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7110A -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110A
KR20180037110A KR1020170123049A KR20170123049A KR20180037110A KR 20180037110 A KR20180037110 A KR 20180037110A KR 1020170123049 A KR1020170123049 A KR 1020170123049A KR 20170123049 A KR20170123049 A KR 20170123049A KR 20180037110 A KR20180037110 A KR 2018003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window
layer
touch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3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6151B1 (ko
Inventor
김영수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ublication of KR2018003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110A/ko
Priority to PCT/KR2018/00996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059548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6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6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Abstract

손상된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의 분리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탈부착의 기능에 탈부착되는 접착력을 조절하거나 기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표면개질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개질 시트를 포함하고, 표면개질 시트는 투명한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또는 그들이 연속처리된다.

Description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Apparatus of display having surface-treated detachable shee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의 표면을 개질하여 탈부착되는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와 같은 디스플레이가 화면을 형성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각종 영상화면 장치에 적용된다. 한편, 상기 장치는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을 채용한다. 터치스크린의 전면에는 강화유리 또는 투명 고분자 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윈도우가 배치된다. 윈도우는 중심부에는 화면부와 테두리에의 베젤부로 나뉘며, 외부의 충격이나 접촉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호한다. 윈도우는 투명접착제(OCA) 또는 자외선경화 접착제 등으로 터치스크린에 접착되어 고정된다. 최근에는 플렉시블 및 휘어진 디스플레이의 등장으로 그에 부응하는 윈도우도 출현하고 있다.
한편, 국내등록특허 제10-1574923호는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특허는 손상된 윈도우를 용이하게 교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윈도우의 분리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터치스크린을 탈부착을 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도 가능하다. 그런데, 상기 특허에 제시된 기능에 탈부착되는 접착력을 조절하거나 기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등의 기능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다양한 용도 및 환경에 부합되도록 설정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상된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의 분리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탈부착의 기능에 탈부착되는 접착력을 조절하거나 기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개질 시트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면개질 시트는 투명한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또는 그들이 연속처리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표면개질 시트는 접착감소층에 접착되고, 상기 접착감소층은 상기 탈부착 패턴이 상기 접착감소층에 접착되는 접착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감소층은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감소층은 티타니아(TiO2) 혹은 실리카(SiO2)로 이루어진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상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가 포함된 층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감소층에 의해 상기 탈부착 시트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처리에 의해 상기 고분자 필름의 표면은 표면산화되어 극성그룹이 발현된다. 상기 플라즈마는 대기압 플라즈마, 감압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플라즈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고분자필름의 표면의 일부가 제거된다.
본 발명의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하면,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를 하여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손상된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의 분리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탈부착의 기능에 탈부착되는 접착력을 조절하거나 기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1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1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2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3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4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5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5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6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층, 패턴)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막(층, 패턴)이 다른 막(층, 패턴)의 '상', '상부', '하부', '일면'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막(층, 패턴)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다른 막(층, 패턴)이 개재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를 하여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을 개질함으로써, 손상된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을 용이하게 교체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의 분리가 간단하며,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할 수 있는 탈부착의 기능에 탈부착되는 접착력을 조절하거나 기포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시한다. 이때, 상기 윈도우 구조물 또는 터치스크린은 각각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탈부착되는 표면개질 시트가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탈부착되는 피접착기기는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와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면개질 시트는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에 탈부착되는 것으로 한정되며, 윈도우에 탈부착되는 종래의 윈도우 보호필름과는 명확하게 구분된다. 즉, 본 발명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이 없이 디스플레이로 이루어진 장치는 완성된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가 아니다. 본 발명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이 부착되어야만 디스플레이 장치가 완성된다. 그런데, 윈도우 보호필름은 본 발명의 윈도우 상에 부착되는 것으로, 윈도우 보호필름은 이미 완성된 디스플레이에 부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루는 필수 구성요소이지만, 종래의 윈도우 보호필름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보조 구성요소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모바일 기기, 정보처리 단말기 및 텔레비전 등을 모든 영상처리 기기를 말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같은 핸드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 있고, 상기 정보처리 단말기는 ATM, 키오스크 등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는 평탄 또는 휘어진 것도 포함하고, 플렉시블(flexible)하기도 한다. 상기 영상처리 기기는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는 모바일 기기의 윈도우, 정보처리 단말기의 윈도우, 텔레비전 등의 모든 영상처리 기기의 윈도우를 통칭하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도 모든 영상처리 기기에 적용되는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윈도우 구조물에 형성되는 표면개질 시트 및 터치스크린을 포함하는 윈도우 구조물에 형성되는 표면개질 시트를 구분하여, 각각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윈도우 구조물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에 탈부착되는 제1 내지 제5 윈도우 구조물로 구분된다. 즉, 제1 내지 제5 윈도우 구조물은 터치스크린, 터치스크린의 커버층 및 디스플레이(이하, 피접착기기라고도 함)에 탈부착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5 윈도우 구조물을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1 내지 제5 윈도우 구조물이 적용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례를 제시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른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윈도우 구조물은 별도로 제작되어, 상기 피접착기기에 탈부착된다. 이때, 상기 윈도우 구조물의 부착은 수작업으로 가능하다.
