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5251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5251A
KR20200025251A KR1020180102319A KR20180102319A KR20200025251A KR 20200025251 A KR20200025251 A KR 20200025251A KR 1020180102319 A KR1020180102319 A KR 1020180102319A KR 20180102319 A KR20180102319 A KR 20180102319A KR 20200025251 A KR20200025251 A KR 202000252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b
cover member
guide
roll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2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0259B1 (ko
Inventor
오창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02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259B1/ko
Priority to US16/545,716 priority patent/US10928123B2/en
Priority to EP19193835.6A priority patent/EP3617627B1/en
Publication of KR202000252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5251A/ko
Priority to US17/140,985 priority patent/US11371772B2/en
Priority to US17/747,143 priority patent/US11732957B2/en
Priority to KR1020230082328A priority patent/KR1026201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37Rollers for slides or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97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with other guiding mechanisms, e.g. scissor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29Guide bearing means
    • A47B2210/0037Roll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0002Guide construction for drawers
    • A47B2210/0051Guide position
    • A47B2210/0059Guide located at the side of the draw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10/00General construction of drawers, guides and guide devices
    • A47B2210/17Drawers used in connection with household appliances
    • A47B2210/175Refrigerators or freez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Drawers Of Furnitur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터 어셈블리;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에 지지되며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에서 인출입될 수 있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인출입 시 상기 수납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는 양측벽에서 후단부에 가깝게 설치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롤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가 하강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로서, 냉동사이클을 순환하는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발생되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의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최적상태로 보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냉장고는 식생활의 변화와 사용자의 기호가 다양해 짐에 따라 대형화 및 다기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을 위한 상기 냉장고의 저장공간이 다양하게 구성되고 편의장치가 구비된 냉장고가 출시되고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8321호에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는 캐비닛과, 저장공간에 구비되며, 별도의 식품의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팬트리 어셈블리와, 팬트리 어셈블리의 상측에 구비되며, 팬트리 어셈블리의 상면 일부를 차폐하는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저장공간의 양측에 배치되는 한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한쌍의 지지부재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따라서 인출입되는 수납부재와, 상기 수납부재의 개구된 상면 일부를 차폐하며, 상기 수납부재의 인출입 동작과 연동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이동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며,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커버부재가 연동되도록 연결하는 구동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수납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인출입시 상기 수납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2기어 어셈블리; 상기 커버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부재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기어부재; 상기 제2기어 어셈블리와 제1기어부재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2기어 어셈블리와 제1기어부재를 연결하는 연결기어, 상기 수납부재와 상기 제2기어 어셈블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재의 인입을 강제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사용자가 수납부재를 당기기 위해서 탄성부재의 탄성력 및 상기 수납부재의 하중 보다 큰 힘을 가하여야 한다.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크게 되면 사용자가 수납부재를 당기는 힘이 증가되어 상기 수납부재의 개방이 어려운 반면, 상기 수납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재를 미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서 상기 수납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다만,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큰 경우 상기 수납부재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는 과정에서 충돌 소음이 큰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이 작게 되면, 상기 수납부재를 당기는 힘이 적게 필요하다. 그러나, 상기 수납부재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부재를 미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상기 수납부재를 당기는 힘 보다 상기 수납부재의 하중이 커서 상기 수납부재가 탄성부재의 탄성력 만으로 원래의 위치로 완전하게 복귀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 없이도 수납 부재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수납 부재가 자동으로 인입 완료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부재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높이가 변경될 때 수납 부재 전체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 부재의 인출입 과정에서 커버 부재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터 어셈블리;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에 지지되며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에서 인출입될 수 있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인출입 시 상기 수납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버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수납 부재는 양측벽에서 후단부에 가깝게 설치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롤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서포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가 하강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경사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경사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각 가이드부의 경사면에서 연장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가이드부의 수평부가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수평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롤러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수납 부재는, 인입 완료 위치에서 인출 완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가 상기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수납 부재는, 양측벽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터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2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될 때, 상기 제 2 롤러가 접촉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 및 상기 경사 리브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가 전후 방향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동일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하측 리브와, 상기 하측 리브와 이격되는 상측 리브와, 상기 하측 리브와 상기 상측 리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측 리브는 상기 경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상측 리브의 전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와 상기 상측 리브는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커버 부재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는, 상기 연결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로 전달하는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
상기 스페이서 리브는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양측의 측벽 각각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 각각은, 상면이 수평한 제 1 벽과, 상기 제 1 벽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면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수평한 제 2 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될 때, 상기 스페이서 리브는 상기 경사벽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경사벽의 상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전달 유닛에 연결되기 위한 전달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의 전달 돌기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 1 랙과, 상기 제 1 랙과 맞물리는 전달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커버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전달 기어의 회전축을 수직하게 지나는 가상선(A1)은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의 후단 보다 전단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수납 부재의 무게 중심(C2)과 상기 커버 부재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가상선(A1)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전달 돌기 및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일 예로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가 상기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인출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커버 부재가 개방 완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의 개방 완료 위치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랙은, 상기 연결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며, 후크 홀을 구비하는 커버 결합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커버 결합 리브가 수용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커버 결합 리브의 후크 홀에 걸리기 위한 프레임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는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후크 홀과 정렬되는 제 2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 부재가 인출 완료 위치에서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부재의 탄성력 없이도 가이드 레일의 경사면에 의해서 수납 부재가 자동으로 인입 완료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납 부재의 측벽에 구비된 가이드 돌출부가 경사 리브를 포함하므로, 수납 부재가 인출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경사면에 의해서 높이가 변경될 때, 수납 부재 전체가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 부재에 연결 프레임이 연결되고, 연결 프레임이 전달 유닛의 제 2 랙과 연결되므로, 커버 부재가 수납 부재의 수납 공간을 개폐시키기 위하여 작동되는 과정에서 커버 부재가 