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869A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Google Patents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00026869A KR20200026869A KR1020200027734A KR20200027734A KR20200026869A KR 20200026869 A KR20200026869 A KR 20200026869A KR 1020200027734 A KR1020200027734 A KR 1020200027734A KR 20200027734 A KR20200027734 A KR 20200027734A KR 20200026869 A KR20200026869 A KR 2020002686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oth
- preparation
- teeth
- hydrogel
- alginat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3—Periodo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3/00—Silicon; Compounds thereof
- C01B33/113—Silicon oxides; Hydrates thereof
- C01B33/12—Silica; Hydrates thereof, e.g. lepidoic silicic acid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4—Guluromannuronans, e.g. alginic acid, i.e. D-mannuronic acid and D-guluronic acid units linked with alternating alpha- and beta-1,4-glycosidic bonds; Derivatives thereof, e.g. algin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에 관한 것으로, 합성실리카를 포함하는 슬라임 하이드로겔(slime hydrogel)을 포함하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제는 밀착력이 우수하고 타겟 부위에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하여 약효성분을 구강 내로 전달할 수 있는 제제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밀착력이 우수하고 충분한 부착시간을 확보하여 구강 내로 약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제제에 관한 것이다.
구강 유효 성분을 구강 내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유효성분과의 접촉시간 및 전달량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치약과 같은 페이스트 제형은 점도가 충분하지 않고 용해도가 높아 타겟 부위에 충분한 접촉시간을 제공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구강 내 약물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마우스 트레이는 이물감이 심하고 형태 특성상 국부적 약물 전달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패치 형태 또는 스트립 형태는 얇아서 충분한 유효성분 전달이 어렵고, 유연성이 떨어져, 치아틈새,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 등의 밀착이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치아틈새, 잇몸과 치아 경계 부위 등의 밀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23859호는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을 개발하였으나, 사용 시 치아 표면에 도포할 때 흐름성이 강하여 별도의 지지층을 구비하여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WO 2003/037276는 초기 점도가 낮아 spray형태로 구강 내 도포하는 제제를 개시하고 있는데, 일반 보관 온도(특히 여름)와 구강 내 온도차이가 적고, 매우 얇게 발리지 않으면 빠른 상전이가 일어나지 않아 제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US 5,989,569은 strip의 표면에 약물을 도포하여 압력에 의하여 약물을 전달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으나, strip의 표면에 약물을 도포하여 그대로 치아에 부착하므로 약효성분이 일시적으로 방출되는 효과가 있고, 치아 주변 잇몸 등에 강한 자극을 유발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Strip과 도포하는 약물의 물성, 특히 유연성이 달라서, 치아 틈새의 밀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한편, 유연성을 달성하면서도 사용자가 구강용 제제를 부착한 후 움직임에 의해 흘러내리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제형에 대해 연구를 거듭 실시하였으나,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틈새까지 밀착될 수 있는 slime 형태의 제형은 흐름성이 너무 강하여 중력에 의해 흘러내려 사용 불편함과 충분한 밀착시간을 확보할 수 없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이드로겔과 같은 제형들은 제약 업계에서 상처 치료 등을 위해 이용되고 있었다. 피부에는 부착이 용이한데, 구강 내 부착을 위해 사용되는데는 어려움이 있었다. 일 예로 치아 표면의 굴곡과 높은 습도, 말을 할 때 발생하는 다양한 힘 측면을 고려하여 사용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유연성이 우수하면서 물리적 강도가 있는 하이드로겔 패치의 경우 대부분 실리콘으로 화학 반응으로 제작되어 구강 내 특히 치아나 잇몸 등에 사용하기에는 안전성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사용이 편리하면서 구강 내로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제를 개발하고자 오랜 기간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특히 치아 틈새나 굴곡까지 밀착력을 높이면서 구강 내라는 특수한 조건에서 사용하기 적합한 제형을 고려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 내 원하는 부위에 부착이 용이하고,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구강 부착용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사용 전 형태가 변형될 수 있고, 치아 틈새나 치아와 잇몸 사이에 우수하게 밀착될 수 있는 형태의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제는 초기 부착 시에는 흘러내리지 않고 치아표면과 치아와 잇몸 경계뿐만 아니라, 치아와 치아 틈새 사이까지 우수하게 밀착할 수 있고, 약물이 충분히 방출된 후 떼어내는 시점에는 자극이 없으면서 치아에서 제거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제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부드럽고 