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377A -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377A
KR20200022377A KR1020197034124A KR20197034124A KR20200022377A KR 20200022377 A KR20200022377 A KR 20200022377A KR 1020197034124 A KR1020197034124 A KR 1020197034124A KR 20197034124 A KR20197034124 A KR 20197034124A KR 20200022377 A KR20200022377 A KR 20200022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domain
domain resources
terminal device
network device
domain re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4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7031B1 (ko
Inventor
젠화 류
닝 양
Original Assignee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광동 오포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즈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00022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3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0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0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78Timing of allocation
    • H04L5/0082Timing of allocation at predetermined interv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2Indication of how the channel is divided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53Resources in frequency domain, e.g. a carrier in FDMA
    • H04W72/049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0Wireless network protocols or protocol adaptations to wireless operation
    • H04W80/02Data link layer protoc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Abstract

본 출원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Description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본 출원의 실시예는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데이터 전송을 위한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만일 단말 장치가 두 개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지원하려면, 해당 단말 장치가 두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해당 단말 장치가 두 세트의 독립적인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한 세트의 충분한 대역폭을 갖는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을 구비하여, 두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단말의 하드웨어 원가가 증가되고, 또한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여, 단말 장치로 하여금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제1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다.
제2 방면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바, 네트워크 장치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인 것이 포함된다.
일 가능한 구현 방식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된다.
제3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단말 장치에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단말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제4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선택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네트워크 장치의 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모듈 유닛이 포함될 수 있다.
제5 방면으로,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단말 장치가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제3 방면에서 제공하는 단말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6 방면으로, 네트워크 장치를 제공하는 바,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 송수신기와 기억장치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는 명령을 저장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한다. 해당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한 명령을 실행할 때,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어느 한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하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가 제4 방면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 장치를 구현하도록 한다.
제7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8 방면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2 방면, 및 여러 가지 구현방식 중의 임의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9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0 방면으로 시스템 칩을 제공하는 바, 해당 시스템 칩에는 입력 인터페이스, 출력 인터페이스, 프로세서와 기억장치가 포함되고, 해당 프로세서는 해당 기억장치에 저장된 명령을 실행하며, 해당 명령이 실행될 때, 해당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제11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1 방면 또는 제1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제12 방면으로, 명령이 포함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하는 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 상에서 실행될 때, 해당 컴퓨터가 상기 제2 방면 또는 제2 방면의 임의의 가능한 구현 방식 중의 방법을 실행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의 예시적 구조도.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차가 존재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차가 존재할 때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도면.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블럭도.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의 예시적 구조도.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예시적 구조도.
아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기술방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방안은 여러 가지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이동통신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of Mobile communication, GSM),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스템, 광대역 코드 분할 다중접속(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 시스템,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시스템, LTE 주파수 분할 듀플렉스(Frequency Division Duplex, FDD) 시스템, LTE 시간 분할 듀플렉스(Time Division Duplex, TDD) 시스템, 범용 이동통신 시스템(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UMTS) 및 미래의 5G 통신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출원은 단말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단말 장치는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접속 단말, 사용자 유닛, 사용자 스테이션, 이동 무선 스테이션, 이동 스테이션, 원격 스테이션, 원격 단말, 이동 장치, 사용자 단말, 단말, 무선통신 장치, 사용자 에이전트 또는 사용자 장치라 부를 수 있다. 접속 단말은 셀룰로오스 전화, 무선 전화, 세션 개시 프로토콜(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전화, 무선 로컬 루프(Wireless Local Loop, WLL) 스테이션, 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무선통신 기능을 갖는 핸드핼드 장치, 컴퓨팅 장치 또는 무선 모뎀에 연결된 기타 처리 장치,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네트워크 중의 단말 장치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은 네트워크 장치를 참조하여 각 실시예를 설명한다.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와 통신을 진행하기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GSM 시스템 또는 CDMA 중의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 BTS)일 수도 있고, 또는 WCDMA 시스템 중의 기지국(NodeB, NB)일 수도 있으며, 또는 LTE 시스템 중의 향상된 기지국(Evolutional NodeB, eNB 또는 eNodeB)일 수도 있거나, 또는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중계국, 접속점, 차량용 장치, 웨어러블 장치 및 미래 5G 네트워크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또는 미래 향상된 PLMN 중의 네트워크 측 장치 등일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 응용 상황 도면이다. 도 1 중의 통신 시스템에는 네트워크 장치(10)와 단말 장치(20)가 포함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10)는 단말 장치(20)를 위하여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고 또한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기 위한 것이고, 단말 장치(20)는 네트워크 장치(10)가 송신하는 동기화 신호, 방송 신호 등을 검색하는 것을 통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화살표는 단말 장치(20)와 네트워크 장치(10) 사이의 셀룰러 링크를 통하여 진행되는 업링크/다운링크 전송을 표시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는 공공 지상 모바일 네트워크(Public Land Mobile Network, PLMN) 또는 장치 대 장치(Device to Device, D2D) 네트워크 또는 기계 대 기계/인간(Machine to Machine/Man, M2M) 네트워크 또는 기타 네트워크일 수 있으며, 도 1은 단지 예시적인 개략도이고, 네트워크에는 또한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으나, 도 1에 도시하지 않았다.