손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커버 부재 또는 연결 프레임에 형성된 스페이서 리브에 의해서 커버 부재와 수납 부재의 갭이 형성되어 냉기 유동이 원활해지고, 커버 부재가 수납 공간을 커버한 상태에서는 커버 부재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냉장실 내의 팬트리 어셈블리와 상부의 드로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트리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팬트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에 제 1 랙이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도 7에서 전달 기어 및 제 2 랙이 추가로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전달 유닛이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유닛 커버가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2는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에서 연결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도 12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5 및 도 16은 팬트리 어셈블리가 인너 케이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부재의 인출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8는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연결 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냉장실 내의 팬트리 어셈블리와 상부의 드로워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팬트리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1)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10)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상기 캐비닛(10)에서 구획부(13)에 의해서 냉장실(11)과 냉동실(12)로 구획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일 예로 상기 냉동실(12)이 상기 냉장실(11)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냉장고 도어(20)는,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21)와, 상기 냉동실(12)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냉장실 도어(21)가 상기 냉장실(11)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좌우로 배치되는 한 쌍의 냉동실 도어(22)가 상기 냉장실(12)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에는 전방으로 인출입에 의해서 식품의 수납공간이 노출되는 팬트리 어셈블리(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는 전방으로 인출시 인출된 면적 보다 더 큰 면적의 수용공간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가 구비되는 위치는 제한되지 않으나,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1)에 배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는, 상기 냉장실(11)의 최하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의 좌우 폭은 실질적으로 상기 냉장실(11)의 좌우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냉장실(11)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01)는, 좌우로 이격되는 한 쌍의 측벽(102, 103)과, 상기 한 쌍의 측벽(102, 103)을 연결하는 바닥벽(10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는 상기 한 쌍의 측벽(102, 103)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는, 수납 공간(511)을 형성하는 수납 부재(510)와, 상기 수납 부재(510)와 연결되어 상기 수납 부재(51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터(530)와, 상기 수납 부재(510)와 연동하며 상기 수납 공간(511)을 개폐하는 커버 부재(5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터(530)는 상기 한 쌍의 측벽(102, 103) 각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580)는 상기 수납 공간(511)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 부재(580)의 상측에 드로워 어셈블리(40)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장실(11)에서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40)의 상방에 하나 이상의 선반(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30)에 음식물이 놓일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어셈블리(40)는, 수납 공간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인출입 가능한 드로워(42)와, 상기 드로워(42)의 하측을 지지하는 드로워 서포터(43)와, 상기 드로워(42)의 상측을 커버하는 드로워 커버(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서포터(43)는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고정되며, 상기 수납 부재(510)의 상측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서, 상기 커버 부재(580)는 이동 가능한 이동 커버이고, 상기 드로워 서포터(43)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고정 커버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로워 커버(41)에는 음식물을 놓일 수 있어, 상기 선반(30)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수납 부재가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된다.
상기 커버 부재(580)에 의해서 미커버되는 공간은 상기 드로워 서포터(43)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팬트리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는, 수납 공간(5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는 대략적으로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는, 바닥벽(512)과, 상기 바닥벽(512)의 양측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513, 514)과, 상기 한 쌍의 측벽(513, 514)의 후단을 연결하는 후측벽(515)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는 전면 개구(517)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면 개구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커버(52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 커버(520)의 하측 일부에는 데코 커버(522)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후측벽(515)에는 냉기의 통과를 위한 냉기 슬롯(51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슬롯(516)은 상기 후측벽(515)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한 쌍의 측벽(513, 514) 각각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5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는 상기 각 측벽(513, 514)의 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되, 상기 측벽(513, 513)의 후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까지 연장된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을 위한 거리를 고려하여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의 길이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각 측벽(513, 514)에는 제 1 롤러(525)가 결합되기 위한 제 1 롤러 서포터(5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 서포터(513b)는 상기 각 측벽(513, 514)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롤러 서포터(513b)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의 후방에 위치되고, 상기 각 측벽(513, 514)의 후단과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터(530)는 상기 수납 부재(510)를 지지하고, 상기 수납 부재(510)의 슬라이딩 인출입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포터(53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제 1 롤러(525)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540)이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540)은 상기 각 서포터(530)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 1 롤러(525)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 레일(540)은 상기 각 서포터(530)에서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540)은, 상기 제 1 롤러(52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540a)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롤러(525)는 상기 공간(540a)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5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각 측벽(513, 514)에는 상기 인너 케이스(101)의 측벽(102, 103)에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체결 보스(5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각 측벽(513, 514)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58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돌기(51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달 돌기(519)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으며, 대략 상기 각 측벽(513, 514)의 전후 방향으로 중앙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을 위하여 제 1 방향으로 슬라이딩 시, 상기 커버 부재(580)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수납 공간(511)이 개방되도록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580)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전달받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580)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서포터(530)에 지지되며, 상기 커버 부재(58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일부 구간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580)로 전달하고, 다른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이 상기 커버 부재(580)로 미전달되도록 한다.
일 예로,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 완료 위치에서 일정 거리만큼 인출될 때까지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580)로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소정 거리 보다 큰 거리만큼 인출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이 상기 커버 부재(580)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달 돌기(519)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 부재(562)와, 상기 연결 부재(562)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 랙(557)과, 상기 제 1 랙(557)에 연결되는 전달 기어(552)와, 상기 전달 기어(552)에 연결되고, 상기 커버 부재(580)와 결합되는 제 2 랙(554)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달 유닛은 유닛 커버(570)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상기 유닛 커버(570)는 상기 서포터(53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랙(557)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 랙으로서, 상기 전달 기어(552)와 연결되는 제 1 랙 기어부(55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의 기어 이는 상방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랙(557)은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며 상기 연결 부재(562)가 결합되는 결합 바디(5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62)는 상기 결합 바디(558)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달 기어(552)는 피니언 기어로서, 상기 제 1 랙(557)과 제 2 랙(554)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달 기어(552)는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에 연결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전달 유닛에 의한 좌우 수평 방향 두께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전달 유닛의 좌우 수평 방향 두께가 클수록 상기 수납 부재(510)의 용적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전달 유닛의 수평 벙향 두께를 줄이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용적 감소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2 랙(554)은 직선 방향으로 이동하는 직선 랙으로서, 상기 전달 기어(552)와 맞물리는 제 2 랙 기어부(5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랙 기어부(555)는 상기 전달 기어(552)의 상측에서 상기 전달 기어(552)와 이는 상기 전달 유닛에 의한 좌우 수평 방향 두께를 줄이기 위함이다.