유연성을 가지고 있으면서도 흘러내리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고, 타겟 부위와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부드러운 슬라임(slime)과 같은 제형을 가지면서도 물리적인 강도가 증가하고, 형태 유지력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제형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합성실리카를 포함하는 슬라임 하이드로겔(slime hydrogel)로 구강 내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구강 내에 치아, 잇몸 또는 볼 안쪽 (buccal) 등에 부착될 수 있는 제형으로, 일 예로 띠와 같은 형태를 가지고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제는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 동그란 형태 등을 가질 수 있으며, 목적으로 하는 타겟 부위와 부착시간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특정한 형상없이 점토와 같은 반죽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치아 틈새까지 약물을 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압력에 의해서도 쉽게 모양이 변형될 수 있고, 부착 부위에서 흘러내리지 않을 정도의 접착력과 형태 유지력을 가질 수 있는 구강용 제제의 제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슬라임 하이드로겔(slime hydrogel)'은 신장율이 우수하고 잘 늘어날 수 있는 하이드로겔을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되었다. 하이드로겔은 3차원 고분자 망상 (polymeric network)을 형성하고 팽윤성을 가지고 있다. 유체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고 약물을 일정한 농도로 방출할 수 있는 특징이 있으나, 상기 하이드로겔은 뻣뻣한(stiff)하여 치아 굴곡이나 틈새에 밀착시키기 곤란하고 상기 하이드로겔을 신장시킬 경우 잘 끊어질 수 있다.
슬라임 하이드로겔은 젤리와 같이 연성이 우수하고 잘 늘어나고, 3차원 고분자 망상 구조를 이루고 있어 약물의 방출 조절이 탁월하고 자유로운 형태 변형이 가능한 새로운 제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슬라임 하이드로겔은 PVA의 -OH 기와 염(예를 들어, borate)의 수소결합으로 3차원 네트워크가 형성된 상태보다 더욱 탄력성이 있고, 형태 변형 가능성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슬라임(slime)보다는 흐름성이 덜하고 형태 고정력이 있지만, 하이드로겔(hydrogel)보다는 유연성이 더욱 강하고, 잘 늘어날 수 있는 성질을 가진 제형으로, 슬라임과 하이드로겔의 중간 정도의 형태 변형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임 하이드로겔 제형은 합성실리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실리카는 무기 점증제로서 매우 작고 일정한 크기를 가지면서 수불용성이고 수용액에 분산력이 우수하면서, 수소 결합 특성을 갖고 있어서 요변성을 높여 줄 수 있어서 슬라임 하이드로겔 제형을 달성하는데 탁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에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합성실리카는 실리카 분말, 흄드 실리카, 침전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에어로겔, 실리카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흄드 실리카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흄드 실리카는 예를 들어, EVONIK社의 AEROSIL® 종류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EROSIL® 200, AEROSIL®300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합성실리카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건조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함량 범위내일 때, 제형의 레올로지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임 하이드로겔은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OH기가 반응하여 수소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생체 안정성이 입증된 고분자로, 얇은 막을 형성할 수 있는 필름 형성 고분자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이 포함하는 -OH 기는 염(salt)과 수소결합으로 브릿지(bridge) 구조로 겔 형성 시에 elastic 성질이 우수하고, 본 발명의 합성 실리카와의 사용으로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제형 특성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OH기와 수소결합을 형성하는 염은 보레이트염(borate), 포스페이트염(phosphate) 또는 이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보레이트염은 포타슘 보레이트, 소듐 보레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포스페이트염은 테트라소듐파이로포스페이트, 테트라포타슘파이로포스페이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PVA, 합성 실리카와의 상용성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염은 소듐 보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알지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라임 하이드로겔로 구강 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알지네이트 화합물의 수소 결합 특성이 슬라임 하이드로겔의 형성에 영향을 미쳐서 슬라임 하이드로겔의 thixotropy 성질을 주는 제형을 달성하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이론에 제한되어 해석되지 않는다. 이러한 목적으로 알지네이트를 추가시 특히 PVA, Borax로 만들어진 슬라임 하이드로겔의 경우 일정량 이상의 알지네이트를 첨가하게 되면 오히려 균일하지 않은 슬라임 하이드로겔의 형성되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알지네이트 화합물은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건조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 중량%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2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 이하일 때 가장 슬라임 하이드로겔의 물성이 본 발명에 적합하였다.
