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513A - 접속용 커넥팅 장치 - Google Patents

접속용 커넥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513A
KR20200025513A KR1020180102970A KR20180102970A KR20200025513A KR 20200025513 A KR20200025513 A KR 20200025513A KR 1020180102970 A KR1020180102970 A KR 1020180102970A KR 20180102970 A KR20180102970 A KR 20180102970A KR 20200025513 A KR20200025513 A KR 20200025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fixture
coaxial cable
spr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3220B1 (ko
Inventor
송근한
Original Assignee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옵티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옵티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322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속용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spring)에 의해 고정체를 제2 커넥터에 조여줌으로써, 제1 및 제2 커넥터가 체결되는 부분의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접속용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속용 커넥팅 장치{CONNECTOR DEVICE FOR CONNECTING}
본 발명은 접속용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spring)에 의해 고정체를 제2 커넥터에 조여줌으로써, 제1 및 제2 커넥터가 체결되는 부분의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향상시킨 접속용 커넥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속용 커넥터는 케이블의 끝단에 결합되고 내부에 접속소켓이 삽입되는 플러그 커넥터와, 케이블의 끝단 또는 장비에 고정 결합되고 내부에 접속핀이 삽입되는 리셉터클 커넥터로 구분돼어진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호 결합되고, 그 내부에 삽입되는 접속핀과 접속소켓 또한 연결되어 케이블을 상호 연결시키거나 또는 케이블을 장비에 연결하여 소망 작업이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플로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속용 커넥터에 대한 종래의 기술 내용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의 끼움 및 후퇴이동만으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간 접속 및 해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구조가 제공되었다.
그러나, 종래 접속용 소형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간 끼움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리셉터클 커넥터 단부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끼움 결합 후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결합위치가 벌어져 체결성이 낮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를 결합 한 후, 커넥터 단부에 형성된 슬릿을 고정하여 체결 위치의 내구성, 내충격성, 내진동성 등과 같은 체결성을 증가시킨 접속용 커넥팅 장치 구조가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0285202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및 제2 커넥터가 푸시-온(push-on)결합한 후, 제2 커넥터 외주면에 고정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커넥터의 체결성,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증가시킨 접속용 커넥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용 커넥팅 장치는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동축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푸시-온(push-on)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리드선과 상기 동축케이블을 접촉시키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주면의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커넥터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체결성을 높이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는, 스프링(spring)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넥터의 푸시(push)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 커텍터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접촉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체; 및 상기 동축케이블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스프링(spring)이 위치되어 상기 고정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리드선을 인입하여 상기 동축케이블과 접촉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선과 동축케이블 결합을 제어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판은,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체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조여진 경우, 상기 고정체는 상기 걸림턱을 감싸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턱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및 제2 커넥터가 푸시-온(push-on)결합한 후, 제2 커넥터 외주면에 고정체를 결합시킴으로써, 제1 및 제2 커넥터의 체결성, 내구성, 내충격성 및 내진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고정체가 스프링에 의해 제2 커넥터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고정체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커넥터 체결부분을 조이거나 풀기 용이한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와 고정체가 풀어진 접속용 커넥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커넥터가 결합된 접속용 컨게팅 장치의 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 및 고정체가 조여진 접속용 커넥팅 장치의 투시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속용 커넥팅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200)와 고정체(300)가 풀어진 접속용 커넥팅 장치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용 커넥팅 장치는 제1 커넥터(100), 제2 커넥터(200) 및 고정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리드선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벽, 전자기기 등 신호를 사용하는 각종 기기, 장치 및 물체에 고정되는 고정체일 수 있다.
제1 커넥터(100)는 지지대(110), 단자핀(120) 및 걸림홈(130)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110)는 제1 커넥터(100)를 각종 기기, 장치 및 물체에 고정해줄 수 있다.
