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2065A -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 Google Patents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2065A
KR20200022065A KR1020180097510A KR20180097510A KR20200022065A KR 20200022065 A KR20200022065 A KR 20200022065A KR 1020180097510 A KR1020180097510 A KR 1020180097510A KR 20180097510 A KR20180097510 A KR 20180097510A KR 20200022065 A KR20200022065 A KR 202000220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parent
parenting
video
pare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58910B1 (ko
Inventor
이다랑
이혜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로잉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로잉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로잉맘
Priority to KR1020180097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8910B1/ko
Publication of KR20200022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2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8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8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육아를 수행하는 부모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인 부모검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아이의 심리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인 아이검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서비스서버가 부모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아이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서비스서버가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매칭하여, 부모와 아이의 성향에 맞는 육아가이드를 생성하고, 육아가이드를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FORMATION OF CHILD-REARING ANALYSING BOTH PATENT AND CHILD}
본 발명은 육아정보제공기술에 관한 것이다.
육아의 어려움과 관련하여 엄마의 51%는 아이와 사이좋은 관계를 맺는 것이 어렵다고 답했고, 25%는 내가 잘하는지에 대한 부담감과 불확신이라고 답했다. 가사노동과의 병행, 경력단절로인한 무기력, 남편과의 갈등, 위킹맘으로의 죄책감은 모두 합해 24%에 불과했다. 이를 종합하면 대부분의 엄마는 본인의 사회생활이나 부부생활보다 본인 스스로와 아이의 관계를 어떻게 해야할지에 대해 고민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엄마라는 새로운 사회적 역할에 대해 익숙하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이를 반증하듯 엄마의 90.6%가 전문가의 도움을 받고 싶다고 답했다. 그런데, 실제 전문가의 상담을 받는 경우는 4%에 불과했고, 비슷한 또래의 엄마(31%) 또는 육아서적(22%), 온라인 육아정보(34%)를 통해 필요한 지식을 얻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전문가의 도움을 보다 많은 부모들에게 전달하기 위해 오랫동안 연구하고 시행착오를 거치며 개발한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으로 부모에게 육아가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매칭하여 부모와 아이를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모와 아이가 모두 등장하는 놀이동영상을 통해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육아가이드를 통해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국면은 (a)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육아를 수행하는 부모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인 부모검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아이의 심리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인 아이검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서비스서버가 부모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아이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d) 서비스서버가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매칭하여, 부모와 아이의 성향에 맞는 육아가이드를 생성하고, 육아가이드를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놀이동영상을 상담사단말에게 제공하고, 상담사단말로부터 놀이동영상에 나타난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결과인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d) 단계는 놀이동영상에 나타난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결과인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와 매칭하여 육아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제2국면은 부모 및 아이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 및 아이의 성향 또는 기질을 사전에 설정된 소척도 별로 평가하는 텍스트분석모듈;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분석하여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사전에 설정된 소척도 별로 평가하는 동영상분석모듈; 및