상기 알지네이트 화합물은 칼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알지네이트, 나트륨 알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지네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구강 내로 전달될 수 있는 약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효 성분은 구강 내로 전달될 수 있는 약효 성분은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구강 내 질환 치료 또는 구강 내 질환 예방,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는 약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효 성분은 예를 들어 치아 미백 성분, 불소 이온 공급원을 포함하는 충치 예방 성분, 치석 생성 억제 성분, 항염증 성분, 항균 성분, 기타 비타민, 미네랄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시린이 개선 및 증상완화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불화나트륨(sodium fluoride), 불화주석(stannous fluoride), 불화인듐(indium fluoride), 불화아민(amine fluoride), 및 일불화인산나트륨(sodium monofluorophosph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불소 이온 공급원; 수산화인회석(hydroxyapatite)을 포함하는 재광화제(reminerlaization agent); 치아 미백 성분으로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과산화요소(carbamide peroxide), 과산화칼슘(calcium peroxide), 과붕산염(perborate), 과탄산염(percarbonate), 퍼옥시산(peroxyacids), 과황산염(persulfates), 아염소산칼슘(calcium chlorite), 아염소산바륨(barium chlorite), 아염소산마그네슘(magnesium chlorite), 아염소산리튬(lithium chlorite), 아염소산나트륨(sodium chlorit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미백 효과 향상을 위해 축합인산염을 과산화물과 함께 사용가능한데, 사용 가능한 축합인산염으로는, 피로인산나트륨 (tetrasodium pyrophosphate, TSPP), 산성피로인산나트륨(sodium acid pyrophosphate, SAPP), 폴리인산나트륨(sodium tripolyphosphate, STP), 피로인산나트륨칼륨(sodium potassium pyrophosphate), 피로인산칼륨(tetrapotassium pyrophosphate), 산성 메타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metaphosphate), 산성폴리인산나트륨(acidic sodium polyphosphate)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상기 과산화물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축합인산염들은 치석제거나 치석형성억제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킬레이팅제로서 치아의 stain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금속을 제거해 줌에 의해 미백 효과 향상에도 기여할 수 있다. 트리클로산(triclosan), 클로르헥시딘(chlorhexidine), 알렉시딘(alexidine), 헥세티딘(hexetidine), 산귀나린(sanguinarine),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살리실아닐리드(salicylanilide), 브롬화도미펜(domiphen bromide), 염화세틸피리디늄(cetylpyridinium chloride, CPC), 염화테트라데실피리디늄(tetradecylpyridinium chloride, TPC)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미생물제; 아스피린(aspirin), 케토롤락(ketorolac), 플루비프로펜(flurbiprofen), 피록시캄(piroxicam), 메클로페남산(meclofenamic acid),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항염증제; 또는 티아민(thiamine), 리보플라빈(riboflavin), 니코틴산(nicotinic acid), 판토텐산(pantothenic acid), 피리독신(pyridoxine), 바이오틴(biotin), 엽산(folic acid), 비타민 B12(vitamin B12), 리포산(lipoic acid),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비타민 A(vitamin A), 비타민 D(vitamin D), 비타민 E(vitamin E), 비타민 K(vitamin K) 또는 이들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들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치주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효과적인 약물로는, 옥수수 불검화 정량 추출물, 후박 추출물, 몰약, 라타니아, 카모밀레, 폴리크레졸렌, 센텔라 정량 추출물 육두구 추출물, 덱스판테놀(dexpanthenol),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아세틸 살리실릭산(acetyl salicylic acid) 등을 단독 또는 일정비의 혼합물로 포함할 수 있다. 