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921A -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921A
KR20200025921A KR1020180103940A KR20180103940A KR20200025921A KR 20200025921 A KR20200025921 A KR 20200025921A KR 1020180103940 A KR1020180103940 A KR 1020180103940A KR 20180103940 A KR20180103940 A KR 20180103940A KR 20200025921 A KR20200025921 A KR 202000259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chnology
candidate
industry
investment required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9385B1 (ko
Inventor
김응복
박정기
연강호
이병우
이주원
이충현
정현석
조선학
지은환
최승호
허준행
김광훈
김상국
여운동
원동규
이방래
이창환
최붕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filed Critical 대한민국(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Priority to KR102018010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938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9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93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함으로써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지원할 수 있는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SUPPORTING APPARATUS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함으로써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산업· 제도 분야간 융합이 혁신을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기 위하여 연구개발분야의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에 대한 수요가 증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기존에는 개별기술 별로 과제 기획 및 추진하는 개별기술단위의 연구개발체계가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기술단위의 연구개발체계의 경우 개별기술 별 과제 기획 및 추진으로 인하여 연구개발의 중복성 및 실효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기술, 산업, 제도의 연계성의 문제와도 결부되어 총체적인 혁신이 요구된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주요한 속성인 기술변화의 속도와 실용화 시기가 가속화되고 있어 기존 개별 기술 및 사업의 투자대비 효과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어, 개별 기술의 기술적 성과중심의 사업체계로의 문제해결중심의 통합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한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기술, 산업, 제도 분야간 융합이 혁신을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의 특성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개별기술 별로 과제 기획 및 추진하는 개별기술단위의 연구개발체계로부터 탈피한 새로운 연구개발 지원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함으로써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지원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생성된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기술군집 중 적어도 일부가 투자필요기술로 결정되면, 상기 투자필요기술 별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연구개발분야의 기술준비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기초로 상기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를 구분하여, 상기 투자필요기술 및 상기 정책제도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술성숙도에 따른 가시화를 위해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은,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생성된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 값을 기초하여 상기 후보기술군집 중 적어도 일부가 투자필요기술로 결정되면, 상기 투자필요기술 별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연구개발분야의 기술준비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기초로 상기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를 구분하여, 상기 투자필요기술 및 상기 정책제도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술성숙도에 따른 가시화를 위해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의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서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함으로써, 4차 산업혁명의 연계 특성을 따르는 연구개발분야의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 지원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기술논문의 중요도점수를 계산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자필요기술 결정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이맵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 지원 환경을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 지원 환경은,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분석 결과를 가시화된 정보의 형태로 제공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구개발지원장치(100)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그리고 제도 등을 패키지 단위로 분석하고, 해당 분석 결과로서 연구개발분야 내 투자필요기술과 관련된 정보를 가시화하여 제공하는 장치를 일컫는 것으로서, 예컨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또는 컴퓨터 시스템 내 프로그램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개발지원장치(100)가 서버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웹 서버, 데이터베이스 서버, 프록시 서버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부하 분산 메커니즘, 내지 서비스 장치가 인터넷 또는 다른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중 하나 이상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화된 시스템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연구개발지원장치(100)에서 분석되는 연구개발분야의 경우, 최근 기술·산업· 제도 분야간 융합이 혁신을 주도하는 4차 산업혁명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처럼 4차 산업혁명에서의 분야 간 연계 특성을 가지는 연구개발분야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개별기술 별로 과제 기획 및 추진하는 개별기술단위의 연구개발체계를 탈피할 필요가 있다.
