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895A -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 Google Patents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895A
KR20200025895A KR1020180103871A KR20180103871A KR20200025895A KR 20200025895 A KR20200025895 A KR 20200025895A KR 1020180103871 A KR1020180103871 A KR 1020180103871A KR 20180103871 A KR20180103871 A KR 20180103871A KR 20200025895 A KR20200025895 A KR 20200025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cycle
helmet
transparency
driver
w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6613B1 (ko
Inventor
김영형
김성수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엔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엔디케이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103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6613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6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6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13Anti-thef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30Mounting radio sets or 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0121Operation of devices; Circuit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오토바이 주행을 제어할 수 있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헬맷 착용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착용 센서와,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오토바이의 시동 장치, 잠금 장치 및 가속 장치의 제어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바이의 시동 전에 상기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만 상기 시동 장치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며, 오토바이의 시동 후에 상기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속 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Motorcycle helmets detection system that can control motorcycle drivin}
본 발명은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오토바이 주행을 제어할 수 있으며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토바이라고 불리우는 모터사이클(Motorcycle)은 내연기관을 동력원으로 하여 속력이 빠르지만, 운전자나 탑승자를 보호하는 차체를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충돌이나 전복과 같은 사고 시에 사고의 정도가 경미하여도 운전자나 탑승자가 중상을 입거나 사망에 이르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특히 사고 시에 머리를 다쳐서 중상이나 사망에 이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오토바이의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있어서 머리에 착용하는 헬맷은 매우 중요한 보호 장구이다.
그러나 상당수의 오토바이 운전자는 헬맷 착용을 기피하는 경향을 보이고, 법규로서 오토바이 탑승자의 헬맷 착용을 강제하고 있음에도 헬맷을 착용하지 않은 채 오토바이를 운행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따라서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할 수 밖에 없도록 강제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에 대한 여러가지 고려가 있어 왔다.
그러한 고려에 따른 고안으로서,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7648호(문헌 1)에 개시된 '시동스위치부 오토바이 안전헬맷'에 관한 고안이 있다.
문헌 1의 고안에서는 헬맷의 내부에 헬맷을 착용하여야만 작동하는 스위칭 수단과 이 스위칭 수단으로부터의 신호를 적외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가 갖추어져 있고, 오토바이에는 헬맷의 송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센서가 구비된다.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면 스위칭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송신부를 통하여 오토바이의 센서에 입력되고, 센서가 수신한 신호에 따라 오토바이의 시동키가 작동하여 시동이 걸리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문헌 1의 고안에 따른 안전 헬맷은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운전자는 헬맷을 착용하여 시동이 걸리게 한 후에 다시 헬맷을 벗어서 오토바이에 적재한 후에 오토바이를 운행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운행할 가능성을 차단하지 못한다.
두 번째로, 헬맷을 착용하는 행위에 의해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리므로, 운전자가 원하지 않은 시점에 시동이 걸릴 수 있다. 즉, 오토바이의 운전자가 문헌 1의 고안에 따른 구성이 적용된 사실을 망각한 상태로 헬맷을 착용하면 우발적으로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9-001764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여 시동을 건 후에 헬맷을 벗은 경우에 오토바이의 주행을 제한할 수 있으며,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토바이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헬맷 착용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착용 센서와,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와, 오토바이의 시동 장치, 잠금 장치 및 가속 장치의 제어부와,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바이의 시동 전에 상기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만 상기 시동 장치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며, 오토바이의 시동 후에 상기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속 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헬맷에서 상기 운전자 시야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오토바이의 주행정보 및 상기 착용 센서의 감지상태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를 통해 운전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함에 있어서, 투명도가 100%로 자동 조절된 영역은, 투명도가 100%인 영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다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시선집중구역의 투명도는, 상기 시선집중구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자동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되는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선집중구역을 제외한 영역 중 투명도가 100%로 자동 조절된 영역은, 투명도가 100%인 영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다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오토바이를 운행할 수 없게 되어, 오토바이 운전자에게 헬맷 착용을 강제할 수 있다.
특히, 오토바이의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고 시동을 건 후에 헬맷을 벗은 경우에는 오토바이의 주행이 제한되므로 주행 중에도 헬맷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맷(10)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의 회로(20)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맷의 구성도
도 4a는 헬맷의 저면도
도 5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안전모드가 동작하는 상태도
도 6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가 자동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오버헤드 뷰 모드(Overhead View Mode)가 동작하는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을 이루는 요소 중의 일부는 오토바이의 운전자나 탑승자가 머리에 착용하는 헬맷에 마련되어 있고, 나머지는 오토바이에 마련되거나 오토바이의 일부 구성을 변경하여 그 변경된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헬맷에 마련되어 있는 본 실시예의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한다.