시린이 증상 개선 및 완화 성분으로는, 염화아연, 인산칼륨, 이인산칼륨, 염화칼슘, 옥살산, 옥살산 칼륨, 옥살산철(ferric oxalate), 비타민 E 등을 단독 또는 2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효 성분이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의 슬라임 하이드로겔 내에 균일하게 또는 불균이하게 분산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슬라임 하이드로겔 내부에 분산된 약효 성분의 방출을 도와줄 수 있는 물질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약물 방출을 도와주는 물질은 제형 내에 channel이나 porous 구조 또는 bubble(foam)을 만들어 주는 것이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i) 아세트산, 젖산, 말산, 글루코닉산, 아스코르브산 등의 산 또는 이들의 수용성 염, 예를 들면 시트르산 나트륨(sodium citrate)과 ii) 수산화나트륨(NaOH), 수산화칼륨(KOH), 탄산수소나트륨(baking soda), 탄산나트륨과 같은 base가 들어있는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산은 아세트산, 염기는 탄산수소나트륨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치약에 주로 사용되는 산과 염기인 시트르산 나트륨과 탄산수소나트륨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슬라임 하이드로겔 자체로 존재할 수도 있고,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에 지지체(예를 들어, 불수용성 필름막) 등을 더 부착한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에 부착될 때 필요에 따라 지지층(backing fil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를 부착하는 동안에 원하지 않는 부위에 접촉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층은 일반적으로 구강용 필름에 사용되는 수불용성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 폴리피로필렌(PP),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셀룰로오즈 아세테이트 프탈레이트, 셀락(Shellac), 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 셀룰로오스, 폴리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일 에틸 베타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Yukaformer: 제조 회사Mitsubishi, methacryloylethyl betain/ 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산 공중합체(methacrylic acid copolymer; Eudragit L 100, Eudragit L 12,5, Eudragit L 100-55, Eudragit L 30D-55), 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aminoalkyl methacrylate copolymer; Eudragit E 100, Eudragit E 12,5, Eudragit RL 100, Eudragit RL 30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치아 주변부'는 일반적으로 잇몸으로 표현되는 부위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치아 주변부의 점막 부위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치아 주변부는 제제의 구조상 치아에 제제가 도포될 때 치아와 함께 구강 내 전달을 위한 약효 성분이 함께 전달될 수 있는 부위를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를 '치아'와 혼용하여 기재하였으며, '치아'로만 기재되어 있더라도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제의 약물이 방출되어 제거되는 시점에 쉽게 떼어낼 수 있으며, 표면에 잔여물을 거의 남기지 않고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실리카를 포함하는 경우, 폴리비닐알코올과 소듐 보레이트와 혼합하여 치아에 밀착력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약물이 방출된 후 제거할 때 치아 표면에 끈적임을 남기지 않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제는 치아의 틈새나 치아의 굴곡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부위에 높은 밀착력을 부여할 수 있다.
치아 틈새에도 우수하게 밀착될 수 있어 약물 전달 효율이 우수하다. 또한, 부착 후 흘러내리지 않아 약물 도달부위와 본 발명의 제제의 접촉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어 목적으로 하는 효능을 달성하는데 유리하다.
