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178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178A
KR20200023178A KR1020190083197A KR20190083197A KR20200023178A KR 20200023178 A KR20200023178 A KR 20200023178A KR 1020190083197 A KR1020190083197 A KR 1020190083197A KR 20190083197 A KR20190083197 A KR 20190083197A KR 20200023178 A KR20200023178 A KR 20200023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hood
core
cor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3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야토 치바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3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Abstract

[과제] 후드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후드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 커넥터(20)는, 적어도 1개의 단자와, 단자를 유지하는 코어 하우징(210)과, 코어 하우징의 주위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후드 하우징(220)과, 코어 하우징 및 후드 하우징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후드 하우징 또는 코어 하우징의 대향하는 부분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적어도 1개의 리브(228)를 가진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특히, 하우징에 가하는 응력에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반(半) 감합(嵌合) 상태를 검지할 수 있고, 내진 구조를 가지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커넥터의 암(雌)형 하우징은, 외주위가 대략 긴 직사각형 모양의 상하벽 및 좌우의 측벽으로 둘러싸여 내부에 소정 크기의 공간이 마련된 통 모양체이며, 당해 공간의 내측부가 후벽으로 폐쇄되어 있다. 또한, 공간 내에는, 컨택트가 장착되는 막대 모양의 내부 돌출부가 후벽으로부터 개구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하여 마련된 구조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제2011-175867호 공보
그렇지만,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구조의 커넥터에 있어서, 소형화를 목적으로 하여 하우징의 두께를 얇게 하면,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에, 하우징의 상하벽이나 측벽이 응력에 의해서 휨 변형, 손상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코어 하우징과 후드 하우징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후드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후드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코어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주위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후드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 및 상기 후드 하우징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후드 하우징 또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대향하는 부분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적어도 1개의 리브(rib)
를 가지는 커넥터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코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드 하우징의, 커넥터 접속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이 1개의 후드 하우징 안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는 코어 하우징의 수(數)와 동일한 수(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본 발명의 상기 양태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이 1개의 후드 하우징 안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는, 각각의 코어 하우징에 대해서, 커넥터 접속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1개의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코어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주위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후드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 및 상기 후드 하우징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후드 하우징 또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대향하는 부분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적어도 1개의 리브를 가지는 암(雌) 커넥터와,
상기 후드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 가능한 형상, 크기의 수(雄)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제2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브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雄) 커넥터
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의하면, 커넥터를 구성하는 후드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후드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의하면, 후드 하우징의, 외력에 의해서 가장 크게 변형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코어 하우징을 가지는 경우에도, 후드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코어 하우징을 가지는 경우에, 후드 하우징의, 외력에 의해서 가장 크게 변형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의 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양태에 의하면, 암 커넥터를 구성하는 후드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후드 하우징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암 커넥터(2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암 커넥터(20)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수 커넥터(30)를 커넥터 감 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A)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암 커넥터(20A)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6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B)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8의 (a)는, 도 7의 암 커넥터(20B)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C)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의 (a)는, 도 9의 암 커넥터(20C)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B-B선 단면도며,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C-C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를, 도 1~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0)의 일례를 설명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을 이 커넥터 조립체(10)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다른 형태의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1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암(雌) 커넥터(20)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의 (a)는, 도 2의 암 커넥터(20)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3의 (b)는, 도 3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 조립체(10)를 구성하는 수(雄) 커넥터(30)를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0)는, 서로 감합되는 암 커넥터(20)와 수 커넥터(30)에 의해 구성된다.
암 커넥터(20)는, 도 2,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된 암 하우징(200), 암 하우징(200)에 유지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의 암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암 단자는 2개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암 단자에는 각각 도선(230)이 접속된다. 또한, 암 단자의 수는 단순한 예시이며, 다른 개수라도 된다.
