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3045A -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3045A
KR20200023045A KR1020180099400A KR20180099400A KR20200023045A KR 20200023045 A KR20200023045 A KR 20200023045A KR 1020180099400 A KR1020180099400 A KR 1020180099400A KR 20180099400 A KR20180099400 A KR 20180099400A KR 20200023045 A KR20200023045 A KR 20200023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or
power cable
elastic
drawing rod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5765B1 (ko
Inventor
이덕규
남석현
이태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7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23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3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2Cable terminations
    • H02G15/06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 H02G15/064Cable terminating boxes, frames or other structur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20Cable fittings for cables filled with or surrounded by gas or oil
    • H02G15/22Cable termination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TERMINAL CONNECTING SYSTEM FOR POWER CABLE}
본 발명은 가공선과 전력케이블을 접속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은 전력을 공급하는 도체(conductor)를 이용하여 지중, 지상 또는 해저를 통하여 원하는 장소로 전력을 공급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전력케이블은 상기 도체를 절연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상기 도체를 절연시키는 절연층은 XLPE(Cross-linked Polyethylene; 가교 폴리에틸렌) 등을 원료로 하여 제작되거나, 또는 절연지 등을 감아 절연층으로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력케이블은 수백 미터 또는 수 킬로미터 간격으로 중간접속함(Joint box)에 의해 중간접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케이블의 말단은 종단접속체(Termination connection box)에 의해 가공선 또는 차단기 등과 종단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가공선과 연결되기 위한 기중 종단접속체(EB-A)은 가공선과 전력케이블의 도체부 연결을 위한 위하여 기중 종단접속체(EB-A) 내부에 도체인출봉을 구비한다. 상기 종단접속체 내부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부와 도체인출봉이 접속되고 도체인출봉이 종단접속체의 상단으로 인출되어 가공선과 연결될 수 있다.
종래의 기중 종단 접속함(EB-A)은 접속함은 오일이 채워진 애관 상부 금구와 오링 구조 그리고 금구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와 체결부(211)재가 사용되어 수밀이 문제되지 않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많은 부품이 소요되었다.
최근에는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 접속함(EB-A)이 소개되고 있다. 드라이 방식의 기중 종단 접속함(EB-A)의 경우 내부에 절연을 위한 유체가 수용되지 않는 구조를 가지므로 구조가 단순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의 경우, 종래의 종단 접속함에서 사용되던 딱딱한 자기 재질의 애관 및 애관 상부에 금구 등을 장착하는 구조가 아니며,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사용하여 내부에 빈공간 없이 케이블과 밀착되고 그 상부에 금구 등의 구조물이 생략되어 구성이 간소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의 경우, 딱딱한 애관 대신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가 적용되므로 수직 배치되는 경우 단독으로 설치가 어려워 별도의 지지구조, 예를 들면 지지애자가 요구된다.
이러한 지지애자는 단순히 기중(EB-A) 종단접속체를 지지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피뢰기 등을 기능을 갖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가공선은 일반적으로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 측에 접속되지만, 가공선이 종단접속체 도체인출봉 측에 연결되지 않고 지지애자 측으로 접속이 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지지애자는 기중(EB-A) 종단접속체와 연결되어 종단접속체를 물리적으로 지지하는 기능 이외에도 기중(EB-A) 종단접속체 전기적 연결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지지애자와 기중(EB-A) 종단접속체를 연결하는 구조는 전기적 연결을 전제한다.
이러한 지지애자와 기중(EB-A) 종단접속체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구조와 지지애자의 전기적 접속의 경우 지지애자가 흔들리거나 움직임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충분한 강성을 가진 지지재자와 달리 유연한 재질로 구성되며 케이블이 도입되는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의 경우 케이블 신축 또는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전기적 접속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속대상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연결되는 도체인출봉 및 상기 도체인출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력 케이블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단접속체; 상기 종단접속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종단접속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과 상기 지지애자의 단부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도체와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종단접속체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은 상기 슬리브 부재 내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영역, 상기 슬리브 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감소되며 상기 연결도체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부 영역으로 구획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인출봉을 구획하는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의 경계에 수평면 형태의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상기 연결도체의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과 나사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함께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체인출봉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적층된 접시 스프링이며, 각각의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가이드볼트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볼트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커버부재 상부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탄성유닛이 상기 도체인출봉에 나사결합된 후 분리되는 장착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착볼트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탄성유닛의 탄성부재는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과 나사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하단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인출봉이 관통되는 연결도체에 상기 탄성유닛이 안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홈에 상기 탄성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재의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장착홈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은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애자는 금속재질의 연결금구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도체 하면과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도체 상부의 연결금구 대칭된 위치에 가공선 접속도체가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를 구비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종단접속체와 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드라이(Dry) 방식의 기중 종단접속체(EB-A)와 지지애자를 연결도체로 연결하는 경우, 연결도체와 종단접속체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을 나사 결합방식으로 체결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에 의하면, 종단접속체와 지지애자를 연결하는 연결도체와 종단접속체 간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이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가공선의 연결위치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상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의 탄성유닛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지중 등에 포설되는 전력 케이블(800)과 가공선이 접속하기 위해서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 등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타워(700)에 설치되며 가공선과 접속되는 전력 케이블(800)이 수직하게 배치되어 종단접속체(100)에 접속된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는 전력케이블(800)을 매개로 타워(700)에 간접 지지될 수 있다. 즉, 상기 타워(700)에 전력케이블(800)이 고정되므로, 상기 전력케이블(800)이 도입되어 수직하게 배치되는 종단접속체(100)는 간접적으로 상기 타워(700)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는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일 수 있으며, 종단접속체(100)가 드라이 방식인 경우 실리콘 또는 고무 재질의 슬리브 부재(110) 내부에 빈 공간없이 케이블(800)이 밀착된 상태로 도입되므로 자체적인 지지력이 부족하고, 종단접속체(100)에 도입된 전력케이블(800)은 열신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그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지 못하므로 별도의 지지구조가 요구된다.
