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6392A -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6392A
KR20200026392A KR1020180103173A KR20180103173A KR20200026392A KR 20200026392 A KR20200026392 A KR 20200026392A KR 1020180103173 A KR1020180103173 A KR 1020180103173A KR 20180103173 A KR20180103173 A KR 20180103173A KR 20200026392 A KR20200026392 A KR 202000263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powder
extract
mixed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8520B1 (ko
Inventor
이명희
이승훈
장혜영
최승희
박정주
Original Assignee
이명희
이승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희, 이승훈 filed Critical 이명희
Priority to KR102018010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5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5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D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8Stabilisers against degradation by oxygen, light or hea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70Additives characterised by shape, e.g. fibres, flakes or microsphe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팽창성 광물을 분쇄하여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 불연성 혼합물, 불연성 수지 및 천연결합재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불연성 뿜칠재와,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를 이용하여 광물 미분말을 제조하고;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하고;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이용하여 불연성 혼합물을 제조하고; LDPE/EVA 수지, 수산화마그네슘, 분산제,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고; 송진, 아교 및 어교의 혼합물, 항균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결합재를 제조하고; 상기 미분말 팽창성광물 혼합물, 불연성 혼합물, 불연성 수지, 천연결합재를 혼합하여 불연성 뿜칠재를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불연성 뿜칠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NON-COMBUSTIBLE SPRAY COAT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팽창성 광물을 분쇄하여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 불연성 혼합물, 불연성 수지 및 천연결합재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불연성 뿜칠재와,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를 이용하여 광물 미분말을 제조하고;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하고;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이용하여 불연성 혼합물을 제조하고; LDPE/EVA 수지, 수산화마그네슘, 분산제,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산화방지제를 혼합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고; 송진, 아교 및 어교의 혼합물, 항균추출물을 혼합하여 천연결합재를 제조하고; 상기 미분말 팽창성광물 혼합물, 불연성 혼합물, 불연성 수지, 천연결합재를 혼합하여 불연성 뿜칠재를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불연성 뿜칠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뿜칠 공법(Sprayed, Shotcrete)은 굳지 않은 페이스트, 모르타르 및 콘크리트를 거푸집을 이용하지 않고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시공면에 세밀하고 균일하게 뿜어 붙이는 공법을 말한다.
건식 공법은 시멘트와 기건 상태의 골재를 잘 혼합(건식혼합)한 후 급결제를 가하여 분사장치에 공급하고 이것을 압축공기로 호스를 통해 압축하여 노즐에서 분사하는 공법이다. 이때 배합수는 노즐 내에서 골재와 혼합되어 시공면에 고속으로 뿜어 붙게된다.
습식 공법은 공기 압송식 및 Screw pump 압송식 공법으로 대별되는 것으로서, 물을 첨가하여 모든 재료를 잘 혼합한 후 분사장치에 공급하고 노즐에서 공기를 더 가하여 분사속도를 증가시켜 뿜어 붙인다. 특히 공기 압송식 습식 공법은 Wet-mixed 덩어리 또는 콘크리트를 압축공기로 압송하여 노즐부에서 급결제를 가하여 뿜어 붙이는 방식으로 습식 Chamber형과 Screw 형 등이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86447(등록일자 2015.12.08)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6316(등록일자 2017.08.02) '가연성 유기 발포 단열재에 부착성이 우수한 불연성 뿜칠 모르타르 및 그의 제조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6205(등록일자 2018.07.03)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86447(등록일자 2015.12.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66316(등록일자 2017.08.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876205(등록일자 2018.07.03)