텍스트분석모듈로부터 수집된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 동영상분석모듈로부터 수집된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매칭하여, 부모 및 아이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텍스트분석모듈은 아이용 기질검사의 소척도로 새로운 것에 달려들기, 위험한 것을 피하기, 다른사람 감정 알아채기, 오감각 예민하게 느끼기, 혼자 몰두하며 파고들기 중 하나 이상, 부모용 육아효능감의 소척도로 불안, 부담감, 배움, 확신 중 하나 이상, 부모용 육아스트레스 소척도로 육아일상스트레스, 육아부담스트레스, 아이반응스트레스, 아이기질스트레스, 배우자스트레스 중 하나 이상을 평가하고,
동영상분석모듈은 아이의 소척도로 함께하기, 몰입하기, 즐거움, 이끌기, 반복하기 중 하나 이상, 부모의 소척도로 즐거움, 반응하기, 주도권주기, 따듯함, 민감성 중 하나 이상을 평가하는 것이 좋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에게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영상인터페이스제공모듈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온라인으로 부모에게 육아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매칭하여 부모와 아이를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모와 아이가 모두 등장하는 놀이동영상을 통해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육아가이드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소척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이기질테스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아이기질검사결과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동영상가이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아이놀이보고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엄마놀이보고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상호작용보고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에게 부모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부모검사리스트를 소정의 사용자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이 스마트단말인 경우 특정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을 가볍게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부모검사리스트에 대한 설문이 종료하면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부모검사리스트의 검사결과로서 부모검사데이터를 수신한다. 마찬가지로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에게 아이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아이검사리스트를 소정의 사용자인터페이스와 함께 제공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이 스마트단말인 경우 특정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을 가볍게 터치하는 것일 수 있다. 아이검사리스트에 대한 설문이 종료하면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아이검사리스트의 검사결과로서 아이검사데이터를 수신한다(S1100).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에 제공하는 부모검사리스트 및 아이검사리스트는 사전에 설정된 복수의 검사명, 각 검사명에 종속된 복수의 소척도를 진단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들어, 도 2와 같이 아동용 검사리스트 및 부모용 검사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아동용 검사리스트는 기질검사, 동영상상호작용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질검사는 새로운 것에 달려들기, 위험한 것을 피하기, 다른사람 감정 알아채기, 오감각 예민하게 느끼기, 혼자 몰두하며 파고들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새로운 것에 달려들기는 새로운 무언가를 보면, 달려가서 적극적으로 만지고 탐색하고 알고 싶어하는 것이다. 위험한 것을 피하기는 새로운 것을 마주하면 피하고 움츠려 드는 것이다. 다른사람 감정 알아채기는 타인의 감정에 민감하고 감수성이 높은 것이다. 오감각 예민하게 느끼기는 보고, 듣고, 느끼고, 냄새 맡는 감각에 민감한 것이다. 혼자 몰두하며 파고들기는 꾸준히 지속하는 정도,관심이 있으면 계속 반복하며 몰두하는 것이다.
동영상상호작용검사는 함께하기, 몰입하기, 즐거움, 이끌기, 반복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함께하기는 눈맞춤, 자신의 관심을 공유하고, 상대의 제안에 협력하는 정도이다. 몰입하기는 시간 내에 나타나는 놀이의 수와 확장과 몰입의 정도이다. 즐거움은 놀이 시간내 즐거움을 느끼고 표현하는 정도이다. 이끌기는 놀이의 시작과 진행을 이끌고 가는 정도이다. 반복하기는 놀이 중 나타나는 패턴의 반복, 실패해도 끝까지 도전하는 정도이다.
부모용 검사리스트는 육아효능감, 육아스트레스, 동영상상호작용검사를 포함할 수 있다.
육아효능감은 불안, 부담감, 배움, 확신을 포함할 수 있다. 불안은 부모 역할 수행을 잘하지 못하고 있다는 불안감을 느끼는 정도이다. 부담감은 부모 역할 수행에 대한 부담감 정도이다. 배움은 부모 역할 수행에 필요한 지식을 스스로 잘 알고 있다고 확신하는 정도이다. 확신은 부모 역할 수행을 잘 하고 있다는 확신에 대한 정도이다.
육아스트레스는 육아일상스트레스, 육아부담스트레스, 아이반응스트레스, 아이기질스트레스, 배우자스트레스를 포함할 수 있다. 육아일상스트레스는 육아로 인해 발생하는 일상에서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이다. 육아부담스트레스는 부모역할 수행에서 느끼는 부담감으로 인한 스트레스 정도이다. 아이반응스트레스는 아이와의 관계에서 아이로부터 오는 반응으로 인해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이다. 아이기질스트레스는 아이의 기질적인 특성으로 인해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이다. 배우자스트레스는 육아 수행에 있어 배우자의 협력, 지지, 양육 방식의 차이 등으로 인해 느끼는 스트레스 정도이다.