상기 서포터(530)의 일측에 상기 수납 부재(510)가 위치되고, 상기 서포터(530)의 타측에 상기 전달 유닛의 일부가 위치된다. 이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전달 유닛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서포터(530)를 기준으로 상기 수납 부재(510)와 상기 전달 유닛이 서로 반대편에 위치되므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달 돌기(519)가 상기 전달 유닛과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서포터(530)에는 상기 연결 부재(562)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53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536)는 상기 서포터(53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길이 방향은 상기 서포터(530)의 전후 방향이다.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전달 기어(55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어 샤프트(5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샤프트(537)가 상기 전달 기어(552)의 중앙에 삽입된다.
상기 커버 부재(580)의 양측에는 연결 프레임(58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84)은 상기 전달 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상기 전달 유닛을 통해 전달받는다.
그리고, 상기 연결 프레임(584)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을 전달받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부재(58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커버 부재(580)는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버 부재(580)가 상기 전달 유닛과 직접 연결되면, 상기 커버 부재(580)로 이동력이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부재(580)가 파손될 우려가 있으나,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 부재(562)는, 상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공간부(5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부(563)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달 돌기(519)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62)는, 상기 공간부(563)를 형성하는 프론트 바디(563b)와, 상기 프론트 바디(563b)와 이격되는 리어 바디(563c)와, 상기 공간부(563)의 바닥을 형성하는 로어 바디(563a)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 바디(563b)와 상기 리어 바디(563c) 사이의 공간부(563)에 상기 전달 돌기(519)가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563a)의 일면에는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1 돌출부(564) 및 제 2 돌출부(5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564) 및 상기 제 2 돌출부(565)는 일 예로 상기 연결 부재(562)의 직선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564)는 상기 공간부(563)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돌출부(565)는 상기 제 1 돌출부(564)의 전방에 위치되며, 상기 공간부(563)와 상하 방향으로 미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563a)의 타면에는 상기 제 1 랙(557)과의 결합을 위한 랙 결합 샤프트(566)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랙 결합 샤프트(566)는 상기 제 1 랙(557)의 결합 바디(55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랙 결합 샤프트(566)는 상기 로어 바디(563a)의 타면에서 돌출되되, 상기 연결 부재(562)가 상기 제 1 랙(557)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랙 결합 샤프트(566)는 상기 로어 바디(563a)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돌출부(564)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돌출부(564)는 상기 랙 결합 샤프트(566)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로어 바디(563a)는 상기 연결 부재(562)의 무게를 줄이면서도 상기 로어 바디(563a)의 강도가 향상되도록 함몰되는 형태의 보강홈(569a, 569b, 569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일 보강홈(569a)은 상기 랙 결합 샤프트(566)의 둘레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다른 보강홈(569c)는 상기 제 1 돌출부(564)의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포터에에 제 1 랙이 안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서 전달 기어 및 제 2 랙이 추가로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전달 유닛이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유닛 커버가 서포터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랙(557)을 지지한 상태로 상기 제 1 랙(557)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랙 가이드(546a)와, 상기 제 1 랙(557)의 상측을 커버하는 랙 커버(546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랙 가이드(546a)와 상기 랙 커버(546b) 사이에 상기 제 1 랙(557)이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연결 부재(562)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서포터(530)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홈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연결 부재(562)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하는 제 1 슬롯(538a)과, 상기 제 1 슬롯(538a)의 전단에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슬롯(538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롯(538a)는 직선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제 2 슬롯(538b)은 상기 제 1 슬롯(538a)의 전단에서 경사진 형태로 연장되되, 상기 제 1 슬롯(538a)에서 후방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된다.
후술할 것이나, 상기 연결 부재(562)는 상기 제 1 슬롯(538a)을 따라 이동하다가 상기 제 1 슬롯(538a)의 전단부에서 상기 제 2 슬롯(538b) 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돌출부(564) 및 상기 제 2 돌출부(565)는 상기 가이드 슬롯에 수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제 1 돌출부(564) 및 상기 제 2 돌출부(565)는 상기 제 1 슬롯(538a)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슬롯 내에서의 제 1 돌출부(564) 및 제 2 돌출부(565)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제 2 랙(554)이 통과하기 위한 랙 슬롯(539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랙(554)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결합 리브(5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 리브(556)가 상기 랙 슬롯(539a)을 통과할 수 있다.
직선 운동하는 제 2 랙(554)의 커버 결합 리브(556)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랙 슬롯(539a)은 상기 제 2 랙(554)의 이동 방향과 나란한 방향(일 예로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제 2 랙(554)의 전후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전방 가이드(539b)와, 후방 가이드(539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가이드(539b)와 상기 후방 가이드(539c)는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전달 기어(552)의 일부가 상기 전방 가이드(539b)와 상기 후방 가이드(539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 기어(552)는 상기 전방 가이드(539b) 및 상기 후방 가이드(539c)와의 간섭 없이 상기 제 2 랙(554)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제 2 랙(554)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539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539d)는 상기 제 2 랙(554)의 후방에 위치되며,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커버 부재(580)가 상기 수납 공간(511)을 개방시킬 때, 상기 제 2 랙(554)의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상기 커버 부재(580)가 정지되도록 한다.