도 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방법은 단말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단말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단말 장치(20)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210에서,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220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네트워크 장치의 지시 정보를 수신하고, 또한 해당 지시 정보 중의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결정하여,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효과적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주파수 포인트는 예를 들면 변조 신호의 중심 주파수일 수 있고, 어느 한 주파수 포인트는 해당 주파수 포인트를 중심 주파수로 하는 하나의 주파수 범위로 이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일 주파수 간격이 모두 200Khz이고, 200Khz의 주파수 간격으로 구분을 진행한다면, 890MHz, 890.2MHz, 890.4MHz, 890.6MHz, 890.8MHz, 891MHz,......, 915Mhz 모두 125개 무선 주파수 구간이 존재한다. 단말 장치가 만일 서로 다른 접속 네트워크 장치와 통신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접속 네트워크 장치가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신호 주파수가 서로 다를 때, 단말 장치는 응당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네트워크 장치가 송신하는 상응한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여야 한다. 종래 기술 중의 단말 장치에서는 두 세트의 독립적인 무선 주파수 송수신 유닛을 구성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할 수 있지만, 이렇게 되면 단말의 하드웨어 원가가 증가되고, 또한 단말 장치의 전력 소모를 증가시킨다. 하지만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할 때 사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 부동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자원 지시 정보가 지시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주파수 포인트를 예로 들면, 단말 장치가 주파수 포인트 F1을 바탕으로 시간 도메인 자원 T1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 장치가 주파수 포인트 F2를 바탕으로 시간 도메인 자원 T2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한다.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는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할 수 있고, 각 이러한 시간 도메인 주기 내에서, 단말 장치는 모두 동일한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T2가 모두 하나의 타임 슬롯과 같다면,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는 한 서브 프레임(두 개의 타임 슬롯 포함)과 같다. 단말 장치는 각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타임 슬롯 중에서, 주파수 포인트 F1을 바탕으로 시간 도메인 자원 T1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하고, 각 서브 프레임의 두번째 타임 슬롯 중에서, 주파수 포인트 F2를 바탕으로 시간 도메인 자원 T2 상에서 데이터를 수신 또는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해당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Transmission Time Interval, TTI)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을 포함할 수도 있고, 또한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될 수 있으며, 또는 동시에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이 포함되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네트워크 장치는 데이터의 수신과 데이터의 송신을 바탕으로 각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할당을 진행하고, 또한 단말 장치로 데이터 수신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과 주파수 포인트의 대응 관계를 지시하며, 또한 데이터 송신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과 주파수 포인트의 대응 관계를 지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장치는 또한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을 바탕으로 동시에 시간 도메인 자원의 할당을 진행하고, 또한 단말 장치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시간 도메인 자원과 주파수 포인트의 대응 관계를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전송하는 데이터에는 서비스 데이터, 신호 데이터 또는 기타 유형의 데이터가 포함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상기 데이터 전송은 서비스 데이터, 제어 신호, 참조 신호 등 임의의 유형의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일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는 이에 대하여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는 다수 주파수 포인트 상의 데이터 전송을 지원할 수 있는 바, 아래 두 개의 주파수 포인트 F1과 F2 또는 네 개의 주파수 포인트 F1, F2, F3과 F4를 예로 들어 설명을 진행하며, 본 출원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가 두 개의 주파수 포인트 F1과 F2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다고 가정하면,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지시하여 시간 도메인 자원 T1 상에서 F1을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2 상에서 F2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주파수 포인트 F1과 주파수 포인트 F2를 번갈아 사용한다.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구체적으로 두 가지 방식을 통하여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 대응되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 방식1과 방식2에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는 같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방식1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 정보에는 두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T1과 T2)의 정보가 포함되고, 두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T1과 T2)은 각각 두 개의 주파수 포인트(F1과 F2)에 대응된다. 해당 제1 지시 정보는 T1과 T2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지시하는 바, 예를 들면 T1은 각 타임 슬롯의 부호0으로부터 시작하고, T2는 각 타임 슬롯의 부호3으로부터 시작한다.