치아에 도포될 때 흘러내리지 않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거 시 치아 표면에 끈적임을 남기지 않고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늘어나는 성질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껌이나 반죽과 같이 self-healing될 수 있는, 뭉침성이 우수하다. 약물의 방출성을 조절하면서도 다루기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본원 명세서에 기재된 %는 중량%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의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하기 조성에 따라 온도를 50 ℃ 로 맞춰 준 후에 mechanical mixer기로 mixing하면서 제조해 주었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PVA 2.8% 후박추출물 0.05% 에탄올 1.0% Borax 1.2 % Sodium Alginate 0.3% Water to 100% |
PVA 2.8% 센텔라추출물 0.02% 에탄올 1.0% Borax 1.2 % Aerosil200 2.4% Water to 100% |
PVA 2.8% 염화아연 0.1% TPP 10.0% Aerosil200 1.2% Water to 100%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P&G SensiStop) |
PVA 2.8% 후박추출물 0.05% 에탄올 1.0% Borax 1.2 % 물 to 100% |
PVA 10% 센텔라추출물 0.02% 에탄올 1.0% 물 to 100% |
PVA 2.8% 염화아연 0.1% TPP 10.0% 물 to 100% |
Cellulose Gum. Carbomer, NaOH, Glycerin, 물 |
[치아 틈새(
interproximal
) 및 치아 표면(
buccal
surface)의 밀착력 평가]
1.
치간
및 치아 표면 밀착력 비교 실험 (인조 치면 세균막 제거 방법 응용)
(1) 실험방법
- 평가 기기: ITPlus 4.0 Microcam
- 평가 방법: 비교예와 실시예의 부착 전 후 치아 틈새 및 치아 표면 부위의 인조치면 세균막 제거력를 면적으로 비교
a) 인조 치아 모형에 인조 치면 세균막 코팅 방법
악태 모형 중 잇솔의 적합이 용이한 상악 구치부 협면을 폴리머(Red Dye 함유)에 10초 넣었다 꺼내어 실온에서 60분 건조 후 건조시에서 다시 60분 건조하여 인조치면세균막을 제작하였다.
b)
치간
및 치아 표면 밀착력 실험 방법
실시예와 비교예에 소량의 물을 스프레이하여 다습한 구강 조건을 맞춰 준 후 실험하고자 하는 인조 치면 세균막 코팅된 인조 치아에 밀착시켜 주고 10분 후에 제거 한 후 동일한 조건 하에서 치아 틈새, 치아 앞 표면 부위의 인조 치면 세균막을 제거한 후 부착 전 후의 치간(interproximal)과 치아 표면(buccal surface)의 면적을 측정하여 비교함.
(2) 실험결과
실시예 및 비교예 사용에 따른 치간(치아 틈새), 치아 표면의 인조 치면 세균막을 제거한 면적을 측정하였다. (세균막 제거 면적이 크다는 것은 그 위치에 밀착력이 높음을 반영함)
면적 | 실시예1 | 실시예2 | 비교예1 | 비교예4 |
치아틈새 | 30.01 | 28.90 | 25.80 | 10.55 |
치아 표면 | 89.98 | 85.33 | 79.12 | 70.11 |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는 치아 틈새와 치아 표면 모두 세균막 제거 면적이 크게 나타났다. 상기 결과를 통해서, 실시예 1 및 2는 치아 틈새까지 밀착되는 능력이 탁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흐름성이 강하지 않고 치아 표면과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치아 표면의 세균막 제거 능력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형태
유지력
및 길이
확장력
비교 실험]
1. 형태
유지력
상악과 하악으로 모두 구성된 구강 치아 모형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부착 한 후에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흘러내리기 시작한 시간을 기록하여, 사용 시간 동안 부착 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물리적 강도가 있는 지 평가하였다. 치아 모형을 사용하여 상악 부위에 3개 정도 치아/잇몸 사이 경계부위를 덮게 부착해 두고, 10분 후에 하악 부위로 흘러내리는지 아니면 부착 상태를 유지하는 지를 관찰한 후에 5점 척도로 형태를 초기와 동일하게 유지하면 4점, 조금 흘러내리나 형태와 위치를 그대로 유지하면 4점, 흘러내리면서 형태와 위치가 조금 벗어나면 3점, 많이 벗어나면 2점, 부착 부위에서 완전히 벗어나면 1점으로 표기하였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 3 | 비교예4 | |