이는, 배경 기술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개별기술단위의 연구개발체계의 경우 개별기술 별 과제 기획 및 추진으로 인하여 연구개발의 중복성 및 실효성 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으며, 또한 기술, 산업, 제도의 연계성의 문제와 결부되어 총체적인 혁신이 요구된다는 이유에 있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의 주요한 속성인 기술변화의 속도와 실용화 시기가 가속화되고 있어 기존 개별 기술 및 사업의 투자대비 효과가 급격히 하락하고 있어, 개별 기술의 기술적 성과중심의 사업체계로의 문제해결중심의 통합체계로의 전환이 시급한 실정을 반영하기 위함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할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개발지원장치(100)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의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는 투자필요기술 별로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40), 및 투자필요기술 및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5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외에,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하는 생성부(10),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를 도출하는 도출부(20), 및 후보기술군집으로부터 투자필요기술을 결정하는 결정부(3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생성부(10), 도출부(20), 결정부(30), 확인부(40), 및 표시부(50)를 포함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100)의 전체 구성 내지는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 모듈 형태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 형태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모듈과 소프트웨어 모듈이 조합된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모듈이란, 예컨대, 연구개발지원장치(100) 내에서 연산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이러한 명령어는 연구개발지원장치(100) 내 메모리에 탑재된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는 전술한 구성 이외에, 유무선 통신망 접속을 지원하기 위한 통신 기능을 담당하는 RF 모듈인 통신부(50)의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5)는 예컨대, 안테나 시스템, RF 송수신기, 하나 이상의 증폭기, 튜너, 하나 이상의 발진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 코덱(CODEC) 칩셋, 및 메모리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이 기능을 수행하는 공지의 회로는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는 전술한 구성에 따라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개발지원장치(100) 내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생성부(10)는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생성부(10)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키워드를 기반으로 수집된 기술논문을 분류하여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한다.
이때, 생성부(10)는 기술논문 간 인용관계에 따른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술논문을 분류할 수 있으며, 이처럼 유사도를 기반으로 분류된 기술논문의 군집을 각각의 후보기술군집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논문 간 인용관계란, 기술논문이 타 기술논문을 인용하였거나, 내지는 타 기술논문으로부터 해당 기술논문이 피인용된 관계로부터 도출되는 정보를 일컫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예컨대, 도 3 (a)에서와 같이 2 이상의 기술논문이 적어도 하나의 타 기술논문으로부터 동일하게 피인용되는 동시피인용관계, 및 도 3 (b)에서와 같이 2 이상의 기술논문이 적어도 하나의 타 기술논문을 동일하게 인용하는 서지결합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용관계에 따른 기술논문 간 유사도는 예컨대, 코사인 계수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코사인 계수는 아래 [수식 1]에서와 같이 두 기술논문의 인용관계에 관한 벡터 A와 벡터 B 간의 코사인 값을 계산한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수식 1]
Figure pat00001
예를 들어, 아래 [표 1]에는 서지결합관계의 접근 방식을 따른 경우에 도출되는 기술논문간 인용관계를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Doc A Doc B Doc C Doc D Doc E
Doc A 1 1 1
Doc B 1 1 1
Doc C 1 1 1
Doc D 1 1 1
Doc E 1 1
여기서, 첫 열은 후보기술군집의 대상이 되는 기술논문을 나타내고, 첫 행은 인용된 기술논문을 의미하며, 또한 각 행 값이 해당 문석의 벡터 값(예: 기술논문 Doc A의 벡터 값은 [0,0,1,1,1])을 의미한다.이때, 기술논문(Doc C)와 기술논문(Doc D) 간의 코사인 계수 즉, 인용관계에 따른 유사도(S)는 아래 [수식 2]에서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식 2]
Figure pat00002
한편, 이와 관련하여, 생성부(10)는 이처럼 기술논문 간 인용관계에 따른 유사도를 계산함에 있어서, 기술논문 간에 동시피인용관계를 따르는 경우와, 서지결합관계를 따르는 경우의 유사도를 각각 계산하게 되며, 계산 결과 보다 높은 값을 기술논문간의 유사도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생성부(10)는 수집된 기술논문 간 유사도를 비교하면서 유사도가 높은 문서를 서로 묶어주는 계층적 분류(Hierarchical clustering) 방식을 따르게 되며, 이러한 분류 방식에 따라 유사도 임계치를 기준으로 일정 개수만큼의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계층적 분류(Hierarchical clustering)에 따라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보다 빠른 분류 진행을 위해 Single linkage 기법을 채택할 수 있다.
여기서, Single linkage 기법은 서로 다른 후보기술군집을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나의 후보기술군집으로 통합하는 기법으로서, 예컨대, 제1후보기술군집 및 제2후보기술군집 간에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기술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후보기술군집 및 상기 제2후보기술군집을 결합한 제3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하는 기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이처럼 기술논문 간 유사도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각각의 후보기술군집은, 10개 이내의 세부기술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부기술은, 각 후보기술군집 별로 각 후보기술군집으로 분류된 기술논문을 세부기술의 개수에 해당하는 K 값만큼의 군집으로 분류하는 K-means 분류 방식을 통해서 도출될 수 있다.
