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336Y1 - Sanitary Spoon Stand - Google Patents

Sanitary Spoon Stan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336Y1
KR200271336Y1 KR2020010037447U KR20010037447U KR200271336Y1 KR 200271336 Y1 KR200271336 Y1 KR 200271336Y1 KR 2020010037447 U KR2020010037447 U KR 2020010037447U KR 20010037447 U KR20010037447 U KR 20010037447U KR 200271336 Y1 KR200271336 Y1 KR 2002713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lery
water
outer cylinder
spo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44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양동훈
Original Assignee
양동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동훈 filed Critical 양동훈
Priority to KR2020010037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33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3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336Y1/en

Links

Landscapes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된 수저가 수저통의 오염된 물에 접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수저통에 묻어 있는 물을 신속하게 증발시킴으로써, 수저를 위생적인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tlery that can keep the cutlery in a sanitary state by preventing the stored cutlery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cutlery and rapidly evaporating the water in the cutlery.

본 고안의 위생 수저통(1)은, 저면에 물이 고이는 물고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고임부(11) 보다는 높은 위치의 둘레에 통기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12)에 인접하여 받침돌기(13)가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개방의 외통(10); 배수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10)의 상기 받침돌기(13)에 안착되어 수납된 수저(2)를 받쳐주는 수저받침판(20); 및 상기 외통(10)에 끼워맞춤되되, 하단(31)이 상기 통기공(12)에 이르지 못하는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는 상하 관통의 내통(30); 을 포함한다.In the sanitary spo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a water tank unit 11 in which water is accumulated on a bottom surface thereof, and a ventilation hole 12 is formed through the periphery of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tank unit 11, and the tank An outer cylinder 10 of the upper opening in which the supporting protrusions 13 are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djacent to the pores 12; A cut support plate 20 through which a drain hole 21 is formed and which supports the cutlery 2 seated on the receiving protrusion 13 of the outer cylinder 10; And inner cylinder 30 of the upper and lower penetration is fitted to the outer cylinder 10, the lower end 31 is extended to a position that does not reach the vent hole 12; It includes.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받침돌기(13)를 중심으로 그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30)은 적어도 그 하단(31)이 상기 외통(10)의 내면으로부터 틈(35)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돌기(13)의 내측 단부에는 하향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vent hole 12 is formed at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of the base protrusion 13, and the inner cylinder 30 has at least a lower end 31 of the inner cylinder 30 having a gap from an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0. 35) are spaced apart. Preferably, the downward protrusion 13A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13.

Description

위생 수저통{Sanitary Spoon Stand}Sanitary Spoon Stand

(기술분야)(Technology)

본 고안은 수저를 보관하는 수저통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된 수저가 수저통의 오염된 물에 접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수저통에 묻어 있는 물을 신속하게 증발시킴으로써, 수저를 위생적인 상태로 보관할 수 있는 수저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ervoir for storing a spoon,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the stored spoon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contaminated water of the spoon and to quickly evaporate the water in the bucket, thereby keeping the spoon in a sanitary state. It's about a canister.

(배경기술)(Background)

숟가락, 젓가락, 찻숟가락, 포크 등 음식을 섭취할 때 사용되는 도구(이하, '수저'로 통칭한다)는 입과 음식물에 직접 접하는 것이므로, 청결하게 보관될 것이 요구된다.Tools such as spoons, chopsticks, teaspoons, and forks (hereinafter referred to as `` spoons '') that are used to eat food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mouth and food, so they need to be kept clean.

통상적으로 가정이나 식당 등 음식물을 취급하는 곳에서의 수저보관은 대표적인 주방용품의 하나인 수저통에 담아 보관한다.In general, cutlery custody in places where food is handled, such as homes or restaurants, is stored in a cutlery, one of the typical kitchen utensils.

