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978A - Sink with Auxiliary Sink - Google Patents

Sink with Auxiliary Sin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978A
KR20200023978A KR1020180100557A KR20180100557A KR20200023978A KR 20200023978 A KR20200023978 A KR 20200023978A KR 1020180100557 A KR1020180100557 A KR 1020180100557A KR 20180100557 A KR20180100557 A KR 20180100557A KR 20200023978 A KR20200023978 A KR 202000239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
auxiliary
dishes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05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호현
Original Assignee
이호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호현 filed Critical 이호현
Priority to KR1020180100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3978A/en
Publication of KR2020002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97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06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for incorporating sinks, with or without draining boards, splash-back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77/00Kitchen cabinets
    • A47B77/0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 A47B77/14Provision for particular uses of compartments or other parts ; Compartments moving up and down, revolving parts by incorporation of racks or supports, other than shelves, for household utensi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with an auxiliary sink, comprising: a sink body having side plates having a prescribed height from edges of a bottom plate having a prescribed size to be formed to contain objects to be washed; the auxiliary sink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ink body to have a prescribed space to contain relatively small objects to be washed such as forks, spoons, chopsticks, and knives; and a storage container formed to be inserted 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sink. Relatively small bowls, dishes, spoons, chopsticks, knives, forks, etc. can be separately held on one side of the sink body. The objects to be washed can be held in the auxiliary sink or the storage container to be firstly washed. The objects to be washed can be cleanly washed and dish-washing time can be shortened by secondly washing the objects to be washed after firstly washing the objects to be washed.

Description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Sink with Auxiliary Sink}Sink with Auxiliary Sink

본 발명은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설거지 대상인 수저, 젓가락, 포크 등을 보조개수대에 수납하여 둠으로써 1차로 식기를 세척한 다음 2차로 세적하여 설거지를 보다 빠르고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며, 요리를 할 때 손질하고 다듬은 모든 재료들(양파, 당근, 감자 등 각종 야채와 채소뿐만 아니라 육류와 생선류 등)의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손질하지 않은 재료와 격리 보관함과 동시에 재료에 묻은 물을 자연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ink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sink, and more particularly, by storing the cutlery, chopsticks, and fork, etc., which are to be washed in the auxiliary sink, washing the dishes firstly and then washing the dishes in the second to make the dishes faster and cleaner. It can be cleaned and prevents food waste from all the trimmed and trimmed ingredients (such as onions, carrots, potatoes, and other vegetables and vegetables, as well as meat and fish) from being drained. And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sump to allow for natural drying of the water on the material at the same time.

일반적으로 식당이나 가정의 주방에서는 설거지나 채소를 씻기 위하여 싱크대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싱크대는 주방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제작되어 설치된다.In general, the kitchen or the kitchen of the kitchen is provided with a sink for washing dishes or vegetables, such a sink is produced and install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shape and size of the kitchen.

상기 싱크대에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태로 구성되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있게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 저장하여 사용하고, 사용을 마친 물은 하부로 배수시킬 수 있는 배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개수통이 설치된다.The sink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tainer with an open upper portion to temporarily receive and use water to wash dishes and the like, and is provided with a water reservoir having a drain hole formed to drain the used water to the lower portion.

도 1은 일반적인 싱크대 개수통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리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싱크대 개수통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typical sink basin.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ink sink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먼저 싱크대용 개수통(10)은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부를 갖는 상부가 개방된 용기 형상으로 이루어진다.First, the sink 10 for the sink is formed in a container shape having an upper portion having an inner space so as to accommodate water therein.

이러한 개수통의 하부로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된 배수가(14)가 연결 설치되는데, 상기 배수구(14)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개수통의 바닥면에는 배수홀이 형성되고, 그 배수홀의 테두리부에는 단턱(12)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에 상기 배수구의 상측 테두리부가 안착되는 형태로 설치된다.A drainer 14 is provided to connect water to a lower portion of the water tank. The drainage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so as to install the water drain 14, and the edge of the water drain hole is stepped. 12 is formed is installed in the form that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drain port is seated on the step.

이때 상기 배수구의 상측 테두리부와 개수통의 바닥면은 가능하면 동일면 상에 위치도게 설치하여 물이 고이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게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턱에 안착된 배수구의 사이에는 실리콘 등을 처리하여 물의 누수를 방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upper edge of the drain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is preferably installed on the same surface as possible so that the water can be smoothly drained without accumulation. And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leakage of water by treating the silicon or the like between the drain seat seated on the step.

또한 상기 배수구(14)의 내부에는 개수통에서 세척시 발생된 음식물 쓰러기 등을 걸러낼 수 있는 거름망(22)이 설치되는데, 이 거름망은 원형으로 형성됨이 좋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drain 14 is provided with a strainer 22 that can filter the food waste generated during the washing in the bucket, the strainer is preferably formed in a circular shape.

그리고 상기 개수통의 바닥면에 형성됨과 아울러 배수구의 상측 테두리부보다 크게 배수구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안착홈(16)이 더 형성되어 있다.And 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water tank and the seating groove 16 is further formed to be located to the outside of the drain opening larger tha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drain.

이 안착홈(16)에는 상기 마개(20)가 안착되어 배수구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상기 마개(20)와 안착홈(16)은 배수구(14)의 외측 테두리부 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 배수구의 연결부를 덮을 수 있어, 그 배수구의 연결부를 통해 물이 누수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seating groove 16 is seated in the seating groove 16 so as to open and close the drain hole, the stopper 20 and the seating groove 16 is formed larger than the outer edge of the drain hole 14 of the drain hole The connection portion can be covered, so that water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through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drain.