본 발명은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세피올라이트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팽창성 광물을 분쇄하여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 불연성 혼합물, 불연성 수지 및 천연결합재의 혼합으로 조성함으로써 불연성이 우수하고 뿜칠시공성이 뛰어나며, 항균 특성 및 천연물질 사용에 따른 사용안전성이 뛰어난 불연성 뿜칠재를 제공하고,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평균입도 200 ~ 1000 mesh의 미분말 혼합물을 800 ℃ ~ 1,200 ℃로 가열하여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A) 25.0 ~ 50.0 wt%;
정제수 10.0 ~ 5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와,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불연성 혼합물(B) 40.0 ~ 70.0 wt%;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불연성 수지(C) 2.0 ~ 5.0 wt%;
송진(d1)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d2) 30.0 ~ 68.0 wt%와,
건조시켜 세절한 편백나무 잎을 아세톤에 침적시키되, 편백나무 잎과 70 % 아세톤을 1: 10 ~ 30배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상온에서 4 ~ 6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과,
건조시켜 세절한 약쑥을 에탄올에 침적시키되, 약쑥과 95 % 에탄올을 1 : 8 ~ 12의 중량비로 하여 상온에서 1 ~ 3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약쑥 추출물과,
박하와 80 % 에탄올을 1 : 15 ~ 30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2 ~ 5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액을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한 항균추출물(d3)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 혼합(d1+d2+d3)하여 100.0 wt%로 조성된 천연결합재(D) 2.0 ~ 5.0 wt%;의 혼합(A+B+C+D)으로 조성되는 불연성 뿜칠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불연성 뿜칠재의 제조방법으로서,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팽창성 광물을 200 ~ 1000 mesh로 분쇄한 후 800 ℃ ~ 1,200 ℃로 가열, 팽창시켜 광물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맥섬석 원석을 30 ~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고,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제 분말을 상기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01 ~ 0.1 wt%의 양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80 ~ 120 ㎛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맥섬석 과립을 1,0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정제수 10.0 ~ 50.0 wt%,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불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40.0 ~ 60.0 wt%와 EVA(polyethyleneco-vinylacetate) 40.0 ~ 60.0 wt%를 융용기에 투입한 후 120 ~ 180 에서 3 ~ 7 분 동안 용융혼합하여 LDPE/EVA 수지를 조성하고,
상기 용융기에 수산화마그네슘, 분산제,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되,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의 배합비를 이루도록 첨가한 후, 120 ~ 140 ℃의 온도 조건에서 50 ~ 70 rpm으로 5 ~ 15 분 동안 교반하여 조성한 다음 필터처리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연성 뿜칠재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는 높은 불연특성을 가지면서 시공이 간편하고 부착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항균 특성과 천연 물질 사용에 따른 사용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의 제조 공정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는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평균입도 200 ~ 1000 mesh의 미분말 혼합물을 800 ℃ ~ 1,200 ℃로 가열하여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A) 25.0 ~ 50.0 wt%;
정제수 10.0 ~ 5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와,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불연성 혼합물(B) 40.0 ~ 70.0 wt%;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불연성 수지(C) 2.0 ~ 5.0 wt%;
송진(d1)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d2) 30.0 ~ 68.0 wt%와,
건조시켜 세절한 편백나무 잎을 아세톤에 침적시키되, 편백나무 잎과 70 % 아세톤을 1: 10 ~ 30배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상온에서 4 ~ 6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과,
건조시켜 세절한 약쑥을 에탄올에 침적시키되, 약쑥과 95 % 에탄올을 1 : 8 ~ 12의 중량비로 하여 상온에서 1 ~ 3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약쑥 추출물과,
박하와 80 % 에탄올을 1 : 15 ~ 30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2 ~ 5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액을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한 항균추출물(d3)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 혼합(d1+d2+d3)하여 100.0 wt%로 조성된 천연결합재(D) 2.0 ~ 5.0 wt%;의 혼합(A+B+C+D)으로 조성된다.