또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 정보에는 각각 네 개의 주파수 포인트(F1, F2, F3과 F4)에 대응되는 네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T1, T2, T3과 T4)의 정보가 포함되고, 해당 제1지시 정보는 T1, T2, T3과 T4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를 지시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T1은 각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타임 슬롯의 부호0으로부터 시작하고, T2는 각 서브 프레임의 첫번째 타임 슬롯의 부호3으로부터 시작하며, T3은 각 서브 프레임의 두번째 타임 슬롯의 부호0으로부터 시작하고, T4는 각 서브 프레임의 두번째 타임 슬롯의 부호3으로부터 시작한다.
방식2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그 중에서, 선택적으로, 만일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길이가 불완전하게 같다면,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길이 및 각자의 시간 순서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 정보에는 두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즉 T1과 T2가 포함되며,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고,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가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한다. 그 중에서 시간 도메인 자원 T1이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앞 절반 기간을 차지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2가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뒤 절반 기간을 차지한다. 제1 지시 정보 중의 두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 각각의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또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시 정보에는 두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즉 T1, T2, T3과 T4의 정보가 포함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1 내지 시간 도메인 자원 T4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으며, 시간 도메인 자원 T1 내지 시간 도메인 자원 T4가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는 바, 예를 들면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는 두 개의 서브 프레임의 길이와 같고, 또한 네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순서는 T1, T2, T3, T4이다. 다시 말하면,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가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앞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0을 차지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3과 시간 도메인 자원 T4가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뒤 하나의 서브 프레임 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1을 차지하며, 또한 시간 도메인 자원 T1이 서브 프레임0 중의 첫번째 타임 슬롯 즉 타임 슬롯0을 차지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2가 서브 프레임0 중의 두번째 타임 슬롯 즉 타임 슬롯1을 차지하며, 시간 도메인 자원 T3이 서브 프레임1 중의 첫번째 타임 슬롯 즉 타임 슬롯0을 차지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4가 서브 프레임1 중의 두번째 타임 슬롯 즉 타임 슬롯1을 차지한다. 제1 지시 정보 중의 네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시간 도메인 자원 T1 내지 시간 도메인 자원 T4 각각의 해당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F1은 해당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단말 장치는 주파수 포인트 F1과 해당 서비스 셀 중의 네트워크 장치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F2는 해당 단말 장치의 하나의 인접 셀의 주파수 포인트이고, 단말 장치는 주파수 포인트 F2를 바탕으로, 인접 셀 중의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 한 가지 문제가 존재하는 바, 만일 서비스 셀과 해당 인접 셀이 동기화되지 않는다면, 즉 두 개의 셀의 시간이 완전히 일치되지 않는다면, 단말 장치의 데이터 전송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지간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서비스 셀이 유지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해당 인접 셀이 유지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T1 지간에 시차가 존재하고, 서비스 셀이 유지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T2와 해당 인접 셀이 유지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 T2 지간에도 시차가 존재한다. 그렇다면, 단말 장치가 주파수 포인 F1로부터 주파수 포인트 F2로 전환될 때, 서비스 셀이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으로부터 인접 셀이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으로 전환되어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하며, 이렇게 되면 서비스 셀이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인접 셀이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중첩되어, 주파수 포인트 F1과 F2 지간의 데이터 전송의 간섭을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하기 방식을 통하여 이러한 비동기화에 의한 간섭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해당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해당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단말 장치가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해당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해당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며; 또는
단말 장치가 해당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해당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해당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단말 장치가 수신하는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이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임의의 두 개의 시간 도메인 자원 즉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는 각각 주파수 포인트 F1과 주파수 포인트 F2에 대응되며, 시간 도메인 자원 T1은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주파수 포인트 F1을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2는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주파수 포인트 F2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각각 두 개의 셀(예를 들면, 서비스 셀과 인접 셀) 중의 접속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시간이 동기화되는 상황 하에서, 단말 장치는 시간 도메인 자원 T1 상에서 주파수 포인트 F1을 바탕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고, 또한 시간 도메인 자원 T2 상에서 주파수 포인트 F2를 바탕으로 제2 네트워크 장치와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는 시간 상에는 일치하고, 단말 장치는 시간 도메인 자원 T1 상에서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완성한 후, 직접 주파수 포인트 F2로 전환하고, 시간 도메인 자원 T2 상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하지만, 만일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의 시간이 동기화되지 않는다면,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T1과 시간 도메인 자원 T2는 시간 상에서 시차가 존재한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지간에 중첩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한다. 