헬맷부(10)의 헬맷(1)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머리에 착용하여 머리를 둘러싸서 보호하도록 마련되는 통상의 보호용 헬맷이며, 그 내부는 사람의 머리의 표면과 접촉하는 표면이 마련되어 있다.
사람의 머리와 접촉하는 표면에는 그 접촉에 의해 운전자가 헬맷 착용 여부를 감지하는 2가지 종류의 착용 센서(11, 12)가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센서는 통칭 인체 감지 센서(11)로 불리우는 적외선 센서로서 인체에서 나오는 5 ~ 14 ㎛ 범위의 파장의 적외선을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 인체 감지 센서(11)는 헬맷(1)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배치하여,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였을 때에 운전자의 머리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하고, 감지 시에 감지 신호를 지속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다른 하나의 센서는 마그네틱 센서(12)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마그네틱 센서(12)는 헬맷(1)의 버클에 장착되어 있다. 마그네틱 센서(12)는 2개의 감지부를 가지고 있어서, 감지부가 서로 근접하면 신호를 발생하고 서로 떨어지면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감지부는 헬맷 버클의 서로 체결되는 양측에 마련되어 있어서,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고 버클을 서로 체결하면 감지부가 서로 근접됨으로써 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마그네틱 센서(12)는 헬맷(1)의 착용 후에 버클을 체결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버클이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신호를 발생한다.
인체 감지 센서(11)와 마그네틱 센서(12)는 모두 헬맷(1)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 회로(13)에 연결되어 신호를 송신한다.
제어 회로(13)는 2개의 센서(11, 12)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통하여 2개의 센서 모두로부터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였을 때에 운전자가 헬맷(1)을 착용한 것을 나타내는 착용 신호를 생성하여 여기에 결합되어 있는 블루투스 모듈(14)을 통하여 착용 신호를 송신한다.
한편, 헬맷(1)에는 제어 회로 등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15), 제어 회로(13)를 온/오프하는 전원 스위치(16), 제어 회로(13)의 동작을 표시하는 각각 청색과 적색을 발광하는 제1 및 제2 LED(17, 18)가 마련되어 있다.
헬맷(1)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불필요한 센서와 회로의 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전원 스위치(16)를 오프한다. 전원 스위치(16)의 오프 상태에서는 센서(11, 12), 제어 회로(13) 및 블루투스 모듈(14)이 작동하지 않으므로, 오토바이를 기동할 수 없다. 여기에서 블루투스 모듈(14)은 멀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통신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정의된다.
제1 및 제2 LED(17, 18)는 모두 제어 회로(13)에 연결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16)을 온하여 제어 회로(13)가 정상 동작하면 청색으로 발광하는 제1 LED(17)가 점등되어 오토바이 운전자가 그 작동을 확인할 수 있게 해준다.
운전자가 헬맷(1)을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하면, 2개의 센서(11, 12)가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제어 회로(13)가 2개의 감지 신호를 수신하면 적색으로 발광하는 제2 LED(18)가 발광한다. 이를 통하여 운전자는 헬맷(1)에 장착된 시스템의 구성 요소들이 정상 작동하는지를 체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오토바이에 마련되는 구성에 대해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오토바이는 통상의 오토바이와 같이 잠금 장치로서 기능하는 시동키 박스(22), 오토바이의 엔진을 시동시키는 시동 모터(23) 및 시동 모터의 제어 회로(24) 및 엔진의 출력을 조절하는 가속 레버(25)를 갖추고 있으며, 이들은 모두 오토바이의 제어부(21)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부(21)에는 오토바이의 배터리(26)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한편, 제어부(21)에는 제1 및 제2 LED(27, 28)이 연결되어 있어서, 제어부(21)에 의해 점멸 또는 점등된다.
오토바이의 제어부(21)에는 헬맷의 블루투스 모듈(14)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블루투스 모듈(29)이 마련되어 있고, 이 블루투수 모듈(29)은 헬맷의 블루투스 모듈(14)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21)에 전달한다.
제어부(21)는 블루투스 모듈(29)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 LED(27, 28)를 선택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시킨다.
제1 LED(27)은 청색광을 발광하고, 블루투스 모듈(29)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여부 및 헬맷의 블루투스 모듈(14)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점등 또는 점멸되고, 제2 LED(28)는 적색광을 발광하고, 제어부(21)에 헬맷으로부터의 착용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를 나타내도록 점등된다.
