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407A -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407A
KR20200021407A KR1020190099405A KR20190099405A KR20200021407A KR 20200021407 A KR20200021407 A KR 20200021407A KR 1020190099405 A KR1020190099405 A KR 1020190099405A KR 20190099405 A KR20190099405 A KR 20190099405A KR 20200021407 A KR20200021407 A KR 20200021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achable
layer
pattern
display device
rea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9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PCT/KR2019/01043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040489A1/ko
Publication of KR20200021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4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배면커버가 손상이 되더라도 쉽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고, 5세대 통신방식 방법에 적합한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디스플레이부에 탈부착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 및 배면커버에는 서로 대향하는 탈부착층 또는 점착조절층 중의 어느 하나가 위치한다.

Description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Apparatus of detachable display having rear cover}
본 발명은 탈부착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면커버의 탈부착 기능을 가지는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표시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표시장치는 각종 영상화면 장치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 장치는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한다. 터치스크린의 전면에는 강화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배치된다. 윈도우는 중심부의 화면과 테두리의 베젤영역으로 나뉘며,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표시장치를 보호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 및 휘어진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그에 부응하는 윈도우도 출현하고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는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손상된 윈도우를 용이하게 교체하고, 표시장치에서의 윈도우의 분리가 간단하며,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배면커버가 손상이 오면, 이를 제거 또는 교체하는 과정이 복잡하다. 또한, 5세대 통신방식을 위하여 5세대 주파수의 파장이 통과되어야 하므로, 유리와 같이 충격에 의해 파손이 되기 쉬운 배면커버를 사용한다. 이에 따라, 파손이 일어난 배면커버를 쉽게 제거 또는 교체해야 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면커버가 손상이 되더라도 쉽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고, 5세대 통신방식 방법에 적합한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는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탈부착되는 배면커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배면커버에는 서로 대향하는 탈부착층 또는 점착조절층 중의 어느 하나가 위치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D, 2.5D, 3D, 플렉시블, 폴더블, 롤러블의 평면 또는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는 5세대 통신 주파수의 파장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탈부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층되고, 상기 점착조절층은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층은 경화, 코로나, 증착 또는 플라즈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탈부착 패턴일 수 있다. 상기 탈부착 패턴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탈부착 패턴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착조절층은 하드코팅층, 디지털프린팅층, 접촉각도를 조절하는 코팅층, 증착층, 미세요철을 포함하는 미세요철층 또는 표면개질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점착조절 패턴일 수 있다. 상기 점착조절 패턴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점착조절 패턴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배면커버에는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가 표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에 의하면, 배면커버에 탈부착 기능을 부여하여 배면커버가 손상이 되더라도 쉽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다. 특히, 5세대 통신방식에 적용되는 배면커버를 쉽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 패턴 및 점착조절 패턴의 사례를 나타내는 평면도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배면커버에 탈부착 기능을 부여하여, 배면커버가 손상이 되더라도 쉽게 제거 또는 교체할 수 있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배면커버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탈부착 기능이 부여된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배면커버는 5세대 통신방식을 위하여 5세대 주파수의 파장이 통과되어야 하므로, 충격에 의해 파손이 되기 쉬운 유리 등이 사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5세대 통신에 적용되며, 파손이 일어날 가능성이 큰 재질의 배면커버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표시장치는 모바일 기기, 정보처리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을 모든 영상처리 기기를 말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같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있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기는 ATM, 키오스크 등이 있다. 표시장치는 평면,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를 이룬다. 표시장치는 윈도우의 형상에 따라, 2D(평면), 2.5D(전면 테두리 곡면, 배면 평면), 3D(곡면, 엣지)으로 발전되어 왔다. 최근에는 접거나 펼칠 수 있는 폴더블(foldable) 표시장치와, 와인딩이 가능한 롤러블(rollable) 표시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폴더블 및 롤러블 표시장치는 플렉시블(flexible) 표시장치의 일종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표시장치는 2D, 2.5D, 3D, 플렉시블, 폴더블, 롤러블 등과 같이 평면 또는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를 모두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디스플레이부(D), 탈부착층(10), 점착조절층(12) 및 배면커버(20)를 포함한다. 이때, 탈부착층(10) 및 점착조절층(12)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D)는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상기 윈도우는 모바일 기기의 윈도우, 정보처리 단말기의 윈도우, 텔레비전 등의 모든 영상처리 기기의 윈도우를 통칭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도 모든 영상처리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디스플레이부(D)는 2D, 2.5D, 3D, 플렉시블, 폴더블, 롤러블 등과 같이 평면 또는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의 표시장치에 채용된다.