또한 상기 안착홈(16)과 마개(20)는 상기 배수구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짐이 좋고,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seating groove 16 and the stopper 20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drain, it may be made in a variety of shapes, such as circular or oval.

이러한 개수통(10)에 물을 일시적으로 수용 저장하며, 이렇게 물이 담긴 개수통에는 음식물 등 다양한 오염물질이 담기게 된다. 따라서 여러 번 반복하여 개수통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오염물질이 다량 묻어서 오염되며, 이러한 오염물질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아니라, 위생상으로도 많은 문제점을 발생시킨다.Water is temporarily accommodated and stored in the water container 10, and the water containing water can contain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food.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the water container repeatedly, the surface is polluted with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nd these contaminants are not only aesthetically pleasing, but also cause many problems in hygiene.

또한 상기 개수통에서는 금속 또는 도자기 소재로 이루어진 식기, 조리 도구 등 높은 경도를 가지는 도구를 세척하거나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계속적인 사용과정에서 개수통의 표면이 긁혀서 발생하는 스크래치가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water bottle is often used to wash or use a tool having a high hardness, such as a tableware, cooking utensils made of metal or porcelain material, there is a problem that a lot of scratches generated by scratching the surface of the water bottle in the continuous use process have.

이러한 스크래치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통(10)의 표면이 손상되어 미세한 홈(18)이 형성되는 것이므로, 전술한 오염물질(11)이 더욱 많이 잔존하게 되고, 일정한 깊이의 홈에 오염물질이 잔존하므로 청소과정에서 제거가 더욱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As shown in FIG. 2, since the scratched part is damaged and the surface of the water bottle 10 is formed to form a fine groove 18, the above-described contaminants 11 remain more, and the grooves of a predetermined depth remain. Since contaminants remain, there is a problem that removal becomes more difficult during the cleaning process.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보조작업판이 구비된 싱크대'가 개시되어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orking plate.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보조작업판이 구비된 싱크대는 배수구가 설치된 개수대의 일측 또는 양측면에 작업판이 형성된 싱크대상판의 하단에는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몸체가 설치되고, 작업판의 하단으로는 작업판을 관통하는 인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보조작업판이 설치된 권취축이 형성되고, 바닥면의 중앙이 하측으로 낮아지도록 경사를 이룬 후 배수공이 형성된 권취실로 이루어진 싱크대에 있어서, 상기 권취축은 양끝단에 스파이럴 스프링이 구비된다.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working plate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has a body having a storage space formed therein at the lower end of the sink target plate in which the working plate is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ink in which the drain hole is installed, and the working plate at the bottom of the working plate. In the sink formed through the take-out opening, the winding shaft is installed inside the auxiliary working plate is formed, the inclined so that the center of the bottom is lowered to the lower side, the sink consisting of a winding chamber formed with drainage holes, the winding shaft is spiral spring at both ends Is provided.

상기 보조작업판은 권취축에 말단이 고정된 후 권취축의 둘레방향으로 감기며, 타단은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인출구에 고정되되, 육면체형으로 일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회동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동돌기가 형성된 일측면과 대응되는 타측면에 통공이 구비된 회동홈이 형성된 다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회동돌기와 회동홈의 통공을 회동핀이 끼워져 힌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working plate is fixed to the winding shaft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winding shaft after the end is fixed to the winding shaft,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outlet by forming a fixing projection, the hexahedral is formed with a rotating projection provided with a hole on one side, Rotating pins are hinged through the through-holes of the rotating protrusion and the rotating groove so that a plurality of plates having a rotating groove provided with the through hole on the other side corresponding to one side of the rotating protrusion are rotatable with each other.

상기 권취실의 내측 일면에는 자외선램프가 형성되고, 상기 개수대의 측면으로 보조작업판을 인출시 보조작업판에 형성된 고정돌기가 끼워져 고정시키도록 형성된 고정홈을 포함한다.An ultraviolet lamp is formed on one inner side of the winding chamber, and includes a fixing groove formed to fix and fix a fixing protrusion formed on the auxiliary working plate when the auxiliary working plate is drawn out to the side of the sink.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싱크대의 포켓보올'이 개시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sink bowl pocket.'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싱크대의 포켓보올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부에 장착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대하여 하방으로 설치되며 일정한 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식기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일측에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의 테두리가 내하부 방향으로 절곡되는 개수대와 그리고 상기 고정홀의 테두리를 외측방향으로부터 감싸도록 장착되어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켓보올을 포함한다.The pocket bowl of the sink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2 has a main body, an upper plate mounted on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is install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upper plate and has an internal space of a predetermined size to wash dishes and the like. The fixing hole is formed in the sink and the border of the fixing hole is bent in the inner direction and includes a pocket bowl which is mounted to surround the border of the fixing hole from the outside direction to prevent water leakage.