제어부(21)는 블루투스 모듈(29)이 헬맷의 블루투스 모듈(14)로부터 헬맷의 착용에 따른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만 시동 모터(23)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역시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만 가속 레버(25)의 조작에 따른 신호에 따라 엔진의 출력을 높이도록 작동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오토바이 운전자는 오토바이 운행에 앞서 헬맷의 전원 스위치(16)를 켜서 턴온(TURN ON)으로 전환한다. 이에 따라 제어 회로(13) 및 이에 연결된 센서(11, 12)가 작동한다.
아울러, 오토바이 운전자는 오토바이의 시동키 박스(22)에 시동키를 삽입하여 오토바이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제어부(21) 및 블루투스 모듈(29)이 작동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2개의 블루투스 모듈(14, 29)이 턴온(TURN ON) 되면서 페어링 되고 상호 연결 상태로 된다. 연결 전의 작동 상태에서 제어 회로(13)와 제어부(21)는 각각 제1 LED(17, 27)를 점멸하고, 2개의 블루투스 모듈(14, 29)이 서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연결 상태로 되면, 제1 LED(17, 27)를 점등한다.
오토바이 운전자는 제1 LED(17, 27)가 점등된 것을 확인하고, 오토바이 및 헬맷에서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이 작동 상태에 놓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1)을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하면, 헬맷 내부 표면의 인체 감지 센서(11)가 운전자 머리로부터의 적외선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하고, 마그네틱 센서(12)가 버클의 체결을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발생한다.
센서들(11, 12)로부터의 신호가 헬맷의 제어 회로(13)에 입력되면, 제어 회로(13)는 헬맷의 착용 신호를 생성하여 블루투스 모듈(14)을 통하여 송신하고, 오토바이의 블루투스 모듈(29)이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21)에 송신한다. 여기에서 오토바이의 블루투스 모듈(29)은 멀티 통신모듈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멀티 통신모듈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지그비 통신모듈 등을 모두 포함한 근거리 통신 모듈로 정의된다.
제어부(21)는 헬맷의 착용 신호를 수신하면 시동키의 조작에 의해 시동 모터(23)가 작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하고 아울러 가속 레버(25)의 조작에 의해 엔진의 출력 상승이 허용되는 상태로 전환한다.
이러한 작동 가능 상태로 되면, 오토바이의 제2 LED(28)가 점등되고 운전자는 주행 가능한 상태로 된 것을 확인하여, 오토바이의 시동키를 돌려 시동을 걸고 주행을 하게 되며, 가속 레버(25)를 조작하여 주행 속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헬맷(1)의 전원 스위치(16)를 온으로 전환하지 않거나 헬맷을 착용하지 않으면, 헬맷(1)의 블루투스 모듈(14)로부터 오토바이의 블루투스 모듈(29)로는 헬맷의 착용 신호가 송신되지 않고, 오토바이의 시동 모터(23)는 작동하지 않게 되고, 가속 레버(25)를 조작하여도 엔진의 출력은 상승하지 않게 된다.
오토바이의 주행 중에 또는 주행을 중지한 상태에서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1)을 벗거나 버클을 해제하면, 오토바이의 제어 회로(13)는 헬맷의 착용 신호를 생성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오토바이의 제어부(21)는 시동 모터(23)를 잠금 상태로 하고 가속 레버(25)를 조작하여도 엔진의 출력을 높일 수 없는 아이들 상태로 전환한다.
따라서 오토바이의 주행 중에 운전자가 헬맷(1)을 벗으면, 오토바이의 엔진은 아이들 출력 상태로 되어 시동은 걸려있지만, 엔진 출력이 아이들 상태로 되어 주행을 할 수 없게 된다.
운전자는 주행을 위해 헬맷을 착용하고 버클을 체결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헬맷의 센서들(11, 12)이 이를 감지하여 신호를 생성하고, 오토바이의 제어부(21)는 시동 모터(23) 및 가속 레버(25)의 조작에 따른 엔진이 출력 조절을 허용하여, 정상적인 주행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오토바이의 안장 내부에는 압력을 측정하여 오토바이의 안장에 탑승한 탑승자의 인원수를 파악하는 복수의 압력센서(3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오토바이의 제어부는 복수의 압력센서(31)로부터 파악된 탑승자의 인원수와 탑승자가 각각 착용한 헬맷으로부터 받은 신호의 수량이 동일한 경우 시동을 허가한다.
즉, 복수의 압력센서(31)가 오토바이에 탑승한 인원수를 2명으로 판단한 경우 탑승자가 각각 착용한 헬맷이 총 2개이므로 각각의 헬맷으로부터 신호를 받아 두 헬맷 모두 착용이 완료된 경우 시동이 걸리게 된다. 또한, 오토바이의 제어부는 두 헬맷이 모두 착용이 유지된 상태에서만 오토바이의 추가 가속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헬맷(10)의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헬맷부(10)는 투명 디스플레이(44), 태양전지(42), 목 지지부(50), 상술한 헬맷 회로 - 미도시됨 -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헬멧부(10)의 상부 외면에는 내측으로 헬멧의 굴곡을 따라 파여져 있는 홈(도시되지 않음)과, 홈에 삽입되어 헬멧의 굴곡을 따라 밀착되어 결합되고 태양광에 의해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전지(42)가 구비된다.