동영상상호작용검사는 즐거움, 반응하기, 주도권주기, 따듯함, 민감성을 포함할 수 있다. 즐거움은 놀이 자체나, 혹은 아이와의 놀이를 즐거워 하는 정도이다. 반응하기는 반응의 시간과 반응의 적절성에 대한 정도이다. 주도권주기는 놀이의 주도권과 성취/ 지시성의 정도이다. 따듯함은 부모의 표정과 말투/ 스킨쉽, 격려 칭찬의 정도이다. 민감성은 눈맞춤, 마주봄, 아이가 원하는 것을 아는 것의 정도이다.
예를들어, 아이용 기질검사는 도 3과 같이 새로운 것에 달려들기, 위험한 것을 피하기, 다른사람 감정 알아채기, 오감각 예민하게 느끼기, 혼자 몰두하며 파고들기 같은 소척도를 측정할 수 있는 대략 50문항의 설문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인 스마트폰에서 간단하게 질문을 읽고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선택하기 위한 터치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부모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아이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한다(S1200). 부모성향분석결과 또는 아이성향분석결과는 예를들어 도 4와 같이 소척도별 평가점수와 기질유형분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수집한다(S1300). 이를 위해 서비스서버는 놀이동영상 촬영시 유의사항에 대한 동영상촬영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도 5와 같은 유의사항을 제공할 수 있다.
Q1. 동영상은 왜 찍나요 - 엄마와 아이의 놀이동영상을 통해 아이의 발달, 엄마의 상호작용방법에 대해 알 수 있고 테스트(본 발명의 부모성향분석결과 및 아이성향분석결과)의 결과도 보완하기 때문에 더욱 정확한 교재(본 발명의 육아가이드)를 만들 수 있어요.
Q2. 동영상은 어떻게 찍나요? - 동영상은 10분을 연속으로 찍어주세요. 엄마와 아이가 둘이 놀이하며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찍어주세요. 화면에 엄마와 아이가 모두 나와야 해요. 되도록 뒷모습보다는 앞모습이 나오게 찍어주세요. 평소에 주로 하던 놀이방법이나 장난감으로 놀이해주세요. 그림책을 읽는 것보다는 놀이하는 장면을 찍어주세요.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는 유의사항에 따라 놀이동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촬영가이드용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촬영가이드용 사용자인터페이스는 가로축의 1/3, 2/3 지점에 표시된 아이, 부모용 실루엣을 포함할 수 있다. 아이, 부모용 실루엣은 아이의 테두리, 부모의 테두리를 점선으로 표시한 것일 수 있다. 놀이동영상 촬영시 아이, 부모용 실루엣을 표시하면 자연스럽게 아이와 부모가 함께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촬영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이, 부모용 실루엣에서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안면인식모듈이 동작한다. 안면인식모듈은 아이 또는 부모의 얼굴을 인식한다. 안면인식모듈에 얼굴이 인식되지 않으면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에 반투명의 붉은색 영역을 표시하여 되도록 얼굴이 놀이동영상에 나타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하단부에는 시간표시모듈을 표시할 수 있다. 시간표시모듈에는 권장촬영시간과 현재촬영시간을 가시적으로 표시하여 권장촬영시간을 지키도록 유도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놀이동영상의 분석결과로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수신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S1400).
먼저 서비스서버는 사용자단말로부터 놀이동영상을 수신하여 상담사단말에게 놀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상담사단말로부터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는 자체 인공지능알고리즘을 통해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담사단말이 놀이동영상을 수신하고 소척도에 대한 평가결과를 점수로 전송하면 서비스서버가 소척도에 대한 평가결과를 기반으로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들어, 동영상상호작용결과에는 도 6 내지 도 8에 표시된 분석내용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는 도 6과 같은 아이놀이보고서를 작성할 수 있다. 아이놀이보고서에는 5개의 소척도가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소척도의 득점상황이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소척도 중 점수가 높은 소척도를 아이의 강점으로 하여 이에 대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소척도 중 점수가 낮은 소척도를 아이의 보완점으로 하여 이에 대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7과 같은 엄마놀이보고서가 작성될 수 있다. 엄마놀이보고서에는 5개의 소척도가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소척도의 득점상황이 그래프로 표시될 수 있다. 소척도 중 점수가 높은 소척도를 엄마의 강점으로 하여 이에 대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소척도 중 점수가 낮은 소척도를 엄마의 보완점으로 하여 이에 대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8과 같은 상호작용보고서가 작성될 수 있다. 상호작용보고서는 아이와 상호작용에 대한 점수과 중요성, 상호작용을 개선하기 위한 팁이 포함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는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매칭하고, 여기에 다시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매칭하여, 부모와 아이의 성향에 맞는 육아가이드를 생성하고, 육아가이드를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한다(S1500).