단자핀(120)은 지지대(110)의 일측과 결합되는 구성으로, 기기, 장치 및 물체에 포함된 리드선이 관통되는 관으로 후술되는 제2 커넥터(200)의 동축케이블과 직접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단자핀(120)은 걸림홈(130)으로부터 돌출되어 동축케이블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단자핀(120)은 제2 커넥터(200)에 인입되어 동축케이블과 접촉하기 위해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관통홀(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홈(130)은 단자핀(120)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30)은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체결될 때, 제2 커넥터(200)를 제1 커넥터(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 커넥터(100)는 지지대와 단자핀(120)을 연결해줄 수 있는 연결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동축케이블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푸시-온(push-on)방식을 통해 제1 커넥터(100)와 체결되어 리드선과 동축케이블을 접촉시킬 수 있다.
제2 커넥터(200)는 일단과 타단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일단은 제1 커넥터(100)와 직접적으로 체결되는 결합체(210)를 포함할 수 있다. 타단은 결합체(210)의 일측에 위치되어 동축케이블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동축케이블이 관통되는 케이블관(220)을 포함할 수 있다.
결합체(210)는 인입부(211) 및 탄성판(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211)는 결합체(210)의 내부로 단자핀(120)이 인입될 수 있다. 인입부(211)는 단자핀(120)의 외표면을 감싸는 형태로 제공되고,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 절연부재와 절연부재 내부에 위치되고 단자핀(120)의 관통홀에 인입되어 리드선과 접촉되는 동축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판(212)은 인입부(211) 외주면에 위치되어 단자핀(120)과 인입부(211)의 체결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탄성판(212)은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이 체결됐을 시, 분리를 용이하지 않게 하기 위해 걸림턱(213)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213)은 탄성판(212)의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턱(213)은 탄성판(212)의 내측으로 볼록한 부분과 걸림홈(120)의 오목한 부분이 결합되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체결될 수 있다.
탄성판(212)은 절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절개부는 탄성판(2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컷팅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탄성판(212)의 길이 방향은 제2 커넥터가 푸시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절개부는 탄성판(212)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제공될 수 있다.
탄성판(212)에 절개부가 포함됨으로써, 탄성판(212)은 탄력적으로 제1 커넥터(100)의 외측으로 벌어지거나 내측으로 오므려져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체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케이블관(220)은 외주면에 스프링(spring)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프링은 후술되는 고정체(300)의 일측과 접촉되어 고정체(30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케이블관(220)은 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고정체(30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고정체(300)에 탄성을 전달하기 위해 고정체(300)와 접하지 않는 타면에 스프링을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판 구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스프링 지지판은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은 고정체(300)가 이동될 때, 스프링이 스프링 지지판에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고정체(300)가 스프링의 탄성을 효과적으로 전달받을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체(300)는 제2 커넥터(200)의 외주면의 일부에 위치되어, 제2 커넥터(200)를 조이거나 풀어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의 체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300)는 케이블관(220)과 끼움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2 커넥터(200)의 푸시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및 제2 커넥터(100, 200)가 결합된 접속용 커넥팅 장치의 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0), 제2 커넥터(200) 및 고정체(300)가 결합된 접속용 커넥팅 장치의 투시도이다.
도 2(a)를 참고하면, 고정체(300)는 제2 커넥터(200)와 분리된 상태로 사용자에 의해 인위적으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되었을 때, 고정체(300)는 제2 커넥터(200)와 분리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2 커넥터(200)와 분리된 상태의 고정체(300)는 케이블관(220) 전체와 탄성판(212)일부를 덮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체(300) 내부에는 케이블관(220)이 위치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관통홀 내부는 슬라이딩홈이 제공되어 케이블관(220)의 외면과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300) 내부에는 결합체(210)를 수용할 수 있는 결합체 수용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체(300)는 결합체 수용홈과 대응되는 방향에 스프링이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홈은 결합체 수용홈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300)와 제2 커넥터(200)가 풀려있을 때, 스프링은 압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고정체(300) 및 스프링 지지판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고정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b)를 참고하면, 고정체(300)가 앞뒤로 이동함으로써 제2 커넥터(200)를 조이거나 풀 수 있다. 이때, 고정체(300) 내부에 형성된 결합체 수용홈에 결합체(210)가 수용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300)가 제2 커넥터(200)에 조여진 경우, 고정체(300)는 걸림턱(213)을 감싸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고정체(300)의 수용홈은 걸림턱(213) 이전까지의 탄성판(212) 외면을 수용할 수 있다.
고정체(300)가 걸림턱(213)까지 덮을 경우, 고정체(300)와 걸림턱(213) 사이 빈 공간이 형성되어 빈 공간으로 외부에서 이물질이 들어갈 수 있고, 고정체(300)와 걸림턱(213) 사이 이물질이 끼게되면 고정체(300)와 제2 커넥터(200)가 분리되지 않아 접촉용 커넥터 장치의 고장을 유발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체(300)가 걸림턱(213)의 외면까지 위치되기 위해서는 고정체(300)의 길이가 길어야 한다. 즉, 고정체(300)와 제2 커넥터(200)가 분리되었을 때 고정체(300)가 제2 커넥터(200)의 길이의 1/5초과까지 위치될 경우 탄성판(212)이 외측으로 벌어지지 않아 제1 커넥터(100)와 제2 커넥터(200)가 결합하는데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제1 커넥터
110: 지지대
120: 단자핀
130: 걸림홈
200: 제2 커넥터
210: 결합체
211: 인입부
212: 탄성판
213: 걸림턱
220: 케이블관
300: 고정체