형태 유지력 | 5 | 5 | 5 | 3 | 2 | 2 | 4 |
2. Stretchable, Malleable 특성 비교 실험
상기 표 4에서 형태유지력이 우수한 실시예들에 대해 추가로 길이 확장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PET sheet에 실시예를 1g 취하여 가로 세로 1cm * 1cm로 위치 시킨 후 그 위에 다른 PET sheet를 올리고, 손가락으로 눌러서 찢어지거나 구멍이 나지 않으면서 최대로 확장될 수 있는 길이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4 | |
확장된 길이 | 6배 | 8배 | 1.5배 | 제품상태로 누를 때 확장되지않음 |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들은 치아 표면에 부착되어 형태유지력이 우수하면서도 길이 확장력이 우수하여 스트레쳐블(stretchable)한 특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비교예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형태유지력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누를 때 길이 확장이 되지 않는 특성이 있었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서 비교예 4의 제제는 치아 틈새까지 완벽하게 밀착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제는 치아 굴곡이나 틈새까지 고려하여 완벽한 밀착력을 가질 수 있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사용편리성을 설문평가(접착력, 형태
유지력
, 밀착력, 제거력 등)]
1) 실험대상 및 사용법: 총 10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실시예 1-3과 비교예 1-4를 각각 번갈아가면서 각각 3회씩 사용하게 한 후에 5점 리커드 척도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음.
2) 척도기준
5점: 매우 만족함
4점: 비교적 만족함
3점: 보통 수준임
2점: 조금 미흡함
1점: 많이 미흡함
Guideline으로는, 접착력의 경우 원하는 위치에 쉽게 부착되고, 붙이고 싶은 시간 동안 붙인 자리에 계속 붙어있을 경우 접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형태 유지력은 원하는 곳에 부착 후 흘러내리지 않고 형태를 잘 유지할 때 형태 유지력이 우수한 것으로, 밀착력은 손가락으로 제형을 가볍게 눌러서 치아 틈새니 치아/잇몸 경계 부위에 쉽게 밀착이 될 때 밀착력이 우수한 것으로, 제거력은, 아래와 같이 5점 리커드 척도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음.
5 : 제거가 매우 편리하고 치아 잔여물이 없다
4 : 제거가 편리하지만 잔여물이 조금 남는다.
3 : 제거가 편리하지 않고 잔여물이 남아 불편하다.
2 : 제거가 불편하고 잔여물이 많이 남는다.
1 : 제거가 매우 불편하고 잔여물이 매우 많이 남는다.
3) 실험 결과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접착력 | 4 | 4 | 4 | 4 | 4 | 2 | 2 |
형태유지력 | 5 | 5 | 5 | 3 | 2 | 2 | 4 |
밀착력 | 5 | 5 | 5 | 5 | 2 | 5 | 3 |
제거력 | 5 | 5 | 5 | 4 | 2 | 4 | 2 |
상기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의 경우 접착력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매우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즉, 부착하여 흘러내리거나 이동하는 정도가 비교예에 비해서 더 적었다.
또한, 밀착력 측면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으나, 형태유지 측면이나 접착력 측면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실시예의 경우 더욱 우수한 사용감 평가 결과를 얻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적
시린이
또는 치은염 개선 설문평가]
1) 실험대상 및 사용법: 실시예 1~3과, 비교예 1~4는 하루1번 10분동안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부위에 부착 후 제거하도록 하였다.
2) 각군당 시린이 또는 잇몸통증을 느끼는 15명의 자원자를 대상으로 1주일간 사용 후 5점 리커드 척도로 설문평가를 실시하였음.
5점: 부착한 시린이/잇몸통증 부위 모두에서 시린이/잇몸 통증 개선효과가 한달 지속되었다.
4점: 부착한 시린이/잇몸통증 부위 모두에서 시린이/잇몸 통증 개선효과를 확실히 느꼈다.
3점: 부착한 시린이/잇몸통증 부위 한 곳 이상에서 시린이/잇몸 통증 개선효과를 확실히 느꼈다.
2점: 사용하기 전보다 찬 음식에 대해 시린이 또는 음식 섭취 후 잇몸 통증이 덜 민감해진 것을 느꼈다.