상기 광물 미분말은 재질 특성상 불연성과 높은 단열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광물 미분말의 사용량이 25.0 wt% 미만인 경우에는 광물 미분말에 의한 불연, 단열 기능 향상이 제한적일 수 있고, 5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뿜칠재로서의 기능성이 떨어져 시공의 어려움이 있을 수 있으므로, 상기 광물 미분말의 사용량은 불연성 뿜칠재의 전체 중량에 대해 25.0 ~ 5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연성 혼합물(B)은 뿜칠재의 불연성을 갖는 혼합물로서, 정제수 10.0 ~ 5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와,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은 무기계 난연제로서, 열분해 온도가 높고 탈수 반응에 의해 난연 효과를 갖는다. 수산화 알루미늄의 단점인 낮은 탈수개시온도에 비해 수산화마그네슘은 분해개시온도가 250 ℃ 이상으로 안정적이다. 수산화마그네슘의 연소가스 억제 및 난연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Mg(OH)2 ---> MgO + H2O - 187 cal/g(340~430℃)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 특성의 저하 우려가 있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난연 특성의 향상 정도가 미미하여 무의미하므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은 불연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은 맥섬석 원석을 30 ~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고,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제 분말을 상기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01 ~ 0.1 wt%의 양으로 혼합하여 과립화혼합물을 얻는 발포제를 혼합하고, 과립화 화합물을 공지의 과립기를 이용하여 80 ~ 120 ㎛ 범위 이내의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맥섬석 과립을 1,0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제조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은 인체에 무해한 재료로서, 높은 난연특성과 함께 원적외선과 음이온 방사의 부가 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맥섬석 과립에 의한 난연기능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인한 단가 상승의 문제가 있어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의 사용량은 불연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규산소다는 난연성 및 결합력 증진기능을 갖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특성 향상 및 결합력 증진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무의미하므로, 상기 규산소다의 사용량은 불연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소수지는 내열성 증진을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10.0 wt% 미만인 경우에는 내열성 증진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3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이상의 사용으로 비경제적이므로, 상기 요소수지의 사용량은 불연성 혼합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10.0 ~ 3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연성 혼합물(B)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정제수 15.0 wt%
20.0 wt% 25.0 wt% 25.0 wt% 32.0 wt%
수산화
마그네슘
25.0 wt% 20.0 wt% 12.0 wt% 20.0 wt% 10.0 wt%
맥섬석 과립 30.0 wt% 30.0 wt% 33.0 wt% 25.0 wt% 28.0 wt%
규산소다 20.0 wt% 20.0 wt% 20.0 wt% 20.0 wt% 20.0 wt%
요소수지 10.0 wt% 10.0 wt% 10.0 wt% 10.0 wt% 10.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불연성 수지는 불연특성을 갖는 수지로서,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LDPE/EVA 수지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40.0 ~ 60.0 wt%와 EVA(polyethyleneco-vinylacetate) 40.0 ~ 60.0 wt%를 융용기에 투입한 후 120 ~ 180 에서 3 ~ 7 분 동안 용융혼합하여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LDPE/EVA 수지의 사용량이 40.0 wt%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성이 떨어지고, 70.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다른 성분들의 함량이 줄어들어 내구성, 난연성 등의 물리, 화학적 특성 저하 우려가 있으므로, 상기 LDPE/EVA 수지의 사용량은 불연성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50.0 ~ 70.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무기계 난연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25.0 wt%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 특성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렵고, 45.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성분 조성의 최적화를 이루기 어려움으로, 상기 수산화마그네슘의 사용량은 불연성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25.0 ~ 45.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는 모노알킬 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알킬 벤젠 술폰산염 또는 모노알킬인산염과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노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또는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설포베타인 또는 알킬카르복시베타인의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민, 또는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이 0.01 wt% 미만인 경우에는 분산성이 떨어지고, 2.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가 없어 무의미하므로, 상기 분산제의 사용량은 불연성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1 ~ 2.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는 보조제로 사용되어 난연특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사용량이 0.01 wt% 미만인 경우에는 난연특성 향상의 기능성을 발휘하기 어렵고, 2.0 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필요 이상의 사용으로 무의미하므로, 상기 난연보조제의 사용량은 불연성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1 ~ 2.