시중에는 많은 형태의 수저통이 보급되고 있지만, 그 종류를 크게 분류하면 수저를 세워서 보관하도록 구성된 직립형과 수저를 눕혀서 보관하도록 구성된 수평형 수저통이 있다.There are many types of spoons on the market, but if they ar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re are two types of spoons, the upright type configured to hold the cutlery and the horizontal cutlery configured to lay the cutlery on its side.

수저통에 수저를 보관함에 있어서,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한다면, 세척 과정에서 묻은 물기를 완전히 닦아내고 역시 물기가 완전히 제거된 수저통에 넣어 보관함으로써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습한 환경을 조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For hygiene considerations, it is most desirable to ensure that hygiene aspects are kept in the cisterns, so that they are completely wiped away from the cleaning process and stored in the cisterns, which are completely free of water, so that they do not create a humid environment in which bacteria can grow. something to do.

그러나, 매일매일 일상적으로 사용해야 하고 사용 후에는 물로 씻어야 하는 수저를, 사용할 때마다 마른 행주로 닦아서 물기 없는 건조한 상태로 수저통에 보관한다고 하는 것은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니다.However, it is not a bother to say that a cutlery that needs to be used daily and washed with water after each use should be wiped with a dry cloth every time it is used and kept dry in a cutlery.

따라서, 현실 생활에서 수저를 보관함에 있어서는, 물기가 묻어 있는 상태 그대로 수저통에 넣게 되는 경우가 흔한 일이며, 이로 인해 수저로부터 떨어진 물이 수저통에 고여 습한 환경을 만들게 되고, 이런 습한 환경에서 세균이 번식하여 물때가 끼게 되며, 세균이 함유된 물이 다시 수저에 묻어 음식과 함께 섭취되어지므로, 적지 않은 위생상에 문제로 되고 있다.Therefore, in storing the spoon in real life, it is common to put the spoon in the spoon as it is wet, which causes water away from the spoon to create a humid environment in the bucket, and bacteria grow in such a humid environment. When the scale is stuck, the bacteria-containing water is again buried in the spoon and ingested with food, which is a problem for many hygiene.

이와 같은 수저보관상의 위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 살균기능을 가진 식기건조기 등에 수저 또는 수저통을 넣어서 보관하는 경우도 있지만, 지금까지 수저통 자체를 개량함으로써 위생 문제를 만족스럽게 해결한 경우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As a countermeasure to solve the hygiene problem in the storage of the cutlery, there are cases where a spoon or a cutlery is stored in a dish dryer with a sterilization function, but until now, the hygiene problem has not been satisfactorily solved by improving the cutlery itself. It is true.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수저의 위생적인 보관에 관한 종래 수저통에 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기본적으로는 수저가 수저통에 잔존하는 오염된 물에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여 수저가 오염된 물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고, 이차적으로는 어쩔 수 없이 수저통에 물이 잔존하게 되더라도 물이 통기에 의해 신속히 증발되도록 하여 근본적으로 수저통이 오염된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저통의 위생 문제를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to the conventional cistern related to the hygienic storage of the cistern as described above, and basically, the cistern is contaminated by preventing the spoon from directly contacting the contaminated water remaining in the cistern. Minimizes the hygiene problem of the water tank by preventing water from being contaminated, and secondarily, even if water is left in the water tank, the water is rapidly evaporated by aeration to prevent the water tank from becoming contaminated. I would like to.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위생 수저통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위생 수저통의 분해사시도,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위생 수저통의 개략 단면도.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본 고안의 수저통 2: 수저1: cutlery 2: cutlery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외통 11: 물고임부10: outer 11: pregnant woman

12: 통기공 13: 받침돌기12: Aerator 13: Base protrusions

13A: 하향돌기 14: 힌지핀13A: downward projection 14: hinge pin

15: 제한돌기 20: 수저받침판15: limited protrusion 20: cutlery plate

21: 배수공 30: 내통21: drain hole 30: inner cylinder

31: 내통의 하단 32: 걸림턱31: Lower part of inner cylinder 32: Hanging jaw

33: 칸막이 34: 비후부33: partition 34: posterior posterior

35: 틈 40: 뚜껑35: break 40: lid

본 고안의 수저통은 외통, 수저받침판 및 내통을 포함한다.The cutl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cylinder, a spoon support plate, and an inner cylinder.

