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186A - Pottery heater - Google Patents

Pottery hea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186A
KR20200022186A KR1020180098019A KR20180098019A KR20200022186A KR 20200022186 A KR20200022186 A KR 20200022186A KR 1020180098019 A KR1020180098019 A KR 1020180098019A KR 20180098019 A KR20180098019 A KR 20180098019A KR 20200022186 A KR20200022186 A KR 20200022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heating
heat
combustion
bur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801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오상기
Original Assignee
오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기 filed Critical 오상기
Priority to KR1020180098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2186A/en
Publication of KR20200022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18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24B1/028Closed stoves with means for regulating combus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2Arrangement or mountings of fire-grate assemblies; Arrangement or mountings of linings for fire-boxes, e.g. fire-b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7/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convection heating 
    • F24B7/005Flue-gas 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Disclosed is a pottery heater. The pottery heater comprises: a burning part having a burning space therein for burning firewood and having a side surface on whic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opened and closed to input the firewood into the burning space is installed; and a heating part connected to the burning space via a communication pipe and having the inside into which burning heat of the firewood transmitted via the communication pipe is induced to heat an indoor space, wherein the heating part includes: a heating body composed of a pottery material, connected to the burning part via the communication pipe, and having the inside in which a heating space receiving the burning heat is formed; and a heat exchange body composed of a pottery material, installed within the heating body in a state of being spaced from an inner wall of the heating body, having one side communicating with the indoor space, having the inside where a heat exchange space exchanging heat with the burning heat of the heating space is formed, and having the upper part where a discharge part discharging heat-exchanged heated air into the indoor space is formed.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indoor space at proper temperature while considering eco-friendly indoor design, thereby enhancing user satisfaction.

Description

옹기 난로{POTTERY HEATER}Onggi stove {POTTERY HEATER}

본 발명은 옹기(甕器) 재질을 이용하여 실내 벽난로 기능을 구현하는 옹기 난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ng stove that implements an indoor fireplace function using an ong material.

일반적으로 항아리는 황토나 배토로 빚은 후 고온의 열을 가하여 제조되는 것으로, 비교적 높이가 낮고 입구가 넓으며 아래가 좁고 배가 몹시 부른 형태를 갖는 전통적인 옹기로서 예로부터 각종 곡식류나 물 또는 술 등을 담는 용기로 사용되어 왔다.Generally, clay pots are manufactured by applying high temperature heat after forming with loess or clay, and they are traditional low pots with a relatively low height, wide entrance, narrow bottom, and heavy belly, which contain various grains, water, or liquor. It has been used as a container.

이와 같은 항아리는 금속, 유리, 합성수지 등의 재료로 만들어지는 다른 용기에 비하여 통기성이 매우 우수하고, 원적외선을 방사하는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주로 곡류나 김치류 등의 식품을 장기간 보관하는데 적용되었다.Such a jar is highly breathable compared to other containers made of materials such as metal, glass, and synthetic resin, and is known to radiate far infrared rays, and thus is mainly used for long-term storage of foods such as grains and kimchi.

그러나, 항아리의 용도가 곡물류나 김치 또는 술 등 식품을 담아 보관하는 용도로 국한되는 반면, 최근 기술의 발달로 김치냉장고 등의 다양한 용기류가 개발됨에 따라 항아리의 이용범위가 점점 축소된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ile the use of the jar is limited to use for storing food such as grains, kimchi or liquo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range of use of the jar is gradually reduced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tainers such as kimchi refrigerator by the recent development of technology.

또한 상기와 같이 항아리의 사용범위가 축소됨에 따라 그 제조기술이 점차적으로 사장되는 것은 물론, 항아리 제조자의 소득 또한 그게 줄어드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In addition, as the use range of the jar is reduced as described above, as well as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gradually disappears, there is a serious problem that the income of the jar manufacturer also decreases.

따라서, 옹기 재질의 항아리를 이용 범위를 다양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iversify the use range of the clay pot.