이를 위하여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는 타워(700) 측에 고정되고 FRP 등이 매립되어 수직방향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지지애자(400) 등을 나란히 배치하고, 지지애자(400)와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를 연결하여 지지애자(400)에 의해 종단접속체(100)가 수집방향으로 지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하부의 설치판(500)과 설치판(500)을 절연하기 위한 절연애자(600)를 매개로 타워(700)에 직접 고정될 수 있다.
전력케이블과 접속되는 가공선은 도 1과 같이 종단접속체(100)에 구비된 도체인출봉(85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선 접속도체(450)가 지지애자(400) 측에 구비되어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피뢰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가공선이 지지애자(400) 측으로 연결되는 경우 종단접속체(100)와 지지애자(400)의 전기적 연결이 요구되므로 케이블(800)과 접속되는 종단접속체(100)와 지지애자(4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애자(4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연결하는 구성은 전기적 연결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상부의 부분 절개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탄성유닛(200)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접속대상 전력케이블(800)의 도체와 연결되는 도체인출봉(850) 및 상기 도체인출봉(850)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력 케이블(800)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11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단접속체(100), 상기 종단접속체(100)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400);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지지애자(400)의 단부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연결도체(300); 및,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전력케이블(800)과 접속되는 종단접속체(100) 및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4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애자(400)는 피뢰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가공선이 지지애자(400) 측으로 연결되는 경우 종단접속체(100)와 지지애자(400)의 전기적 연결이 요구된다.
통상적으로 가공선은 도 1과 같이 종단접속체(100)에 구비된 도체인출봉(850)에 연결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선 접속도체(450)가 지지애자(400) 측에 구비되어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애자(400)는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지지하되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하여 통전성 금속재질로 구성되는 연결도체(300)를 사용한다.
상기 연결도체(300)는 상기 지지애자(400) 및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상단을 수평으로 연결하는 판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는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일 수 있고, 드라이 방식의 기중(EB-A) 종단접속체(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에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110)와 그 내측에 열신축이 발생되는 전력 케이블(800)이 빈틈없이 밀착되는 구조로 구성되므로,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850)의 전기적 연결상태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은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을 체결하며,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체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850)은 상기 슬리브 부재(110) 내에서 전력케이블(800)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영역(857), 상기 슬리브 부재(110)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영역(855) 및 상기 하부 영역(855)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감소되며 상기 연결도체(300)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부 영역(851)으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 하부 영역(855) 및 도체 접속영역(857)은 금속재질로 일체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은 가공선과 접속될 수 있으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애자(400) 측에 구비된 가공선 접속도체(450)에 접속될 수도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인출봉(850)을 구획하는 상부 영역(851) 및 하부 영역(855)의 경계에 수평면 형태의 단차부(853)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853)의 상면에 상기 연결도체(300)의 하면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은 상기 연결도체(300)에 형성된 관통홀을 최소한의 공차가 존재하는 상태로 관통하고 탄성유닛(200)이 관통홀과 연결되는 장착홈(310, 도 5 참조) 내부에 안착되므로,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연결도체(300)의 주된 전기적 연결부위, 즉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연결도체(300)의 밀착영역(S)은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단차부(853) 상면과 상기 연결도체(300)의 하면일 수 있다.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200)은 별도의 체결부재 없이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나사결합되는 커버부재(210), 상기 커버부재(210)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230) 및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재(230) 하부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230)를 함께 지지하는 지지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도체인출봉(850) 상부 영역(851)의 외주면 및 상기 커버부재(210)의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커버부재(210)가 나사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버부재(210)는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상부 영역(851)과 나사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체결부(211)와 상기 체결부(211) 하단에 구비된 플랜지부(2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외주면, 구체적으로 상부 영역의 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커버부재(210)의 체결부(211)이다.