상기 외통은, 상부가 개방되어 있고, 저면에 물이 고이는 물고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물고임부보다는 높은 위치의 하측 둘레에 통기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그 내면 둘레에 상기 통기공에 인접하여 받침돌기가 형성되어 있다.The outer cylinder is open at the top, and the water tank is formed in the bottom of the water, vent holes are formed through the lower periphery of the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tank, the inner surface is adjacent to the vent hole Base protrusions are formed.

상기 수저받침판은, 배수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에 삽입되어 상기 받침돌기에 안착되며, 수납된 수저를 받쳐준다.The cutlery plate has a drainage hole formed therethrough, and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to be sea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to support the cutlery stored therein.

상기 내통은 상하 관통되어 있고, 상기 외통에 흔들거리지 않게 끼워맞춤되며, 그 하단은 상기 통기공에 이르지 못하는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다.The inner cylinder penetrates up and down, is fitted to the outer cylinder so as not to shake, and the lower end thereof is extended to a position not reaching the vent hole.

바람직하게 상기 외통과 상기 내통은 서로 다른 길이의 수저를 수납할 수 있도록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은 여러 구획으로 분할되어 있다.Preferably, the outer cylinder and the inner cylinder are formed stepped in two stages to accommodate different length cutlery, and the inner cylinder is divided into several sections.

바람직하게, 상기 통기공은 상기 받침돌기를 중심으로 그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support protrusion.

바람직하게, 상기 내통은 적어도 그 하단이 상기 외통의 내면으로부터 틈새를 두고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돌기의 내측 단부에는 하향돌기가 형성되어 있다.Preferably, the inner cylinder has at least a lower end thereof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with a gap, and a downward protrusion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바람직하게 상기 수저받침판으로는 부식에 강하고 위생적인 스테인리스 스틸판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판을 사용할 있다.Preferably, the water support plate may be a stainless steel plate or plastic synthetic resin plate resistant to corrosion and hygienic.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위생 수저통은 뚜껑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sanitary spo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mprise a lid.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수저통을 상세히 설명한다.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수저통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Hereinafter, the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following embodiments merely illustrate the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위생 수저통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위생 수저통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위생 수저통의 개략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xemplary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exemplary sanitary spo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위생 수저통(1)은, 기본적으로 외통(10), 수저받침판(20) 및 내통(3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게 뚜껑(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the sanitary cutler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made of a configuration including an outer cylinder 10, a spoon support plate 20 and an inner cylinder 30, preferably further comprises a lid 40 Can be.

외통(10)은 하단은 막혀 있고 상단은 개방된 예를 들어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할 수 있다.The outer cylinder 10 has a closed lower end and an open upper end, for example, has a substantially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For example, the outer cylinder 10 may be manufactured by plastic synthetic resin.

외통(10)의 저면 안쪽은 수저(2)에서 흘러내린 물 또는 본 고안의 수저통(1)을 세척한 후에 잔존하게 된 물이 일시적으로 고일 수 있는 물고임부(11)를 이룬다.The inner bottom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0 forms a water trap 11 in which water flowing down from the spoon 2 or the remaining water after washing the spo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temporarily accumulated.

외통(10)에는 수저통(1)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 공기가 소통되도록 하는 통기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한편, 통기공(12)에 인접한 위치의 내면 둘레를 따라서는 상기 수저받침판(20)이 자연스럽게 올려지는 받침돌기(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The outer cylinder 10 has a through-hole 12 through which air is communicated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water reservoir 1, while the support base plate is form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air hole 12 ( 20 is naturally raised projecting projection 13 is formed.