<터치스크린에 탈부착되는 제1 윈도우 구조물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1 윈도우 구조물을 포함하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요소도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10), 접착층(12), 터치스크린(14), 표면개질 시트(18) 및 윈도우(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이루어진다. 이때, 표면개질 시트(18) 및 윈도우(20)를 포함하여 제1 윈도우 구조물(22)이라고 한다. 디스플레이(10)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 등이 있으며, 양자점을 활용하기도 한다. 접착층(12)은, 예시적으로 열경화성 접착제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OCA 테이프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터치스크린(14)은 금속 산화물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전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전패턴은 금속 산화물이 주로 적용되며, 금속 산화물에는 ITO, ATO, ZnO 등 또는 Cu, 전도성고분자 또는 실버 나노 와이어 등이 있다.
윈도우(20)는 투명한 재질이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은 강화유리일 수 있으며, 플라스틱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20)는 또한 강화 유리와 플라스틱 기판이 다층으로 형성된 적층구조일 수 있다.
윈도우(20)는 투명하거나, 각종 기능을 발현시키는 인쇄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투명, 반투명 또는 칼라 등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의 코팅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실크인쇄 또는 UV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또는 열경화를 이용한 잉크젯 프린팅 또는 전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윈도우(20) 상에는 내지문 코팅 또는 항균코팅, 스크래치 방지코팅과 같은 기능성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도포액을 바르는 습식코팅 및 증착과 같은 건식코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윈도우(20)의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의 하단에는 차폐, 반사방지, 청색광(blue light) 차단, 전자파 차단, 프라이버시(privacy) 등의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20)에는 버튼, 카메라, 스피커 등을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opening)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표면개질 시트(18)은 투명한 고분자 필름의 표면을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처리 또는 이들의 연속처리를 통하여,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0.1gf/25mm 내지 500gf/25mm으로 변화시킨 것이다. 여기서, 상기 연속처리는 코로나 처리 후에 플라즈마 처리를 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고분자 필름은 예를 들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라즈마 처리의 경우, 대기압 플라즈마, 감압 플라즈마, 코로나 플라즈마 등의 플라즈마 방식을 이용한다. 즉, 고분자 필름의 점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화학적으로 표면을 세정할 뿐만 아니라 표면을 활성화시키면서 화학적 반응과 물리적 반응에 의하여 표면의 유기물도 제거된다. 플라즈마 처리를 거친 고분자 필름은 이온이나 전자의 높은 에너지를 이용해 표면으로부터 수㎛이내의 영역에서 화학적 결합을 변화시킨다. 또한, 표면의 일정 두께를 깎아내어 접촉각을 크게 한다. 고분자 필름의 표면이 다른 재료와 잘 반응할 수 있도록 화학적이나 물리적으로 활성화된다. 이와 같이 플라즈마 처리된 표면개질 시트(18)는 미세한 이물질 제거와 같은 표면 세정, 표면조도 변경, 극성 관능기 형성 등의 표면개질이 이루어진다.
상기 코로나 처리의 경우, 코로나 방전기술을 이용하여 처리대상이 되는 고분자 필름의 표면의 접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고분자 필름을 코로나로 처리하게 되면, 코로나 내의 전하를 띤 입자들이 필름표면에 충돌함으로써 필름 표면이 산화된다. 따라서 표면산화에 의해 생성된 극성그룹, 예컨대 C=O, C-O-H, COOH, -COO-, -CO- 등에 의해 필름의 표면에너지가 증가되어 전도성 고분자 물질과의 친화력이 향상되어 필름의 접착성이 향상되게 된다. 또한, 코로나 처리에 의해 상기와 같은 화학적 극성그룹 이외에도 폴리머 분자 간의 가교구조가 형성되어 접착성의 향상이 얻어질 수도 있다. 코로나 표면처리는 통상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이루어지는 양 전극 사이에 고분자 필름을 위치시키고, 양 전극에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여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표면에서의 접착력을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개질 시트(18)을 제조한다.