도출부(20)는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출부(20)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후보기술군집의 생성이 완료되면,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분과를 산업분류와 매칭시킨 산업분류매칭결과에 기초하여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를 도출하게 된다.
여기서, 산업분류매칭결과란 후보기술군집 별 키워드를 기초로 수집된 기술특허의 기술분류코드(IPC)와 매칭되는 표준산업분류기술을 기 정의된 산업연관표와 매칭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출부(20)는 기술분류코드(IPC)와 한국표준산업분류(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매칭테이블을 기반으로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분류코드(IPC)와 매칭되는 표준산업분류기술을 확인하며, 확인된 표준산업분류기술을 한국은행산업분류에서 제공하는 산업연관표의 사업부문과 매칭시킴으로써, 후보기술군집 별 산업분류매칭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후보기술군집 별로 도출되는 평가지표로는, 예컨대, 아래 [표 2]에서와 같이 국내 기술논문 개수, 해외 기술논문 개수, 국내 기술특허 개수, 및 해외 기술특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지표와 그리고 상기 산업연관표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고용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전방산업연계효과, 후방산업연계효과, 및 과제연구비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제지표가 포함될 수 있다.
평가지표 후보기술군집
후보기술군집 1 후보기술군집 2 ...
국내 기술논문(건) 95 5 121
해외 기술논문(건) 5,248 171 8,370
국내 기술특허(건) 22 0 7
해외 기술특허(건) 292 9 247
고용유발계수(인/10억원) 9.444 9.279 9.209
부가가치유발계수 0.978 0.98 0.976
전방산업연계효과 0.956 0.868 0.956
후방산업연계효과 1.057 1.072 1.038
과제연구비현화(12년~17년, 백만원) 10,176 2,518 3,403
여기서, 전방산업연계효과는 감응도 계수(index of the sensitivity dispersion)를 이용한 것으로서 이러한 감응도 계수는 관심대상 부문의 전 산업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알 수 있으며, 이는 한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 합계를 전 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참고로, 감응도 계수가 1보다 큰 산업부문은 다른 산업으로부터의 여향을 크게 받는 감응도가 높은 산업이라 할 수 있고, 반대로 감응도 계수가 1보다 작은 산업부문은 감응도가 낮은 산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산업연계효과는 영향력 계수(index of the power dispersion)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이러한 영향력 계수는 한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를 전 산업평균으로 나눈 것으로, 이를 통하여 전 산업평균에 대한 후방연쇄효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구할 수 있다.
참고로 영향력 계수가 1보다 큰 사업부문은 해당 부문의 수요 증가로 인해 전체 산업에 미치는 생산유발효과의 영향이 평균치보다 큰 산업이고, 영향력 계수가 1보다 작은 산업부문은 전체 산업에 미치는 여향이 평균치보다 작은 산업을 의미한다.
한편,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특허를 수집하는데 이용되는 키워드의 경우, 예컨대 각 후보기술군집에 속한 기술논문에 대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도출되는 기술특허의 검색어로 이해될 수 있으며, 또한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분류코드의 경우, 예컨대,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특허에 부여된 다수의 기술분류코드 중 분포 상위에 위치하게 되는 기술분류코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후보기술군집 별 키워드를 도출하기 위한 텍스트 마이닝 대상은 효율성 측면을 고려하기 위해 각 후보기술군집 내 전체 기술논문이 아닌 후보기술군집 별 대표기술논문으로 제한될 수 있으며, 이러한 후보기술군집 별 대표기술논문은 다음의 방식에 따라 선별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보기술군집 별 대표기술논문을 선별하기 위해 기술논문 각각에 대한 중요도점수(WS)를 계산하게 되며, 이러한 중요도점수는 후보기술군집 내 각 기술논문의 제목을 노드(Vi)로 결정하며, 각 노드 간 연결인 에지(wjk)를 기술논문 간 유사도로 결정하는 아래 [수식 3]를 통해서 계산될 수 있다.