단말 장치가 만일 여전히 시간 도메인 자원 T1 상에서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완성한 후, 주파수 포인트 F2로 전환되어 제2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면,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동시에 주파수 포인트 F1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전송과 주파수 포인트 F2를 바탕으로 한 데이터 전송이 존재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이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단말 장치로 데이터를 송신하지만, 제2 네트워크 장치도 이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단말 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이로써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호 지간의 간섭이 존재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해당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수 있고, 또한 해당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지 않을 것이다. 또는 해당 단말 장치가 해당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지 않고, 해당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해당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해당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0에 도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시간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시간보다 이른 바, 시차는 T3이다. 그러므로,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 중첩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의 크기는 바로 T3이다. 단말 장치는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또한 시간 도메인 자원 T3 상에서, 제2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스케줄링하여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지 않을 것이다. 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는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T3을 제외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1 네트워크 장치와의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바, 즉 제1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를 스케줄링하여 시간 도메인 자원 T3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지 않으므로, 단말 장치는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정상적으로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스케줄링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방법에는 또한, 단말 장치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해당 제2 지시 정보는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되고,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예를 들면 도 7 또는 도 8 중의 시간 도메인 자원 T3을 지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 해당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에는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작 부호 위치 및/또는 마지막 부호 위치가 포함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해당 시작 부호 위치와 시간 도메인 길이에 의하여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시작 부호 위치와 마지막 부호 위치에 의하여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또는 단지 해당 시간 도메인 길이에 의하여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두 개의 시간 도메인 부호와 같다면,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의 마지막 두 개의 시간 도메인 부호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과 중첩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고,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의 초기 두 개의 시간 도메인 부호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중첩되는 시간 도메인 부호이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다. 해당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예를 들면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 및 기타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이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는 공동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을 결정할 수 있고, 또한 그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통하여 단말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자원 패턴(pattern)이라 칭할 수 있다. 단말 장치는 해당 패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수신 및/또는 송신을 진행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해당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해당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즉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이다.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는 예를 들면 단말 장치의 서비스 정보, 단말 장치의 우선순위 정보와 단말 장치의 장치 정보 등이다.
도 1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의 예시적 흐름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방법은 네트워크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고, 해당 네트워크 장치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네트워크 장치(10)일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에는,
1210에서, 네트워크 장치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1220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네트워크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를 결정하고, 또한 단말 장치로 지시 정보를 송신하여, 단말 장치가 해당 지시 정보 중의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 의하여,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를 결정하여,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에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해당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 서로 다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각각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만일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처한 셀과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처한 셀의 시간이 동기화되지 않는다면,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시차가 존재하는 바, 즉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는 바, 예를 들면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시간 도메인 자원 T3이다. 이때 제1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중첩된 구역에서 단말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지 않고, 단말 장치는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또는 제2 네트워크 장치는 해당 중첩된 구역에서 단말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스케줄링하지 않고, 단말 장치는 해당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제1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장치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인 것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된다.