암 하우징(200)은, 코어 하우징(210)과 후드 하우징(220)에 의해 구성된다. 후드 하우징(220)은, 상판(221), 저판(222), 우측판(223), 좌측판(224)에 의해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통 모양체이며, 후부가 후벽(225)에 의해 폐쇄되고, 전(前)측이 개구부(226)에 의해 개구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암 커넥터(20)와 수 커넥터(30)가 감합하는 감합면측으로부터 암 커넥터(20)를 본 방향, 즉 도 2에 있어서의 지면 우방향을 후(後)방향, 직전 방향 혹은 지면 좌방향을 전(前)방향이라고 부르고, 이들을 총칭하여 전후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암 커넥터(20)의 상판(221)이 형성되는 측을 상방향, 저판(222)이 형성되어 있는 측을 하방향이라고 부르고, 이들을 총칭하여 상하 방향이라고 부른다. 또한, 암 커넥터(20)와 수 커넥터(30)의 감합면측으로부터 암 커넥터(20)를 보았을 경우에, 우측을 우방향, 좌측을 좌방향으로 각각 부르고, 이것들을 총칭하여 폭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코어 하우징(210)은, 후드 하우징(220)의 후벽(225)으로부터 개구부(226)를 향해 전방향으로 소정 길이 돌출하고 있다. 코어 하우징(210)은, 도 3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폭방향으로 장척(長尺)의 직사각형 모양이며, 상면(211), 하면(212), 우측면(213), 좌측면(214), 및 전단면(前端面)(215)을 가진다. 코어 하우징(210)의 상면(211)은 후드 하우징(220)의 상판(221)에 소정 간극을 두고서 서로 마주보게 되고,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은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에 소정 간극을 두고서 서로 마주보게 되고, 마찬가지로, 코어 하우징(210)의 우측면(213)은 후드 하우징(220)의 우측판(223)에, 좌측면(214)은 좌측판(224)에 각각 소정 간극을 두고서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후드 하우징(220)은 코어 하우징(210)의 주위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포위한 상태가 된다. 또한, 코어 하우징(210)의 전단면(215)은 후드 하우징(220)의 후드 전단면(227)보다도 후방에 위치한다(도 3의 (b)).
또한, 코어 하우징(210)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암 단자 수용구(도시하지 않음)가 암 커넥터(20)에 장착되는 암 단자와 동일한 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2개)로 형성되고, 이 암 단자 수용구에 암 단자가 수용된다. 또한, 코어 하우징(210)의 전단면(215)에는 상술한 암 단자 수용구에 연통한 수 단자 삽입구(216)가 형성되며, 암 커넥터(20)와 수 커넥터(30)가 감합되었을 때에, 수 커넥터(30)의 수 단자가 여기에 삽입되고, 암 단자 수용구에 수용되어 있는 암 단자에 접촉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진다.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코어 하우징(210)의 대향하는 부분, 즉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리브(228)가 마련된다. 리브(228)는,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또한, 리브(228)의 높이는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에 이르지 않는 높이, 즉 리브(228)의 상단과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높이로 된다.
또한, 리브(228)의, 커넥터 접속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평면에 있어서의 단면 형상은 상하 방향으로 약간 긴 직사각형 모양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정사각형 모양이라도 되고, 상방향으로 돌출한 반타원 형상 등 다른 형상이라도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리브(228)는, 후드 하우징(22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후드 전단면(227)에 이르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에는, 리브(228)에 대해서 폭 방향으로 인접하는 키 돌기(229)가 형성된다. 키 돌기(229)는, 리브(228)보다도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이 키 돌기(229)는,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폭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우측 혹은 좌측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형성되며, 이 키 돌기(229)에 대응하지 않는 오목부를 가지는 수 커넥터가 개구부(226)에 삽입되는 것을 저지한다.
암 커넥터(20)에는, 또한, 반(半) 감합 검출 기구(240)가 후드 하우징(220)의 상판(221)에 편입된다. 이 반 감합 검출 기구(240)는, 본 발명에 있어서는 중요한 구성은 아니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음에, 상기 암 커넥터(20)에 접속되는 수 커넥터(3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도 4는 수 커넥터(30)를 감합측에서 보고 있기 때문에, 지면상에 있어서는, 도 2, 도 3의 암 커넥터(20)와는 좌우가 반대로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 커넥터(30)는, 절연성의 수지로 형성된 수 하우징(300), 수 하우징(300)에 유지되는 적어도 1개의 도전성의 수 단자(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수 단자는 2개 마련되어 있으며, 각각의 수 단자에는 각각 도선(330)이 접속된다. 또한, 수 단자의 수는 단순한 예시이며, 다른 개수라도 되지만, 이 수 커넥터(30)가 접속되는 암 커넥터(20)의 암 단자의 수와 동일한 수로 되어야 한다.
