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428A -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428A
KR20200026428A KR1020180104141A KR20180104141A KR20200026428A KR 20200026428 A KR20200026428 A KR 20200026428A KR 1020180104141 A KR1020180104141 A KR 1020180104141A KR 20180104141 A KR20180104141 A KR 20180104141A KR 20200026428 A KR20200026428 A KR 20200026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s
core
threshold
electric vehicle
wireless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4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승원
Original Assignee
(주)케이스포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스포유 filed Critical (주)케이스포유
Priority to KR1020180104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6428A/ko
Publication of KR20200026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60L53/35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 B60L53/38Means for automatic or assisted adjustment of the relative position of charging devices and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y i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2Inductive energy transf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8Electric sensors
    • B60Y2400/3084Electric currents sens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02T90/12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층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의 비전도성 바닥층(10)과, 상기 비전도성 바닥부(10)의 하부에서 송신 코어와 전기타 수신 코어의 정렬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종방향 1 ~ 3M, 횡방향 0.5 ~ 2M, 높이 0.3 ~ 1M 크기의 하부 작동실(20)과; 상기 하부 작동실(20)에 바닥층으로 돌출되지 않게 위치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이격된 한쌍의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을 구비하는 X축 이동수단부(40)와; 상기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에 탑재되며,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한개의 횡방향 이동블록(51)을 구비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상기 횡방향 이동블록(51)의 상부에 탑재되고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으로 형성하고 충전 회로에서 인덕터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 코어(60)와; 전력 전송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충전 회로 또는 보조 감지 회로 상의 순간전류(I)를 실시간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전류 센서(70)와; 상기 전류 센서(70)로부터 수신된 순간 전류(I)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상기 송신 코어(60)가 위치하도록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
본 발명은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차의 무선충전시스템에서 유도전력 수신모듈은 전기차에 탑재되고, 유도전력 송신모듈은 충전용 주차구획의 지면 근처에 매장되는데, 이렇게 전기차에 탑재된 유도전력 수신모듈과 주차구획의 지면 근처에 매장된 유도전력 송신모듈을 운전자가 최적으로 정렬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즉, 운전자가 유도전력 수신모듈과 유도전력 송신모듈을 정렬시키기 위해 전기차를 이동시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무선신호의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분석하여 충전용 주차구획에 위치한 유도전력 송신모듈의 위치를 탐지하였는데, 이는 정확도 떨어지며 충전용 주차구획에 별도의 무선신호 송신기를 구비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유도전력 송신모듈과 유도전력 수신모듈 간의 정렬을 위해 전기차를 운전해야 하는 운전자의 입장에서 시각적인 위치 확인 없이 무선신호의 세기(일례로, 소리의 크기)에 기초하여 정렬을 수행하는 것은 높은 정렬 정확도를 기대할 수 없다. 종래기술로서, ?컴 인코퍼레이티드 제10-201370292720호(출원일 : 2012.04.10) 전기 차량들의 무선 충전을 위한 안테나 정렬 및 차량 안내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전력수신 코일센터와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한 충전스테이션에 전력송신 코일센터를 자동으로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 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는,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층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의 비전도성 바닥층(10)과,
상기 비전도성 바닥부(10)의 하부에서 송신 코어와 전기타 수신 코어의 정렬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종방향 1 ~ 3M, 횡방향 0.5 ~ 2M, 높이 0.3 ~ 1M 크기의 하부 작동실(20)과;
상기 하부 작동실(20)에 바닥층으로 돌출되지 않게 위치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이격된 한쌍의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을 구비하는 X축 이동수단부(40)와;
상기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에 탑재되며,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한개의 횡방향 이동블록(51)을 구비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상기 횡방향 이동블록(51)의 상부에 탑재되고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으로 형성하고 충전 회로에서 인덕터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 코어(60)와;
전력 전송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충전 회로 또는 보조 감지 회로 상의 순간전류(I)를 실시간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전류 센서(70)와;
상기 전류 센서(70)로부터 수신된 순간 전류(I)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상기 송신 코어(60)가 위치하도록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전기자동차에 장착된 전력수신 코일센터와 전기자동차 하부에 위치한 충전스테이션에 전력송신 코일센터를 자동으로 정확히 일치시키기 위한 충전 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 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중 XY축 이동수단부 전체 구성도.
도 2은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중 XY축 이동수단부 전체 구성도(송신 코어 제거 상태).
도 3, 4은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전체 구성도(송신 코어 제거 상태).
도 5는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스캔 방식 설명도.