Claims (7)

  1. 리드선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동축케이블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커넥터와 푸시-온(push-on) 방식으로 체결되어 상기 리드선과 상기 동축케이블을 접촉시키는 제2 커넥터; 및
    상기 제2 커넥터의 외주면의 일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2 커넥터를 조이거나 풀어 상기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의 체결성을 높이는 고정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넥터와 상기 고정체는,
    스프링(spring)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제2 커넥터의 푸시(push)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제2 커텍터를 조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넥터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와 연결되고,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홈; 및
    상기 걸림홈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접촉되는 단자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넥터는,
    상기 제1 커넥터와 결합되는 결합체; 및
    상기 동축케이블이 관통되고, 외주면에 상기 스프링(spring)이 위치되어 상기 고정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케이블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체는,
    상기 제1 커넥터의 리드선이 인입되어 상기 동축케이블과 접촉하는 인입부; 및
    상기 인입부 외주면에 위치되어 상기 리드선과 동축케이블 결합력을 제어하는 탄성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판은,
    외주면에서 원주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체가 상기 제2 커넥터에 조여진 경우,
    상기 고정체는 상기 걸림턱을 감싸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7. 제2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과 상기 걸림턱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20180102970A 2018-08-30 2018-08-30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217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70A KR102173220B1 (ko) 2018-08-30 2018-08-30 접속용 커넥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970A KR102173220B1 (ko) 2018-08-30 2018-08-30 접속용 커넥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513A true KR20200025513A (ko) 2020-03-10
KR102173220B1 KR102173220B1 (ko) 2020-11-03

Family

ID=69801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970A KR102173220B1 (ko) 2018-08-30 2018-08-30 접속용 커넥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32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940A1 (en) * 2020-12-22 2022-06-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202B1 (ko) 1999-03-13 2001-03-15 박헌영 커넥터 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9939Y1 (ko) * 2002-12-14 2003-04-08 성진씨앤티(주)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KR20060026857A (ko) * 2003-05-31 2006-03-24 우드헤드 커넥티비티 게엠베하 전기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202B1 (ko) 1999-03-13 2001-03-15 박헌영 커넥터 핀 및 그 제조방법
KR200309939Y1 (ko) * 2002-12-14 2003-04-08 성진씨앤티(주) 전기적 접속용 커넥터 장치
KR20060026857A (ko) * 2003-05-31 2006-03-24 우드헤드 커넥티비티 게엠베하 전기커넥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39940A1 (en) * 2020-12-22 2022-06-30 Commscope Technologies Llc Coaxial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3220B1 (ko) 2020-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2286B1 (en) Coaxial plug connector
US10103483B2 (en) Coaxial plug-in connector arrangement
KR101448143B1 (ko) 지중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장치
JP5062863B2 (ja) 小型丸形コネクタ組立体
JP4510886B2 (ja) 不連続な導体を電気的に接続するための装置
US9614317B2 (en) Connector support structure and adaptor
US20180191100A1 (en) Socket-Shaped Housing, Connector, and Connector Arrangement With Cable Support
KR101757914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형 접속장치시스템
US10069218B2 (en) Push wire connectors
GB2256322A (en) Electric cable holder
KR101906580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연결장치
CA3036331A1 (en) Splice with tap clamp
US20100130042A1 (en) Connector socket, a connector plug, and an appliance fitted with a connector
KR20200025513A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US1115897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ocking clip
KR101037721B1 (ko) 감전방지용 지중배전함의 절연구조
KR100978778B1 (ko) 분리 방지용 콘넥터
KR20200025509A (ko) 접속용 커넥팅 장치
KR101830415B1 (ko) 커넥터
KR100767265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US11316309B2 (en) Connector assembly coupled to a side of circuit board
KR101786594B1 (ko) 커넥터
GB2288287A (en) Electrical connector
JP4543410B2 (ja) 同軸コネクタ
US6283804B1 (en) Cable connector for electrical connec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