수 하우징(300)은, 베이스부(310)와 감합 하우징(320)에 의해 구성된다. 베이스부(310)는, 전후 방향으로 장척의 직육면체 형상이며, 수 단자의 베이스부, 및 수 단자에 접속된 도선(330)을 유지한다. 감합 하우징(320)은, 베이스부(310)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 상판(321), 저판(322), 우측판(323), 좌측판(324)에 의해 구성되는 통 모양의 구성이며, 내부에 암 커넥터(20)의 코어 하우징(210)을 받아들이는 코어 하우징 수입(受入) 개구(340)를 형성한다.
코어 하우징 수입 개구(340)의 폭은, 암 커넥터(20)의 코어 하우징(210)의 폭과 대략 동일하고, 높이는, 코어 하우징(21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감합 하우징(320)의 저판(322)의 하면으로부터 상판(321)의 상면(211)까지의 높이는, 암 커넥터(20)의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으로부터 상판(221)의 하면까지의 높이와 대략 동일하다. 또한, 감합 하우징(320)의 우측판(323)의 외면으로부터 좌측판(324)의 외면까지의 폭은, 암 커넥터(20)의 후드 하우징(220)의 우측판(223)의 내면으로부터 좌측판(224)의 내면까지의 폭과 대략 동일하다. 이것에 의해, 수 커넥터(30)가 암 커넥터(20)와 감합할 때에, 감합 하우징(320)은 암 커넥터(20)의 후드 하우징(220)과 코어 하우징(210)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 단자(도시하지 않음)는 수 커넥터(30)의 베이스부로부터 감합 하우징(320)의 코어 하우징 수입 개구(340) 내에 후방을 향해서 돌출하며, 수 커넥터(30)가 암 커넥터(20)와 감합할 때에, 암 커넥터(20)의 코어 하우징(210)의 수 단자 삽입구(216)에 삽입되어, 암 단자와 접촉된다.
감합 하우징(320)의 저판(322)에는, 오목부(3221)가 전후 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오목부(3221)는, 암 커넥터(20)의 리브(228)의 형상에 대응하고 있으며, 저판(322)의 하면 측에 리브(228)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상방을 향해 움푹 패여 있다. 이 오목부(3221)는, 리브(228)의 위치에 대응하고, 감합 하우징(320)의 저판(322)의, 폭방향의 중앙 부분에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목부(3221)는, 암 커넥터(20)의 키 돌기(229)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폭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확장을 가지고 형성되어도 괜찮다. 도 4에서는, 오목부(3221)가 감합 하우징(320)의 저판(322)의, 폭방향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좌측판(324) 측을 향하여 폭 넓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228)에 대응하는 오목부(3221)와 키 돌기(229)를 받아들이기 위한 오목부는 별개로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설명한 암 커넥터(20)에 있어서, 수 커넥터(30)와의 감합이 행하여지기 전의 상태에서, 예를 들면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에 외력이 가해졌다고 한다. 그러면, 저판(222)은 외력에 의해서 코어 하우징(210) 측을 향해 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저판(222)에 마련된 리브(228)의 상단이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에 맞닿음으로써, 저판(222)이 코어 하우징(210)을 향해서 그 이상 변형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1 변형 실시 형태]
다음에, 제1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A)를,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제1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A)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6의 (a)는, 도 5의 암 커넥터(20A)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6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제1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A)는, 상기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와는, 리브의 형성되는 위치가 다를 뿐이고, 다른 부분의 구성은 대략 같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5에 있어서,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에 있어서,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형성되어 있던 리브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대신에,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에 리브(228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228A)는,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의 폭방향의 중앙부에, 전후 방향을 따라서,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하고 있다. 리브(228A)의 높이는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에 이르지 않는 높이, 즉 리브(228A)의 하단과 후드 하우징(220)의 상면(2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높이로 된다.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에, 저판(222)은 외력에 의해서 코어 하우징(210) 측을 향해 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이, 코어 하우징(210)에 형성된 리브(228A)의 하단에 맞닿음으로써, 저판(222)이 코어 하우징(210)을 향해서 그 이상 변형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2 변형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B)를, 도 7,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제2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B)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8의 (a)는, 도 7의 암 커넥터(20B)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8의 (b)는, 도 8의 (a)의 B-B선 단면도이다. 또한, 제2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B)는, 상기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 및 상기 제1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A)와는, 리브의 형성되는 위치가 다를 뿐이고, 다른 부분의 구성은 대략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있어서,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코어 하우징(210)의 대향하는 부분, 즉 하면(212)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리브(228B)가 마련된다. 리브(228B)는,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의 상면(21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된다. 상술한 도 1~도 4에서 설명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브(228)는, 후드 하우징(22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후드 전단면(227)에 이르는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에 반해, 본 제2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B)의 리브(228B)는, 후드 하우징(220)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코어 하우징(210)의 전단면(215)에 이르는 위치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암 하우징(200)을 형성하는 수지의 양을 저감할 수 있다.