네트워크 장치와 단말 장치 사이의 해당 데이터 전송의 과정은 구체적으로 상기 도 2 내지 도 11 중의 단말 장치에 대한 관련 설명을 참조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여러 가지 실시예에서, 상기 각 과정의 번호의 크기는 실행 순서의 선후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각 과정의 실행 순서는 그 기능과 내적인 논리에 의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실시 과정에 대하여 아무런 제한도 하지 말아야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3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3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1300)에는 전송 유닛(1310)이 포함되어,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상기 전송 유닛(1310)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며;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1310)은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1310)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다.
도 14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400)의 예시적 블럭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1400)에는 결정 유닛(1410)과 전송 유닛(1420)이 포함된다. 그 중에서,
결정 유닛(1410)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전송 유닛(1420)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전송 유닛(1420)은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1420)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전송 유닛(1420)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결정 유닛(1410)은 구체적으로,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된다.
도 15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5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말 장치에는 프로세서(1510), 송수신기(1520)와 기억장치(15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510), 송수신기(1520)와 기억장치(15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15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1510)는 해당 기억장치(15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15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송수신기(1520)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송수신기(1520)는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며;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520)는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520)는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다.
본 출원의 실시예 중의 해당 프로세서(15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고, 해당 프로세서(15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ield-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15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5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15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5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5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15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510)가 기억장치(15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500)는 상기 방법(200) 중의 방법(200)을 실행하기 위한 단말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13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단말 장치(15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200)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6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600)의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네트워크 장치에는 프로세서(1610), 송수신기(1620)와 기억장치(1630)가 포함되고,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610), 송수신기(1620)와 기억장치(1630)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통신한다. 해당 기억장치(1630)는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것이며, 해당 프로세서(1610)는 해당 기억장치(1630)가 저장한 명령을 실행하여 해당 송수신기(1620)를 제어하여 신호를 수신하거나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 그 중에서, 해당 프로세서(1610)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그 중에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해당 송수신기(1620)는,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장치는 단말 장치로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 도메인 자원을 구성하는 것을 통하여, 단말 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 장치의 하드웨어 원가와 전력 소모를 증가시키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하기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바, 즉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그 중에서, 송수신기(1620)는,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620)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된다.
선택적으로, 송수신기(1620)는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1610)는 구체적으로, 하기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즉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해당 프로세서(1610)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1610)는 또한 기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응용 주문형 집적 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램가능 논리 소자,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논리 소자, 개별 하드웨어 모듈 등일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고, 해당 프로세서는 또한 임의의 일반적인 프로세서 등일 수 있다.