탈부착층(10)은 접착력이 약 0.05gf/25mm 내지 500gf/25mm가 적절하며, 0.2gf/25mm 내지 50gf/25mm가 더욱 좋다. 이는 종래의 접착층의 통상적인 접착력인 1,500gf/25mm보다 작으므로, 종래의 접착층과 구별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탈부착층(10)은 광학적으로 투명하고, 열처리(heat treatment) 또는 UV(자외선)로 경화되는 접착제를 적용한다. 상기 접착제는 소정의 온도 및 시간에서 열처리 또는 UV로 처리를 하면, 반고체 상태로 경화된다. 접착 방식은 구매자도 기포 없이 수작업으로 손쉽게 합지할 수 있다.
탈부착층(10)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자외선 경화형 수지와 가교제가 혼합된 접착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탈부착층(10)에, 실리카겔, 나노입자 및 대전방지제와 같은 기능성 물질을 혼합하여, 탈부착층(10)의 물성을 개선할 수도 있다. 나아가, 탈부착층(10)에 양자점(quantum dot)을 이루는 입자를 첨가하여 광학적인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탈부착층(10)은 도 2와 같이 경화, 코로나, 증착 또는 플라즈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탈부착 패턴일 수 있다. 도 2에 의하면, 패턴배열(a, b, c, d)은 탈부착층(10)을 전체적으로 개질하지 않고, 부분적으로 개질한 것이다. 즉, 탈부착층(10)에는 패턴배열(a, b, c, d)가 존재한다. 패턴배열(a, b, c, d)은 평면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띠 형태이면서 패턴배열(a, b, c, d)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A 패턴, A패턴과 같은 형태이면서 접착력이 다른 B 패턴, 단독이면서 섬(island) 형태인 C 패턴, 복수개의 섬 형태인 D 패턴, C 패턴이 확장된 형태의 E 패턴, E 패턴과 같은 형태이면서 접착력이 다른 F 패턴, 울타리 형태의 G 패턴, 울타리 형태이면서 G 패턴과 접착력이 다른 H 패턴, 패턴배열(a, b, c, d)의 코너에 배치되는 I 패턴 등이 있다. 상기 접착력은 표면을 개질하는 정도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탈부착 패턴은 경화 처리에 의한 경화 패턴, 코로나 처리에 의한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처리에 의한 플라즈마 패턴, 증착에 의한 증착 패턴의 배열을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위치에 따라 접착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부착되면, 탈리가 일어나지 않고 기포의 제거가 쉽다.
상기 경화 처리는 열경화성 점착층 또는 자외선 경화성 점착층으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열경화성 점착층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 수산기를 가지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100,000~1,000,000인 아크릴계 수지,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조성물, 수산기 함유 아크릴 수지와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필수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할 수 있는 관능기를 한 분자 안에 2개 이상 가지는 화합물과 블록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점착층은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또는 폴리에스터 수지 등에 여러 가지의 아크릴 단위체와 자외선 경화 촉매를 배합해서 만든다.
상기 코로나 처리는 코로나 방전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이 되는 탈부착층(10)의 표면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탈부착층(10)을 코로나로 처리하게 되면, 코로나 내의 전하를 띤 입자들이 필름표면에 충돌함으로써 필름 표면이 산화된다. 따라서 표면산화에 의해 생성된 극성그룹, 예컨대 C=O, C-O-H, COOH, -COO-, -CO- 등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너지가 증가되어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의 친화력이 향상되어 필름의 접착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코로나 처리에 의해 상기와 같은 화학적 극성그룹 이외에도 폴리머 분자 간의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접착성의 향상이 얻어질 수도 있다. 코로나 표면처리는 통상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지는 양 전극 사이에 탈부착층(10)을 위치시키고, 양 전극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0.1gf/25mm 내지 1000gf/25mm인 표면개질한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는 대기압 플라즈마, 감압 플라즈마,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플라즈마 방식을 이용한다. 즉, 탈부착층(10)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적으로 표면을 세정할 뿐만 아니라 표면을 활성화시키면서 화학적 반응과 물리적 반응에 의하여 표면의 유기물도 제거된다. 플라즈마 처리를 거친 탈부착층(10)은 이온이나 전자의 높은 에너지를 이용해 표면으로부터 수㎛이내의 영역에서 화학적 결합을 변화시킨다. 또한, 표면의 일정 두께를 깎아내어 접촉각을 크게 한다. 탈부착층(10)의 표면이 다른 재료와 잘 반응할 수 있도록 화학적이나 물리적으로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개질은 미세한 이물질 제거와 같은 표면 세정, 표면조도 변경, 극성 관능기 형성 등의 개질이 이루어진다.