대한민국 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2009-0006592호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09-0006592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18566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18566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333071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333071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0284176호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284176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싱크대는 수저, 포크, 나이프 등의 설거지 대상물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설거지 대상물을을 싱크대의 일측에 수납할 수 없고, 설거지 대상물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설거지 대상물은 비교적 크기가 큰 그릇, 접시 등을 세척한 다음에 세척하게 되어 설거지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리게 되며, 설거지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sink according to the prior art can not accommodate the dishwashing objects of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cutlery, fork, knife, etc. on one side of the sink, relatively small dishwashing objects of the dishes are relatively large bowl, After washing the dishes and the like to wash the dish takes a relatively long time, there was a problem that can not save the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거지 대상물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 등을 1차 세척한 다음 2차로 세척하여 줌으로써 보다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to wash the fork, cutlery, chopsticks, knives, etc. of relatively small size of the dishes to be cleaned by secondary cleaning to give a second It is to provide a sink provided with a sink.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설거지에 사용되는 물을 절약하여 설거지에 사용되는 물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sink that can reduce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by saving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측판으로 이루어져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수대 본체;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 본체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개수대; 상기 보조개수대 내면에 투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관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id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made of a predetermined size sink body formed so as to accommodate the dish washing object; An auxiliary water tank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in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ink body to accommodate a relatively small size of dishes such as fork, spoon, chopsticks and knif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storage container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reservoi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측판으로 이루어져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수대 본체;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 본체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개수대; 상기 보조개수대 내면에 투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관통;을 포함하며, 상기 개수대 본체는 상기 바닥판에 상기 보조개수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설치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id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made of a predetermined size sink body formed so as to accommodate the dish washing object; An auxiliary water tank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in a lower portion of one side of the sink body to accommodate a relatively small size of dishes such as fork, spoon, chopsticks and knife; And a storage container which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sink, wherein the sink main body includes an installation hole formed to insert the auxiliary reservoir into the bottom plate.

상기 보조개수대는 상기 개수대 본체의 일단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1 측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측판; 상기 제2 측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측판; 상기 제1 측판 내지 제3 측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uxiliary counter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ly at one end of the counter main body;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side plate; A third side plate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s; A bottom plat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side plates; And an auxiliary drain pipe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상기 보관?은 상기 보조개수대의 내면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보관통측판; 상기 보관통측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보관통바닥판; 상기 보관통측판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뚜껑; 상기 보관통이 상기 보조개수대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관통바닥판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Storage barrel side plat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reservoir; A storage bottom plat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ide plate; A li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ylinder side plate;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bottom plate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maintains a distance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unit by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보관통측판은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이 수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torage barrel side plate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accommodate the relatively small size of dishes such as forks, spoons, chopsticks, knives;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s on the vertical frame;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so that dishes of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forks, spoons, chopsticks and knives, can be stably placed.

상기 뚜껑은 상기 보조개수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d is a lid body made of a size that can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mp; And a handl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d body to open and close the lid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의하면, 개수대 본체의 일측에 비교적 크기가 작은 그릇, 접시, 수저, 젓가락, 나이프, 포크 등을 별도로 담아둘 수 있고, 이들 설거지 대상물을 보조개수대 또는 보관통에 담아 1차 세적을 할 수 있으며, 이들 설거지 대상물을 1차 세척 후 2차로 세척함에 따라 설거지 대상물의 세척을 보다 청결하게 함은 물론 설거지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elatively small bowl, plate, cutlery, chopsticks, knife, fork and the like can be separately stored on one side of the sink body, and the objects of these dishes are The first washing can be carried out in an auxiliary water basin or storage container, and the washing of the dishes is performed secondly after the first washing, and thus the washing time of the dishes is not only cleaner, but the washing time can be shortened.

본 발명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의하면, 보조개수대에 보조배수관이 설치되어 보조개수대에 물이 채워지도록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보조개수대 또는 보관통의 상면을 뚜껑으로 개폐시켜 설거지에 따른 물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으며, 보관통에 보관통손잡이가 형성되어 보관통을 편리하게 꺼낼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According to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drain pipe is installed in the auxiliary sink can be freely adjusted so that the water is filled in the auxiliary tank, and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washing the dishes by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tank or storage container with a lid It is possible to reduce, and the storage handle is formed in the storage container to obtain the effect that the storage container can be conveniently taken ou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에 의하면, 요리를 할 때 손질하고 다듬은 모든 재료들(양파, 당근, 감자 등 각종 야채와 채소뿐만 아니라 육류와 생선류 등)의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배수구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손질하지 않은 재료와 격리 보관함과 동시에 재료에 묻은 물을 자연 건조시킬 수 있고, 칼, 포크, 수저, 젓가락, 국자 등이 그릇 사이에 섞여 있어 설거지 시 이들을 분리해야 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칼 등을 별도로 수납함으로써 칼에 베이는 등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ink equipp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food waste of all the trimmed and polished ingredients (such as onions, carrots, potatoes, as well as meat and fish, etc.) to fall into the drain It also prevents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them when washing dishes, as well as uncleaned and segregated containers, and allows the water to dry naturally on the ingredients, while knives, forks, cutlery, chopsticks, and ladles are mixed between the dishes. In addition, by storing the knife and the like separately, the effect of eliminating the risk of the back of the knife is obtained.

도 1은 종래의 싱크대용 개수통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종래의 싱크대용 개수통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보관통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보관통을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보관통을 도시한 단면도.
1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nk for the sink,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ink for the sink,
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of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of a sink provided with a supplementary wa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stereoscopic view showing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bottom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sink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stereoscopic view showing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of a sink equipped with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바닥판(111)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측판(112)으로 이루어져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수대 본체(100),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개수대(200),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내면에 투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관통(300)을 포함한다.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ide plate 11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111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sink body formed to accommodate an object for washing dishes ( 100), fork, cutlery, chopsticks, the auxiliary sink 20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on the lower side of one side of the sink body 100 to accommodate the relatively small size of dishes such as knife, the auxiliary sink ( It includes a storage container 30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20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설거지가 이루어지는 개수대(100)의 일측 하부에 보조개수대(200)를 형성하여 보조개수대(200)에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을 담아 물에 의해 1차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 다음에 포크 등의 설거지 대상물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sink 100, the dish sink 100 is made of a relatively small, such as fork, cutlery, chopsticks, knife in the auxiliary sink 200 Place a dishwashing object of size so that the washing is done first by water, and then wash the dishes.