상기 커버 부재(580)가 정지되는 위치가 실질적으로 상기 커버 부재(580)의 개방 완료 위치가 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30)는 상기 개구(536)를 관통한 상기 연결 부재(562)를 수용하는 수용부(536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536a)는 상기 서포터(530)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를 향하여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부(536a)에 상기 가이드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530)의 가이드 레일(540)은, 제 1 가이드부(541)와, 상기 제 1 가이드부(542)의 상방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와 이격되는 제 2 가이드부(5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542) 사이에 공간(540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롤러(525)는 상기 공간(540a)에 수용된 상태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 레일(54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와 상기 제 2 가이드부(542) 간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1 롤러(525)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어느 경우든 상기 제 1 롤러(525)는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입시 회전하면서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조립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제 1 롤러(525)가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공간(540a)으로 쉽게 인입되도록, 상기 각 가이드부(541)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는 입구 경사부(541a, 54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 유닛이 상기 서포터(5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유닛 커버(570)가 상기 서포터(530)에 결합되어 상기 유닛 커버(570)가 상기 전달 유닛을 커버한다.
상기 서포터(530)에는 하나 이상의 커버 결합 후크(549)가 형성되고, 상기 유닛 커버(570)에는 상기 커버 결합 후크(549)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후크 체결홀(57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커버(570)는 상기 전달 기어(552)를 커버하는 기어 커버(5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어 커버(572)는 상기 전달 기어(552)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닛 커버(570)가 상기 전달 유닛을 커버한 상태에서 체결부재(S1)가 상기 유닛 커버(570)를 관통하여 상기 기어 샤프트(537)에 체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서포터(530)에 전달 유닛이 결합되고, 상기 유닛 커버(570)가 서포터(530)에 결합 완료된 구성을 서포터 어셈블리(SA)라 이름할 수 있다. 즉, 서포터 어셈블리(SA)는, 서포터(530), 전달 유닛 및 유닛 커버(570)를 포함한다.
도 11은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공간(540a)에 상기 제 1 롤러(525)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자동으로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각 가이드부(541, 542)는, 후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경사면(541b, 54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자동 인입"는 사용자가 상기 수납 부재(510)를 미는 힘을 제거하여도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수납 부재(510)에 음식물이 보관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 및 커버 부재(58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경사면(541b, 542b)을 따라 하강할 수 있도록, 수평면에 대한 상기 경사면(541b, 542b)의 경사 각도는 대략적으로 8도 내외일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경중에 상기 각 경사면(541b, 542b) 상에 위치되면, 상기 제 1 롤러(525)가 하향 경사지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롤러(525)가 연결된 상기 수납 부재(510)가 하향 경사지면서 인입 완료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가이드부(541)의 후단부와 상기 제 2 가이드부(542)의 후단부는 연결부(54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롤러(525)는 상기 경사면(541b, 542b)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롤러(525)는 상기 연결부(543)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543)는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되도록 하는 스토퍼 역할을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가이드 레일(540)은 상기 각 가이드부(541, 542)의 경사면(541b, 542b)의 후단부에서 연장되는 수평부(541c, 542c)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각 가이드부(541, 542)의 수평부(541c, 542c)가 상기 연결부(54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경사면(541b, 542b) 및 연결부(543)와 접촉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수평부(541c, 542c)의 길이는 상기 제 1 롤러(525)의 반경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방향을 기준으로 하향 경사진다. 따라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시에는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경사면(541b, 542b)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제 1 롤러(525)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측벽(513, 514)에서 후단부 측에 위치되므로,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경사면(541b, 542b)을 따라 상승하여도 상기 수납 부재(51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앞쪽 부분은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납 부재(510)가 수평을 이루면서 직선 운동하지 않고, 경사진 상태로 직선 운동하게 되면 상기 수납 부재(510)의 하중이 상기 제 1 랙(557)의 모멘트로 작용하여 상기 수납 부재(510)가 원활하게 인출입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는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경사면(541b, 542b)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수납 부재(510)가 수평을 이룬 상태로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는 수평 유지 구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터(530)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가이드 돌출부(518)를 지지하는 제 2 롤러(5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534)는 한 쌍의 서포터(530)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534)는 상기 서포터(530)에서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534)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의 하면에 접촉하여,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입을 돕는다.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는, 하측 리브(518a)와, 상기 하측 리브(518a)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측 리브(518b)와, 상기 하측 리브(518a)와 상기 상측 리브(518b)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518c)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입 과정에서 상기 하측 리브(518a)가 상기 제 2 롤러(534)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상측 리브(518b)는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측 리브(518a)의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상측 리브(518b)와 나란할 수 있다. 상기 하측 리브(518a)의 다른 일부는 전방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질 수 있다.
상기 하측 리브(518a)는 경사 리브(518d)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 유지 구조는 상기 경사 리브(518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 리브(518d)의 경사 각도는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경사 리브(518d)의 전단부는 상기 상측 리브(518b)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경사 리브(518d)와 상기 상측 리브(518b)는 하나 이상의 연결 리브(518c)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경사면(541b, 542b)을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할 때, 상기 경사 리브(518d)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앞쪽이 함께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부재(580) 또는 상기 연결 프레임(584)은 하방으로 돌출되는 스페이서 리브(58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는 상기 연결 프레임(584)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측벽(513, 514)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는, 상기 측벽(513, 514)의 상면 전단부 측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커버 부재(580)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상면이 이격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부재(580)와 상기 수납 부재(510) 사이에 갭(G1)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갭(G1)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냉장실(11)과, 상기 수납 부재(510)의 수납 공간(511)과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냉기가 상기 수납 공간(511)과 상기 냉장실(11)을 순환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수납 공간(511)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수납 공간(511)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커버 부재(580)와 상기 수납 부재(510) 사이에 갭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수납 공간(511)에 냉기가 정체되어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낮아 상기 수납 공간(511)으로 냉기가 유동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공간(511)의 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상기 수납 공간(511)으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냉기의 공급 및 공급 중단이 반복되면 상기 수납 공간(511)에 보관된 음식물의 온도 변화 폭이 커지게 되어 음식물의 신선도가 낮아지게 된다.