통기공(12)의 형성 위치는 내외 간의 공기 소통을 원활하게 하는 위치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나, 외통(10)의 하측 둘레를 따라 형성하되, 바람직하게 물고임부(11)에 고인 물이 통기공(12)을 통해 외부로 흘러 넘치지 않을 정도의 높이에형성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받침돌기(13)를 중심으로 그 상측과 하측에 형성한다. 통기공(12)의 크기와 개수는 수납된 수저(2)가 외부로 빠져 나오지 않고 미관을 해치지 않을 정도라면 충분히 크게 다수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vent hole 1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facilitates air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but is formed along the low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cylinder 10, preferably water accumulated in the water tank 11 is vent hole It is formed at a height such that it does not over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12), and more preferably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ound the base projection (13). The size and number of vents 12 may be large enough to form a large enough if the stored cutlery 2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and do not harm the appearance.

이와 같이, 받침돌기(13)를 중심으로 그 상측과 하측에 통기공(12)이 위치함에 따라 받침돌기(13)에 올려지는 수저받침판(20)의 상하에서 자연스런 통기가 이루어짐으로 수저통(1)에 묻어 있는 물이 신속하게 증발되며, 특히 세척한 수저(2)를 새로이 수납할 때마다 물이 묻게 되는 수저받침판(20)이 신속하게 건조된다.As such, as the vent hole 12 is positioned above and below the support protrusion 13, the natural aeration is made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ater support plate 20 which is placed on the support protrusion 13. The water buried in the evaporation is quickly evaporated, and the water support plate 2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water every time the new storage of the washed cutlery 2, is quickly dried.

상기 수저받침판(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외통(10) 안으로 삽입하여 상기 받침돌기(13) 위에 올려지는 식으로 장착되며, 수납된 수저(2)의 하단을 받쳐줌으로써 실질적으로 수저(2)의 하중을 지탱한다. 따라서, 수저받침판(20)은 외통(10)의 내부 윤곽보다는 작고 받침돌기(13)의 둘레 윤곽보다는 큰 크기를 가진다.The cut support plate 20 is moun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cut support plate 2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10 to be mounted on the support protrusion 13, and supports the lower end of the stored cutlery 2 to substantially support the bottom of the cutlery 2. Support the load. Thus, the base plate 20 is smaller than the inner contour of the outer cylinder 10 and has a size larger than the circumferential contour of the base 13.

수저받침판(20)에는 수저(2)로부터 흘러내린 물이 머물지 않고 그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배수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공(21)은 수저(2)의 하단이 끼어 들어가지 않고 수저(2)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한도 내라면 가능한 한 크게 많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utoff plate 20 has a drainage hole 21 formed therethrough so that the water flowing down from the cutlery 2 does not stay and is discharged as it is, and the drainage hole 21 has a cutlery without a lower end of the cutlery 2 being inserted. As long as it can support the load of (2), it is desirable to form as much as possible.

수저받침판(20)의 소재로서는, 위생상에 문제가 없고 수분을 흡수하지 않으며 잘 마르는 소재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판이나 스테인리스 스틸판을 사용할 수 있고, 강도, 수명, 위생적인 측면에서 볼 때, 특히 끓는 물에서 고온 살균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스테인리스 스틸판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material of the spoon support plate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there is no problem in hygiene, does not absorb moisture, and dries well. For example, a plastic synthetic resin plate or a stainless steel plate may be used, In terms of aspect, stainless steel plates are most preferred, particularly in terms of being capable of high temperature sterilization in boiling water.

상기 내통(30)은 상기 외통(10) 안에 자연스럽게 끼워맞춤되는 상하가 개방된 통으로서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할 수 있다. 내통(30)은 외통(10)에 삽입하여 내통(30)의 상단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외통(10)의 상단에 걸리도록 장착된다. 내통(30)은 이를 외통(10)에 삽입 장착한 상태에서 내통(30)의 하단(31)이 통기공(12)에 이르지 못하는 위치까지 신장될 정도의 높이를 가진다.The inner cylinder 30 is an upper cylinder which is naturally fitted into the outer cylinder 10, and can be molded and manufactured, for example, with plastic synthetic resin. The inner cylinder 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10 so that the locking jaw 32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30 is moun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cylinder 10. The inner cylinder 30 has a height such that the lower end 31 of the inner cylinder 30 does not reach the vent hole 12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10.