<제1 실시 예><First Embodiment>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3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coun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개수대 본체(100)와 상기 개수대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는 보조개수대(200) 및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공간 내부에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 등을 수납하는 보관통(30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nk body 100 made of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auxiliary sink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below one side of the sink body 100 200 and the storage container 300 for storing a fork, cutlery, chopsticks, knife, etc. in the interior of the auxiliary water sink 200.

상기 개수대 본체(100)는 싱크대의 크기에 따라 각각 다른 크기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개수대 본체(100)는 일정 크기를 갖는 사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11)과 상기 바닥판(111)의 테두리에 소정의 높이를 갖는 측판(112)으로 형성된다.The sink main body 100 is made of a different siz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sink, the sink main body 100 is formed on the edge of the bottom plate 111 and the bottom plate 111 having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It is formed of a side plate 112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아울러 개수대 본체(100)의 바닥판(111)에는 싱크대에 저장된 물의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배수관(113)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111 of the sink body 100 is provided with a drain pipe 113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sink is made.

즉, 상기 개수대 본체(100)는 설거지 대상물을 물에 담아둘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바닥판(111)과 측판(112)을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설거지 대상물과 함께 소정량의 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sink main body 10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ttom plate 111 and the side plate 112 in order to hold the object to wash dishes, to accommodate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with the object to wash dishes The upper surface is made in an open form.

한편 상기 배수관(113)은 개수대 본체(100)의 중앙에 설치되거나 일측에 치우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수관(113)은 보조개수대(200)를 제외한 개수대 본체(100)의 중앙에 설치되어 개수대 본체(100) 내부의 물의 배수가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Meanwhile, the drain pipe 113 may b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ink body 100 or biased at one side. That is, the drain pipe 113 is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ink body 100 except for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so that the drainage of the water in the sink body 100 is made more smoothly.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개수대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는 소정의 공간을 갖는 보조개수대(200)가 일체로 형성된다.As shown in FIGS. 3 and 4,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tank 200 having a predetermined space is integrally formed under one side of the sink main body 100.

상기 보조개수대(200)는 상기 개수대 본체(100)의 일단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판(211), 상기 제1 측판(211)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1 측판(211)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측판(212), 상기 제2 측판(212)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측판(213), 상기 제1 측판(211) 내지 제3 측판(213)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판(214), 상기 바닥판(214)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배수관(215)을 포함한다.The auxiliary sink 200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side plate 211 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211 and the first side plate 211, which extends downwardly at one end of the sink body 100, respectively. A pair of second side plate 212, the third side plate 213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 212, the bottom plat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211 to the third side plate 213 214, the auxiliary drain pipe 215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214).

상기 보조개수대(200)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접시, 그릇, 포크, 나이프, 수저, 젓가락 등의 설거지 대상물을 일시적으로 담아둘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된다.The auxiliary sink 200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space so as to temporarily store the dishes, such as a relatively small plate, bowl, fork, knife, cutlery, chopsticks.

이러한 보조개수대(200)는 개수대 본체(100)의 물이 저장되도록 상면이 개방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보조개수대(200)는 개수대 본체(100)에 채워지는 물이 보조개수대(200)와 함께 채워지도록 개수대 본체(100)의 일측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다.The auxiliary water tank 200 is formed in an open shape so that the top surface of the sink body 100 is stored. That is, the auxiliary sink 20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lower portion of the sink body 100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sink body 100 is filled together with the auxiliary sink 200.

상기 보조개수대(200)는 바닥판(111)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높이로 제1 측판(211), 상기 제1 측판(211)의 양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측판(212)과 상기 한 쌍의 제2 측판(212)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측판(213) 및 이들 측판(211, 212, 213)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판(214)으로 이루어진다.The auxiliary repair stand 200 has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212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211 and the first side plate 211 at a predetermined height under one side of the bottom plate 111. It consists of the 3rd side plate 213 formed between a pair of 2nd side plate 212, and the bottom plate 214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of these side plates 211, 212, and 213. As shown in FIG.

이러한 보조개수대(200)는 제1 측판(211), 한 쌍의 제2 측판(212) 및 제3 측판(213)에 의해 상면이 개방된 소정의 공간으로 형성되며, 물의 누수가 발생되지 않도록 상기 개수대 본체(100)와 일체로 형성된다.The auxiliary sink 200 is formed as a predetermined space having an upper surface opened by the first side plate 211, the pair of second side plates 212, and the third side plate 213, so that water leakage does not occur. It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sink body (100).

아울러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저면에는 보조개수대(200)에 소정량의 물이 채워지도록 바닥판(214)이 일체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plate 214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tank 200 so that a predetermined amount of water is filled in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tank 200.

상기 바닥판(214)에는 보조개수대(200)에 채워진 물이 배수되도록 보조배수관(215)이 설치되며, 상기 보조배수관(215)의 일단은 바닥판(214)에 연결되고, 보조배수관(215)의 타단은 배수관(113)에 연결된다.The bottom plate 214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drain pipe 215 so that the water filled in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is drained, one end of the auxiliary drain pipe 215 is connected to the bottom plate 214, the auxiliary drain pipe 215 The other end of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13).