상기 증착 처리는 금(Au), 은(Ag), 백금(Pt), 실리콘(Si), 구리(Cu),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티타늄(Ti), 크롬(Cr), 망간(Mn), 아연(Zn), 지르코늄(Zr), 몰리브덴(Mo), 이리듐(Ir), 루테늄(Ru), 탄탈륨(Ta)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의 산화물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층이나 다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착 패턴은 옹스트롬(angstrom) 두께로 증착되며, 일반적으로 탈부착층(10)과의 접착력을 높인다. 상기 증착 패턴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스킹 공법 등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메카니즘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접착력이 다르게 구현된다. 접착력을 조절한다는 관점에서,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서로 동일한 기능을 한다. 하지만,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 각각은 접착력의 관점에서는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다. 본 발명은 탈부착층(10)의 접착력을 조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각각의 접착력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상기 코로나 패턴, 플라즈마 패턴 및 증착 패턴은 서로 균등하다고 볼 수 없다. 다시 말해, 탈부착층(10)과 상기 코로나 패턴, 탈부착층(10)과 상기 플라즈마 패턴 및 탈부착층(10)과 상기 증착 패턴의 조합은 서로 다른 접착력을 가진다.
점착조절층(12)은 마찰력을 낮게 하여 슬립성(slip property)을 증대시킨다. 점착조절층(12)에 의해 탈부착층(10)이 용이하게 탈부착된다. 점착조절층(12)은 불소계 수지이나 실리콘계 수지의 코팅재를 사용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점착조절층(12)은 티타니아(TiO2) 혹은 실리카(SiO2)를 배면커버(20)에 증착시킨 후, 증착된 터치스크린 상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는 ECC(Easy Cleaning Coating) 방식으로 형성시킬 있다. 점착조절층(12)을 적용하면, 탈부착층(10)을 부착할 때 기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점착조절층(12)에 의해, 구매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점착조절층(12)은 하드코팅, 디지털프린팅, 접촉각도 조절, 증착, 미세요철 또는 표면개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하여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점착조절 패턴일 수 있다. 점착조절층(12)의 점착조절 패턴의 사례는 도 2의 탈부착 패턴과 동일하다. 여기서는 몇 가지의 패턴배열(a, b, c, d)의 예를 든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하드코팅 처리는 열경화 하드코팅층 또는 자외선 경화 하드코팅층일 수 있다. 열경화 및 자외선 경화는 탈부착 패턴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디지털프린팅 처리는 디지털방식으로 인쇄된 층이다. 상기 접촉각도 조절 처리는 접촉각도를 작게 하여 접착력을 높이는 코팅의 사례로는 유기실리콘화합물을 코팅할 수 있다. 접촉각도를 크게 하여 접착력을 낮추는 코팅의 사례로는 지문방지, 오염방지, 슬립성을 부여하고, 티타니아(TiO2) 또는 실리카(SiO2)를 배면커버(20)에 증착시킨 후, 증착층 상에 불소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는 ECC(Easy Cleaning Coating) 방식으로 형성시킬 있다.
상기 증착 처리는 금(Au), 은(Ag), 백금(Pt), 실리콘(Si), 구리(Cu), 팔라듐(Pd), 니켈(Ni), 텅스텐(W), 철(Fe), 코발트(Co), 티타늄(Ti), 크롬(Cr), 망간(Mn), 아연(Zn), 지르코늄(Zr), 몰리브덴(Mo), 이리듐(Ir), 루테늄(Ru), 탄탈륨(Ta) 또는 이들의 합금 또는 이들의 산화물 중의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단층이나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착층은 탈부착층(10)과의 접착력을 높인다. 상기 미세요철 처리는 사례로 단면이 사각형, 삼각형 및 원형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성형하거나, 비드(bead) 또는 비드와 바인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즉, 미세요철층의 단면은 각이 있거나 곡률을 이루거나 또는 이들이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미세요철층은 반투명하여 빛의 투과율이 낮아진다. 탈부착층(10)은 미세요철층에 파고들기 때문에, 탈부착층(10)의 결합력을 높인다. 상기 표면개질 처리는 투명한 고분자 필름의 표면을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 또는 이들의 연속처리를 통하여, 탈부착층(10)과의 접착력을 높인다.
본 발명의 탈부착 패턴 및 점착조절 패턴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와 같은 문양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문양은 형광으로 처리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문양은 전지, 태양광, 열, 자기장, 전자파와 같은 물리량을 활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문양은 배면커버(34)에도 구현할 수 있다.