공개특허공보 10-2010-0086228Published Patent Publication 10-2010-0086228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옹기 재질의 항아리를 이용하여 난로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한 옹기 난로를 제공하고자 한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ndol stove capable of implementing a stove function using a jar made of earthenwar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화목(火木)이 연소되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화목을 상기 연소 공간으로 투입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가 설치된 연소부와, 연소 공간에 연통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연통관을 통해 전달된 화목의 연소열이 유입되어 실내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부를 포함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space is formed inside the firewood (fire wood) and the combustion portion is installed on the side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to inject the firewood into the combustion space, and the combustion space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pipe inside It includes a heating unit for heating the indoor space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firewood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가열부는, 연소부에 연통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연소열이 유입되는 가열공간이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의 가열 바디와, 가열 바디의 내벽면에 이격된 상태로 가열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실내 공간과 연통되고 내부에는 가열 공간의 연소열과 열교환되는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열교환된 가열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의 열교환 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heating unit is connected to the combustion unit by a communication tube and has a heating body made of an oncology material in which a heating space into which combustion heat flows is formed, and is installed inside the heating body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heating body. The heat exchange body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space, the heat exchange space is formed inside the heat exchange heat exchange with the combustion heat of the heating space, the upper portion may include a heat exchanger body of the pottery material is formed in which the discharge portion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

일측은 가열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 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은 실외로 연장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One side may further include an exhaust pipe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heating body to communicate with the heating space and the other side to be extended outdoors.

배기관이 연결된 위치에서 가열 바디와 열교환 바디의 사이에는 열차단 플레이트가 설치될 수 있다.A heat shield plat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heating body and the heat exchange body at the position where the exhaust pipe is connected.

연소부의 상측에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가 설치될 수 있다.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unit may be provided with an air control unit for adjusting the inflow of air.

개폐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옹기의 친환경 재질을 이용하여 벽난로 기능의 효과적인 구현이 가능한 바, 친환경적인 실내 디자인을 고려하면서 실내 공간의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fireplace function using the eco-friendly material of the Onggi bar,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while considering the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design can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옹기 난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옹기 난로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ng stove of FIG. 1 from another side;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II of the ong stove of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DETAILED DESCRIPTION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옹기 난로를 다른 측면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옹기 난로의 Ⅲ-Ⅲ 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ong stove of FIG. 1 from another side,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ng stove of FIG. Sectional drawing cut along the line III-III.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옹기 난로(100)는, 내부에 화목(火木,13)이 연소되는 연소 공간(11)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화목(13)을 연소 공간(11)으로 투입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12)가 설치된 연소부(10)와, 연소 공간(11)에 연통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연통관(17)을 통해 전달된 화목의 연소열이 유입되어 실내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부(2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in the ong stov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ustion space 11 in which the firewood (fire wood, 13) is burned is formed on the side and the firewood 13 in the combustion space Combustion unit 10 is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art 12 to be opened and closed to be introduced into the (11), and the combustion space 11 is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ube and the combustion heat of the firewood transmit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7 is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space It includes a heating unit 20 for heating.

연소부(10)는 내부에는 연소 공간(11)이 형성되어 장작 등의 화목(13)이 내부에 투입된 상태에서 발화되어 연소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소부(10)에서 연소된 연소열(21b)은 후술하는 가열부(20)에 공급되어 실내 공간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도록 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installed to ignite and burn in a state in which a combustion space 11 is formed therein and a firewood 13 such as firewood is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unit 10. As such, the combustion heat 21b combusted by 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supplied to the heating unit 20 to be described later to heat the indoor spac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연소부(10)는 항아리 형상의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설치 장소의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formed in an oval shape of a jar, and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installation place.

연소부(10)의 측면에는 화목(13)을 연소 공간(11)의 내부로 투입하는 개폐부(12)가 설치될 수 있다.The side of 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12 for introducing the firewood 13 into the combustion space (11).

개폐부(12)는 연소부(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슬라이딩 타입으로 연소부(10)의 측면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개폐부(12)는 슬라이딩 타입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연소부(10)의 측면에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unit 10 so as to be openable and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unit 10 in a sliding type. However, the opening and closing part 12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liding type,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to be installed rotatably by a hinge on the side of the combustion part 10.

한편, 연소부(10)의 상측에는 공기 유량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15)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provided with an air control unit 15 for adjusting the air flow rate.

공기 조절부(15)는 연소부(10)의 상측에서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바, 연소부(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량의 단계적인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The air conditioner 15 may be installed to adjust the size at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unit 10, and may be installed to enable stepwise adjustment of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unit 10.