1점: 시린이 또는 잇몸 통증 개선효과를 느끼지 못했다.
아래와 같이 실시예와 비교예의 효능효과 설문 결과를 얻었다.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
시린이개선 | - | - | 4 | - | - | 3 | 3 |
치은염개선 | 4 | 4 | - | 3 | 1 | - | - |
상기 표 7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들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비교예들에 비해서 구강 내에서 더욱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실시예들의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는 구강 내 타겟 부위에 밀착력이 우수하고, 치아 틈새까지 약물을 전달할 수 있어 목적으로 하는 효과 달성이 유리하였다. 또한, 충분한 접촉시간을 확보할 수 있어 약물 전달에 용이하였다.
Claims (10)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합성 실리카를 포함하는 슬라임 하이드로겔(slime hydrog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실리카는 실리카 분말, 흄드 실리카, 침전실리카, 콜로이드 실리카, 에어로겔, 실리카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OH기와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OH기와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염은 보레이트염(borate), 포스페이트염(phosphate)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알지네이트(alginate) 화합물을 포함하는 슬라임 하이드로겔(slime hydrogel)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 화합물은 칼슘 알지네이트, 포타슘 알지네이트, 나트륨 알지네이트, 트리에탄올아민 알지네이트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알지네이트 화합물은 제제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은 폴리비닐알코올(PVA) 및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OH기와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OH기와 가교결합을 형성하는 염은 보레이트염(borate), 포스페이트염(phosphate)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제는 구강 내 전달을 목적으로 하는 약효 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27734A KR102361348B1 (ko) | 2016-02-02 | 2020-03-05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12964A KR102089536B1 (ko) | 2016-02-02 | 2016-02-02 | 마우스밴드 |
KR1020200027734A KR102361348B1 (ko) | 2016-02-02 | 2020-03-05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12964A Division KR102089536B1 (ko) | 2016-01-13 | 2016-02-02 | 마우스밴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26869A true KR20200026869A (ko) | 2020-03-11 |
KR102361348B1 KR102361348B1 (ko) | 2022-02-09 |
Family
ID=8026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27734A KR102361348B1 (ko) | 2016-02-02 | 2020-03-05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61348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9569A (en) | 1997-06-06 | 1999-11-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permanently deformable strip of material |
KR20040009547A (ko) * | 2002-07-24 | 2004-01-31 | 주식회사 태평양 |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부착 치아 미백용 패취 |
KR100662203B1 (ko) * | 2005-12-05 | 2006-12-2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
-
2020
- 2020-03-05 KR KR1020200027734A patent/KR10236134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89569A (en) | 1997-06-06 | 1999-11-23 | The Procter & Gamble Company | Delivery system for a tooth whitener using a permanently deformable strip of material |
KR20040009547A (ko) * | 2002-07-24 | 2004-01-31 | 주식회사 태평양 | 하이드로젤 매트릭스 부착 치아 미백용 패취 |
KR100662203B1 (ko) * | 2005-12-05 | 2006-12-27 |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 용시 겔화를 이용한 치아 미백 성분 전달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61348B1 (ko) | 2022-02-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540851B2 (ja) | 口腔用製剤 | |
US20220117856A1 (en) | Preparation for Attaching to Teeth or Surrounding Part of Teeth | |
KR102445889B1 (ko) | 경화 연고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 |
EP2056787B1 (en) | Denture care composition | |
KR102182976B1 (ko) | 치아 또는 치아 주변 조직 부착용 패치 | |
KR101808802B1 (ko) | 경화 연고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 |
KR102089536B1 (ko) | 마우스밴드 | |
KR102361348B1 (ko) | 치아 또는 치아 주변부 부착용 제제 | |
KR102010417B1 (ko) | 구강용 제제 | |
KR102048372B1 (ko) | 구강용 제제 | |
KR101964840B1 (ko) | 가단성 구강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 |
KR20190129815A (ko) | 구강용 제제 | |
KR102324872B1 (ko) | 가단성 구강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 |
KR20190093548A (ko) | 구강용 제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