후드 하우징(220)의 저판(222)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저판(222)이 외력에 의해서 코어 하우징(210) 측을 향해 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판(222)에 마련된 리브(228B)의 상단이 코어 하우징(210)의 하면(212)에 맞닿음으로써, 저판(222)이 코어 하우징(210)을 향해서 그 이상 변형하는 것이 억제된다.
[제3 변형 실시 형태]
다음에, 제3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C)를, 도 9,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9는, 본 발명의 제3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C)의 외관 사시도이며, 도 10의 (a)는, 도 9의 암 커넥터(20C)의, 커넥터 감합측으로부터 보았을 경우의 정면도이며, 도 10의 (b)는, 도 10의 (a)의 B-B선 단면도며, 도 10의 (c)는, 도 10의 (a)의 C-C선 단면도이다.
제3 변형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C)는, 상기 실시 형태의 암 커넥터(20)와는, 기본적인 구조는 동일하지만, 후드 하우징 내측에 코어 하우징이 2개 마련되어 있는 점이 상이하다. 암 커넥터(20C)는, 2개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 및 2개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주위를 포위하는 후드 하우징(220C)에 의해 구성된다. 후드 하우징(220C)은, 상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상판(221C), 저판(222C), 우측판(223C), 좌측판(224C)에 의해서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통 모양체이며, 후부가 후벽(225C)에 의해 폐쇄되고, 전측이 개구부(226C)에 의해 개구하고 있다.
2개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이 폭방향으로 늘어선 상태에서 후드 하우징(220C)의 후벽(225C)으로부터 개구부(226C)를 향해 전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돌출하고 있다. 각각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은, 도 10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면에서 볼 때 폭방향으로 약간 장척의 직사각형 모양이며, 서로의 사이에 간극(220S)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게 되어 있다. 각각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구성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코어 하우징(210)과 대략 동일한 구성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각각의 코어 하우징(210C1, 201C2)에는 각각 2개의 암 단자가 장착되어 있다(도시하지 않음).
후드 하우징(220C)의 저판(222C)의 상면(211)에는, 전후 방향을 따라서, 리브(228C1, 228C2)가 마련된다. 이들 리브(228C1, 228C2)는, 후드 하우징(220C)의 저판(222C)의 상면(21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각각 하부에 마련되고,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대향하는 부분, 즉 하면(212C1, 212C2)을 향해서 각각 소정 높이 돌출한다. 각각의 리브(228C1, 228C2)의 높이는,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하면(212C1, 212C2)에 이르지 않는 높이, 즉 리브(228C1, 228C2)의 상단과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하면(212C1, 212C2)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높이로 된다.
또한, 각각의 리브(228C1, 228C2)는, 각각의 코어 하우징(210C1, 210C2)에 대해서,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제3 변형 실시 형태의 리브(228C1, 228C2)는, 후드 하우징(220C)의 후벽(225C)으로부터 코어 하우징(210C1, 210C2)의 전단면(215C1, 215C2)에 이르는 위치까지만 형성되어 있다.
후드 하우징(220C)의 저판(222C)에 외력이 가해졌을 경우, 저판(222C)이 외력에 의해서 코어 하우징(210C1, 210C2)측을 향해 휘기 시작한다. 그렇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저판(222C)에 마련된 리브(228C1, 228C2)의 상단이 코어 하우징(210C)의 하면(212C1, 212C2)에 맞닿음으로써, 저판(222C)이 코어 하우징(210C)을 향해서 그 이상 변형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 및 변형 실시 형태의 커넥터 조립체에 대해 설명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 및 변형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리브를 후드 하우징의 저판, 혹은 코어 하우징의 하면에 마련한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후드 하우징의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코어 하우징의 상면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해도 되고, 코어 하우징의 상면(211)으로부터 후드 하우징의 상판의 하면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후드 하우징 혹은 코어 하우징의 상하 방향으로 리브가 형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리브를 후드 하우징 혹은 코어 하우징의 폭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해도 된다. 또한, 리브를, 후드 하우징의 저판과 상판 모두, 혹은 코어의 상면, 하면 모두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리브를, 후드 하우징과 코어 모두로부터, 서로의 사이에 수 하우징이 삽입되기 위한 간극이 사이에 남도록, 서로 대향하도록 돌출시켜도 된다.