따라서, 공기 조절부(15)의 적절한 공기 조절에 따라 연소부(10)에서 연소되어 발생되는 연소열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appropriately adjust the temperature of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by burning in the combustion section 10 in accordance with the appropriate air control of the air control section 15.

이와 같이, 연소부(10)에서 화목의 연소로 발생된 연소열은 가열부(20)로 전달되어 실내 공간을 적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As such,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the firewood in 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transferred to the heating unit 20 to heat the indoor space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연소부(10)와 가열부(20)는 연통관(17)으로 연결되어, 연소부(10)의 연소 공간(11)에서 발생된 연소열이 가열부(20)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The combustion unit 10 and the heating unit 20 may be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tube 17 so that the combustion heat generated in the combustion space 11 of the combustion unit 10 may be supplied into the heating unit 20.

연통관(17)은 가열부(20)와 연소부(10)의 사이에 원통형으로 하나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연통관(17)은 가열부(20)를 복수개로 설치하는 경우, 복수개의 가열부(20)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communicating tube 17 may be installed in a cylindrical shape between the heating unit 20 and the combustion unit 10. Of course,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communication units 17 ar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20, i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heating units 20, respectively.

가열부(20)는 실내 공간을 적절하게 가열하도록 실내 공간에 지지대(25)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20 may be install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support 25 in the indoor space so as to properly heat the indoor space.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열부(20)는 연소열이 유입되는 가열 바디(21)와, 가열 바디(21)의 내부에 설치되며 실내 공기와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바디(23)를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heating unit 20 may include a heating body 21 through which combustion heat is introduced, and a heat exchange body 23 installed inside the heating body 21 and performing heat exchange with the indoor air. .

가열 바디(21)는, 연소부(10)에 연통관(17)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연소열이 유입되는 가열공간(21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열 바디(21)는 가열공간(21a)에서 연소열을 이용한 가열 작용을 원활하게 하면서 내구성을 확보하는 친환경 재질의 옹기(甕器)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heating body 21 may b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unit 10 by the communication tube 17, and a heating space 21a through which the heat of combustion is introduced may be formed. The heating body 21 may be formed of an earthenware material of an eco-friendly material which ensures durability while smoothly heating a heating operation using combustion heat in the heating space 21a.

가열 바디(21)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연통관(17)을 통해 연소열이 가열공간(21a)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으로, 유입된 연소열(21b)에 의해 가열공간(21a)의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 바디(23)의 가열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ing body 21 introduces combustion heat into the interior of the heating space 21a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7. The heat exchange body 21 is installed inside the heating space 21a by the introduced combustion heat 21b. 23) can be installed to effect the heating action.

가열 바디(21)의 측면에는 배기관(22)이 설치된다.The exhaust pipe 22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heating body 21.

배기관(22)은 일단은 가열 바디(21)에 연결되어 가열공간(21a)에 연통되고 타단은 실외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exhaust pipe 22 may be connected to the heating body 21 to communicate with the heating space 21a and the other end may be installed to extend outdoors.

따라서 배기관(22)은 가열 바디(21)로 유입되어 가열 작용이 완료된 연소열 및 화목에서 발생된 가스 등의 유해물질을 실외로 안정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배기관(22)에는 배기 작용을 원활하게 하도록 송풍팬(미도시)이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refore, the exhaust pipe 22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ing body 21 to stably discharge the harmful substances such as the heat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heat and the firewood that have completed the heating action to the outside. An exhaust pipe 22 may be provided with a blowing fan (not shown) to facilitate the exhaust action.

한편, 가열 바디(21)의 내부에는 실내 공기가 유입되어 연소열과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는 열교환 바디(23)가 설치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side of the heating body 21 may be installed a heat exchange body 23 in which the indoor air flows into the heat of combustion and heat exchange action.

열교환 바디(23)는, 가열 바디(21)의 내벽면에 이격된 상태로 가열 바디(2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 exchange body 23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eating body 21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eating body 21.

이러한 열교환 바디(23)의 내부는 실내 공간과 연통되어 가열 공간의 연소열과 열교환되는 열교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열교환 바디(23)의 상부에는 연소열에 의해 열교환된 가열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부(23c)가 돌출될 수 있다.The inside of the heat exchange body 23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door space to form a heat exchange space for heat exchange with the combustion heat of the heating space. An upper part of the heat exchanging body 23 may protrude a discharge part 23c through which the heated air heat-exchanged by the combustion heat is discharged to the indoor space.