장거리 운행을 하는 경우 외부 전력을 공급받기가 어렵기 때문에 헬멧의 상부에는 태양전지(42)가 형성되어 주행 중 헬멧에 조사되는 태양광을 통해 전기를 생산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태양전지(42)는 헬멧의 상부 외면에 형성되며 오토바이가 주행할 때 공기의 유동에 의해 태양전지(42)가 떨어져 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헬멧의 내측으로 파여진 홈(도시되지 않음)에 태양전지(42)가 삽입되게 된다.
홈(도시되지 않음)은 헬멧의 굴곡을 따라 균일한 두께로 파여져 있으므로 태양전지(42)는 자유롭게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굴곡을 따라 헬멧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명 디스플레이(44)는 헬맷에서 운전자 시야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오토바이의 주행정보 및 착용 센서의 감지상태를 표시한다. 이때, 투명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터치 패널의 터치를 통해 운전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목 지지부(50)는 오토바이의 가속도 변화에 따라 헬맷의 하부방향으로 돌출길이가 자동 조절되는 복수의 전방 지지부 및 복수의 후방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4a는 헬맷의 저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복수의 전방 지지부(51) 및 복수의 후방 지지부(52)를 포함하는 목 지지부(50)가 도시되어 있다.
복수의 전방 지지부(51) 및 복수의 후방 지지부(52)는 각각 원통형의 튜브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완충 젤이 충전되어 있다. 복수의 전방 지지부(51) 및 복수의 후방 지지부(52)는 모터의 의해 상하방향으로 개별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모터부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참고적으로 완충 젤에는 소독약 및 지혈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으며 강한 충격, 예를 들어 사고 발생시 튜브가 파손될 경우 소독약 및 지혈제 성분이 흘러나와 사용자의 머리에 도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원통형의 튜브에는 완충 젤이 용이하게 흘러나올 수 있도록, 소정의 압력 이상이 가해질 때 파손되는 가이드 홈(55)이 규칙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 홈(55)은 원, 마름모,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헬맷에는 9축 센서가 구비될 수 있는데, 9축 센서는 가속도 3축, 관성 3축, 지자기 3축으로 총 9축의 값이 측정되기 때문에 9축 센서라고 지칭되며, 온도값에 대한 보정을 위해 온도센서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9축 센서는 헬맷의 3차원적인 움직임을 감지하여 사용자의 응시방향, 이동방향, 기울기, 오토바이의 가속도 변화, 속도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즉, 9축 센서에 의해 오토바이의 가속도가 감지될 수 있는데
소정의 가속도 이상으로 속력이 상승한 경우, 운전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목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가속도 이상으로 속력이 상승한 경우, 복수의 후방 지지부(52)의 돌출길이가 자동 증가하면서 운전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후방 지지부(52)의 돌출길이 및 돌출속도는 가속도 증가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소정의 가속도 이상으로 속력이 감소한 경우, 운전자의 머리가 앞으로 젖혀지면서 목에 무리가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소정의 가속도 이상으로 속력이 감소한 경우, 복수의 전방 지지부(51)의 돌출길이가 증가하면서 운전자의 머리가 앞으로 젖혀지는 것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전방 지지부(51)의 돌출길이 및 돌출속도는 가속도 감소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또한, 헬맷에 충격센서가 구비될 경우 소정의 충격량 이상이 가해지면 교통사고 상태로 판정하여, 복수의 전방 지지부(51) 및 복수의 후방 지지부(52)가 동시에 가장 빠른 속도 및 가장 긴 돌출길이 상태로 동작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교통사고 상태를 더욱 정확하게 판정하기 위해서 9축 센서에 의한 운전자의 자세변화정보를 추가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정 속력이상으로 주행상태로 유지하다가 충격이 가해지면서 급격하게 속력이 감소하고 사용자가 옆으로 쓰러진 상태를 9축 센서 및 충격센서를 통해 감지한 후, 복수의 전방 지지부(51) 및 복수의 후방 지지부(52)를 동시에 하강시키도록 동작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적으로 헬맷은 사용자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여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는 영상 카메라가 내장되며 투명 디스플레이에 3차원 가상영상을 표시함에 있어서, 현재위치정보와 실제영상정보에 대응하는 3차원 가상영상을 사용자의 시야범위 내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는 투명한 재질의 디스플레이로써 헬맷의 전면부를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한 상태에서 실제객체와 가상객체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다.