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플라스틱이 공기와 반응하여 쉽게 산화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서, 페놀계, 아민계, Phosphite 계 또는 Thioester 계 중에서 선택하여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Tris(2.4-di-t-butylphenyl)-phosphite, Bis(2.4-di-t-butyl), 2.2-Methylenebis(4-methyl-6-t-butylpheno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Octadecyl 3,5-di-t-butyl-4-hydroxhydrocinnamate, 2.6-di-t-Butyl-4-methylphenol, Tetrakis[methylene-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또는 Alkylester phosphite 중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이 0.01 wt% 미만인 경우에는 산화방지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기 산화방지제의 사용량은 불연성 수지의 전체 중량에 대해 0.01 ~ 2.0 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연성 수지(C)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LDPE/EVA 수지 52.0 wt% 58.5 wt% 60.0 wt% 65.0 wt% 70.0 wt%
수산화
마그네슘
45.0 wt% 40.0 wt% 38.5 wt% 33.5 wt% 29.4 wt%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1.0 wt% 0.5 wt% 0.5 wt% 0.5 wt% 0.2 wt%
흄드실리카 1.0 wt% 0.5 wt% 0.5 wt% 0.5 wt% 0.2 wt%
Tris(2.4-di-t-butylphenyl)-phosphite 1.0 wt% 0.5 wt% 0.5 wt% 0.5 wt% 0.2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상기 천연결합재는 송진(d1)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d2) 30.0 ~ 68.0 wt%와,
건조시켜 세절한 편백나무 잎을 아세톤에 침적시키되, 편백나무 잎과 70 % 아세톤을 1: 10 ~ 30배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상온에서 4 ~ 6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과,
건조시켜 세절한 약쑥을 에탄올에 침적시키되, 약쑥과 95 % 에탄올을 1 : 8 ~ 12의 중량비로 하여 상온에서 1 ~ 3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약쑥 추출물과,
박하와 80 % 에탄올을 1 : 15 ~ 30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2 ~ 5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액을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한 항균추출물(d3)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하여 혼합(d1+d2+d3)함으로써 조성된다.
상기 천연결합재(D)의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배합예5
송진 55.0 wt% 46.0 wt% 47.0 wt% 48.0 wt% 49.0 wt%
아교/어교
혼합물
44.5 wt% 53.0 wt% 51.5 wt% 51.2 wt% 50.8 wt%
항균추출물 0.5 wt% 1.0 wt% 1.5 wt% 0.8 wt% 0.2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이하, 상기 제시된 불연성 뿜칠재의 제조방법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 제조방법은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팽창성 광물을 200 ~ 1000 mesh로 분쇄한 후 800 ℃ ~ 1,200 ℃로 가열, 팽창시켜 광물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맥섬석 원석을 30 ~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고,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제 분말을 상기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01 ~ 0.1 wt%의 양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80 ~ 120 ㎛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맥섬석 과립을 1,0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정제수 10.0 ~ 50.0 wt%,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불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40.0 ~ 60.0 wt%와 EVA(polyethyleneco-vinylacetate) 40.0 ~ 60.0 wt%를 융용기에 투입한 후 120 ~ 180 에서 3 ~ 7 분 동안 용융혼합하여 LDPE/EVA 수지를 조성하고,
상기 용융기에 수산화마그네슘, 분산제,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되,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의 배합비를 이루도록 첨가한 후, 120 ~ 140 ℃의 온도 조건에서 50 ~ 70 rpm으로 5 ~ 15 분 동안 교반하여 조성한 다음 필터처리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40)와,
송진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0 ~ 68.0 wt%와, 편백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및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 항균추출물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하여 천연결합재를 제조하는 단계(S50)와,
상기 광물 미분말(a) 25.0 ~ 50.0 wt%; 불연성 혼합물(b) 40.0 ~ 70.0 wt%; 불연성 수지(c) 2.0 ~ 5.0 wt%; 천연결합재(d) 2.0 ~ 5.0 wt%;를 혼합하여 불연성 뿜칠재를 제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각 단계별 기술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 광물 미분말 제조 단계(S10) >
본 단계(S10)는 광물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로서,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평균입도 200 ~ 1000 mesh의 미분말 혼합물을 800 ℃ ~ 1,200 ℃로 가열하여 팽창시키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펄라이트 35.0 wt%와, 버미큘라이트 35.0 wt%와, 세피올라이트 3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팽창성 광물 혼합물을 평균입도 300 mesh로 분쇄한 후 800 ℃ ~ 1,200 ℃에서 가열,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을 사용한다.