즉, 상기 보조배수관(215)은 대략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보조개수대(200)에 채워진 물을 배수시킴에 따라 배수관(113)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도록 연결한다.That is, the auxiliary drain pipe 21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b' shape is connected to drain to the drain pipe 113 as it drains the water filled in the auxiliary tank 200.

한편 배수관(113) 및 보조배수관(215)에는 각각 설거지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걸러지도록 걸름망(미도시) 등이 설치됨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drain pipe 113 and the auxiliary drain pipe 215, respectively, of the filtering net to filter food waste by washing dishes is installed, of course.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보관통을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다.FIG. 5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orage container of a sink provided with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통(300)은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내면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보관통측판(311), 상기 보관통측판(311)의 저면에 형성되는 보관통바닥판(312), 상기 보관통측판(311)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뚜껑(315), 상기 보관통(300)이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관통바닥판(312)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돌기(313)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storage container 300 has a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311 formed to correspond to an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collection unit 200, and a storage container bottom plate 312 formed at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311. ), The lid 315 which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side plate 311, the storage container 300 to maintain the interval by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reservoir 200 ( And a support protrusion 313 protruding from the bottom of the 312.

상기 보관통(300)은 보조개수대(200)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형성됨은 물론 접시, 그릇, 수저, 포크, 나이프, 젓가락 등과 같은 비교적 크기가 작은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The storage container 300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uxiliary sink 200, as well as to accommodate relatively small dishes such as plates, bowls, cutlery, forks, knives, chopsticks, and the like.

즉, 보관통(300)은 개수대 본체(100)에 채워진 물에 의해 항상 잠긴 상태를 유지시켜 줌으로써, 비교적 크기가 작은 접시, 그릇, 나이프 등의 설거지 대상물이 물에 잠겨 1차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보관통(300)을 보조개수대(200) 내부에 투입시키거나 한꺼번에 설거지 대상물을 꺼내거나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That is, the storage container 300 is always kept in a locked state by the water filled in the sink body 100, the object to wash dishes such as dishes, bowls, knives, relatively small in size so as to be washed first. , The user to put the storage container 300 inside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as needed or to remove or put the object to wash dishes at once.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보관통(300)은 보조개수대(20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내측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 보관통측판(311)과 상기 보관통측판(311)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보관통바닥판(312) 및 상기 보관통(3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는 뚜껑(315)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storage container 30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shape of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tank 200, and the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311 and the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tank 200. A storage bottom plate 312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311 and the lid 3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300.

상기 보관통측판(311)은 보조개수대(200)의 내측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보조개수대(2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관통측판(311)은 보조개수대(200)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The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311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auxiliary container 200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200, the storage cylinder side plate 311 is formed in a size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200. do.

아울러 보관통측판(311)의 저면에는 크기가 작은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보관통바닥판(312)이 형성되며, 상기 보관통바닥판(312)에는 물이 배수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배수구멍(312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ide plate 311 is formed with a storage bottom plate 312 to accommodate a small dish washing object, the storage bottom plate 312 a plurality of drain holes 312a at regular intervals to drain the water. ) Is formed.

또 보관통바닥판(312)의 저면에는 보관통(300)이 보조개수대(200)로부터 소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받침돌기(313)가 형성되며, 상기 받침돌기(313)는 보관통바닥판(312)의 저면에 다수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storage container bottom plate 312 is formed with a support protrusion 313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300 maintains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auxiliary water collection unit 200, and the support protrusion 313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bottom plate 312. Formed in large numbers.

상기 보관통측판(311)의 내측에는 보관통(300)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내측으로 돌출된 보관통손잡이(314)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관통손잡이(314)는 보관통측판(311)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Inside the storage side plate 311 is formed with a storage handle 314 protruding inward so that the storage 300 is easily taken out. The storage handle 314 may be formed on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storage side plate 311.

상기 뚜껑(315)은 보관통(300)의 상면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보조개수대(200)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킴은 물론 내부에 수용된 설거지 대상물을 은폐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lid 315 is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300,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auxiliary reservoir 200 as necessary, as well as to conceal the dishes to be contained therein.

상기 뚜껑(315)은 보조개수대(20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로 형성되는 뚜껑본체(316)와 상기 뚜껑본체(316)를 파지할 수 있도록 뚜껑본체(316)의 상면에 손잡이(317)로 이루어진다.The lid 315 is made of a handle 317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body 316 to hold the lid body 316 and the lid body 316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

상기 뚜껑본체(316)는 보조개수대(200)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금속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뚜껑본(316)의 상면에는 뚜껑(315)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손잡이(317)가 설치되며, 상기 손잡이(317)는 뚜껑본체(316)의 상면에 고정된 걸림고리(31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lid body 316 is formed of a metal or synthetic resin material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200, the handle on the top surface of the lid 316 to open and close the lid 315 smoothly 317 is installed, the handle 317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ook 318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lid body 316.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보관통을 도시한 입체도이다.FIG. 6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orage container of a sink having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stereogram.

도 6 및 도 7은 보관통(3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보관통(300)은 바닥면 및 측면이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진다.6 and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torage container 300, the storage container 300 is formed in the form of the bottom and side open.

상기 보관통(300)은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이 수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321), 상기 수직프레임(321)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322), 상기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상기 수직프레임(321)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프레임(323)을 포함한다.The storage container 30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21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uch that fork, cutlery, chopsticks, knives, relatively small sized dishes are received at regular intervals, the vertical frame 321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323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321 so that a plurality of relatively small size dishes such as the fork, cutlery, chopsticks, knife, etc. are stably placed. It includes.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보관통(300)은 보조개수대(200)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갖는 다수의 수직프레임(321)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상기 수직프레임(321)에는 일정한 높이 간격으로 다수의 수평프레임(322)을 고정한다.6 and 7, the storage container 300 is arranged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321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height of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at regular intervals, the vertical frame 321 a constant height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322 are fixed at intervals.