즉, 헬맷은 투명 디스플레이와, 좌측 전방 카메라와, 우측 전방 카메라와, 좌측 3D센서와, 우측 3D센서, 인식 카메라, 9축 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좌측 전방 카메라는 헬맷의 좌측에 탑재되어 전방의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한다. 또한, 우측 전방 카메라는 헬맷의 우측에 탑재되어 전방의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한다.
좌측 3D센서 및 우측 3D센서는 좌측 전방 카메라 및 우측 전방 카메라와 연동되어 전방의 3D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즉 촬영된 3D 영상은 내장된 메모리에 저장되거나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실시예에 따라 전방 카메라 및 3D센서가 하나씩 배치되어 실제영상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방 카메라는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을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식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과, 눈동자의 응시방향, 눈의 크기변화를 감지한다. 인식 카메라는 좌측 및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어느 한 방향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인식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이 위치한 방향으로 촬영되고 있으나, 투명 디스플레이에서 반사되는 눈의 영상을 촬영하여 눈동자의 움직임, 응시방향, 크기변화 등을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때, 눈동자의 움직임, 응시방향, 크기변화 등을 감지한 후, 그 감지결과에 대응하는 사용자 명령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배터리는 헬맷의 회로에 구동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충전 가능한 리튬이온 배터리나, 의사 캐패시터로 구성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헬맷의 배터리는 복수의 의사 캐패시터(Pseudo Capacitor)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의사 캐패시터(Pseudo Capacitor)는 전극에서의 이차원적인 산화-환원 반응을 이용하므로 일반적인 캐패시터보다 우수한 축전용량을 가지며 수명이 상대적으로 긴 장점이 있다.
배터리의 충전방식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의사 캐패시터가 3개 배치될 경우, 즉 제1 의사 캐패시터, 제2 의사 캐패시터 및 제3 의사 캐패시터가 배치된다고 가정한다. 이때 제1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용량이 가장 크고, 제2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용량은 제1 의사 캐패시터보다 작고, 제3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용량은 제2 의사 캐패시터보다 더 작다고 가정한다.
제어회로는 제1 의사 캐패시터, 제2 의사 캐패시터 및 제3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량을 감지한 후, 충전량이 가장 높은 순서대로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제1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량이 60%이고, 제2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량이 70%이고, 제3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량이 80%일 경우,
제3 의사 캐패시터의 전력을 우선으로 공급하다가, 충전량이 40%에 도달하면 제3 의사 캐패시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제2 의사 캐패시터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제2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량이 40%에 도달하면 제2 의사 캐패시터의 전력공급을 차단하고 제1 의사 캐패시터의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제1 내지 제3 의사 캐패시터의 충전량이 모두 40% 이하 일 경우, 제어회로는 제1 내지 제3 의사 캐패시터를 병렬로 연결하여 구동전력을 공급한다.
도 5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안전모드가 동작하는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모드가 설정될 수 있다.
안전모드가 설정될 경우, 헬맷은 전방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실제객체를 감지한다. 즉, 자동차, 자전거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실제객체가 사용자 방향으로 빠르게 접근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험상황을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사용자가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상태의 화면(투명 디스플레이)이 도시되어 있는데, 중앙에 점선으로 표시된 사각영역은 시선집중구역으로 정의되며 점선의 테두리로 그 영역이 정의되어 있다. 이때, 전방 카메라에서 자동차, 자전거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실제객체가 사용자 방향으로 빠르게(소정의 속도 이상) 접근하는 것을 감지할 경우,
시선집중구역의 크기가 자동으로 확장되고, 화면에 표시되고 있는 가상객체는 시선집중구역의 외곽방향으로 자동이동하거나, 그 투명도가 더욱 강화되어 사용자가 접근하는 실제객체를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사용자에게 접근하는 실제객체의 속도에 비례(정비례 또는 제곱에 비례)하여 시선집중구역의 크기, 가상객체의 투명도, 외곽방향으로 이동하는 가상객체의 이동속도가 자동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인식 카메라가 사용자의 눈동자의 방향을 감지할 경우, 시선집중구역은 눈동자의 방향에 따라 자동 이동하도록 동작한다. 즉, 사용자의 눈이 오른쪽을 응시하고 있을 경우 시선집중구역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이때, 전방 카메라에서 자동차, 자전거 등과 같이 사용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실제객체가 사용자 방향으로 접근 - 정면에서 접근 - 하는 것을 감지할 경우, 시선집중구역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안전동작을 진행하되, 사용자의 정면방향으로 시선집중구역이 자동 이동한다.