< 다공질 맥섬석 과립 제조 단계(S20) >
본 단계(S20)는 전 단계(S10)와는 별개로 진행되는 단계로서,
맥섬석 원석을 30 ~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고,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제 분말을 상기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01 ~ 0.1 wt%의 양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80 ~ 120 ㎛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맥섬석 과립을 1,0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다음의 절차에 따라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다.
1. 맥섬석 원석을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한다.
2.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 슬러리를 제조한다.
3. 맥섬석 분말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을 첨가하되, 맥섬석 분말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1 wt%의 양으로 첨가하여 혼합물을 조성한다.
4. 혼합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100 ㎛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다.
5. 상기 맥섬석 과립을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다.
< 불연성 혼합물 제조 단계(S30) >
본 단계(S30)는 전 단계(S20)에서 제조된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과, 정제수 10.0 ~ 50.0 wt%,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불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구체적인 배합비는 앞서 표 1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 불연성 수지 제조 단계(S40) >
본 단계(S40)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40.0 ~ 60.0 wt%와 EVA(polyethyleneco-vinylacetate) 40.0 ~ 60.0 wt%를 융용기에 투입한 후 120 ~ 180 에서 3 ~ 7 분 동안 용융혼합하여 LDPE/EVA 수지를 조성하고,
상기 용융기에 수산화마그네슘, 분산제,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되,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의 배합비를 이루도록 첨가한 후, 120 ~ 140 ℃의 온도 조건에서 50 ~ 70 rpm으로 5 ~ 15 분 동안 교반하여 조성한 다음 필터처리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구체적인 배합비는 앞서 표 2에서 제시한 바와 같다.
상기 분산제는 모노알킬 황산염, 알킬폴리옥시에틸렌황산염, 알킬 벤젠 술폰산염 또는 모노알킬인산염과의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모노알킬트리메틸암모늄염, 디알킬디메틸암모늄염 또는 알킬벤질메틸암모늄염의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알킬설포베타인 또는 알킬카르복시베타인의 양쪽성 이온 계면활성제; 또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지방산 솔비탄에스테르, 지방산 디에탄올아민, 또는 알킬모노글리세릴에테르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Tris(2.4-di-t-butylphenyl)-phosphite, Bis(2.4-di-t-butyl), 2.2-Methylenebis(4-methyl-6-t-butylpheno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Octadecyl 3,5-di-t-butyl-4-hydroxhydrocinnamate, 2.6-di-t-Butyl-4-methylphenol, Tetrakis[methylene-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또는 Alkylester phosphite 중 선택되는 것을 사용한다.
< 천연결합재 제조 단계(S50) >
본 단계(S50)는 송진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0 ~ 68.0 wt%와, 편백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및 박하추출물을 3:5 2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 항균추출물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하여 천연결합재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표 3의 배합예 2에 따른 배합조성으로서, 송진 46.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53.0 wt%와, 편백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및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 항균추출물 1.0 wt%를 2,500 rpm으로 30 분 동안 교반하여 천연결합재를 제조한다.
< 불연성 뿜칠재 제조 단계(S60) >
본 단계(S60)는 전 단계들을 통해 제조된 광물 미분말, 불연성 혼합물, 불연성 수지 및 천연결합재를 혼합하여 불연성 뿜칠재를 제조하는 단계로서, 그 구체적인 배합예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배합예 1 배합예 2 배합예 3 배합예 4 배합예 5
광물 미분말 53.0 wt% 43.0 wt% 38.0 wt% 33.0 wt% 25.0 wt%
불연성 혼합물 40.0 wt% 50.0 wt% 55.0 wt% 60.0 wt% 68.0 wt%
불연성 수지 3.0 wt% 3.0 wt% 3.0 wt% 3.0 wt% 3.0 wt%
천연결합재 4.0 wt% 4.0 wt% 4.0 wt% 4.0 wt% 4.0 wt%
합 계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100.0 wt%
< 불연성 뿜칠재의 불연성 측정 >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에 대한 불연성을 측정하였다.