해당 기억장치(1630)에는 ROM과 RAM이 포함될 수 있고, 또한 프로세서(1610)로 명령과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기억장치(1630)의 일부분에는 또한 비휘발성 RAM이 포함될 수 있다. 구현 과정에, 상기 방법의 각 단계는 프로세서(1610) 중의 하드웨어의 집적 논리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식의 명령을 통하여 완성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공개된 방법의 단계와 결합시켜 직접 하드웨어 프로세서로 구현되어 실행되거나, 또는 프로세서(1610) 중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모듈 조합으로 실행하여 완성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무작위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읽기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머블 읽기전용 메모리 또는 전기 휘발성 프로그래머블 메모리, 레지스터 등 당업계의 성숙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해당 저장 매체는 기억장치(1630)에 위치하고, 프로세서(1610)가 기억장치(1630) 중의 정보를 읽으며, 그 하드웨어와 결합시켜 상기 방법의 단계를 완성한다. 복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600)는 상기 방법(1200) 중의 방법(1200)을 실행하기 위한 네트워크 장치 및 본 출원의 실시예의 네트워크 장치(1400)에 대응될 수 있고, 또한 해당 네트워크 장치(1600) 중의 각 유닛 또는 모듈은 각각 상기 방법(1200)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각 동작 또는 처리 과정을 실행하며, 여기에서는 간략화를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7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시스템 칩의 일 예시적 구조도이다. 도 17의 시스템 칩(1700)에는 입력 인터페이스(1701), 출력 인터페이스(170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3), 기억장치(1704)가 포함되고, 상기 입력 인터페이스(1701), 출력 인터페이스(1702), 상기 프로세서(1703) 및 기억장치(1704) 사이는 내부 연결 통로를 통하여 상호 연결된다. 상기 프로세서(1703)는 상기 기억장치(1704) 중의 코드를 실행하기 위한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7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단말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2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코드가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1703)는 방법 실시예 중의 네트워크 장치가 실행하는 방법(1200)을 구현할 수 있다. 간략화를 위하여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본 명세서 공개된 실시예의 각 예시의 유닛 및 연산 단계를 결합시켜, 전자 하드웨어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와 전자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기능이 하드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 방식으로 구현될 것인지는 기술방안의 특정된 응용과 설계 제한 조건에 의하여 결정된다. 전문 기술자들은 각 특정된 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나, 이러한 구현이 본 출원의 범위를 초과한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설명의 편리와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시스템, 장치와 유닛의 구체적인 작동 과정은 상기 방법 실시예 중의 대응되는 과정을 참조할 수 있음을 당업계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며,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하는 몇 개 실시예에서, 공개된 시스템, 장치와 방법은 또한 기타 방식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장치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예를 들면 상기 유닛의 구분은 단지 논리적인 구분이고, 실제 구현 시 다른 구분 방식이 있을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복수의 유닛 또는 모듈은 다른 시스템에 결합 또는 집적될 수 있거나, 일부 특징은 삭제되거나 또는 실행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서로 사이의 커플링 또는 직접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은 일부 인터페이스, 장치 또는 유닛의 간접적인 커플링 또는 통신 연결을 통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는 바, 전기적, 기계적 또는 기타 형식일 수 있다.
해당 분리된 부품으로 설명된 유닛은 물리적으로 분리되거나 분리되지 않은 것을 수 있고, 유닛으로 표시된 부품은 물리적인 유닛이거나 아닐 수 있으며, 한 곳에 위치하거나 또는 복수의 네트워크 유닛 상에 분포될 수 있다. 실제 수요에 의하여 그 중의 일부 또는 전부 유닛을 선택하여 본 실시예 방안의 목적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출원의 각 실시예 중의 각 기능 유닛은 하나의 모니터링 유닛 중에 직접될 수도 있고, 또는 각 유닛의 독립적인 물리적 존재일 수 있으며, 또는 두 개 또는 두 개 이상의 유닛이 하나의 유닛에 직접되어 있을 수 있다.
해당 기능은 소프트웨어 기능 유닛의 형식으로 구현되고 독립적인 제품으로 판매 또는 사용될 때, 컴퓨터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본 출원의 기술방안의 본질적이나 또는 종래 기술에 대하여 공헌이 있는 부분 또는 해당 기술방안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제품의 형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해당 컴퓨터 소프트웨어 제품은 하나의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는 바, 일부 명령이 포함되어 컴퓨터 설비(컴퓨터, 서버 또는 네트워크 설비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로 하여금 본 출원의 각 실시예의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구현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에는 USB 메모리, 이동 하드, 읽기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무작위 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자기 디스크 또는 광 디스크 등 여러 가지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는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출원을 구체적인 실시방식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출원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6)

  1.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며; 또는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단말 장치가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에는,
    상기 단말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5.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에는,
    네트워크 장치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르며;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19. 제15항 내지 제1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0. 제15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1. 제15항 내지 제2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2. 제15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에는 또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5. 제15항 내지 제2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6. 제15항 내지 제2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7. 제15항 내지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장치가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것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8. 제15항 내지 제2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29. 단말 장치로서,
    상기 단말 장치에는,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른 전송 유닛이 포함되며;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2.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3. 제29항 내지 제3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4. 제29항 내지 제3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5. 제29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6. 제29항 내지 제3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며; 또는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한편,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제2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39. 제29항 내지 제3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0. 제29항 내지 제3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1. 제29항 내지 제4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는,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2. 제29항 내지 제4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장치.