[수식 3]
Figure pat00003
여기서, In(Vi)는 노드 Vi를 인용한 노드들의 집합이며, Out(Vj)는 노드 Vi가 인용한 집합이며, d는 damping factor로서 0과 1 사이의 값(예:0.85)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에는 후보기술군집 내 기술논문의 중요도점수 계산과 관련하여 에지의 가중치를 1부터 9까지 설정한 경우의 노드 간 관계의 예시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경우, 노드 Vi의 중요도점수는 아래 [수식 3]에서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
[수식 4]
Figure pat00004
한편, 이처럼 기술논문의 중요도점수를 계산함에 있어서, 각 노드의 중요도가중치는 1로 초기 설정하여 계산하게 되며, 이러한 계산 과정을 반복하여 에러 값이 0.0001되는 시점의 계산 값을 해당 기술논문의 중요도점수로서 활용할 수 있다.
정리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후보기술군집 별로 각 기술논문의 중요도점수를 계산하여, 계산된 중요도점수가 높은 순서로 일정개수만큼의 기술논문을 각 후보기술군집의 대표기술논문으로 선별할 수 있는 것이다.
결정부(30)는 후보기술군집으로부터 투자필요기술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체적으로, 결정부(30)는 평가지표의 도출이 완료되면,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 값에 기초하여 후보기술군집 중 적어도 일부를 투자필요기술로 결정하게 된다.
이때, 결정부(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값을 기반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결과(X1)와, 해당 기술에 대해 정부가 투자한 누적 투적금(X2), 전방산업연계효과와 후방산업연계효과에 해당하는 경제적효과(X3), 및 후보기술군집 간 네트워크분석 결과(X4)를 확인하며, 나아가 확인된 각각의 항목(X1~X4)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W1~W4)를 부여한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방식을 통해서, 후보기술군집들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후부기술군집의 기술분과를 투자필요기술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이란, 후보기술군집 별로 도출된 평가지표 중 적어도 일부 평가지표(예: 전방연쇄효과, 후방연쇄효과, 연구개발비)를 투입변수로 나머지 변수(예: 논문건수, 특허건수, 고용창출효과, 부가가치효과)를 산출변수로 설정하여, 후보기술군집 각각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분석이란, 후보기술군집 간 연관관계를 도출하여 어떠한 후보기술군집이 다른 후보기술군집에 영향을 많이 미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컨대, 후보기술군집 간 기술논문(또는 기술특허)의 동시출현 비율을 후보기술군집 간 연계의 크기(에너지 가중치)로 상정하는 외향근접성(out-closeness centrality)을 활용하여 후보기술군집 간 연계값을 계산할 수 있다.
확인부(40)는 투자필요기술 별 정책현황정보를 확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인부(40)는 후보기술군집으로부터 투자필요기술이 결정되면, 결정된 투자기술 별로 진행되었거나 혹은 진행중인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게 된다.
이처럼, 투자필요기술 별로 확인되는 정책제도현황정보는, 각 투자필요기술의 기술분과 별로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로부터 검색되는 과제정보로서 이러한 정책제도현황정보는 그 성격에 따라 인력양성, 정책, 제도를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표시부(50)는 투자필요기술 및 정책현황정보를 가시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표시부(50)는 투자필요기술 별로 정책현황정보가 확인되면, 연구개발분야의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를 구분하고, 이처럼 기술성숙도를 구분한 투자필요기술과, 중분류 항목으로 구분되는 정책현황정보를 가시화를 위해 기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하게 된다.
여기서,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는, 연구개발분야의 기술준비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에 기초하여 핵심(예: T1~T3), 기반(예: T4~T6), 및 산업융합(예: T7~T9)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한, 정책현황정보는 인력양성, 제도, 정책에 해당하는 중분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관련하여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투자필요기술과 그에 따른 정책현황정보가 매칭되어 표시되는 파이맵을 예시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파이맵은 기술-인력양성-제도-정책으로 연계된 축과 적용분야의 축이 존재하고 이처럼 두 축으로 이루어진 맵 위에 투자필요기술과 인력양성/제도/정책명이 깃발 형태로 표기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깃발 클릭 시에는 과제, 논문, 특허정보를 열람할 수 있고, 제도 및 정책에서는 깃발 클릭 시에도 관련된 내용을 열람 또는 다운로드 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파이맵의 최 외곽에 원형으로 표시되는 연구개발분야를 클릭하면, 관련된 투자필요기술이 활성화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파이맵의 좌측에는 추진목표와 세부목표를 표시하며, 우측에는 관련된 정부부처 및 사업 목록을 표시하여 해당 사업의 선택 시에는 선택된 사업만 파이맵에 색깔 판으로 표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의 구성에 따르면, 연구개발분야를 기술-인력양성-제도-정책과 연계한 분석 방식을 통해서 투자필요기술을 결정하여, 결정된 투자필요기술과 그에 따른 정책현황정보를 기술성숙도에 따른 가시화를 위해 기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함으로써, 핵심기술에서 기술개발의 세부목표까지 투자필요기술에 대한 조망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기존 투자와 관련된 정부부처 등의 정보를 파이맵을 통해 가시화함으로써, 해당 기술의 중복투자를 최소화하는 등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연구개발지원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대한 설명을 이어 가기로 한다.