도 9는 본 발명의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서비스서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시스템(10)은 서비스서버(100), 사용자단말(200), 상담사단말(300)을 포함한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 및 상담사단말(300)과 유선 또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게 부모검사리스트, 아이검사리스트를 제공한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부모검사리스트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로서 부모검사데이터, 아이검사리스트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로서 아이검사데이터를 수신한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에게 놀이동영상 촬영시 유의사항에 대한 동영상촬영가이드 및 유의사항에 따라 놀이동영상을 용이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사용자단말(200)로부터 놀이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서버(100)는 상담사단말(300)에게 놀이동영상을 제공하고, 상담사단말(300)로부터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100)는 자체 인공지능알고리즘을 통해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서비스서버(100)는 텍스트분석모듈(110), 동영상분석모듈(120), 보고서생성모듈(130), 동영상인터페이스제공모듈(140)을 포함할 수 있다.
텍스트분석모듈(110)은 부모 및 아이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 및 아이의 성향 또는 기질을 사전에 설정된 소척도 별로 평가한다. 한편 서비스서버(100)는 이를 위해 사용자단말(200)에게 부모검사리스트 및 검사항목별 응답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텍스트분석모듈은 아이용 기질검사의 소척도로 새로운 것에 달려들기, 위험한 것을 피하기, 다른사람 감정 알아채기, 오감각 예민하게 느끼기, 혼자 몰두하며 파고들기 중 하나 이상, 부모용 육아효능감의 소척도로 불안, 부담감, 배움, 확신 중 하나 이상, 부모용 육아스트레스의 소척도로 육아일상스트레스, 육아부담스트레스, 아이반응스트레스, 아이기질스트레스, 배우자스트레스 중 하나 이상을 평가할 수 있다.
동영상분석모듈(120)은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분석하여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사전에 설정된 소척도 별로 평가한다.
동영상분석모듈은 아이의 소척도로 함께하기, 몰입하기, 즐거움, 이끌기, 반복하기 중 하나 이상, 부모의 소척도로 즐거움, 반응하기, 주도권주기, 따듯함, 민감성 중 하나 이상을 평가할 수 있다.
보고서생성모듈(130)은 텍스트분석모듈로부터 수집된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 동영상분석모듈로부터 수집된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매칭하여, 부모 및 아이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생성한다.
동영상인터페이스제공모듈(140)은 사용자단말에게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6)

  1. (a)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육아를 수행하는 부모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인 부모검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b)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아이의 심리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인 아이검사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c) 서비스서버가 부모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고, 아이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단계; 및
    (d) 서비스서버가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를 매칭하여, 부모와 아이의 성향에 맞는 육아가이드를 생성하고, 육아가이드를 사용자단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2. 제1항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사용자단말로부터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서비스서버가 놀이동영상을 상담사단말에게 제공하고, 상담사단말로부터 놀이동영상에 나타난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결과인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수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d) 단계는 놀이동영상에 나타난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분석결과인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와 매칭하여 육아가이드를 생성하는 것인,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5. 부모 및 아이의 심리 또는 행동에 대한 검사데이터를 분석하여 부모 및 아이의 성향 또는 기질을 사전에 설정된 소척도 별로 평가하는 텍스트분석모듈;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분석하여 부모와 아이의 상호작용을 사전에 설정된 소척도 별로 평가하는 동영상분석모듈; 및
    텍스트분석모듈로부터 수집된 부모성향분석결과, 아이성향분석결과, 동영상분석모듈로부터 수집된 동영상상호작용결과를 매칭하여, 부모 및 아이의 특성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생성하는 보고서생성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사용자단말에게 부모와 아이가 함께 등장하여 놀이하는 놀이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사전에 설정된 사용자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동영상인터페이스제공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시스템.