10 커넥터 조립체 20, 20A, 20B, 20C 암 커넥터
30 수 커넥터 200 암 하우징
210, 210 C, 210C1, 210C2 코어 하우징
211 상면 212, 212C1 하면
213 우측면 214 좌측면
215, 215C1, 215C2 전단면 216 수 단자 삽입구
220, 220C 후드 하우징 220S 간극
221, 221C 상판 222, 222C 저판
223, 223C 우측판 224, 224C 좌측판
225, 225C 후벽 226, 226C 개구부
227 후드 전단면
228, 228A, 228B, 228C1, 228C2 리브
229 키 돌기 230 도선
240 반 감합 검출 기구 300 수 하우징
310 베이스부 320 감합 하우징
321 상판 322 저판
323 우측판 324 좌측판
330 도선 340 코어 하우징 수입 개구
3221 오목부

Claims (5)

  1. 적어도 1개의 단자와,
    상기 단자를 유지하는 코어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주위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후드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 및 상기 후드 하우징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후드 하우징 또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대향하는 부분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적어도 1개의 리브
    를 가지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브가 상기 코어 하우징 또는 상기 후드 하우징의, 커넥터 접속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커넥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이 1개의 후드 하우징 안에 복수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는 코어 하우징의 수(數)와 동일한 수(數)로 형성되는 커넥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코어 하우징이 1개의 후드 하우징 안에 복수 형성되어 있어
    상기 리브는, 각각의 코어 하우징에 대해서, 커넥터 접속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에 있어서의 중심측에 형성되는 커넥터.
  5. 적어도 1개의 제1 단자와,
    상기 제1 단자를 유지하는 코어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주위를 소정의 간극을 두고 포위하는 후드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 및 상기 후드 하우징 중 적어도 일방으로부터, 상기 후드 하우징 또는 상기 코어 하우징의 대향하는 부분을 향해서 소정 높이 돌출한 적어도 1개의 리브를 가지는 암(雌) 커넥터와,
    상기 후드 하우징과 상기 코어 하우징의 사이의 간극에 삽입 가능한 형상, 크기의 수(雄)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단자에 접속 가능한 제2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수 커넥터 하우징에, 상기 리브의 형상에 대응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수(雄) 커넥터
    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90083197A 2018-08-23 2019-07-10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202000231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56318A JP7078990B2 (ja) 2018-08-23 2018-08-23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組立体
JPJP-P-2018-156318 2018-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178A true KR20200023178A (ko) 2020-03-04

Family

ID=69622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3197A KR20200023178A (ko) 2018-08-23 2019-07-10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7078990B2 (ko)
KR (1) KR2020002317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5867A (ja) 2010-02-24 2011-09-08 Jst Mfg Co Ltd 雄型コネクタ及び雌型コネクタ並びにこれらのコネクタからなる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43823B2 (ja) 2014-10-27 2017-12-0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75867A (ja) 2010-02-24 2011-09-08 Jst Mfg Co Ltd 雄型コネクタ及び雌型コネクタ並びにこれらのコネクタからなる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030987A (ja) 2020-02-27
JP7078990B2 (ja) 202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51B2 (ja) コネクタ
US7559808B2 (en) Connector
US7204725B2 (en) Connector and method of assembling it
CN113258355B (zh) 连接器组件
EP2610974A2 (en) Electrical connector
TWI595707B (zh) 連接器
EP3413398B1 (en) Multi-contact connector
JP2015060628A (ja) コネクタ
CN111244654A (zh) 连接器
JP5429100B2 (ja) 端子金具
CN110534951B (zh) 连接器
US20180076548A1 (en)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US9583873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detecting structure
US20170288334A1 (en) Connector
JP5098875B2 (ja) コネクタ
JP6158770B2 (ja) コネクタ
US20130323955A1 (en) Connector terminal and card edge type connector including this connector terminal
US6589080B2 (en) Terminal fitting and a connector
JP5064933B2 (ja) 電気コネクタ
CN110870143B (zh) 端子零件
KR20200023178A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424545B1 (ko) 커넥터
US10128605B2 (en) Connector
US6669508B2 (en) Connector
JP7424934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