즉, 수직프레임(321)과 수평프레임(322)은 격자 구조를 갖는 형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수직프레임(321)의 저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받침프레임(323)이 고정된다.That is, the vertical frame 321 and the horizontal frame 322 are fixed in a shape having a lattice structure, and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323 are fixed to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321 at regular intervals.

아울러 상기 수평프레임(322)의 내측에는 보관통(300)을 보조개수대(200)로부터 꺼낼 수 있도록 보관통손잡이(324)가 형성된다.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horizontal frame 322, the storage container handle 324 is formed so that the storage container 300 can be taken out from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다음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operat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sink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10.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8 is a cross-sectional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ink with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ink with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three-dimensional view, and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collect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설거지를 할 수 있도록 소정의 크기로 형성된 개수대 본체(100)의 일측에 보조개수대(200)를 일체로 형성한다.As shown in FIGS. 3 to 10,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grates the auxiliary sink 200 on one side of the sink body 100 having a predetermined size so as to wash dishes. To form.

이러한 보조개수대(200)는 제1 측판(211), 제2 측판(212) 및 제3 측판(213)을 소정의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제1 측판(211), 제2 측판(212) 및 제3 측판(213)의 저면에 바닥판(214)을 일체로 형성한다.The auxiliary repair table 200 forms a first side plate 211, a second side plate 212, and a third side plate 213 to a predetermined height, and the first side plate 211, the second side plate 212, and The bottom plate 214 is integrally formed on the bottom of the third side plate 213.

아울러 보조개수대(200)의 저면에는 보조개수대(200)에 채워진 물을 배수시킬 수 있도록 보조배수관(215)을 개수대 본체(100)의 배수관(113)에 연결한다.In additi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sink 200 is connected to the drain pipe 113 of the sink main body 100 so that the auxiliary drain pipe 215 to drain the water filled in the auxiliary tank 200.

상기 보조개수대(200)에는 나이프, 포크, 수저, 젓가락 등의 크기가 작은 설거지 대상물을 담아둘 수 있도록 보관통(300)을 구비하며, 상기 보관통(300)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개수대(200)와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며, 보조개수대(200) 및 보관통(300)의 상면을 개폐시키는 뚜껑(315)을 구비한다.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 storage container 300 to hold a small dish object such as a knife, fork, cutlery, chopsticks, the storage container 300 is shown in Figures 5 and 7 It is formed to have the same shape and size as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and has a lid 315 for opening and closing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and the storage container (300).

사용자는 설거지를 하기 위하여 설거지 대상물을 개수대 본체(100) 내부에 담고, 설거지 대상물 중 비교적 크기가 작은 그릇, 접시, 나이프, 포크, 수저, 젓가락 등을 보조개수대(200) 내부에 담아두게 된다.In order to wash dishes, the user puts the dishes in the sink body 100, and the relatively small bowls, dishes, knives, forks, spoons, chopsticks, etc. among the dishes are put in the auxiliary sink 200.

이때 크기가 작은 설거지 대상물은 설거지 도중에 사용되는 물이 보조개수대(200) 내부로 유입되어 설거지 대상물에 접촉되면서 1차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In this case, the small dish washing object is intended to be primarily washed while the water used during the washing is introduced into the auxiliary water sink 200 and contacts the dish washing object.

한편 사용자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그릇, 접시, 나이프, 포크, 수저, 젓가락 등의 설거지 대상물을 보조개수대(200)로부터 간편하게 투입하거나 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보관통(30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can use the storage container 300 in order to be able to easily put or take out the dish washing objects, such as a relatively small bowl, plate, knife, fork, cutlery, chopsticks, etc. from the auxiliary counter 200.

또한 사용자는 보조개수대(200) 내부에 보관통(300)을 넣어두고서 비교적 크기가 작은 그릇, 접시, 나이프, 포크, 수저, 젓가락 등을 보관통(300)에 담아두게 됨으로써, 이들 설거지 대상물을 일시에 꺼낼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ser puts the storage container 300 inside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200, and puts the container, plate, knife, fork, spoon, chopsticks, etc., which are relatively small in the storage container 300, thereby taking out the dishes at once. To be able.

이와 같이 보조개수대(200)에는 설거지에 사용되는 물이 보조개수대(200) 또는 보관통(300)으로 유입되어 채워지게 되므로, 접시, 그릇, 수저, 젓가락 등에 달라붙은 이물질의 탈리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물에 담궈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s such,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is filled with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into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or the storage container 300, so that foreign substances stuck to plates, bowls, cutlery, chopsticks, etc. are easily removed and separated. Soak it in water.

한편 사용자는 보조개수대(200) 또는 보관통(300)으로 물의 유입을 차단시키고자 하는 경우, 보조개수대(200) 또는 보관통(300)의 상면에 뚜껑(315)을 덮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wants to block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200 or the storage container 300, the lid 315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storage 200 or the storage container 300.

이렇게 뚜껑(315)을 덮게 되면, 보조개수대(200)로 물의 유입이 차단되어 설거지에 사용되는 물의 양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lid 315 is covered in this way,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unit 200 is blocked,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water used for washing dishes.