불연성 테스크는 건축내장재로 사용되고 있는 합판의 외면을 전체적으로 뿜칠하여 불연성 판넬을 제조한 후, 불연성 테스트를 하였다.
화염을 상기 불연성 판넬에 불이 붙을 때까지 가하여 시료에 불이 붙지 않거나 3분 아내에 불이 붙어 탄화된 길이가 짧을 경우 불완전 연소로 본다. 이때 산소농도를 변화시키면서 연소여부를 측정하였으며 30 %에서부터 산소농도를 올리면서 착화여부를 확인하였다. 산소농도를 90 %까지 증가시켰으나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판넬에서는 연소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의 불연성이 매우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불연성 뿜칠재는 시공이 간편하고 부착성이 뛰어나며, 난연성이 뛰어나 화재 등에 대한 안전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 것으로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5)

  1.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평균입도 200 ~ 1000 mesh의 미분말 혼합물을 800 ℃ ~ 1,200 ℃로 가열하여 팽창시킨 광물 미분말(A) 25.0 ~ 50.0 wt%;
    정제수 10.0 ~ 5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와,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불연성 혼합물(B) 40.0 ~ 70.0 wt%;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를 혼합하여 100.0 wt%로 조성된 불연성 수지(C) 2.0 ~ 5.0 wt%;
    송진(d1)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d2) 30.0 ~ 68.0 wt%와,
    건조시켜 세절한 편백나무 잎을 아세톤에 침적시키되, 편백나무 잎과 70 % 아세톤을 1: 10 ~ 30배의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상온에서 4 ~ 6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편백나무 추출물과,
    건조시켜 세절한 약쑥을 에탄올에 침적시키되, 약쑥과 95 % 에탄올을 1 : 8 ~ 12의 중량비로 하여 상온에서 1 ~ 3일 동안 2회 반복추출하고,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약쑥 추출물과,
    박하와 80 % 에탄올을 1 : 15 ~ 30 중량비로 혼합 조성하여 2 ~ 5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액을 추출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감압건조하여 파우더로 제조된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조성한 항균추출물(d3)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 혼합(d1+d2+d3)하여 100.0 wt%로 조성된 천연결합재(D) 2.0 ~ 5.0 wt%;의 혼합(A+B+C+D)으로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뿜칠재.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은 맥섬석 원석을 30 ~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고,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제 분말을 상기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01 ~ 0.1 wt%의 양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80 ~ 120 ㎛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맥섬석 과립을 1,0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뿜칠재.
  3. 청구항 1에 있어서,
    LDPE/EVA 수지는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40.0 ~ 60.0 wt%와 EVA(polyethyleneco-vinylacetate) 40.0 ~ 60.0 wt%를 융용기에 투입한 후 120 ~ 180 에서 3 ~ 7 분 동안 용융혼합하여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뿜칠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는 Tris(2.4-di-t-butylphenyl)-phosphite, Bis(2.4-di-t-butyl), 2.2-Methylenebis(4-methyl-6-t-butylphenol), Pentaerythritol diphosphite, Octadecyl 3,5-di-t-butyl-4-hydroxhydrocinnamate, 2.6-di-t-Butyl-4-methylphenol, Tetrakis[methylene-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또는 Alkylester phosphit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뿜칠재.