상기 탄성부재(230)는 상기 도체인출봉(850)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탄성부재(230)는 복수 개의 적층된 접시 스프링일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부재(230)는 상기 커버부재(210) 하부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210)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탄성부재(230) 하부에는 지지부재(250)가 구비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230)를 함께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탄성부재(230)는 상기 커버부재(210), 상기 탄성부재(230) 및 상기 지지부재(250)를 관통하는 가이드볼트(270)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210) 및 상기 지지부재(250) 사이에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볼트(270)는 상기 커버부재(210) 또는 상기 지지부재(250) 중 하나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볼트(270)는 접시 스프링 등을 관통하여 접시 스프링의 압축 또는 이완 등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커버부재(210) 상부에서 상기 커버부재(21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250)에 체결되며, 상기 탄성유닛(200)이 상기 도체인출봉(850)에 나사결합된 후 분리되는 장착볼트(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착볼트(290)는 상기 커버부재(210)와 상기 지지부재(250)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부재(230)가 압축되어 탄성 지지력이 생성된 상태로 상기 탄성유닛(200)이 도체인출봉(850)에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장착볼트(290)를 장착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유닛(200)의 탄성부재(230)는 가압되어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장착볼트(290)가 생략된 탄성유닛(200)을 도체인출봉(850)과 체결하는 경우, 탄성부재(230)를 압축시켜 탄성력을 부여하는 작업은 커버부재(210)의 나사결합 작업에 더 큰힘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착유닛은 상기 장착볼트(290)를 적용하여 상기 커버부재(210)의 플랜지부(213)와 탄성부재(230)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25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상기 탄성부재(230)에 탄성력을 부여한 상태로 상기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에 나사 체결된 후 장착볼트(290)를 제거하여 상기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이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단차부(853) 상면과 연결도체(300)의 하면의 접촉 상태와 전기적 연결상태를 탄성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체인출봉(850)이 관통되는 연결도체(300)에 상기 탄성유닛(200)이 안착되는 장착홈(310)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장착홈(310)에 상기 탄성유닛(20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재(210)의 플랜지부(213)의 적어도 일부까지 장착홈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수평방향 틀어짐을 방지하고 케이블의 수직방향 신축시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연결도체(300) 사이에 탄성유닛(200)이 개재되며, 이 경우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도체인출봉(850)과는 나사결합 방법으로 고정되되 상기 연결도체(300) 방향인 하방으로 탄성력을 인가하여, 결국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단차부(853) 상면에 상기 연결도체(300)의 하면이 탄성 지지되어 상기 연결도체(300)와 종단접속체(100)의 전기적 연결상태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애자(400)는 금속재질의 연결금구(410)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도체(300) 하면과 체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선이 상기 지지애자(400) 측으로 접속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도체(300) 상부의 연결금구(410) 대칭된 위치에 가공선 접속도체(450)가 체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지지애자(400) 측으로 가공선이 접속되는 경우, 가공선, 가공선 접속도체(450), 연결도체(300), 도체인출봉(850) 및 전력케이블(800)의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연결도체(300) 사이에 탄성유닛(200)을 개재하여 케이블 신축 또는 비틀림에 따른 움직임 또는 흔들림 발생이 가능한 종단접속체(100)의 도체인출봉(850)과 연결도체(300)의 전기적 연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의 탄성유닛(200)의 조립과정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1)을 구성하는 연결도체(300)와 종단접속체(100)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850)을 체결하기 위하여, 장착볼트(290)까지 체결된 탄성유닛(200)을 도체인출봉(850)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탄성유닛(200) 내에 구비된 상기 탄성부재(230)는 장착볼트(290) 체결과정에서 압축되어 탄성력이 부여된 상태일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00)을 상기 도체인출봉(850)과 상기 연결도체(300)의 관통홀 사이에 장착 완료한 후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볼트(290)를 분리할 수 있다.