즉, 시선집중구역은 사용자에게 빠르게 접근하는 실제객체의 방향으로 자동이동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에게 위험이 될 수 있는 실제객체에 새로운 가상객체가 할당되어 표시되고 실제객체(Physical Object)와의 연관성을 지시하기 위한 가상선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새로운 가상객체는 위험을 지시하는 아이콘, 문자 등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접근속도가 가상객체로써 추가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참고적으로 인식 카메라는 사용자의 눈동자의 움직임과, 눈동자의 응시방향, 눈의 크기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눈동자의 크기변화를 토대로 동작명령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인식 카메라의 명령 인식률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자의 눈썹에 지시용 눈썹을 부착할 수도 있다. 지시용 눈썹은 소정의 적외선 파장을 반사하는 반사도료가 코팅되어 있으며, 인식 카메라는 그 적외선 파장을 인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명령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투명 디스플레이의 투명도가 자동조절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할 수 있다.
특히,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이때, 각 영역마다 광량 센싱부가 구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6의 각 영역에 표시된 숫자는 투명도를 지칭하는 것이며 100%는 가장 투명도가 높은 상태를 나타내고 0%는 가장 투명도가 낮은 상태를 나타낸다. 투명도의 숫자 표기는 기본적으로는 실제 투명 디스플레이(44)에 표시되지 않으며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 표시된 것이다. 다만 디버깅 모드로 진입시 투명도의 숫자가 표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영역 중 시선집중구역의 투명도는, 시선집중구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자동 변경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시선집중구역의 투명도가 59%로 자동 변경된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투명 디스플레이는 시선집중구역을 제외한 영역 중 투명도가 100%로 자동 조절된 영역은, 투명도가 100%인 영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다시 변경한다. 도 6에서는 100%의 투명도를 갖는 영역이 50%로 다시 조정되는 예시가 도시되어 있다.
투명 디스플레이(44)에 시선집중구역이 설정되지 않는 경우, 투명도가 100%로 자동 조절된 영역은, 투명도가 100%인 영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다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투명도의 급격한 차이로 인한 사용자의 시선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의 오버헤드 뷰 모드(Overhead View Mode)가 동작하는 상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은 오버헤드 뷰 모드(Overhead View Mode)가 설정될 수 있다.
오버헤드 뷰 모드(Overhead View Mode)는 사용자의 머리 위에서 촬영되어 합성된 영상이 투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모드를 의미한다.
즉,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헬맷에는 적외선 영역 및 가시광선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복수의 뷰 카메라가 헬맷의 테두리를 따라 추가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합성하여 사용자의 시야에 제공할 수 있는데, 주간 뿐만 아니라 특히 야간에는 사용자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발바닥 궤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발바닥 궤적은 소정의 이전 위치를 기준으로한 지면의 높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이동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헬맷부(10)는 헬멧을 착용하는 운전자의 뇌혈류를 파악할 수 있는 뇌혈류감지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뇌혈류감지센서는 사용자가 입력한 입력한 수치 정보(사용자의 나이, 성별, 신장, 몸무게 등)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신체 리듬을 파악하며, 뇌혈류감지센서에서 사용자의 급격한 혈류 속도 변화를 감지한 경우, 오토바이의 제어부에 신호를 송신하여 가속 장치의 동작을 제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가속 장치는 공회전 수준의 가속만 할 수 있도록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뇌혈류감지센서는 사용자의 맥박수치를 감지할 수 있는데,
맥박수치가 소정의 수치 이상 상승할 경우, 즉 흥분상태로 판단될 경우 헬맷에 내장된 골전도 이어폰 및 투명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소정의 파장 대역의 빛과 소정의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반복적으로 출력하여 놔파가 세타파로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 편안히 휴식을 취하는 상태의 뇌파가 세타파임 -
또한, 오토바이 운전자의 신발의 좌우전후 및 바닥에는 각각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좌측 신발 및 우측 신발의 좌우전후 및 바닥에 각각 거리측정센서가 구비되므로, 오토바이의 좌측 및 우측으로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고, 운전자의 운전자세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감지정보는 헬맷의 투명 디스플레이에 실시간으로 표시되며, 특히 운전자가 양발을 모두 발 받침대에서 이탈하여 비정상 자세를 소정의 시간 이상 유지할 경우 이러한 정보가 오토바이의 제어부에 전달되어 가속장치의 동작이 자동제한 - 공회전 수준의 출력만 제공 - 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연계되어 동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스마트폰을 통해 헬맷에 시동인증코드를 전달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헬맷이 착용되고 있다는 신호가 오토바이의 제어부에 전달될 경우, 오토바이의 시동이 가능해지고 가속장치가 제한없이 동작할 수 있다.