  5. 펄라이트 1.0 ~ 50.0 wt%와, 버미큘라이트 1.0 ~ 50.0 wt%와, 세피올라이트 1.0 ~ 50.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팽창성 광물을 200 ~ 1000 mesh로 분쇄한 후 800 ℃ ~ 1,200 ℃로 가열, 팽창시켜 광물 미분말을 제조하는 단계(S10)와,
    맥섬석 원석을 30 ~ 40 ㎛의 평균 입경을 갖도록 분쇄하고, 물과 고형분 분말의 중량비가 1:2가 되도록 혼합하여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를 제조하고,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에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나트륨(Na2C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발포제 분말을 상기 맥섬석 분말의 슬러리의 고형분 기준으로 0.01 ~ 0.1 wt%의 양으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과립기를 이용하여 80 ~ 120 ㎛ 평균입경의 과립상으로 성형하여 맥섬석 과립을 제조한 후, 상기 맥섬석 과립을 1,000 ~ 1,200 ℃의 온도범위에서 소성하여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S20)와,
    상기 다공질의 맥섬석 과립 10.0 ~ 30.0 wt%, 정제수 10.0 ~ 50.0 wt%, 수산화마그네슘 10.0 ~ 30.0 wt%, 규산소다 10.0 ~ 30.0 wt%, 요소수지 10.0 ~ 30.0 wt%를 혼합하여 불연성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30)와,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40.0 ~ 60.0 wt%와 EVA(polyethyleneco-vinylacetate) 40.0 ~ 60.0 wt%를 융용기에 투입한 후 120 ~ 180 에서 3 ~ 7 분 동안 용융혼합하여 LDPE/EVA 수지를 조성하고,
    상기 용융기에 수산화마그네슘, 분산제,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산화방지제를 첨가하되, LDPE/EVA 수지 50.0 ~ 70.0 wt%와, 수산화마그네슘 25.0 ~ 45.0 wt%와, 분산제 0.01 ~ 2.0 wt%와, 난연보조제의 흄드실리카(Fumed silica) 0.01 ~ 2.0 wt%와, 산화방지제 0.01 ~ 2.0 wt%의 배합비를 이루도록 첨가한 후, 120 ~ 140 ℃의 온도 조건에서 50 ~ 70 rpm으로 5 ~ 15 분 동안 교반하여 조성한 다음 필터처리하여 불연성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40)와,
    송진 30.0 ~ 68.0 wt%와, 아교와 어교를 1:1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 30.0 ~ 68.0 wt%와, 편백나무 추출물, 약쑥 추출물 및 박하추출물을 3:5:2 중량비로 혼합 조성한 항균추출물 0.1 ~ 2.0 wt%를 2,000 ~ 3,000 rpm에서 20 ~ 50 분 동안 교반하여 천연결합재를 제조하는 단계(S50)와,
    상기 광물 미분말(a) 25.0 ~ 50.0 wt%; 불연성 혼합물(b) 40.0 ~ 70.0 wt%; 불연성 수지(c) 2.0 ~ 5.0 wt%; 천연결합재(d) 2.0 ~ 5.0 wt%;를 혼합하여 불연성 뿜칠재를 제조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성 뿜칠재 제조방법.
