti in erba sintetica e manti in erba sintetica cosi' ottenuti
KR101274293B1 (ko) * 2011-01-19 2013-07-15 필드터프승목 주식회사 인조잔디
US9157196B2 (en) * 2011-07-21 2015-10-13 Avturf L.L.C. Adhesively secured artificial turfs for airports and methods of installing such artificial turfs
JP5784690B2 (ja) 2013-12-04 2015-09-24 奥アンツーカ株式会社 人工芝充填材及びこれを備えた人工芝構造体
US20170067213A1 (en) * 2014-02-28 2017-03-09 Nikolaos Sarris Mixed turf
US10066345B2 (en) * 2014-04-25 2018-09-04 Profile Products Llc Artificial turf field system
NL2014875B1 (en) * 2015-05-28 2017-01-31 Ten Cate Thiolon Bv Artificial Turf System.
US20170058464A1 (en) * 2015-09-02 2017-03-02 Tarkett Inc. Protective binding 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649292B1 (en) 2023-06-07
US11932998B2 (en) 2024-03-19
EP3649292A1 (en) 2020-05-13
NL2019187B1 (en) 2019-01-16
ES2954297T3 (es) 2023-11-21
WO2019009718A1 (en) 2019-01-10
CA3068804A1 (en) 2019-01-10
AU2018296004A1 (en) 2020-02-06
US20200224374A1 (en) 2020-07-16
EP3649292C0 (en) 2023-06-07
JP2020525674A (ja) 2020-08-27
SG11202000043RA (en) 2020-02-27
CN110914498A (zh) 2020-03-24
JP7171631B2 (ja) 2022-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44553B2 (en) Artificial turf system
US11236471B2 (en) Artificial turf field system
EP3332067B1 (en) Artificial turf suitable for sports fields
US7858148B2 (en) Filler for artificial turf system
CN1232703C (zh) 具有弹性粒状顶面层的人工草皮组件
US8263203B2 (en) Filler for artificial turf system
US11591756B2 (en) Artificial turf suitable for sports fields
US20100239790A1 (en) System and method for an improved artificial turf
EP3272939A1 (en) Artificial turf comprising an agglomerate infill
KR20200026930A (ko) 인조 잔디용 충전재 혼합물
EP3885400A1 (en) A polymeric foam material for shock pads in artificial grass systems
JP2024509778A (ja) 人工芝システム用充填顆粒
JP3581662B2 (ja) 敷物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2144442A1 (en) Biodegradable infill material for artificial turf 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