반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커버 부재(580)와 상기 수납 부재(510) 사이에 갭(G1)이 존재하므로, 상기 수납 공간(511)과 상기 냉장실(11)이 연통되어 냉기가 순환될 수 있으므로, 상기 수납 공간(511)에 보관된 음식물의 온도 변화폭이 최소화되어 신선도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상기 경사면(541b, 542b) 및 상기 경사 리브(518d)에 의해서 상승한다.
만약, 상기 수납 부재(510)의 측벽(513, 514)의 높이가 동일한 경우,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측벽(513, 514)이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와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측벽(513, 514)이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수납 부재(510)의 각 측벽(513, 514)은, 상면이 수평한 제 1 벽(513a)과, 상기 제 1 벽(513a)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면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벽(513b)과, 상기 경사벽(513b)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수평한 제 2 벽(513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벽(513c)의 높이는 상기 경사벽(513b)의 최소 높이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벽(513a)의 높이는 상기 경사벽(513b)의 최소 높이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경사벽(513b)의 상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의 경사 각도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 완료 위치까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는 상기 경사 리브(518d) 및 상기 경사벽(513b)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전후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어, 안정적인 인출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커버 부재(580)가 상기 수납 공간(511)을 커버한 상태에서는 상기 스페이서 리브(585)가 상기 제 1 벽(513a)에 안착되므로, 상기 커버 부재(580)가 앞쪽으로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2는 도 3의 C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커버 부재에서 연결 프레임이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4는 도 12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580)에 상기 연결 프레임(58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84)이 상기 커버 부재(580)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연결 프레임(584)은 상기 제 2 랙(55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가 상기 인너 케이스(101)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 부재(580)를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에서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580)는, 상면벽(580a)과, 상기 상면벽(580a)의 양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외측벽(580b)과, 상기 상면벽(580a)의 전단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면벽(580e)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면벽(580e)은 상기 한 쌍의 외측벽(580b)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580)는, 상기 한 쌍의 외측벽(580b) 사이에서 상기 한 쌍의 외측벽(580b) 각각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내측벽(58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내측벽(580c)은 상기 커버 부재(580)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내측벽(580c)과 상기 외측벽(580b) 사이 공간(581a)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581a)에 상기 연결 프레임(584)이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84)은, 상기 제 2 랙(554)의 커버 결합 리브(556)가 수용되기 위한 리브 수용 슬롯(58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 수용 슬롯(587)은 상기 연결 프레임(584)의 후단부에서 전단을 향하여 소정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84)은 상기 리브 수용 슬롯(587)을 기준으로 상부 프레임(586)과, 하부 프레임(585)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586)은 상면 일부가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586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86c)에 의해서 상기 상부 프레임(586)의 무게가 줄어들면서도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86c)에는 상기 커버 부재(51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벽(58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벽(586a)에는 결합홀(586b)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580)의 상면벽(580a)에는 상기 결합벽(586a)에 결합되기 위한 결합 후크(580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 프레임(584)이 상기 내측벽(580c)과 상기 외측벽(580b) 사이 공간(581a)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결합 후크(580d)가 상기 함몰부(586c)로 수용되고, 상기 결합벽(586a)의 결합홀(580b)에 걸리게 된다.
상기 제 2 랙(554)의 커버 결합 리브(556)에는 후크 홀(556a)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프레임(585)은 상기 후크 홀(556a)에 걸리기 위한 프레임 후크(585g)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결합 리브(556)가 상기 리브 수용 슬롯(587)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상기 프레임 후크(585g)가 상기 후크 홀(556)에 걸리면, 상기 연결 프레임(584)과 상기 제 2 랙(554)의 결합이 완료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연결 프레임(584)과 상기 커버 부재(580)를 커버 유닛이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후크(585g)와 상기 후크 홀(556)은 걸림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도구에 의해서 해제될 수 있다. 상기 도구의 이동을 위하여, 상기 상면벽(580a)에는 제 1 개구(580f)가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586c)의 바닥면(586h)에는 제 2 개구(586g)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개구(580f) 및 상기 제 2 개구(586g)는 상기 후크 홀(556) 및 상기 프레임 후크(585g)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580)의 상측에서 도구가 상기 제 1 개구(580f) 및 제 2 개구(586g)를 순차적으로 관통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프레임 후크(585g)가 상기 후크 홀(556)에서 빠지도록 상기 프레임 후크(585g)를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커버 부재(580)의 무게 중심이 상기 커버 부재(580)의 후측에 위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면 벽(580a)의 후단부 측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58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리브(582)는 일 예로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면벽(580a)에서 한 쌍의 내측벽(580c)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팬트리 어셈블리가 인너 케이스에 조립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의 (a)는, 인너 케이스의 측벽을 보여주고, 도 15의 (b)는 인너 케이스의 측벽에 서포터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6의 (a)는 서포터 어셈블리에 커버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6의 (b)는 서포터 어섬블리에 수납 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인너 케이스의 각 측벽(102)에는 체결부재(S2)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10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SA)를 조립한 후에 상기 서포터(530)의 체결 보스(531)를 상기 체결홀(102a)과 정렬시켜, 상기 체결부재(S2)를 상기 체결보스(531) 및 체결홀(102a)에 체결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16의 (a)와 같이, 상기 서포터(53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 2 랙(554)의 커버 결합 리브(556)에 상기 커버 부재(580)에 연결된 연결 프레임(584)을 결합시킨다.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SA)에 상기 커버 부재(580)가 연결된 상태에서, 최종적으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제 1 롤러(525) 및 가이드 돌출부(518)가 상기 서포터(530)의 가이드 레일(540)의 공간(540a)에 수용시킨 후 상기 수납 부재(510)를 밀면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의 조립은 완료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납 부재의 인출 과정을 단계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는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연결 부재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부재가 회전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수납 부재가 인입 완료 위치에 위치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7의 (b)는 수납 부재가 인입 완료 위치에서 제 1 거리 만큼 인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 17의 (c)는, 수납 부재가 제 2 거리 만큼 인출되고, 커버 부재가 개방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주고, 도 17의 (d)는 수납 부재가 인출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보여준다.