사용자는 개수대 본체(100)에 담궈진 설거지 대상물을 모두 세척한 다음 보조개수대(200) 또는 보관통(300) 내부에 담궈진 설거지 대상물을 개수대 본체(100)로 꺼내어 세척하게 된다.The user washes all dishes to be washed in the sink body 100 and then washes the dishes to be washed in the sink body 100 in the auxiliary sink 200 or the storage container 300.

이와 같이 보조개수대(200) 또는 보관통(300)에 담궈진 설거지 대상물은 물에 의해 1차적으로 세척이 이루어짐에 따라 수저, 젓가락 등의 설거지 대상물에 달라붙은 이물질을 보다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게 된다.As such, the dishwashing object dipped in the auxiliary water reservoir 200 or the storage container 300 may be washed more quickly with foreign matter clinging to the dishwashing object, such as a cutlery and chopsticks, as the washing is primarily performed by water.

또한 요리를 할 때 손질하고 다듬은 모든 재료들(양파, 당근, 감자 등 각종 야채와 채소뿐만 아니라 육류와 생선류 등)이 각종 음식물 쓰레기를 담는 배수구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손질하지 않은 재료와 격리 보관함과 동시에 재료에 묻은 물을 자연 건조시킬 수 있고, 칼, 포크, 수저, 젓가락, 국자 등이 그릇 사이에 섞여 있어 설거지 시 이들을 분리해야 되는 불편을 해소할 수 있으며, 칼 등을 별도로 수납함으로써 칼에 베이는 등의 위험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t also prevents all trimmed and trimmed ingredients (such as onions, carrots, potatoes, and other vegetables and vegetables, as well as meat and fish) from falling into drains containing various food wastes. At the same time, the water on the ingredients can be dried naturally, and knives, forks, spoons, chopsticks, and ladles are mixed between the bowls, eliminating the inconvenience of having to separate them when washing dishes. This can eliminate the risk of back.

<제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를 도시한 단면 입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의 보관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FIG. 11 is an exploded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s a bottom view illustrat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sink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n exploded stereoscopic view, and FIG. 13 is a cross-sectional stereoscopic view showing a sink having an auxiliary water sink according to a second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4 is an auxiliary water sink according to a first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sink of a sink.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는 개수대 본체(100)에 보조개수대(200)를 탈착식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동일한 명칭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As shown in FIGS. 11 to 14, the sink provided with the auxiliary sink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sink main body 100,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Duplicate descriptions with examples will be omitted, and the same names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상기 개수대 본체(100)는 바닥판(111)과 측판(112) 및 배수관(113)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개수대 본체(100)의 바닥판(111)에는 보조개수대(2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설치구멍(115)이 형성된다.The sink body 100 is composed of a bottom plate 111, side plate 112 and the drain pipe 113, the installation hole to install the auxiliary sink 200 in the bottom plate 111 of the sink body 100 115 is formed.

이러한 설치구멍(115)은 보조개수대(200)의 크기와 동일하게 이루어짐은 물론이다.This installation hole 115 is of course made the same as the size of the auxiliary water tank (200).

상기 보조개수대(200)는 제1 측판(211), 한 쌍의 제2 측판(212), 제3 측판(213) 및 바닥판(21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조개수대(200)의 바닥판(214)에는 보조배수관(215)이 설치된다.The auxiliary repair stand 200 includes a first side plate 211,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212, a third side plate 213, and a bottom plate 214, and a bottom plate of the auxiliary repair stand 200 ( 214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drain pipe 215.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관통(300)은 서로 다른 크기로 이루어져 다수의 보관통(300)을 겹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4, the storage container 300 is made of a different size to be able to use a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300 in an overlapping state.

즉, 다수의 보관통(300)을 겹치게 됨에 따라 서로 다른 종류의 포크, 나이프 등을 각각 달리 보관할 수 있고, 다수의 보관통(300)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를 걸러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as the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300 overlap, different kinds of forks, knives, etc. may be stored differently, and the food waste may be filtered out by the plurality of storage containers 300.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e invention made by the present inventor was demonstrated concretely according to the said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aid Example and can be variously changed in the range which does not deviate from the summary.

100: 개수대 본체 111: 바닥판
112: 측판 113: 배수관
200: 보조개수대 211: 제1 측판
212: 제2 측판 213: 제3 측판
214: 바닥판 215: 보조배수관
300: 보관통 311: 보관통측판
312: 보관통바닥판 313: 받침돌기
314: 보관통손잡이 315: 뚜껑
316: 뚜껑본체 317: 손잡이
318: 걸림고리
321: 수직프레임 322: 수평프레임
323: 받침프레임 324: 보관통손잡이
100: sink body 111: bottom plate
112: side plate 113: drain pipe
200: auxiliary counter 211: first side plate
212: second side plate 213: third side plate
214: bottom plate 215: auxiliary drain pipe
300: storage container 311: storage container side plate
312: base plate 313: support protrusion
314: reservoir handle 315: lid
316: lid body 317: handle
318: hook
321: vertical frame 322: horizontal frame
323: support frame 324: container handle