  43. 네트워크 장치로서,
    상기 네트워크 장치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서로 다른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파수 포인트가 다른 결정 유닛;
    단말 장치로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1 지시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가 포함되어,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각각 대응되는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전송 유닛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은 시간 도메인 상에서 교체 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시간 도메인 시작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6.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이 하나의 시간 도메인 주기를 구성하고,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의 길이 및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각각의 상기 시간 도메인 주기 중의 상대적 위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7. 제43항 내지 제4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의 시간 도메인 길이가 같거나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8. 제43항 내지 제4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중의 각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다수의 시간 도메인 유닛이 포함되고, 상기 시간 도메인 유닛에는,
    무선 프레임, 서브 프레임, 타임 슬롯, 부호, 전송 시간 간격 중의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49. 제43항 내지 제4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 대응되는 다수의 주파수 포인트에는 상기 단말 장치의 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 및/또는 비서비스 셀의 주파수 포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0. 제43항 내지 제4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에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이 포함되며, 상기 제1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고,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며, 상기 제1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1 시간 도메인 자원과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지간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이 존재하고,
    상기 네트워크 장치는 제1 네트워크 장치이고,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제1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단말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는 것을 금지하여, 상기 단말 장치가 상기 제2 주파수 포인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가 유지하는 상기 제2 시간 도메인 자원 상에서 상기 제2 네트워크 장치와 데이터 전송을 진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또한,
    상기 단말 장치로 제2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바, 상기 제2 지시 정보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2. 제50항 또는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에는 상기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의 위치 및/또는 시간 도메인 길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3. 제43항 내지 제5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에는 데이터의 수신 및/또는 데이터의 송신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4. 제43항 내지 제5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 유닛은 구체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RRC) 신호, 매체 접근 제어(MAC) 신호 또는 물리 계층 신호를 통하여 상기 제1 지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5. 제43항 내지 제5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구체적으로,
    상기 단말 장치의 독점 정보, 베어링 유형과 논리 채널 유형 중의 적어도 한 가지에 의하여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의 정보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56. 제43항 내지 제5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시간 도메인 자원 및/또는 중첩된 시간 도메인 자원은 상기 단말 장치와 통신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가 협상하여 결정한 것이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장치에는 상기 네트워크 장치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장치.
KR1020197034124A 2017-07-17 2017-07-17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4170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17/093225 WO2019014818A1 (zh) 2017-07-17 2017-07-17 传输数据的方法、终端设备和网络设备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377A true KR20200022377A (ko) 2020-03-03
KR102417031B1 KR102417031B1 (ko) 2022-07-04

Family

ID=65014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4124A KR102417031B1 (ko) 2017-07-17 2017-07-17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11419111B2 (ko)
EP (1) EP3637894B1 (ko)
JP (1) JP6968909B2 (ko)
KR (1) KR102417031B1 (ko)
CN (2) CN111278133B (ko)
AU (1) AU2017424406A1 (ko)
BR (1) BR112019027014A2 (ko)
CA (1) CA3064473C (ko)
IL (1) IL270845B2 (ko)
MX (1) MX2019015327A (ko)
PH (1) PH12019502598A1 (ko)
RU (1) RU2748873C1 (ko)
SG (1) SG11201910922WA (ko)
TW (1) TWI762678B (ko)
WO (1) WO2019014818A1 (ko)
ZA (1) ZA20190810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21034B (zh) * 2018-06-19 2021-06-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传输控制方法、装置及系统
CN113993009A (zh) * 2020-07-27 2022-01-28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时间同步用于多域传输的方法、装置、olt及onu
CN112436917B (zh) * 2020-11-23 2023-09-15 北京中航通用科技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的方法及装置