KR1020180097510A 2018-08-21 2018-08-21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KR102158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10A KR102158910B1 (ko) 2018-08-21 2018-08-21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510A KR102158910B1 (ko) 2018-08-21 2018-08-21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2065A true KR20200022065A (ko) 2020-03-03
KR102158910B1 KR102158910B1 (ko) 2020-09-24

Family

ID=69938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510A KR102158910B1 (ko) 2018-08-21 2018-08-21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89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383A1 (ko) * 2020-03-31 2021-10-07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페르소나 매칭을 통한 맞춤형 큐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2948B1 (ko) * 2021-03-18 2022-07-21 주식회사 유스바이오글로벌 아동 발달, 건강 및 육아 상담 챗봇 시스템
KR102635981B1 (ko) * 2023-02-06 2024-02-13 김영숙 양육 지원 상담 및 코칭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47A (ko) * 2016-10-07 2018-04-17 이종열 잠재능력개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8847A (ko) * 2016-10-07 2018-04-17 이종열 잠재능력개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01383A1 (ko) * 2020-03-31 2021-10-07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페르소나 매칭을 통한 맞춤형 큐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20210121706A (ko) * 2020-03-31 2021-10-08 이다커뮤니케이션즈(주) 페르소나 매칭을 통한 맞춤형 큐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2422948B1 (ko) * 2021-03-18 2022-07-21 주식회사 유스바이오글로벌 아동 발달, 건강 및 육아 상담 챗봇 시스템
KR102635981B1 (ko) * 2023-02-06 2024-02-13 김영숙 양육 지원 상담 및 코칭 어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8910B1 (ko)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78935A (zh) 采用面部追踪和情感检测及其相关的方法应用在一种交互式自适应学习及神经认知障碍诊断系统
Stanica et al. VR job interview simulator: where virtual reality meets artificial intelligence for education
US20160343263A9 (en) Computing system with learning platform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58910B1 (ko) 부모의 성향과 아이의 성향을 동시에 고려한 육아가이드를 제공하는 육아코칭 및 상담 서비스 제공방법 및 제공시스템
Lagerlöf et al.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 in dance
Deacon et al. Qualitative methods in family evaluation: Creative assessment techniques
Shahid et al. Technology-enhanced support for children with Down Syndrome: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KR20140131291A (ko) 학습 플랫폼 메커니즘을 구비한 컴퓨팅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Khan et al. Automatic student modelling for detection of learning styles and affective states in web based learning management systems
Rosé et al.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 19th International Conference, AIED 2018, London, UK, June 27–30, 2018, Proceedings, Part I
US20200367798A1 (en) Wearable device for determining psycho-emotional state of user during evaluation or testing
Wang et al. Virtual reality enabled human-centric requirements engineering
Ramli et al. Assessing usability of learning experience prototype
Susanti et al. Communication learning user interface model for children with autism with the goal-directed design method
Yeung et al. The role of self-concept in medical education
JP7392259B2 (ja) 学習支援装置、学習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enta et al. A multimodal affective monitoring tool for mobile learning
Lee Personal analytics explorations to support youth learning
Trampas Extracting learning analytics from game based learning sessions generated by multimodal data sources.
Poole Seeing emotions: a review of micro and subtle emotion expression training
Zidianakis et al. Modeling and assessing young children abilities and development in ambient intelligence
US20200105389A1 (en) Mining sentiments by bio-sensing to improve performance
Arroyo et al. In the Mood for Learning: methodology
Shoukry et al. ClasScorer: Towards a Gamified Smart Classroom
Vermeulen Improving student engagement through visualization of course activit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