바람직하게 상기 내통(30)은 종류가 다른 수저(2)를 구분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숟가락과 젓가락을 구분하여 투입할 수 있도록, 칸막이(33)를 형성하여 내부 공간을 여러 구획으로 분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inner cylinder 30 forms partitions 33 so as to separate and separate the cutleries 2 having different types, for example, to separate the spoons and the chopsticks, and divides the internal space into several compartments. It is preferable to divide.

또한, 외통(10)과 내통(30)은 성인용 숟가락(2A)과 젓가락(2B)과 같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수저(2)와 어린이용 숟가락과 젓가락 및 찻숟가락(2C)과 같이 상대적으로 짧은 수저(2)를 구분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2단으로 단차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outer casing 10 and the inner casing 30 are relatively short, such as an adult spoon 2A and a chopstick 2B, a children's spoon, chopsticks, and a tea spoon 2C, respectively. In order to store the cutlery 2 separately, it is preferable to form stepped in two stages as shown.

투입된 수저(2)에 묻어 있는 물은 바로 수저받침판(20) 위로 흘러내리는 것이 대부분이겠지만, 일부는 내통(30)의 내벽을 따라 아래로 흘러내릴 수 있다. 이럴 경우 내벽을 따라 흐르는 물이 그 아래의 통기공(12)을 통해 흘러나가서 수저통(1)의 외벽을 따라 흘러내림으로써 식탁 등에 물이 묻게 할 수 있다.Most of the water buried in the introduced cutlery 2 will flow down directly onto the spoon support plate 20, but some may flow down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barrel 30. In this case, the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wall flows out through the air vent 12 below and flows down along the outer wall of the cutlery 1 so that the water may be placed on the table or the like.

이런 물의 흘러나감을 방지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통(30)의 상단에 외통(10)의 내면에 접하는 비후부(34)를 형성함으로써 삽입된 내통(30)이 외통(10)에 대해 흔들거리지 않도록 하는 한편, 상기 비후부(34)를 제외한내통(30)의 나머지 부분들은 외통(10)의 내면과의 사이에 틈(35)이 형성될 수 있을 정도로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flow of water, as shown in FIG. 3, the inner cylinder 30 inserted by forming the thickening portion 34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0 at the upper end of the inner cylinder 30 is the outer cylinder 10. ), While the remaining portions of the inner cylinder 30 except for the thickening portion 34 have a relatively small size such that a gap 35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0. It can be formed to have.

이와 같이 적어도 내통(30)의 하단(31)이 상기 외통(10)의 내면에서 틈(35)을 가지고 이격되게 함에 따라, 내통(30)의 내벽을 따라 흘러내린 물이 외통(10)의 내벽으로 옮겨가지 못하고 바로 아래로 낙하됨으로, 흘러내린 물이 통기공(12)을 통해 외부로 흘러 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at least the lower end 31 of the inner cylinder 3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cylinder 10 with the gap 35, so that water flowing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cylinder 30 flows into the inner wall of the outer cylinder 10. By falling directly down instead of moving to,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low of water flows out through the vent hole (12).

특히, 외통(10)과 내통(30) 사이에 충분한 틈(35)을 두지 않으면 외통(10)과 내통(30)의 좁은 경계로 물이 스며들어가서 잘 증발되지 않게 되고, 결국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온상을 만들게 되므로, 외통(10)과 내통(30) 사이는 그 상단만을 제외하고 전체에 걸쳐서 충분한 틈(35)을 가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f there is not enough gap 35 between the outer cylinder 10 and the inner cylinder 30, the water penetrates into the narrow boundary of the outer cylinder 10 and the inner cylinder 30, and thus does not evaporate well, and eventually bacteria can grow. Since it is to create a hotbed,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between the outer cylinder 10 and the inner cylinder 30 to have a sufficient gap (35) throughout the entire except the upper end.