도 4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달 돌기(519)는 상기 연결 부재(562)의 공간부(563)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 기어(552)의 후방에 상기 연결 부재(562)가 위치된다. 상기 전달 기어(552)는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의 전단에 맞물리고, 상기 제 2 랙 기어부(555)의 후단에 맞물린다.
이때,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의 적어도 1개의 기어 이와 상기 제 2 랙 기어부(555)의 적어도 1개의 기어 이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전달 기어(552)와 상기 제 1 랙 기어부(559)의 기어 비는 1: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 기어(552)와 상기 제 2 랙 기어부(554)의 기어 비는 1:1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부재(562)의 제 1 돌출부(564) 및 상기 제 2 돌출부(565)는 상기 제 1 슬롯(538a)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을 위하여 상기 수납 부재(510)를 사용자 측으로 당기면 상기 수납 부재(510)는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에 의해서 소정 높이로 상승한 후에 수평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 부재(562)의 제 1 돌출부(564) 및 상기 제 2 돌출부(565)가 상기 제 1 슬롯(538a)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상기 연결 부재(562)의 회전이 제한되고, 안정적으로 상기 연결 부재(562)가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62)가 직선 운동하는 경우, 상기 연결 부재(562)에 연결된 상기 제 1 랙(557)이 제 1 방향(도 17에서 화살표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상기 제 1 랙(557)이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달 기어(552)는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전달 기어(55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 랙(554)은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 방향인 제 2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그러면, 상기 커버 부재(580)가 상기 제 2 랙(554)과 함께 제 2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수납 공간(511)이 개방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간부(563)를 형성하는 상기 프론트 바디(563b) 및 상기 리어 바디(563c)의 상단 보다 상기 전달 돌기(519)의 상면이 낮게 위치된다.
상기 프론트 바디(563b)의 높이는 상기 리어 바디(563c)의 높이 보다 낮다. 따라서, 상기 전달 돌기(519)의 상면은 상기 프론트 바디(563b)의 상단(563d) 보다 낮게 위치된다.
이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초기에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상승하므로,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기 공간부(56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전달 돌기(519)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승된 위치에서 상기 전달 돌기(519)의 하면은 상기 프론트 바디(563b)의 상단(563d)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상승에 의해서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승하여도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기 공간부(563)에 위치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도 17의 (b)와 같이 상기 전달 돌기(519)의 이동 시 상기 연결 부재(562)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시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기 연결 부재(562)의 프론트 바디(563b)와 접촉되어 상기 프론트 바디(563b)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도 17의 (c) 및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랙(554)이 상기 스토퍼(539b)에 접촉하면, 상기 제 2 랙(554)의 이동은 제한되고, 상기 커버 부재(580)가 정지하게 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랙(554)이 상기 스토퍼(539b)에 접촉할 때의 상기 커버 부재(510)의 위치를 개방 완료 위치라 할 수 잇다.
만약, 상기 커버 부재(58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력이 상기 커버 부재(580)로 지속적으로 전달되면, 상기 전달 유닛 및 상기 커버 부재(580)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580)가 개방 완료 위치로 이동되어 정지되기 직전에 상기 연결 부재(562)의 제 2 돌출부(565)가 상기 제 2 슬롯(538b)과 정렬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전방으로 더 당겨지면 상기 제 2 돌출부(565)가 상기 제 2 슬롯(538b)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 부재(562)가 회전된다.
상기 연결 부재(562)는 상기 랙 결합 샤프트(566)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제 1 슬롯(538a)에서 상기 제 2 돌출부(565)가 상기 제 2 슬롯(538b)으로 부드럽게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은 상기 제 1 슬롯(538a)과 상기 제 2 슬롯(538b)을 연결하는 곡선의 가이드면(538c)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부재(562)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 부재(562)의 프론트 바디(563b)의 높이가 낮아지게 되어, 상기 프론트 바디(563b)가 상기 전달 돌기(519)의 이동 경로 상에서 벗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 돌기(519)는 상기 프론트 바디(563b)와 간섭 없이 지속적으로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전달 돌기(519)의 이동력은 더 이상 상기 연결 부재(562)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커버 부재(58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 2 슬롯(538b)은 상기 제 1 슬롯(538a)의 전달부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므로, 상기 연결 부재(562)로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연결 부재(562)가 도 17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7의 (d)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580)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에 구비되는 인출 제한부(518e)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이 제한되어 상기 수납 부재(510)가 정지된 위치가 상기 인출 완료 위치이다.
일 예로, 상기 인출 제한부(518e)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518)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인출 제한부(518e)는 상기 하측 리브(518a)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 제한부(518e)는 상기 인출 완료 위치에서 상기 서포터(530)의 제 2 롤러(534)에 접촉한다. 상기 인출 완료 위치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정지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인출 제한부(518e)는 상기 제 2 롤러(534)와 면접촉하기 위한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도 20은 수납 부재의 무게 중심과 커버 부재의 무게 중심의 상대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0의 (a)는 커버 부재가 개방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되고, 도 20의 (b)는 수납 부재의 제 1 롤러가 가이드 레일의 경사면에 진입하는 상태가 도시되고, 도 20의 (c)는 수납 부재가 인출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가 도시된다.