먼저, 생성부(10)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키워드를 기반으로 수집된 기술논문을 분류하여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한다(S10-S20).
이때, 생성부(10)는 기술논문 간 인용관계에 따른 유사도를 기반으로 기술논문을 분류할 수 있으며, 이처럼 유사도를 기반으로 분류된 기술논문의 군집을 각각의 후보기술군집으로서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술논문 간 인용관계란, 기술논문이 타 기술논문을 인용하였거나, 내지는 타 기술논문으로부터 해당 기술논문이 피인용된 관계로부터 도출되는 정보를 일컫는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2 이상의 기술논문이 적어도 하나의 타 기술논문으로부터 동일하게 피인용되는 동시피인용관계, 및 2 이상의 기술논문이 적어도 하나의 타 기술논문을 동일하게 인용하는 서지결합관계 중 적어도 하나의 접근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인용관계에 따른 기술논문 간 유사도는 예컨대, 코사인 계수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는데, 이러한 코사인 계수는 같이 두 기술논문의 인용관계에 관한 벡터 A와 벡터 B 간의 코사인 값을 계산한 값으로 이해될 수 있다.
정리하자면, 생성부(10)는 수집된 기술논문 간 유사도를 비교하면서 유사도가 높은 문서를 서로 묶어주는 계층적 분류(Hierarchical clustering) 방식을 따르게 되며, 이러한 분류 방식에 따라 유사도 임계치를 기준으로 일정 개수만큼의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계층적 분류(Hierarchical clustering)에 따라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함에 있어서, 보다 빠른 분류 진행을 위해 Single linkage 기법을 채택할 수 있다.
여기서, Single linkage 기법은 서로 다른 후보기술군집을 유사도를 기준으로 하나의 후보기술군집으로 통합하는 기법으로서, 예컨대, 제1후보기술군집 및 제2후보기술군집 간에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기술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후보기술군집 및 상기 제2후보기술군집을 결합한 제3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하는 기법으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생성부(10)는 후보기술군집에 대한 생성이 완료되면, 후보기술군집 별로 세부기술을 도출한다(S30).
이때, 생성부(10)는 각 후보기술군집 별로 각 후보기술군집으로 분류된 기술논문을 세부기술의 개수에 해당하는 K 값만큼의 군집으로 분류하는 K-means 분류 방식을 통해서 세부기술을 도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도출부(20)는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후보기술군집의 생성이 완료되면,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분과를 산업분류와 매칭시킨 산업분류매칭결과에 기초하여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를 도출한다(S40-S60).
여기서, 산업분류매칭결과란 후보기술군집 별 키워드를 기초로 수집된 기술특허의 기술분류코드(IPC)와 매칭되는 표준산업분류기술을 기 정의된 산업연관표와 매칭한 결과로 이해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출부(20)는 기술분류코드(IPC)와 한국표준산업분류(Korean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매칭테이블을 기반으로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분류코드(IPC)와 매칭되는 표준산업분류기술을 확인하며, 확인된 표준산업분류기술을 한국은행산업분류에서 제공하는 산업연관표의 사업부문과 매칭시킴으로써, 후보기술군집 별 산업분류매칭결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후보기술군집 별로 도출되는 평가지표로는, 예컨대, 국내 기술논문 개수, 해외 기술논문 개수, 국내 기술특허 개수, 및 해외 기술특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지표와 그리고 상기 산업연관표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고용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전방산업연계효과, 후방산업연계효과, 및 과제연구비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제지표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전방산업연계효과는 감응도 계수(index of the sensitivity dispersion)를 이용한 것으로서 이러한 감응도 계수는 관심대상 부문의 전 산업평균에 대한 상대적 크기를 알 수 있으며, 이는 한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행 합계를 전 산업의 평균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산업연계효과는 영향력 계수(index of the power dispersion)를 이용하여 측정되며, 이러한 영향력 계수는 한 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를 전 산업평균으로 나눈 것으로, 이를 통하여 전 산업평균에 대한 후방연쇄효과의 상대적인 크기를 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결정부(30)는 평가지표의 도출이 완료되면,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 값에 기초하여 후보기술군집 중 적어도 일부를 투자필요기술로 결정한다(S70).