상기 탄성유닛(200)의 커버부재(210)는 도체인출봉에 체결되어 일체화 또는 고정된 상태이며, 상기 장착볼트(290)를 분리하는 경우 상기 탄성유닛(200)의 탄성부재(23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은 연결도체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즉, 상기 탄성유닛(200)은 상기 연결도체(300)의 하면을 상기 도체인출봉(850)의 단차부(853) 상면 측으로 탄성가압 또는 탄성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연결도체(300)와 상기 종단접속체(100)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850)의 밀착영역(S)의 접촉상태 또는 전기적 연결상태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00 : 종단접속체
200 : 탄성유닛
300 : 연결도체
400 : 지지애자
800 : 전력케이블

Claims (16)

  1. 접속대상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연결되는 도체인출봉 및 상기 도체인출봉이 노출되도록 상기 전력 케이블 외면을 감싸는 유연한 재질의 슬리브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종단접속체;
    상기 종단접속체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상기 종단접속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애자;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과 상기 지지애자의 단부를 연결하는 금속재질의 연결도체; 및,
    상기 연결도체와 상기 종단접속체의 도체인출봉의 전기적 연결상태를 탄성 지지하기 위한 탄성유닛;을 구비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접속체를 구성하는 도체인출봉은 상기 슬리브 부재 내에서 전력케이블의 도체와 접속되는 도체 접속영역, 상기 슬리브 부재 외측으로 노출되는 하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직경이 감소되며 상기 연결도체를 관통하여 노출되는 상부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을 구획하는 상부 영역 및 하부 영역의 경계에 수평면 형태의 단차부를 가지며, 상기 단차부의 상면에 상기 연결도체의 하면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과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도체인출봉과 나사결합되는 커버부재, 상기 커버부재 하부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탄성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탄성부재 하부에 구비되어 복수 개의 탄성부재를 함께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체인출봉 둘레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탄성부재는 복수 개의 적층된 접시 스프링이며, 각각의 탄성부재는 상기 커버부재, 상기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를 관통하는 가이드볼트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볼트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중 어느 하나와 나사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유닛은 상기 커버부재 상부에서 상기 커버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되며, 상기 탄성유닛이 상기 도체인출봉에 나사결합된 후 분리되는 장착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볼트가 장착된 상태의 상기 탄성유닛의 탄성부재는 가압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과 나사결합되는 파이프 형태의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 하단에 구비된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이 관통되는 연결도체에 상기 탄성유닛이 안착되는 장착홈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에 상기 탄성유닛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커버부재의 플랜지부의 적어도 일부까지 장착홈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인출봉의 상부 영역은 가공선과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애자는 금속재질의 연결금구에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상기 연결도체 하면과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도체 상부의 연결금구 대칭된 위치에 가공선 접속도체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1020180099400A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102565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00A KR102565765B1 (ko)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9400A KR102565765B1 (ko)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3045A true KR20200023045A (ko) 2020-03-04
KR102565765B1 KR102565765B1 (ko) 2023-08-10

Family

ID=69783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9400A KR102565765B1 (ko) 2018-08-24 2018-08-24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7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4890A (ja) * 2003-03-10 2004-09-3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気中終端部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架台
JP4253510B2 (ja) * 2003-01-15 2009-04-15 株式会社サンコーシヤ 避雷針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3510B2 (ja) * 2003-01-15 2009-04-15 株式会社サンコーシヤ 避雷針装置
JP2004274890A (ja) * 2003-03-10 2004-09-30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Ltd 気中終端部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架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765B1 (ko) 2023-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1222B2 (en) Cable termination device, a method for prefabricating a cable termination device and a method for achieving a cable termination
US3509518A (en) High voltage cable connectors
KR101771074B1 (ko) 지중 매설형 배전선 연결 장치
US20050016752A1 (en) Polymer jacket tube and cable terminal connector employing the same
KR101785014B1 (ko) 고정력을 향상시킨 배전 케이블 연결 커플러
US20140182878A1 (en) Termination for electrical cable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termination
CN205428659U (zh) 一种配电变压器进出线全密封引线结构
KR20140021030A (ko) 케이블 종단 장치, 케이블 종단 장치의 사전 제조 방법, 및 케이블 종단부를 획득하는 방법
KR100980568B1 (ko) 폴리머 부싱 및 그 폴리머 부싱을 이용한 케이블 종단 접속기
CN204905019U (zh) 插拔式变压器套管
KR101818237B1 (ko) 지중 배전선 커넥터
KR101666832B1 (ko) 굴곡형 시험챔버를 포함하는 ac 내전압 시험설비
KR20200023045A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CN107294030B (zh) 一种管母线连接结构
US20220413241A1 (en) A system for guiding a dielectric cable from phase-to-ground potential
JP5461499B2 (ja) 気中終端用ポリマー套管及びケーブル終端接続部
KR102565769B1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20200023044A (ko) 전력케이블 종단접속 시스템
KR20110022561A (ko) 케이블 터미널 접속부
KR101038078B1 (ko) 송전철탑 인상을 위한 송전철탑 인상 장비
KR101954841B1 (ko) 지중배전선 접속전용 커넥터
KR101038077B1 (ko) 송전철탑 인상 장비를 이용한 송전철탑 인상 방법
KR101024898B1 (ko) 송전 가공선로용 점퍼선 고정장치
CN221040690U (zh) 光纤绝缘安装结构及无功补偿装置的功率柜
KR102071782B1 (ko) 선박용 복수 접지선용 접지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