CN115278888A (zh) * 2021-04-30 2022-11-01 展讯半导体(南京)有限公司 资源指示方法及相关装置
CN115734256A (zh) * 2021-08-30 2023-03-03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的方法及装置
CN115884163A (zh) * 2022-11-09 2023-03-31 海能达通信股份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窄带自组网中转装置及通信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7358A1 (en) * 2013-01-31 2014-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dm-based resource partition between two radio base stations
US20150156671A1 (en) * 2013-12-04 2015-06-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for communicating simultaneously on multiple frequencies
US20150288490A1 (en) * 2012-12-17 2015-10-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rrier Allo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69424B2 (en) * 2006-07-14 2013-02-05 Qualcomm Incorporated Frequency selective and frequency diversity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3209441B (zh) * 2012-01-12 2016-04-13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数据传输方法和设备
CN102907050B (zh) * 2012-06-06 2015-04-08 华为技术有限公司 多址接入方法、装置及系统
CN103997788B (zh) * 2013-02-18 2019-01-11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用于设备到设备通信的设备发现方法及用户设备、网络侧设备
US20160360541A1 (en) 2014-02-12 2016-12-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CN103838376B (zh) * 2014-03-03 2016-09-28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立体交互方法和立体交互系统
CN105991266B (zh) * 2015-01-30 2019-12-13 上海数字电视国家工程研究中心有限公司 前导符号的生成方法、接收方法、生成装置及接收装置
JP6515210B2 (ja) * 2015-07-03 2019-05-15 華為技術有限公司Huawei Technologies Co.,Ltd.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KR102026425B1 (ko) * 2015-08-21 2019-09-27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무선 통신 방법, 네트워크 기기, 사용자 장비 및 시스템
WO2018229731A1 (en) * 2017-06-16 2018-12-2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System and methods for configuring user equipments with overlapping pucch resources for transmitting scheduling requests
EP3657888B1 (en) * 2017-07-21 2023-05-24 LG Electronics Inc. Signal transceiving method based on lte and nr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for sam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88490A1 (en) * 2012-12-17 2015-10-08 Huawei Technologies Co., Ltd. Carrier Allocat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Base Station
WO2014117358A1 (en) * 2013-01-31 2014-08-07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Tdm-based resource partition between two radio base stations
US20150156671A1 (en) * 2013-12-04 2015-06-04 Motorola Mobility Llc Methods for communicating simultaneously on multiple frequenci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1-1710247 *
3GPP R1-1710879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278133B (zh) 2021-10-29
MX2019015327A (es) 2020-02-19
AU2017424406A1 (en) 2019-12-12
ZA201908106B (en) 2021-04-28
IL270845B1 (en) 2023-01-01
EP3637894A4 (en) 2020-04-29
PH12019502598A1 (en) 2020-07-13
SG11201910922WA (en) 2020-02-27
CA3064473C (en) 2022-04-26
CA3064473A1 (en) 2019-01-24
US20200112954A1 (en) 2020-04-09
WO2019014818A1 (zh) 2019-01-24
BR112019027014A2 (pt) 2020-06-30
JP6968909B2 (ja) 2021-11-17
JP2020530949A (ja) 2020-10-29
CN111278133A (zh) 2020-06-12
EP3637894B1 (en) 2021-08-04
EP3637894A1 (en) 2020-04-15
IL270845A (en) 2020-01-30
CN110771231A (zh) 2020-02-07
TWI762678B (zh) 2022-05-01
CN110771231B (zh) 2024-03-15
US11419111B2 (en) 2022-08-16
IL270845B2 (en) 2023-05-01
KR102417031B1 (ko) 2022-07-04
RU2748873C1 (ru) 2021-06-02
TW201909590A (zh) 2019-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7031B1 (ko)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단말 장치와 네트워크 장치
KR102334787B1 (ko) 데이터 전송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JP6900501B2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機器及びネットワーク機器
JP6938671B2 (ja) 信号を伝送する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機器
JP2022511296A (ja) 構成情報の伝送方法および端末機器
JP2020515141A (ja) 信号伝送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EP3606203B1 (en)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2021510463A (ja) データ伝送方法、端末装置及びネットワーク装置
JP2022509581A (ja) リソースプールを切り替える方法、端末デバイス及び通信デバイス
US11317453B2 (e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method for reducing mutual interference between different types of terminal devices,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JP7019793B2 (ja) 無線通信方法、ネットワーク機器及び端末装置
CN112261730B (zh) 通信的方法和通信装置
KR20200011433A (ko) 비연속 수신 방법, 단말기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JP2021529442A (ja) 物理ランダムアクセスチャネル伝送用のチャネルアクセス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9242452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