이때, 결정부(30)는 앞서 예시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값을 기반으로 자료포락분석(Data Envelopment Analysis) 결과(X1)와, 해당 기술에 대해 정부가 투자한 누적 투적금(X2), 전방산업연계효과와 후방산업연계효과에 해당하는 경제적효과(X3), 및 후보기술군집 간 네트워크분석 결과(X4)를 확인하며, 나아가 확인된 각각의 항목(X1~X4)에 대해 설정된 가중치(W1~W4)를 부여한 결과를 종합하여 판단하는 방식을 통해서, 후보기술군집들 중 적어도 일부에 해당하는 후부기술군집의 기술분과를 투자필요기술을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확인부(40)는 후보기술군집으로부터 투자필요기술이 결정되면, 결정된 투자기술 별로 진행되었거나 혹은 진행중인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다(S80)
이처럼, 투자필요기술 별로 확인되는 정책제도현황정보는, 각 투자필요기술의 기술분과 별로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로부터 검색되는 과제정보로서 이러한 정책제도현황정보는 그 성격에 따라 인력양성, 정책, 제도를 포함하는 중분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후, 표시부(50)는 투자필요기술 별로 정책현황정보가 확인되면, 연구개발분야의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를 구분하고, 이처럼 기술성숙도를 구분한 투자필요기술과, 중분류 항목으로 구분되는 정책현황정보를 가시화를 위해 기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한다(S90-S100).
여기서,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는, 연구개발분야의 기술준비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에 기초하여 핵심(예: T1~T3), 기반(예: T4~T6), 및 산업융합(예: T7~T9)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또한, 정책현황정보는 인력양성, 제도, 정책에 해당하는 중분류 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100)의 동작 방법에 따르면, 연구개발분야를 기술-인력양성-제도-정책과 연계한 분석 방식을 통해서 투자필요기술을 결정하여, 결정된 투자필요기술과 그에 따른 정책현황정보를 기술성숙도에 따른 가시화를 위해 기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함으로써, 핵심기술에서 기술개발의 세부목표까지 투자필요기술에 대한 조망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하며, 또한 기존 투자와 관련된 정부부처 등의 정보를 파이맵을 통해 가시화함으로써, 해당 기술의 중복투자를 최소화하는 등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따르면, 연구개발분야와 관련된 기술, 산업, 및 제도를 연관 분석하여, 분석된 결과를 가시화함으로써 연구개발분야에 대한 전략적 투자모델 마련을 지원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연구개발지원장치
10: 생성부 20: 도출부
30: 결정부 40: 확인부
50: 표시부

Claims (9)

  1.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생성된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 값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기술군집 중 적어도 일부가 투자필요기술로 결정되면, 상기 투자필요기술 별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부; 및
    상기 연구개발분야의 기술준비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기초로 상기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를 구분하여, 상기 투자필요기술 및 상기 정책제도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술성숙도에 따른 가시화를 위해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개발지원장치는,
    상기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수집된 기술논문을 인용관계에 따른 유사도를 기반으로 분류하여 상기 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하는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용관계는,
    2 이상의 기술논문이 적어도 하나의 타 기술논문으로부터 동일하게 피인용되는 동시피인용관계, 및 2 이상의 기술논문이 적어도 하나의 타 기술논문을 동일하게 인용하는 서지결합관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제1후보기술군집 및 제2후보기술군집 간에 유사도가 임계치 이상인 적어도 하나의 기술논문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후보기술군집 및 상기 제2후보기술군집을 결합한 제3후보기술군집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구개발지원장치는,
    상기 후보기술군집 별 기술분과를 산업분류와 매칭시킨 산업분류매칭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를 도출하는 도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산업분류매칭결과는,
    상기 후보기술군집 별 키워드를 기초로 수집된 기술특허의 기술분류코드(IPC)와 매칭되는 표준산업분류기술을 기 정의된 산업연관표와 매칭한 결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는,
    각각의 후보기술군집 별로 확인되는 내 국내 기술논문 개수, 해외 기술논문 개수, 국내 기술특허 개수, 및 해외 기술특허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기술지표와; 상기 산업연관표와 관련하여 확인되는 고용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전방산업연계효과, 후방산업연계효과, 및 과제연구비현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경제지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보기술군집은,
    각 후보기술군집으로 분류된 기술논문을 K-means 분류 방식에 따라 K 값만큼의 군집으로 분류한 각각의 세부기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
  9. 연구개발분야와 관련하여 생성된 후보기술군집 별 평가지표의 지표 값을 기초하여 상기 후보기술군집 중 적어도 일부가 투자필요기술로 결정되면, 상기 투자필요기술 별 정책제도현황정보를 확인하는 확인단계; 및