하지만 헬맷을 타인이 소유할 경우에도 오토바이의 시동 및 가속이 가능해지므로, 보안성이 부족한 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스마트폰이 헬맷에 블루투스 통신 등과 같은 무선 통신방식으로 시동인증코드를 전달하는 조건이 추가로 충족되었을 때 오토바이의 시동이 가능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스마트폰과 헬맷이 상호 간에 미리 인증되었다고 가정하고,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스마트 폰에 OTP(One Time Password)가 표시되고, 표시된 OTP(One Time Password)를 소정의 시간 이내에 헬맷의 터치 패널을 통해 입력할 경우, 미리 설정된 소정의 기간 동안 오토바이의 시동조건이 만족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OTP(One Time Password)가 입력되고 인증된 이후, 시동을 시도할 수 있는 횟수, 유효기간 등은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 및 헬맷의 터치 패널을 이용하여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또한, OTP(One Time Password)가 인증된 이후, 운행할 수 있는 최대거리, 운행반경(현재위치 기준), 운행최고속도, 하루 중 운행가능시간(24시간 단위) 등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운행할 수 있는 최대거리, 운행반경(현재위치 기준), 운행최고속도, 하루 중 운행가능시간(24시간 단위) 등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시 OTP(One Time Password)를 인증해야 하며, 최대거리, 운행반경(현재위치 기준), 운행최고속도, 하루 중 운행가능시간(24시간 단위)을 벗어난 경우, 제어부에 의해 가속이 자동으로 제한된다.
한편, 오토바이에는 도난 방지부가 더 포함되고 헬맷에는 도난방지 알림부가 더 포함되어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이 구성될 수도 있다.
도난 방지부는 충격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오토바이를 임의로 이동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충격을 충격 감지센서에서 감지한 후, 소정의 충격량 이상일 경우, 헬맷의 도난방지 알림부로 미리 설정된 도난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헬맷의 도난방지 알림부는 도난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램프 및 알림신호를 통해 도난가능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참고적으로 오토바이의 도난 방지부와 헬맷의 도난방지 알림부는 100미터 내지 200미터 내외의 무선통신거리를 확보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지그비 무선통신모듈 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난 방지부는 로컬 충격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충격 감지센서는 오토바이를 이동시킬 경우 발생하는 비교적 큰 충격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이고, 로컬 충격감지센서는 키박스 주변 등에 배치되어 키박스를 통해 임의로 시동을 시도할 때 발생하는 로컬한 지역의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로 정의될 수 있다.
로컬 충격감지센서도 키박스 주변에서 소정의 충격량 이상을 감지할 경우, 헬맷의 도난방지 알림부로 미리 설정된 로컬 도난무선신호를 송신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헬맷의 도난방지 알림부는 로컬 도난무선신호를 수신한 후 램프 및 알림신호를 통해 도난가능상황을 표시할 수 있다. 로컬 충격감지센서는 핸들, 바퀴 등에도 부착되어 핸들의 움직임, 바퀴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동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헬맷의 도난방지 알림부는 오토바이의 도난 방지부로 도난제어신호를 피드백할 수 있다.
도난 방지부가 도난제어신호를 수신할 경우, 오토바이의 제어부(21)를 통해 시동 모터(23) 및 가속 레버(25)의 조작에 따른 엔진 출력 조절을 제한하여 임의로 시동을 걸더라도 오토바이의 도난 주행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은, 오토바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지 않은 상태로 오토바이를 운행할 수 없게 되어, 오토바이 운전자에게 헬맷 착용을 강제할 수 있다.