도 17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인출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기 수납 부재(510)를 인입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납 부재(510)를 밀어 제 2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되는 초기에는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달 돌기(519)가 상기 연결 부재(562)의 공간부(563)에서 벗어나 있으므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이동 시 상기 연결 부재(562)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커버 부재(580)가 상기 개방 완료 위치에서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가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기 연결 부재(562)의 리어 바디(563c)와 접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바디(563c)의 높이는 상기 프론트 바디(563b)의 높이 보다 높으므로, 상기 연결 부재(562)가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출 과정에서 회전되더라도 상기 리어 바디(563c)는 상기 전달 돌기(519)의 경로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기 리어 바디(563c)를 후방(제 2 방향)으로 밀면 상기 연결 부재(562)가 도면 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전달 돌기(519)가 상기 연결 부재(562)의 공간부(563)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지속적으로 인입되면, 상기 전달 돌기(519)는 상기 리어 바디(563c)를 밀어, 상기 연결 부재(562)가 상기 수납 부재(510)와 함께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상기 연결 부재(562)와 함께 상기 제 1 랙(557)이 상기 제 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전달 기어(552)는 도면 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전달 기어(552)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 제 2 랙(554)은 상기 제 1 방향으로 직선 운동한다.
그러면, 상기 커버 부재(580)가 상기 제 2 랙(554)과 함께 상기 제 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수납 공간(511)을 닫게 된다.
상기 수납 부재(510)가 상기 인출 완료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제 1 롤러(525)가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을 만나면, 상기 경사면(541b, 542b)에 의해서 상기 수납 부재(510)가 하강하면서 상기 인출 완료 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수납 부재(510)를 미는 힘이 없어도 상기 경사면(541b, 542b)은 상기 수납 부재(510)가 자동으로 상기 인출 완료 위치로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도 20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전달 기어(552)의 회전축을 수직하게 지나는 가상선(A1)은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50)의 후단 보다 전단에 가깝게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무게 중심(C2)과 상기 커버 부재(580)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전달 기어(552)의 회전축을 수직하게 지나는 가상선(A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본 명세서에서 가상선(A1)의 "전방"은 상기 가상선(A1)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전면을 향하는 방향이고, "후방"은 상기 가상선(A1)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후측벽을 향하는 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수납 부재(510)의 무게 중심(C2)이 상기 커버 부재(580)의 무게 중심(C1) 보다 상기 가상선(A1)에 가깝게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전달 돌기(519) 및 상기 연결 부재(562)는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커버 부재(580)의 후단부는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커버 부재(580)의 리브(282)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도 20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수납 부재(510)의 제 1 롤러(525)가 상기 가이드 레일(540)의 경사면(541b, 542b)에 진입하는 시점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무게 중심(C2)과 상기 커버 부재(580)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가상선(A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 부재(510)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커버 부재(580)의 무게 중심(C2)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도 20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커버 부재(580)가 개방 완료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수납 부재(510)의 무게 중심(C2)은 상기 가상선(A1) 보다 전방에 위치된다. 반면, 상기 커버 부재(580)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가상선(A1) 보다 후방에 위치된다.

Claims (22)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를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인너 케이스의 양측벽에 각각 설치되는 서포터 어셈블리;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에 지지되며 수납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저장실에서 인출입될 수 있는 수납 부재; 및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에 연결되며, 상기 수납 공간을 커버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인출입 시 상기 수납 부재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커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는 양측벽에서 후단부에 가깝게 설치되는 제 1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 어셈블리는, 상기 제 1 롤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는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제 1 가이드부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상방에 위치되어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함께 상기 공간을 형성하는 제 2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가이드 레일의 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에 의해서 지지되고,
    상기 제 1 가이드부는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과정에서 상기 수납 부재가 하강하도록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가이드부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제 1 가이드부와 경사면과 상기 제 2 가이드부의 경사면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각 가이드부의 경사면에서 연장되는 수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각 가이드부의 수평부가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수평부의 길이는 상기 제 1 롤러의 반경 보다 작은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가 인입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양측벽에서 돌출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포터는, 상기 가이드 돌출부를 지지하는 제 2 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될 때, 상기 제 2 롤러가 접촉되는 경사 리브를 포함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리브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냉장고.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돌출부는, 하측 리브와, 상기 하측 리브와 이격되는 상측 리브와,
    상기 하측 리브와 상기 상측 리브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하측 리브는 상기 경사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경사 리브는 상기 상측 리브의 전단부와 연결되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양측에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연결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로 전달하는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수납 부재 사이에 갭이 존재하도록 하는 스페이서 리브가 구비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리브는 상기 커버 부재 및 상기 연결 프레임 중 하나 이상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수납 부재의 양측의 측벽 각각의 상면에 안착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의 측벽 각각은,
    상면이 수평한 제 1 벽과,
    상기 제 1 벽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상면이 하향 경사지는 경사벽과,
    상기 경사벽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면이 수평한 제 2 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롤러가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에 접촉될 때, 상기 스페이서 리브는 상기 경사벽에 접촉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벽의 상면의 경사 각도는 상기 제 1 가이드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냉장고.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는, 상기 수납 부재의 이동력을 상기 커버 부재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 부재는 상기 전달 유닛에 연결되기 위한 전달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유닛은, 상기 수납 부재의 전달 돌기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와,
    상기 연결 부재와 연결되는 제 1 랙과,
    상기 제 1 랙과 맞물리는 전달 기어와,