    상기 연구개발분야의 기술준비도(TRL: Technology Readiness Level)를 기초로 상기 투자필요기술 각각의 기술성숙도를 구분하여, 상기 투자필요기술 및 상기 정책제도현황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기술성숙도에 따른 가시화를 위해 정의된 파이맵(PIE-Map)과 매칭시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구개발지원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80103940A 2018-08-31 2018-08-31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93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40A KR102239385B1 (ko) 2018-08-31 2018-08-31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940A KR102239385B1 (ko) 2018-08-31 2018-08-31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921A true KR20200025921A (ko) 2020-03-10
KR102239385B1 KR102239385B1 (ko) 2021-04-12

Family

ID=6980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940A KR102239385B1 (ko) 2018-08-31 2018-08-31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93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3747A (zh) * 2021-05-25 2021-08-27 华中科技大学鄂州工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stl格式的三维模型支撑点获取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476A (ko) * 2010-11-25 2012-07-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기술의 경제성 분석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0966A (ko) * 2014-10-06 2016-04-15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연구개발 기획대상 과제에 대한 사전경제성 분석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0729A (ko) * 2014-10-30 2016-05-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특허 정보를 이용한 특허 로드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76476A (ko) * 2010-11-25 2012-07-09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연구개발 기술의 경제성 분석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40966A (ko) * 2014-10-06 2016-04-15 비즈니스전략연구소(주) 연구개발 기획대상 과제에 대한 사전경제성 분석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50729A (ko) * 2014-10-30 2016-05-11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특허 정보를 이용한 특허 로드맵 생성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13747A (zh) * 2021-05-25 2021-08-27 华中科技大学鄂州工业技术研究院 一种基于stl格式的三维模型支撑点获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9385B1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2012438B1 (en) Resolving similar entities from a database.
US20200192894A1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data incident based modeling and prediction
CN104321794B (zh) 一种使用多维评级来确定一实体的未来商业可行性的系统和方法
CN104115178A (zh) 基于新闻和情绪分析来预测市场行为的方法和系统
US8768866B2 (en) Computer-implemented systems and methods for forecasting and estimation using grid regression
WO2020257782A1 (en) Factory risk estimation using historical inspection data
JP6251383B2 (ja) 債務不履行となる企業の蓋然性の計算
CN111639706A (zh) 基于图像集的个人风险画像生成方法及相关设备
Linton et al. An extension to a DEA support system used for assessing R&D projects
JP4623605B2 (ja) ベンチマーク評価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Silva et al. A dominance-based rough set approach applied to evaluate the credit risk of sovereign bonds
KR101138444B1 (ko) 입체/복합 개발사업의 리스크 관리 및 성과 관리 통합 시스템
CN109767333A (zh) 选基方法、装置、电子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4107517A1 (en) Priority-weighted quota cell selection to match a panelist to a market research project
JP7426027B2 (ja) 事業者分類装置、方法、プログラム、事業者評価システム及び信用リスク評価システム
KR20200025921A (ko) 연구개발지원장치 및 그 동작 방법
Yu Data mining in library reader management
KR20110114181A (ko) 예측 정확성이 향상된 대출 심사 방법
CN114708073B (zh) 一种围标串标智能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435748A (zh) 网点状态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以及存储介质
JP6531059B2 (ja) ビジネスマッチングシステム及びビジネスマッチング方法
US20030046204A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and improving individual customer profitability for a profit-making organization
Kumar et al. Cloud service ranking using GRA, TOPSIS and SAW techniques
CN106164944A (zh) 在事务系统中用于数据管理的维度多级缩放
JP6065657B2 (ja) 電子データ承認方法、及び電子データ承認サー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