특히, 오토바이의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고 시동을 건 후에 헬맷을 벗은 경우에는 오토바이의 주행이 제한되므로 주행 중에도 헬맷의 착용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헬맷
11 : 인체 감지 센서
12 : 마그네틱 센서
13 : 제어 회로
22 : 시동키 박스
23 : 시동 모터
31 : 압력센서
42 : 태양전지
44 : 투명 디스플레이
50 : 목 지지부
51 : 전방 지지부
52 : 후방 지지부

Claims (8)

  1. 오토바이 운전자가 착용하는 헬맷에 마련되어 운전자가 헬맷을 착용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헬맷 착용에 따른 신호를 발생하는 착용 센서;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무선으로 송신하는 송신부;
    오토바이의 시동 장치, 잠금 장치 및 가속 장치의 제어부; 및
    상기 송신부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수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바이의 시동 전에 상기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상태에서만 상기 시동 장치를 가동하도록 제어하며,
    오토바이의 시동 후에 상기 착용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상기 가속 장치의 작동을 제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헬맷에서 상기 운전자 시야 전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오토바이의 주행정보 및 상기 착용 센서의 감지상태를 표시하는 투명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터치 패널을 포함하여 상기 터치 패널의 터치를 통해 운전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감지된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함에 있어서,
    투명도가 100%로 자동 조절된 영역은, 투명도가 100%인 영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다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운전자의 시야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지하고, 광량에 따라 투명도를 자동 조절하되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영역에 유입되는 개별 광량에 따라 각 영역의 투명도를 개별적으로 자동 조절함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영역 중 시선집중구역의 투명도는, 상기 시선집중구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자동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는,
    상기 시선집중구역을 제외한 영역 중 투명도가 100%로 자동 조절된 영역은, 투명도가 100%인 영역을 둘러싸면서 이웃하고 있는 각 영역의 개별 투명도의 평균값으로 다시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KR1020180103871A 2018-08-31 2018-08-31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KR102096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871A KR102096613B1 (ko) 2018-08-31 2018-08-31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871A KR102096613B1 (ko) 2018-08-31 2018-08-31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895A true KR20200025895A (ko) 2020-03-10
KR102096613B1 KR102096613B1 (ko) 2020-04-06

Family

ID=69801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871A KR102096613B1 (ko) 2018-08-31 2018-08-31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661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427A (ko) * 2021-09-15 2023-03-23 최재호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JP7304112B1 (ja) * 2022-09-30 2023-07-06 株式会社スタディーズ 安全システ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0109B1 (ko) * 2020-04-14 2022-03-04 아날로그플러스 주식회사 스마트 헬멧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48A (ko) 1997-08-25 1999-03-15 이해규 데이터 기록을 위한 필름의 와인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279733B2 (ja) * 2007-03-05 2013-09-04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の電気的に減光可能なコンバイナ
KR101794131B1 (ko) * 2016-02-11 2017-11-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멧이 착용된 상태에서만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리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8473B1 (ko) * 2016-10-27 2018-04-13 주식회사 우아 물품 배송용 헬멧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7648A (ko) 1997-08-25 1999-03-15 이해규 데이터 기록을 위한 필름의 와인딩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JP5279733B2 (ja) * 2007-03-05 2013-09-04 ザ・ボーイング・カンパニー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用の電気的に減光可能なコンバイナ
KR101794131B1 (ko) * 2016-02-11 2017-11-0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헬멧이 착용된 상태에서만 오토바이의 시동이 걸리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48473B1 (ko) * 2016-10-27 2018-04-13 주식회사 우아 물품 배송용 헬멧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0427A (ko) * 2021-09-15 2023-03-23 최재호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JP7304112B1 (ja) * 2022-09-30 2023-07-06 株式会社スタディーズ 安全システム
WO2024069914A1 (ja) * 2022-09-30 2024-04-04 株式会社スタディーズ 安全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6613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16661A1 (en) Image display device, image display method, and moving object
KR20200025895A (ko) 도난방지 기능이 적용된 오토바이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CN106663377B (zh) 驾驶员的驾驶不能状态检测装置
US9787892B2 (en) Safety device for motorcycle riders and method for operating a safety device for motorcycle riders
WO2018208776A1 (en) Integration of occupant monitoring systems with vehicle control systems
CN109204325A (zh) 安装在车辆上的车辆控制装置和控制车辆的方法
KR20100063394A (ko) 차량에 탑승한 유아의 안전을 위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15207A (ko) 퍼스널 모빌리티 및 그 제어 방법
US20150250247A1 (en) Motorcycle helmet with increased visibility
CN108135307A (zh) 安全头盔
CN105522992A (zh) 用于具有用于驾驶员面部的相机的机动车的控制器和用于拍摄车辆乘坐者面部的方法
ITMI20092034A1 (it) Apparecchiatura di segnalazione
US7126485B2 (en) Sleep prevention device while driving
US20150374061A1 (en) Auto-powered safety equipment
ES2768775T3 (es) Sistema de señalización autónomo extraíble para usuarios de vehículos sin cabina
WO2017153708A1 (en) Cyclist accessory system
KR20190022096A (ko) 오토바이의 헬맷 착용 감지 시스템
US20170334346A1 (en) Safety Gear For Cycling
KR102336275B1 (ko) 근거리 후방 감지 헬멧 장치
US11554713B2 (en) Signaling device with built-in accelerometer carried on the back of a user of a locomotive machine
KR101893880B1 (ko) 자전거용 스마트 전조등
EP3949779B1 (en) A safety helmet
US11364917B2 (en) Vehicle having a camera for detecting a body part of a user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KR101924904B1 (ko) 오토바이용 안전슈트
KR102584992B1 (ko) 안전 헬멧 및 이를 이용한 킥보드 안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