마찬가지로, 상기 수저받침판(20) 위에 떨어진 물은 수저받침판(20)을 수평으로 흘러서 다시 받침돌기(13)를 타고 흘러내려서 그 아래에 있는 통기공(12)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다.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돌기(13)의 내측 단부에 하향돌기(13A)를 형성함으로써 흘러내린 물이 아래로 낙하할 뿐 통기공(12)을 통해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Similarly, the water dropped on the water support plate 20 may flow horizontally through the water support plate 20 and flow down again through the support protrusion 13 to flow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vent 12 under the water. Thus, as shown in Figure 3, by forming a downward projection (13A) at the inner end of the support projection 13, the flow of water is prevented from flowing out to the outside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12 only falling down. You can do that.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위생 수저통(1)에는 먼지 등의 이물이 수저(2)에 침적하지 않도록 하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되는 뚜껑(40)을 더 포함시킬 수 있다. 적용할 수 있는 뚜껑(40)으로는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않지만,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통(10)에 힌지핀(14)을 형성하고, 여기에 선형(扇形)으로 된 뚜껑(40)에 핀홀(41)을 형성하여 뚜껑(40)이 외통(10)에 대해 회동할 수 있도록 장착할 수 있다. 선형의 뚜껑(40)은 전후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뚜껑(40)을 덮어두어도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힌지핀(14)의 전후에 형성된 제한돌기(15)는 선형 뚜껑(40)의 개방과 폐쇄의 회동 한계를 주기 위한 것이다.Preferably, the sanitary cutlery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d 40 formed by, for example, plastic synthetic resin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being deposited on the cutlery 2. The applicable lid 4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but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hinge pin 14 is formed on the outer cylinder 10, and the linear The pinhole 41 is formed in the lid 40 made of a shape, and the lid 40 can be mounted so that the lid 40 can be rotated with respect to the outer cylinder 10. Since the linear lid 40 is opened and clos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ventilation is made smoothly even if the lid 40 is covered. Restriction protrusions 15 formed before and after the hinge pin 14 is intended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linear lid 40.

이상의 외통(10), 내통(30) 및 뚜껑(40)은 보다 위생적으로 느껴질 수 있고, 내부의 불결한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특히 뚜껑(40)은 수저(2)의 수납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하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cylinder 10, the inner cylinder 30 and the lid 40 can be felt more hygienically, and can be made transparent to check the dirty state of the inside visually, in particular the lid 40 of the cutlery (2) It is desirable to produce a transparent so that the storage state.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위생 수저통(1)은, 외통(10)에 수저받침판(20)을 투입한 다음에 외통(10) 안으로 내통(30)을 삽입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그 사용에 있어서 물기가 있는 수저(2)를 본 고안의 수저통(1)으로 투입할 경우, 수저(2)의 물은 수저받침판(20) 위에 떨어지게 되고 배수공(21)을 통해 아래로 흘러 내려간다. 이렇게 흘러내린 물은 외통(10) 저면의 물고임부(11)에 일시적으로 모여 있게 된다.The sanitary spo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ner cylinder 30 is inserted into the outer cylinder 10 after the water support plate 20 is put into the outer cylinder 10. In the use, when the wet spoon 2 is introduced into the spoon container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of the spoon 2 falls on the spoon support plate 20 and flows down through the drain hole 21. . Water that flows down is temporarily gathered in the water tank 11 of the bottom of the outer cylinder (10).

그러나, 본 고안의 수저통(1)은 수납된 수저(2)가 물고임부(11)에 잠기지 않고 수저받침판(20)에 받쳐져 있게 되므로, 설령 물고임부(11)에 물이 고여있다고 하더라도 이런 고인 물에 의해 수저(2)가 오염될 가능성은 현격히 줄어든다.However, because the cutlery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pported by the spoon support plate 20 without being immersed in the water tank 11, even if water is accumulated in the water tank 11, The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of the cutlery 2 with water is greatly reduced.