배면커버(34)는 윈도우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를 보호하며, 투명한 강화유리, 불투명한 플라스틱, 티타늄 합금,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금속 등과 같이 재질이 가능하다. 배면커버(20)는 예컨대 5세대 표시장치는 통신방식을 위하여, 강화유리, 사파이어, 석영 등과 같이 5세대 주파수의 파장이 통과될 수 있는 재질을 적용할 수 있다. 배면커버(20)는 충격에 의해 손상이 되기 쉽다. 그런데, 본 발명의 탈부착층(10) 및 점착조절층(12)을 활용하면, 손상된 배면커버(20)가 쉽게 분리되므로, 손상된 배면커버(20)의 제거 및 새로운 배면커버(20)로의 교체를 쉽게 할 수 있다.
배면커버(34)에는 각종 기능을 하는 소자들이 고정되거나 탈부착될 수 있다. 상기 각종 기능에는 금융 결재카드, 교통카드와 같은 카드 기능,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기능, 보안을 구현하는 보안 기능 등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D; 디스플레이부 10; 탈부착층
12; 점착조절층 20; 배면커버

Claims (11)

  1.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탈부착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배면커버에는 서로 대향하는 탈부착층 또는 점착조절층 중의 어느 하나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2D, 2.5D, 3D, 플렉시블, 폴더블, 롤러블의 평면 또는 곡면 또는 그들이 혼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커버는 5세대 통신 주파수의 파장이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층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적층되고, 상기 점착조절층은 상기 배면커버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층은 경화, 코로나, 증착 또는 플라즈마 또는 그들의 조합의 처리에 의해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탈부착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패턴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 패턴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조절층은 하드코팅층, 디지털프린팅층, 접촉각도를 조절하는 코팅층, 증착층, 미세요철을 포함하는 미세요철층 또는 표면개질층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패턴 형태의 점착조절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조절 패턴은 띠 형태, 격자 형태, 섬 형태, 울타리 형태 또는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조절 패턴은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커버에는 문자, 로고, 마크 또는 이미지가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1020190099405A 2018-08-20 2019-08-14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202000214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10430 WO2020040489A1 (ko) 2018-08-20 2019-08-16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6555 2018-08-20
KR1020180096555 2018-08-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407A true KR20200021407A (ko) 2020-02-28

Family

ID=69638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9405A KR20200021407A (ko) 2018-08-20 2019-08-14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1407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344B2 (en) 2017-10-27 2021-04-20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579339B2 (en) 2018-05-10 2023-02-14 Applied Materials, Inc.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US11789300B2 (en) 2019-06-26 2023-10-17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88810B2 (en) 2018-08-14 2024-05-21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85344B2 (en) 2017-10-27 2021-04-20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758757B2 (en) 2017-10-27 2023-09-12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cover lens films
US11579339B2 (en) 2018-05-10 2023-02-14 Applied Materials, Inc. Replaceable cover lens for flexible display
US11988810B2 (en) 2018-08-14 2024-05-21 Applied Materials, Inc. Multi-layer wet-dry hardcoats for flexible cover lens
US11789300B2 (en) 2019-06-26 2023-10-17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34056B2 (en) 2019-06-26 2024-03-19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40682B2 (en) 2019-06-26 2024-03-26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US11940683B2 (en) 2019-06-26 2024-03-26 Applied Materials, Inc. Flexible multi-layered cover lens stacks for foldable display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1407A (ko)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102241293B1 (ko) 점착조절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KR102241276B1 (ko) 일체형 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JP6975491B2 (ja) 微細突起文様を有する接着減少層を含むディスプレイ装置
JP2020534577A (ja) 着脱パターン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37110A (ko)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1413849B2 (en) Transparent member having fine uneven portions and applied to portable device
JP7100912B2 (ja) 偏光フィルムを含む着脱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
CN112512790B (zh) 使用表面处理的可剥离层的显示装置
WO2020040489A1 (ko) 배면커버를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102241233B1 (ko) 탈부착 윈도우가 탈부착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분리형 모듈
KR102283618B1 (ko)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KR102283619B1 (ko)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200005996A (ko) 보호필름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WO2020111642A1 (ko) 탈부착 윈도우가 탈부착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분리형 모듈
WO2020013511A1 (ko)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JP6330871B2 (ja) 着脱層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KR20190032194A (ko) 화면 연동된 디자인을 가진 탈부착 중고폰 및 그 주문제작 방법
WO2019221460A1 (ko) 점착조절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KR102437333B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KR101952029B1 (ko) 화면 디자인과 연동된 베젤 디자인을 가진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