    상기 전달 기어와 맞물리며 상기 커버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랙을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는, 인입 완료 위치에서 인출 완료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수납 부재의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전달 기어의 회전축을 수직하게 지나는 가상선(A1)은 상기 팬트리 어셈블리의 후단 보다 전단에 가깝게 위치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의 무게 중심(C2)과 상기 커버 부재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가상선(A1) 보다 전방에 위치되고,
    상기 전달 돌기 및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17. 제 14 항 또는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는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상기 커버 부재의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브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부재가 상기 인입 완료 위치에서 상기 인출 완료 위치로 이동하기 전에 상기 커버 부재가 개방 완료 위치로 이동하고,
    상기 커버 부재의 개방 완료 위치에서, 상기 커버 부재의 무게 중심(C1)은 상기 가상선(A1)의 후방에 위치되는 냉장고.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랙은, 상기 연결 프레임과 연결되도록 하며, 후크 홀을 구비하는 커버 결합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커버 결합 리브가 수용되는 슬롯과, 상기 슬롯에 수용된 상기 커버 결합 리브의 후크 홀에 걸리기 위한 프레임 후크를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제 1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개구와 상기 후크 홀과 정렬되는 제 2 개구를 포함하는 냉장고.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결합 후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프레임은, 상기 결합 후크가 결합되기 위한 결합홀을 구비하는 결합벽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80102319A 2018-08-29 2018-08-29 냉장고 KR1025502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19A KR102550259B1 (ko) 2018-08-29 2018-08-29 냉장고
US16/545,716 US10928123B2 (en) 2018-08-29 2019-08-20 Refrigerator
EP19193835.6A EP3617627B1 (en) 2018-08-29 2019-08-27 Refrigerator
US17/140,985 US11371772B2 (en) 2018-08-29 2021-01-04 Refrigerator
US17/747,143 US11732957B2 (en) 2018-08-29 2022-05-18 Refrigerator
KR1020230082328A KR102620184B1 (ko) 2018-08-29 2023-06-27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2319A KR102550259B1 (ko) 2018-08-29 2018-08-29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328A Division KR102620184B1 (ko) 2018-08-29 2023-06-27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5251A true KR20200025251A (ko) 2020-03-10
KR102550259B1 KR102550259B1 (ko) 2023-07-03

Family

ID=6777706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2319A KR102550259B1 (ko) 2018-08-29 2018-08-29 냉장고
KR1020230082328A KR102620184B1 (ko) 2018-08-29 2023-06-27 냉장고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2328A KR102620184B1 (ko) 2018-08-29 2023-06-27 냉장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3) US10928123B2 (ko)
EP (1) EP3617627B1 (ko)
KR (2) KR1025502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0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42395C2 (en) * 2018-01-31 2020-04-21 Ikea Supply Ag A drawer slide for guiding a drawer in a cabinet
KR102539114B1 (ko) * 2018-08-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50259B1 (ko) * 2018-08-29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298A (ko) *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28060A (ko) * 2007-09-13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109297A (ko) * 2008-04-15 2009-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21536A (ko) * 2013-04-05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64694A (ko) * 2014-11-28 201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70112654A (ko) * 2016-04-0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20170138321A (ko) * 2016-06-07 2017-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8856A (en) * 1904-03-22 1905-05-02 John Oswald Clothing-table.
US4173378A (en) * 1978-07-31 1979-11-06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frigerator sealed food storage drawer
US4732435A (en) * 1986-11-07 1988-03-2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crisper drawer structure
KR100957271B1 (ko) * 2003-04-11 2010-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김치냉장고 드로어용 레일
GB2398355B (en) * 2003-09-05 2004-12-29 Applied Design & Eng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als
CN2731373Y (zh) * 2004-09-06 2005-10-05 伊莱克斯(中国)电器有限公司 一种保鲜果菜盒
KR101233200B1 (ko) * 2006-04-14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박스 출납구조
US20070262686A1 (en) * 2006-05-10 2007-11-15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0846263B1 (ko) 2007-07-30 2008-07-16 동양매직 주식회사 식기 세척기의 랙 높이조절장치
KR100906882B1 (ko) * 2007-11-05 2009-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냉장고의 레일 어셈블리 및 냉장고 도어 정렬방법
KR101554852B1 (ko) * 2008-03-06 2015-09-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761739B1 (ko) * 2010-04-21 2017-07-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용 수납서랍을 구비한 냉장고
US8936332B2 (en) * 2011-10-04 2015-01-2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WO2014201615A1 (zh) 2013-06-18 2014-12-24 海信容声(广东)冰箱有限公司 一种用于果蔬室的抽屉结构
JP5980355B2 (ja) 2015-01-30 2016-08-3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伸縮構造、及びこれを用いたパンツタイプ使い捨ておむつ
WO2016187255A1 (en) * 2015-05-18 2016-11-2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rawer system including cover
KR101651916B1 (ko) 2015-05-27 2016-08-29 (주)세고스 서랍형 용기부의 틸팅 장치
EP3358282B1 (en) 2015-10-02 2020-08-19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2550259B1 (ko) * 2018-08-29 2023-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539114B1 (ko) * 2018-08-29 2023-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2298A (ko) * 2004-01-06 2005-07-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028060A (ko) * 2007-09-13 2009-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090109297A (ko) * 2008-04-15 2009-10-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40121536A (ko) * 2013-04-05 2014-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64694A (ko) * 2014-11-28 201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수납 박스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70112654A (ko) * 2016-04-01 2017-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장치
KR20170138321A (ko) * 2016-06-07 2017-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8200A (ko) * 2021-07-29 2023-02-07 (주)세고스 선반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275996A1 (en) 2022-09-01
US20200072537A1 (en) 2020-03-05
US11732957B2 (en) 2023-08-22
EP3617627B1 (en) 2021-07-07
US11371772B2 (en) 2022-06-28
KR102550259B1 (ko) 2023-07-03
EP3617627A1 (en) 2020-03-04
US10928123B2 (en) 2021-02-23
KR102620184B1 (ko) 2024-01-03
KR20230101780A (ko) 2023-07-06
US20210123668A1 (en) 2021-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20184B1 (ko) 냉장고
KR102658254B1 (ko) 냉장고
US10935306B2 (en) Refrigerator
KR102440261B1 (ko) 냉장고
KR20200025250A (ko) 냉장고
US10203152B2 (en) Refrigerator
CN107454934B (zh) 冰箱
EP2175218B1 (en) Refrigerator
US8328302B2 (en) Refrigerator draw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2256444B1 (en) Refrigerator with height-adjustable receiving apparatus
KR102472387B1 (ko) 냉장고
US11920859B2 (en) Refrigerator
KR20170052410A (ko) 냉장고
KR101894879B1 (ko) 냉장고
KR20170138321A (ko) 냉장고
KR100513681B1 (ko) 냉장고
KR101432292B1 (ko) 냉장고
KR101662942B1 (ko) 냉장고
WO2023157216A1 (ja) 冷蔵庫
KR20220153546A (ko) 냉장고
KR20090132286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