더욱이, 물고임부(11)에 고여 있는 물은 물론, 수저(2), 외통(10), 수저받침판(20) 및 내통(30)에 묻어 있는 물들은 상기 통기공(12)을 통한 공기의 순환으로 신속히 증발하여 제거됨으로 세균이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이 오래 지속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수저통(1)에서의 수저의 오염은 더욱 현격히 감소된다.Furthermore, the water accumulated in the water tank 11, as well as the water buried in the cutlery 2, the outer cylinder 10, the spoon support plate 20 and the inner cylinder 30 are circulated in the air through the vent hole 12 By rapidly evaporating and removing, the environment in which bacteria can grow does not last long, and thus the contamination of the cutlery in the spoon 1 is further reduced.

또한, 본 고안의 수저통(1)은 외통(10), 수저받침판(20) 및 내통(30)을 분리할 수 있음으로 그 청소가 매우 용이하며, 특히 내통(30)을 칸막이(33)로 구획한 경우에 있어서도 내통(30)이 상하가 관통된 형상으로 되어 있음으로 저면이 막혀 있으면서 구획되어 있는 기존의 수저통들에 비해 구석구석을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poon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parate the outer cylinder 10, the spoon support plate 20 and the inner cylinder 30 is very easy to clean, in particular partition the inner cylinder 30 into the partition 33. In one case, since the inner cylinder 30 has a top and bottom through shape, every corner of the inner cylinder 30 can be cleaned more easily than the existing cutlery that is partitioned while the bottom is blocked.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위생 수저통(1)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The effect of the sanitary spoon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첫째, 수납된 수저(2)가 물고임부(11)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수저받침판(20) 위에 올려 지게 되어 물고임부(11)의 물과 직접 접하지 아니하므로 고인 물에 의한 수저의 직접적인 오염을 현격히 줄일 수 있다.First, the stored cutlery 2 is placed on the cut support plate 20 spaced apart from the water tank 11 so that it is not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water of the water tank 11 so that direct contamination of the water spoon due to the deceased water is remarkable. Can be reduced.

둘째, 물고임부(11)에 고여 있거나, 수저(2), 외통(10), 수저받침판(20) 및 내통(30)에 묻어 있는 물이 통기공(12)을 통한 공기의 순환으로 신속히 증발 제거되므로 세균을 번식시킬 수 있는 습한 환경이 오래 지속되지 않게 되며, 따라서 물에 의한 수저의 오염을 더욱 현격하게 줄일 수 있다.Second, water stuck to the water tank 11 or buried in the cutlery 2, the outer cylinder 10, the spoon support plate 20, and the inner cylinder 30 is rapidly evaporated and removed by circulation of air through the air vent 12. As a result, a humid environment in which bacteria can be propagated does not last long,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contamination of the cutlery by water.

셋째, 외통(10), 수저받침판(20) 및 내통(30)을 분리하여 청소할 수 있음으로 내부 구석구석까지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특히 수저(2)가 직접 접하게 되는 수저받침판(20)이 별도로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번거로울 때에는 수저받침판(20)만을 분리하여 간단히 청소하는 것으로도 만족할 만한 위생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Third, the outer cylinder 10, the spoon support plate 20 and the inner cylinder 30 can be separated and cleaned to easily clean every corner of the inside, in particular, the spoon support plate 20 directly contact the cutlery 2 is separately Since it is configured to be separate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atisfactory hygiene state even by simply cleaning by separating only the spoon support plate 20 when it is troublesome.