따라서, 미가열된 실내 공기는 열교환 바디(23)의 내부로 유입되어 연소열에 의해 가열된 상태로 배출부(23c)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바, 실내 공간을 적정 온도로 승온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의 유지가 가능하다. Therefore, the unheated indoor air is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body 23 and supplied to the room through the discharge part 23c while being heated by the combustion heat. Thus, the indoor space is heated to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a comfortable indoor environment. It can be maintained.

한편, 가열 바디(21)와 열교환 바디(23)의 사이 공간에는 열차단 플레이트(30)가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a heat shield plate 30 may be insta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heating body 21 and the heat exchange body 23.

열차단 플레이트(30)는, 배기관(22)이 설치된 위치에서 가열 바디(21)와 열교환 바디(23)의 사이 공간에 플레이트 형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heat shield plate 30 may be installed in a plate shape in a space between the heating body 21 and the heat exchange body 23 at a position where the exhaust pipe 22 is installed.

따라서, 연통관(17)을 통해 가열공간(21a)으로 유입된 연소열은 열차단 플레이트(30)의 차단 작용에 의해 배기관(22)을 통해 외기로 직접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열교환 바디(23)의 외부 둘레에 일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이 가능하다. Therefore, the combustion heat introduced into the heating space 21a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17 is not directly discharged to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xhaust pipe 22 by the blocking action of the heat shielding plate 30, and the outside of the heat exchange body 23. It is possible to remain around for a certain time.

이와 같이, 열차단 플레이트(30)는 연소열이 열교환 바디(23)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바,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승온하여 쾌적한 실내 공간의 유지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eat shield plate 30 allows the heat of combustion to more effectively act on the heat exchanging body 23 so that the heat exchanging action is perform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aise the indoor air to maintain a comfortable indoor spac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옹기 난로(100)는, 옹기의 친환경 재질을 이용하여 벽난로 기능의 효과적인 구현이 가능한 바, 친환경 적인 실내 디자인을 고려하면서 실내 공간의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여 사용자 만족도의 향상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pottery stove 100 of the present embodiment, by using the eco-friendly material of the pottery can effectively implement the fireplace function, considering the environment-friendly interior design can mainta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of the indoor space of the user satisfaction Improvement is possible.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4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3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below.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200)는, 연소부(10)에 복수개의 가열부(20)가 설치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in the pottery stov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heating units 20 may be installed in the combustion unit 10.

따라서, 연소부(10)의 연소열을 복수의 실내 공간에 설치된 각각의 가열부(2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여, 효과적인 실내 공간의 적정 온도 유지가 가능하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upply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combustion part 10 to each heating part 20 provided in the some indoor space,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appropriate temperature of an effective indoor space.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5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4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of the same or similar func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below.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300)의 배기관(22)에는 송풍팬(210)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배기관(22)을 통해 열교환 작용이 완료된 연소 가스 등의 배기 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5, a blower fan 210 may be installed in the exhaust pipe 22 of the ong stov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xhaust action of the combustion gas and the like, through which the heat exchange action is completed, can be smoothly performed through the exhaust pipe 22.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 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6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n ong stov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FIGS. 1 to 5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members having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reference numerals will be omitted below.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옹기 난로(400)의 지지대(25)에는 실내 공기를 열교환 바디(23)의 내부로 공급하는 송풍기(310)가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supporter 25 of the ong stove 1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blower 310 for supplying indoor air into the heat exchange body 23. .

따라서, 실내 공기는 열교환 바디(23)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되어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진 상태로 배출부(23c)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는 바, 실내 공기의 승온 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the indoor air can be easily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 body 23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rt 23c in a state where a heat exchange action is performed, and thus the temperature increase action of the indoor air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range of.