이하에서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중 XY축 이동수단부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중 XY축 이동수단부 전체 구성도(송신 코어 제거 상태)이고, 도 2은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전체 구성도(송신 코어 제거 상태)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는,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층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의 비전도성 바닥층(10)과, 상기 비전도성 바닥부(10)의 하부에서 송신 코어와 전기타 수신 코어의 정렬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종방향 1 ~ 3M, 횡방향 0.5 ~ 2M, 높이 0.3 ~ 1M 크기의 하부 작동실(20)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는, 상기 하부 작동실(20)에 바닥층으로 돌출되지 않게 위치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이격된 한쌍의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을 구비하는 X축 이동수단부(40)와, 상기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에 탑재되며,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한개의 횡방향 이동블록(51)을 구비하는 Y축 이동수단부(5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코어(60)는 횡방향 이동블록(51)의 상부에 탑재되고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으로 형성하고 충전 회로에서 인덕터 기능을 수행한다. 전류 센서(70)는 전력 전송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충전 회로 또는 보조 감지 회로 상의 순간전류(I)를 실시간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신한다. 제어부(80)는 전류 센서(70)로부터 수신된 순간 전류(I)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상기 송신 코어(60)가 위치하도록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제어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Z축 이동수단부(110)는 하부 작동실(20) 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한다. 제어부(80)가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이용하여 스캔(위치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Z축 이동수단부(11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높이를 하강시켜서 송신 코어(60)가 비전도성 바닥층(10) 하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는, 송신 코어(60)로부터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거리 감지센서(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전도성 바닥부(10) 중 하부 작동실(20) 상부 영역(10a)은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식 바닥판(11)을 포함하고, 제어부(80)가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스캔(위치 이동)하여,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상기 송신 코어(60)가 위치하였을 때, 개폐식 바닥판(11)이 슬라이딩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작동실(20)의 상면 영역이 적어도 일부 개방된다. 비접촉식 거리 감지센서(120)는 상하 간격을 제어부(80)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80)는 Z축 이동수단부(110)를 통해서 베이스 프레임(30)의 높이를 상승시켜서 송신 코어(60)가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근접 위치되게 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방법은, 송신코어 XY축 정렬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100)를 제공하는 단계(S10)와 1차 X스캔 단계(S20)와 2차 Y스캔 단계(S30)와 이동, 정렬하는 단계(S60)를 포함한다.
송신코어 XY축 정렬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100)를 제공하는 단계(S10)에서, 송신 코어(60)가 탑재된 횡방향 이동블록(51)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상기 Y축 이동수단부(50)가 탑재된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무선 전력 전송 정도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70)를 포함하는 송신코어 XY축 정렬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100)를 제공된다.
1차 X스캔 단계(S20)에서, 무선 충전 장치(100)을 X축(종방향)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전류 센서(70)의 제1 전류 데이터, I1(t)와 송신 코어(60)의 X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한다.
2차 Y스캔 단계(S30)에서, 제1 전류 데이터, I1(t))의 임계치가 발생한 X축 임계좌표 1(X임계_1)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을 Y(횡방향)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전류 센서(70)의 제2 전류 데이터, I2(t)와 송신 코어(60)의 Y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한다.
이동, 정렬하는 하는 단계(S60)에서, 제어부(80)는 X축 임계좌표 1(X임계_1)와 상기 제2 전류 데이터, I2(t)의 임계치가 발생한 Y축 임계좌표 1(Y임계_1)를 제1 센터(C1)을 지정하고, 상기 제1 센터(C1)의 좌표(X임계_1, Y임계_1)로 송신 코어(60)로 이동, 정렬한다.
제어부(80)는 제1 센터(C1)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영역 범위 이내에서 3차 X스캔 단계(S40)와; 4차 Y스캔 단계(S50)를 수행하되, 3차 X스캔 단계(S40)의 이동범위 좌표는 X = X임계_1 ± 1/3L(L은 X축이동가능 총길이) 이내이고, 상기 4차 Y스캔 단계(S50)를 이동범위 좌표는 Y = Y임계_1 ± 1/3W(W은 Y축이동가능 총 길이) 이내이다.
3차 X스캔 단계(S20)에서 상기 제어부(80)는 3차 X스캔 단계(S40)에서 전류 센서(70)의 제3 전류 데이터, I3(t)와 송신 코어(60)의 X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하고, 제어부(80)는 4차 Y스캔 단계(S50)에서 상기 제3 전류 데이터의 임계치가 발생한 X축 임계좌표 2(X임계_2)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을 Y(횡방향)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전류 센서(70)의 제4 전류 데이터, I2(t)와 송신 코어(60)의 Y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한다.