Claims (3)

저면에 물이 고이는 물고임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물고임부(11) 보다는 높은 위치의 둘레에 통기공(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통기공(12)에 인접하여 받침돌기(13)가 내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개방의 외통(10);A water tank 11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and a vent hole 12 is formed at a circumference of a position higher than the water tank 11, and a support protrusion (adjacent to the air vent 12) is formed. An outer cylinder 10 of the upper opening, wherein 13 is formed arou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배수공(21)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통(10)의 상기 받침돌기(13)에 안착되어 수납된 수저(2)를 받쳐주는 수저받침판(20); 및A cut support plate 20 through which a drain hole 21 is formed and which supports the cutlery 2 seated on the receiving protrusion 13 of the outer cylinder 10; And 상기 외통(10)에 끼워맞춤되되, 하단(31)이 상기 통기공(12)에 이르지 못하는 위치까지 신장되어 있는 상하 관통의 내통(30);An inner cylinder 30 which is fitted to the outer cylinder 10 and extends to a position where the lower end 31 does not reach the vent hole 12;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Sanitary spoon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공(12)은 상기 받침돌기(13)를 중심으로 그 상측과 하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통(30)은 적어도 그 하단(31)이 상기 외통(10)의 내면으로부터 틈(35)을 두고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According to claim 1, The vent hole 12 is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the lower side around the support projection 13, the inner cylinder 30 is at least the lower end 31 of the outer cylinder 10 Sanitary cistern,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with a gap (3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돌기(13)의 내측 단부에는 하향돌기(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생 수저통.The sanitary cister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downward protrusion (13A) is formed at an inner end of the support protrusion (13).
KR2020010037447U 2001-12-05 2001-12-05 Sanitary Spoon Stand KR20027133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47U KR200271336Y1 (en) 2001-12-05 2001-12-05 Sanitary Spoon Stan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447U KR200271336Y1 (en) 2001-12-05 2001-12-05 Sanitary Spoon Stan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336Y1 true KR200271336Y1 (en) 2002-04-10

Family

ID=73113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447U KR200271336Y1 (en) 2001-12-05 2001-12-05 Sanitary Spoon Stan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33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87Y1 (en) * 2018-10-26 2020-02-03 양동훈 Sanitary Spoon Stand
KR20210112535A (en) 2020-03-05 2021-09-15 손영삼 Sanitary Spoon Stand Using a Magnetic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87Y1 (en) * 2018-10-26 2020-02-03 양동훈 Sanitary Spoon Stand
KR20210112535A (en) 2020-03-05 2021-09-15 손영삼 Sanitary Spoon Stand Using a Magnetic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07059B2 (en) Drying storage rack
NZ566725A (en) A food storage device which maintains the freshness of produce contained therein
US20060118560A1 (en) Water shedding designs for receptacle bottoms
KR200271336Y1 (en) Sanitary Spoon Stand
WO2009088457A1 (en) Wall soap dish / soapbox combo
KR20100011337U (en) A clean spoon stand
JP3361015B2 (en) Cutting board with holder and cutting board holder
CN212234032U (en) Chopstick storage box
KR200302857Y1 (en) Oval type tub of spoon and chopsticks
KR20120002862U (en) Sanitary Spoon Stand
CN201286578Y (en) Tea set box
CN215937287U (en) Fly-proof, water-accumulation-proof, mildew-proof, odor-proof, insect-proof clean-keeping tableware box
JP2009112756A (en) Soap storage case with aqueous solution receiver
KR200284176Y1 (en) Multipurpose support for a sink
KR200419553Y1 (en) All-in-one dish
KR200348426Y1 (en) Spoon stand
CN213248216U (en) Dry and comfortable chopstick cage convenient for partitioned storage of tableware
KR200354736Y1 (en) A spoon bag
KR200245978Y1 (en) Spoon case having detachable partition
KR100679647B1 (en) Sink
KR200376536Y1 (en) Spoon And Chopstick Case Combined Flowerpot Equipped With The Supporter
KR870003739Y1 (en) A spoon stand having a sterilizer
KR20230123634A (en) How to manufacture a sink with a multi-functional dimple
KR940001880Y1 (en) Spoon stand
KR20200023978A (en) Sink with Auxiliary Si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