KR1020180103173A 2018-08-31 2018-08-31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28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73A KR102128520B1 (ko) 2018-08-31 2018-08-31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173A KR102128520B1 (ko) 2018-08-31 2018-08-31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92A true KR20200026392A (ko) 2020-03-11
KR102128520B1 KR102128520B1 (ko) 2020-08-12

Family

ID=6980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173A KR102128520B1 (ko) 2018-08-31 2018-08-31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5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6127A (zh) * 2021-03-23 2021-07-20 安徽漫画树涂料有限公司 一种抗病毒健康植物水漆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27A (ko) * 1999-04-23 2000-11-15 권문구 난연 재료 조성물
KR100659537B1 (ko) * 2006-04-05 2006-12-19 김성구 다공성 광물과 황토를 함유하는 친환경 불연내장재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65787B1 (ko) * 2008-03-10 2008-10-29 (주)푸른솔특수지류유통 기능성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95991A (ko) * 2008-03-07 2009-09-10 김상범 건축용 내외장 판넬 또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919968B1 (ko) * 2009-02-23 2009-10-05 김충엽 발포성 내화피복재 조성물
KR20150008525A (ko) * 2013-07-14 2015-01-23 주식회사 제이엔씨 수용성 난연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60142178A (ko) * 2015-06-02 2016-12-12 오준환 건축자재용 불연성 조성액
KR101686447B1 (ko) 2016-05-31 2016-12-14 진경인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1766316B1 (ko) 2016-10-19 2017-08-08 화인미셀공업(주) 가연성 유기 발포 단열재에 부착성이 우수한 불연성 뿜칠 모르타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76205B1 (ko) 2017-02-27 2018-07-09 진경인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7127A (ko) * 1999-04-23 2000-11-15 권문구 난연 재료 조성물
KR100659537B1 (ko) * 2006-04-05 2006-12-19 김성구 다공성 광물과 황토를 함유하는 친환경 불연내장재 조성물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095991A (ko) * 2008-03-07 2009-09-10 김상범 건축용 내외장 판넬 또는 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0865787B1 (ko) * 2008-03-10 2008-10-29 (주)푸른솔특수지류유통 기능성 종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19968B1 (ko) * 2009-02-23 2009-10-05 김충엽 발포성 내화피복재 조성물
KR20150008525A (ko) * 2013-07-14 2015-01-23 주식회사 제이엔씨 수용성 난연제 조성물 제조방법
KR20160142178A (ko) * 2015-06-02 2016-12-12 오준환 건축자재용 불연성 조성액
KR101686447B1 (ko) 2016-05-31 2016-12-14 진경인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1766316B1 (ko) 2016-10-19 2017-08-08 화인미셀공업(주) 가연성 유기 발포 단열재에 부착성이 우수한 불연성 뿜칠 모르타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76205B1 (ko) 2017-02-27 2018-07-09 진경인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36127A (zh) * 2021-03-23 2021-07-20 安徽漫画树涂料有限公司 一种抗病毒健康植物水漆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8520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17976B (zh) 防火和吸音涂覆组合物
RU2511245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плит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MX2012006015A (es) Concreto aislante termico de peso ligero flexible, permeable al aire, resitente al agua, a prueba de fuego.
KR101479643B1 (ko) 무독성 접착성분을 포함하는 실내건축용 견운모 마감재 조성물
KR100926180B1 (ko) 건축용 보드의 제조방법
RU2504527C1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плит универсаль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варианты)
KR100803170B1 (ko) 친환경성 석회 도료 조성물
KR20150142769A (ko) 개질 유황을 포함하는 마그네시아 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경량패널 표면재 및 그 제조방법, 및 경량복합패널
KR20100017003A (ko) 세라믹 분말을 포함하는 벽체 코팅 및 바름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벽체시공방법
KR101810089B1 (ko) 규조토를 이용한 벽마감재 조성물
KR102128520B1 (ko) 불연성 뿜칠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58308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재 제조용 다공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723929B1 (ko) 건물벽체용 다기능성 콘크리트 브록
RU250452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тепл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огнестойк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1976555B1 (ko) 불연, 방염, 차열, 단열 및 결로방지 효과를 갖는 기능성 수성 페인트 조성물
KR101642070B1 (ko) 단열 성능이 향상된 토양 조성물
KR102205487B1 (ko) 불연성 미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80763B1 (ko) 단열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23111B1 (ko) 화재시 세라믹층을 갖는 연기 저감형 속건성 친환경 수성 난연페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028095B1 (ko) 커피 벽돌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커피 벽돌의 제조방법
KR101417336B1 (ko) 천연바인더를 이용한 비소성 황토타일 및 그 제조방법
CN106187064B (zh) 一种回收料制备内墙用干粉砂浆的方法
KR101635984B1 (ko) 건축용 보드 제조용 무기질 바인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74883B1 (ko) 난연성 바닥 마감재 조성물
KR100625688B1 (ko) 숯 분말을 주요 성분으로 함유하는 도료 첨가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