제어부(80)는 X축 임계좌표 2(X임계_2)와 상기 제4 전류 데이터, I4(t)의 임계치가 발생한 Y축 임계좌표 2(Y임계_2) 를 최종센터(C_Final)을 지정하고, 상기 최종센터(C_Final)의 좌표(X임계_2, Y임계_2)로 송신 코어(60)로 이동, 정렬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부호는 단순히 발명의 이해를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 권리범위의 해석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함을 밝히며 기재된 도면부호에 의해 권리범위가 좁게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비전도성 바닥층
20 : 하부 작동실
30 : 베이스 프레임
40 : X축 이동수단부
41a, 41b : 종방향 이동블록
50 : Y축 이동수단부
51 : 횡방향 이동블록
60 :송신 코어
70 : 전류 센서
80 : 제어부
110 : Z축 이동수단부

Claims (5)

  1.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에 있어서,
    차량이 진입하는 바닥층에 형성되고 차량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의 비전도성 바닥층(10)과,
    상기 비전도성 바닥부(10)의 하부에서 송신 코어와 전기타 수신 코어의 정렬을 위한 장치가 구비되는 종방향 1 ~ 3M, 횡방향 0.5 ~ 2M, 높이 0.3 ~ 1M 크기의 하부 작동실(20)과;
    상기 하부 작동실(20)에 바닥층으로 돌출되지 않게 위치되는 사각형상의 베이스 프레임(30)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에 형성되며, 종방향으로 진행하는 이격된 한쌍의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을 구비하는 X축 이동수단부(40)와;
    상기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에 탑재되며, 횡방향으로 진행하는 한개의 횡방향 이동블록(51)을 구비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상기 횡방향 이동블록(51)의 상부에 탑재되고 충전 스테이션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무선 충전을 위한 전자기장으로 형성하고 충전 회로에서 인덕터 기능을 수행하는 송신 코어(60)와;
    전력 전송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충전 회로 또는 보조 감지 회로 상의 순간전류(I)를 실시간 감지하여 제어부에 송신하는 전류 센서(70)와;
    상기 전류 센서(70)로부터 수신된 순간 전류(I)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상기 송신 코어(60)가 위치하도록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제어하는 제어부(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작동실(20) 안에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30)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는 Z축 이동수단부(1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80)가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이용하여 스캔(위치 이동)하는 경우에 상기 Z축 이동수단부(110)는 베이스 프레임(30)의 높이를 하강시켜서 송신 코어(60)가 비전도성 바닥층(10) 하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코어(60)로부터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 사이의 간격을 감지하기 위한 비접촉식 거리 감지센서(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비전도성 바닥부(10) 중 하부 작동실(20) 상부 영역(10a)은 개폐 가능하도록 개폐식 바닥판(11)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80)가 X축 이동수단부(40)와 Y축 이동수단부(50)를 스캔(위치 이동)하여,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상기 송신 코어(60)가 위치하였을 때,
    상기 개폐식 바닥판(11)이 슬라이딩 개방되어 상기 하부 작동실(20)의 상면 영역이 적어도 일부 개방되고,
    상기 비접촉식 거리 감지센서(120)는 상하 간격을 제어부(80)에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80)는 Z축 이동수단부(110)를 통해서 베이스 프레임(30)의 높이를 상승시켜서 송신 코어(60)가 전기차량의 수신 코어 하부에 근접 위치되게 하여 전력 전송 효율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4. 송신 코어(60)가 탑재된 횡방향 이동블록(51)이 횡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상기 Y축 이동수단부(50)가 탑재된 종방향 이동블록(41a, 41b)들이 종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Y축 이동수단부(50)와, 무선 전력 전송 정도를 감지하는 전류 센서(70),를 포함하는 송신코어 XY축 정렬 전기차용 무선 충전 장치(100)를 제공하는 단계(S10)와;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을 X축(종방향)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전류 센서(70)의 제1 전류 데이터, I1(t)와 송신 코어(60)의 X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하는 1차 X스캔 단계(S20)와;
    상기 제1 전류 데이터, I1(t))의 임계치가 발생한 X축 임계좌표 1(X임계_1)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을 Y(횡방향)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전류 센서(70)의 제2 전류 데이터, I2(t)와 송신 코어(60)의 Y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하는 2차 Y스캔 단계(S30)와;
    상기 제어부(80)는 X축 임계좌표 1(X임계_1)와 상기 제2 전류 데이터, I2(t)의 임계치가 발생한 Y축 임계좌표 1(Y임계_1)를 제1 센터(C1)을 지정하고, 상기 제1 센터(C1)의 좌표(X임계_1, Y임계_1)로 송신 코어(60)로 이동, 정렬하는 하는 단계(S6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80)는 제1 센터(C1)를 중심으로 하여 일정 영역 범위 이내에서 3차 X스캔 단계(S40)와; 4차 Y스캔 단계(S50)를 수행하되,
    상기 3차 X스캔 단계(S50)의 이동범위 좌표는 X = X임계_1 ± 1/3L(L은 X축이동가능 총길이) 이내이고, 상기 4차 Y스캔 단계(S50)를 이동범위 좌표는 Y = Y임계_1 ± 1/3W(W은 Y축이동가능 총 길이) 이내이며, 상기 3차 X스캔 단계(S40)에서