Claims (6)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측판으로 이루어져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수대 본체;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 본체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개수대;
상기 보조개수대 내면에 투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관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
A sink main body formed of a sid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n object for washing dishes;
An auxiliary water tank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at one lower side of the sink body to accommodate a relatively small size of dishes such as fork, spoon, chopstick and knife;
A sink having an auxiliary sink, comprising: a storage container formed to be inserted into an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sink.
소정의 크기로 이루어진 바닥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높이를 갖는 측판으로 이루어져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개수대 본체;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을 수납할 수 있도록 상기 개수대 본체의 일측 하부에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형성되는 보조개수대;
상기 보조개수대 내면에 투입 가능하게 형성되는 보관통;을 포함하며,
상기 개수대 본체는 상기 바닥판에 상기 보조개수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설치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
A sink body formed of a side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from an edge of the bottom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size and configured to accommodate an object for washing dishes;
An auxiliary water tank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pace at one lower side of the sink body to accommodate a relatively small size of dishes such as fork, spoon, chopstick and knife;
Includes; the storage container is formed to be able to be injected into the auxiliary water tank
The sink main body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sink,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hole is formed so that the auxiliary sink is inserted into the bottom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개수대는 상기 개수대 본체의 일단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측판;
상기 제1 측판의 양단에 각각 상기 제1 측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제2 측판;
상기 제2 측판 사이에 형성되는 제3 측판;
상기 제1 측판 내지 제3 측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저면에 설치되는 보조배수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auxiliary counter may include a first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ly at one end of the counter main body;
A pair of second side plates formed at both ends of the first side plate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side plate;
A third side plate formed between the second side plates;
A bottom plat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first to third side plates;
A sink having an auxiliary sump,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n auxiliary drain pipe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은 상기 보조개수대의 내면에 각각 대응되게 형성되는 보관통측판;
상기 보관통측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보관통바닥판;
상기 보관통측판의 개방된 상면을 개폐시키도록 구비되는 뚜껑;
상기 보관통이 상기 보조개수대의 저면으로부터 소정 높이만큼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보관통바닥판의 저면에 돌출 형성되는 받침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orage? Storage barrel side plates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reservoir;
A storage bottom plat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ide plate;
A lid provided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storage cylinder side plate;
And a support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container bottom plate such that the storage container maintains an interval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auxiliary water collecting tank by a predetermined height.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관통은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이 수납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에 일정 높이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수평프레임;
상기 포크, 수저, 젓가락, 나이프와 같은 비교적 작은 크기의 설거지 대상물이 안정되게 놓여지도록 상기 수직프레임의 저면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받침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orage container includes a plurality of vertical fram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objects of relatively small sized dishes such as forks, spoons, chopsticks and knives are accommodated therein;
A plurality of horizontal frames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s on the vertical frame;
A sink having a supplementary water sink,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frame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bottom of the vertical frame so that dishes of relatively small size, such as the fork, spoon, chopsticks, and knife, are stably placed. .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상기 보조개수대의 상면을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뚜껑본체;
상기 뚜껑본체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뚜껑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개수대가 구비된 싱크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The lid is a lid body made of a size that can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auxiliary sump;
And a handle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id body to open and close the lid body.
KR1020180100557A 2018-08-27 2018-08-27 Sink with Auxiliary Sink KR2020002397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57A KR20200023978A (en) 2018-08-27 2018-08-27 Sink with Auxiliary S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0557A KR20200023978A (en) 2018-08-27 2018-08-27 Sink with Auxiliary Sin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978A true KR20200023978A (en) 2020-03-06

Family

ID=69802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0557A KR20200023978A (en) 2018-08-27 2018-08-27 Sink with Auxiliary Sin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3978A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176Y1 (en) 2002-04-12 2002-07-31 고려특수화학주식회사 Multipurpose support for a sink
KR200318566Y1 (en) 2003-03-27 2003-06-28 주식회사 백조씽크 Pocket bowl of kitchen sink
KR200333071Y1 (en) 2003-08-22 2003-11-12 주식회사 아르데코 a dishwater bucket for sink
KR20090006592U (en) 2007-12-27 2009-07-01 노미화 Sink with auxiliary work 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176Y1 (en) 2002-04-12 2002-07-31 고려특수화학주식회사 Multipurpose support for a sink
KR200318566Y1 (en) 2003-03-27 2003-06-28 주식회사 백조씽크 Pocket bowl of kitchen sink
KR200333071Y1 (en) 2003-08-22 2003-11-12 주식회사 아르데코 a dishwater bucket for sink
KR20090006592U (en) 2007-12-27 2009-07-01 노미화 Sink with auxiliary work boar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6886B2 (en) Over sink kitchen work station
US5988190A (en) Strainer type cleaner
US20140259381A1 (en) Soaker Basket for a Dishwasher&#39;s Silverware Basket
RU2420632C2 (en) Double-reservoir sink
KR200402095Y1 (en) Container for washing and sterilizing spoon and chopsticks and washing and steriliz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200023978A (en) Sink with Auxiliary Sink
KR20230123634A (en) How to manufacture a sink with a multi-functional dimple
KR20090005536A (en) Akitchen container
GB2493126A (en) Knife cleaning apparatus
KR200479854Y1 (en) Table with separable cover
CN211499069U (en) Kitchen sink
KR200271336Y1 (en) Sanitary Spoon Stand
CN220557602U (en) Tea-drinking draining device
KR102491783B1 (en) Filter kit for dish sasher and dish washer including the same
JP2003180462A (en) Dish pre-washing work table for kitchen
CN215962405U (en) Combined filtering assembly and vegetable washing basin
KR200340352Y1 (en) Kitchen Utensils Support
CN212346317U (en) Kitchen tool storage device
CN201521007U (en) Pot-holding washing hopper
JPH0571152A (en) Sink stand
US2186998A (en) Kitchen sink
US20200329948A1 (en) Manual dishwasher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WO2022187165A1 (en) Cutting board and washer system and method
CA3040760A1 (en) Manual dishwasher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JP3091977U (en) Leftover processor for noodle dish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220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701

Effective date: 20200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