10...연소부 11...연소 공간
12...개폐부 13...화목
15...공기 조절부 17...연통관
20...가열부 21...가열 바디
21a..가열 공간 21b..연소열
23...열교환 바디 23a..열교환 공간
23c..배출부 30...열차단 플레이트
210..송풍팬 310..송풍기
10.Combustion section 11 ... Combustion space
12 ... opening and closing 13 ...
15 Air control unit 17 Communication tube
20.Heating part 21.Heating body
21a.Heating space 21b.Combustion heat
23.Heat exchanger body 23a.Heat exchanger
23c .. outlet 30 ... heat shield plate
210 .. Blower 310 .. Blower

Claims (4)

내부에 화목(火木)이 연소되는 연소 공간이 형성되며, 측면에는 화목을 상기 연소 공간으로 투입하도록 개폐되는 개폐부가 설치된 연소부; 및
상기 연소 공간에 연통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통관을 통해 전달된 상기 화목의 연소열이 유입되어 실내 공간을 가열하는 가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연소부에 연통관으로 연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연소열이 유입되는 가열공간이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의 가열 바디; 및
상기 가열 바디의 내벽면에 이격된 상태로 상기 가열 바디의 내부에 설치되며, 일측은 실내 공간과 연통되고 내부에는 상기 가열 공간의 연소열과 열교환되는 열교환 공간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열교환된 가열 공기가 실내 공간으로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옹기(甕器) 재질의 열교환 바디;
를 포함하는, 옹기 난로.
A combustion space in which a firewood is burned is formed therein, and a combustion unit having an opening and closing portion opened and closed to inject firewood into the combustion space; And
A heating unit connected to the combustion space by a communication tube, and configured to heat the indoor space by the combustion heat of the firewood delive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tube;
Including,
The heating unit,
A heating body made of a potter material connected to the combustion unit by a communication tube and having a heating space therein for introducing the combustion heat; And
I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the heating body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heating body, one side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interior space, there is formed a heat exchange space heat exchanged with the heat of combustion of the heating space, the upper heat exchanged heating air A heat exchanger body made of pottery material having a discharge part discharged into an indoor space;
Including, Ong stove.
제1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가열 바디의 측면에 연결되어 상기 가열 공간과 연통되며 타측은 실외로 연장되는 배기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배기관이 연결된 위치에서 상기 가열 바디와 상기 열교환 바디의 사이에는 열차단 플레이트가 설치되는, 옹기 난로.
The method of claim 1,
One side is further connected to the side of the heating body in communication with the heating space and the other side further comprises an exhaust pipe extending to the outside,
Ong stove that is installed between the heating body and the heat exchange body in the position where the exhaust pipe is connec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의 상측에는 공기의 유입량을 조절하는 공기 조절부가 설치되는, 옹기 난로.
The method of claim 1,
Ong stove is install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air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flow rate of ai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투명 재질로 형성되는, 옹기 난로.
The method of claim 1,
Th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is formed of a transparent material, Onggi stove.
KR1020180098019A 2018-08-22 2018-08-22 Pottery heater KR2020002218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19A KR20200022186A (en) 2018-08-22 2018-08-22 Pottery hea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8019A KR20200022186A (en) 2018-08-22 2018-08-22 Pottery hea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186A true KR20200022186A (en) 2020-03-03

Family

ID=69938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8019A KR20200022186A (en) 2018-08-22 2018-08-22 Pottery hea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218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28A (en) 2009-01-22 2010-07-30 김진 Pot device for steam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6228A (en) 2009-01-22 2010-07-30 김진 Pot device for steam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29602E (en) Domestic oven
RU196392U1 (en) LONG-BURNING SOLID FUEL BOILER
US4015579A (en) Space heater
KR101650239B1 (en) Firewood stove
US5347977A (en) Combination of a baking oven and a stove
KR101494210B1 (en) A Fireplace
KR20200022186A (en) Pottery heater
KR101248480B1 (en) The boiler in the fireplace insert
US3874362A (en) Space heating device using solid fuel
KR101757026B1 (en) Firewood and pellet combination stove
KR102437889B1 (en) Air circulation typ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firewood stove
KR20160141097A (en) The stove of high efficiency
KR20160054344A (en) Multipurpose firewood stove
KR101469284B1 (en) Oven range
US4248204A (en) Solar rock fireplace heating system
KR101782594B1 (en) stove
KR20180001236A (en) Stove
US20110186036A1 (en) Cooking Appliance
KR101400265B1 (en) Oil heater preventing convection phenomenon
KR101476630B1 (en) Briquette boiler exhaust downstream expression
US4233955A (en) Fireplace and room heater
JP2013127342A (en) Heat supply kiln
KR200475915Y1 (en) Combustion Device For Fire Wood Stove
US2088444A (en) Oil burning range for heating and cooking
KR101693962B1 (en) Composite Type A Portable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