    상기 제어부(80)는 3차 X스캔 단계(S40)에서 전류 센서(70)의 제3 전류 데이터, I3(t)와 송신 코어(60)의 X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하고,
    상기 제어부(80)는 4차 Y스캔 단계(S50)에서 상기 제3 전류 데이터의 임계치가 발생한 X축 임계좌표 2(X임계_2)를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무선 충전 장치(100)을 Y(횡방향)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전류 센서(70)의 제4 전류 데이터, I2(t)와 송신 코어(60)의 Y축 좌표를 연속적(이산적, 예를들어:0.05초)으로 습득하고,
    상기 제어부(80)는 X축 임계좌표 2(X임계_2)와 상기 제4 전류 데이터, I4(t)의 임계치가 발생한 Y축 임계좌표 2(Y임계_2) 를 최종센터(C_Final)을 지정하고, 상기 최종센터(C_Final)의 좌표(X임계_2, Y임계_2)로 송신 코어(60)로 이동, 정렬하는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KR1020180104141A 2018-09-01 2018-09-01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KR202000264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141A KR20200026428A (ko) 2018-09-01 2018-09-01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4141A KR20200026428A (ko) 2018-09-01 2018-09-01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428A true KR20200026428A (ko) 2020-03-11

Family

ID=69809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4141A KR20200026428A (ko) 2018-09-01 2018-09-01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642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9493A (zh) * 2020-03-26 2020-07-14 西安蓝豆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无载车板充电系统及充电方法
KR102268919B1 (ko) 2021-01-29 2021-06-25 임상우 전기자동차용 무선전력 충전시스템 및 그에 따른 무선전력 충전방법
CN113525111A (zh) * 2021-08-02 2021-10-22 湖南亚富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智能无线充电系统及其使用方法
KR20220150163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그린우전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09493A (zh) * 2020-03-26 2020-07-14 西安蓝豆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无载车板充电系统及充电方法
KR102268919B1 (ko) 2021-01-29 2021-06-25 임상우 전기자동차용 무선전력 충전시스템 및 그에 따른 무선전력 충전방법
KR20220150163A (ko) * 2021-05-03 2022-11-10 주식회사 그린우전 친환경 에너지를 이용한 충전시스템
CN113525111A (zh) * 2021-08-02 2021-10-22 湖南亚富智能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立体车库的智能无线充电系统及其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6428A (ko) 충전스테이션 전력전송코어 xy축 이동에 의한 자동 양방향 코어센터 정렬형 전기차용 고효율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US10071644B2 (en) Inductive power transfer pad, system for inductive power transfer and method of operating inductive power transfer pad
US10688875B2 (en) Non-contact charging system and pairing method for non-contact charging system
US11554673B2 (en) Method for inductive energy transmission and device for operating an inductive energy transmission device
US10199882B2 (en) Object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foreign objects in a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
EP3347230B1 (en) A system and a method for determining a relative position and/or orientation between a primary and a secondary winding structure
US10688874B2 (en) Vehicular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and methods
CN109159681A (zh) 一种电动汽车用高效率无线充电装置及方法
CN208630401U (zh) 基于电动汽车的无线充电装置
US10336204B2 (en) Automatic lateral alignment for wireless charging systems
CN105857105A (zh) 一种电动汽车无线充电原边线圈智能移动装置
CN105691218A (zh) 确定充电站的充电装置的充电位置
CN105142958A (zh) 车辆和非接触供电系统
JPH08265992A (ja) 充電装置の充電方法及び充電装置の位置決め装置
KR102203214B1 (ko) 전기 자동차용 무선 충전 시스템
EP3552861B1 (en) Method for positioning an electric vehicle on a charging spot and related charging spot
KR20190015861A (ko) 고효율 무선 충전 시스템의 틸팅 알고리즘
US202100784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alignment of an apparatus coil
WO2012158800A2 (en) System and method for aligning power transfer modules within a vehicle wireless charging system
KR20180136984A (ko) 비접촉 급전 시스템의 코일 위치 검출 방법 및 비접촉 급전 시스템
US20200254894A1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ductive transmission device
CN115508912A (zh) 无线充电辅助校准测试装置及测试方法
KR102657746B1 (ko) 물류로봇 무선충전 시스템
JP5035107B2 (ja) 誘導無線用アンテナと誘導線とのギャップ自動調節装置および方法
CN217765470U (zh) 一种用于料卷穿杆的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