한편, 제1 윈도우 구조물(22)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14) 상에 접착감소층(16)을 부가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은 마찰력을 낮게 하여 슬립성(slip property)을 증대시킨다. 접착감소층(16)에 의해, 제1 윈도우 구조물(22)이 터치스크린(14)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한다. 접착감소층(16)은 불소계 수지이나 실리콘계 수지의 코팅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은 티타니아(TiO2) 혹은 실리카(SiO2)를 터치스크린(14)에 증착시킨 후, 증착된 터치스크린(14) 상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는 ECC(Easy Cleaning Coating) 방식으로 형성시킬 있다. 접착감소층(16)을 적용하면, 윈도우(20)를 부착할 때 기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감소층(16)에 의해, 소비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스스로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은 미세 돌기가 전체 또는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가 일부에 형성된 것을 접착감소층 패턴이라고 한다. 또한, 접착감소층(16)에는 미세 돌기로 이루어진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세 돌기가 있는 부분은 상기 미세 돌기가 없는 부분에 비해 투명하지 않으나, 접착감소층(16)이 표면개질 시트(18)에 접촉함에 따라, 상기 미세 돌기 사이의 공간이 채워져서 투명성을 회복한다.
표면개질 시트(18)의 접착력이 약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경우에 있어서, 표면개질 시트(18)은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상기 자기 접착력은 표면개질 시트(18)을 터치스크린(14)에 올려놓기만 하여도 표면개질 시트(18)이 기포 없이 스스로 붙는 성질이다. 한편, 터치스크린(14)에 접착감소층(16)이 적용되면, 접착감소층(16)이 없을 때보다도 더 향상된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착력은 접착감소층(16)의 존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이 있는 경우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이나, 접착감소층(16)이 없는 경우의 접착력은 0.1gf/25mm 내지 200gf/25mm이다.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표면개질 시트(18)이 있을 때, 접착감소층(16)이 존재하면,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기포 없이 부착하기가 보다 용이하다. 또한, 접착감소층(16)의 영향으로, 제1 윈도우 구조물(22)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1 윈도우 구조물(22)은 별도로 제작되어서 이형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다.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터치스크린(14) 또는 접착감소층(16)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이형필름이 제거된다. 이형필름이 제거되면, 표면개질 시트(18)이 노출된다. 표면개질 시트(18)이 노출된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터치스크린(14) 또는 접착감소층(16)에 수작업으로 부착하면, 윈도우(20)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완성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20)가 파손되거나 교체하려면, 제1 윈도우 구조물(20)을 수작업으로 분리하여, 새로운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부착하면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포함하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요소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접착층(12)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의하면,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10), 터치스크린(14) 및 제1 윈도우 구조물(22)이 순차적인 층을 이룬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4)은 디스플레이(10) 상에 직접 도전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즉, 터치스크린(14)은 디스플레이(10)에 형성된 도전패턴과 더불어 이루어진다. 이때, 제1 윈도우 구조물(22)는 앞에서 설명한 표면개질 시트(18)을 포함한다.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접착감소층(16)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의 재질, 기능 등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착력은 접착감소층(16)의 존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이 있는 경우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이나, 접착감소층(16)이 없는 경우의 접착력은 0.1gf/25mm 내지 200gf/25mm이다.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표면개질 시트(18)이 있을 때, 접착감소층(16)이 존재하면, 제1 윈도우 구조물(22)을 기포 없이 부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접착감소 패턴(22)의 영향으로, 제1 윈도우 구조물(22)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윈도우 구조물(22)의 윈도우(20) 및 표면개질 시트(18) 사이에는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부가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요소는 투명접착층(OCA), 비산방지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인쇄층 및 기능성 코팅층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을 포함하는 투명접착층을 윈도우(20)에 형성하고 투명 합성수지 필름(예, PET 필름)을 부착한 후, 상기 투명 합성수지 필름에 표면개질 시트(1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요소는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터치스크린 커버층에 탈부착되는 제2 윈도우 구조물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2 윈도우 구조물(26)을 포함하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요소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터치스크린 커버층(24)을 도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제2 윈도우 구조물(26)에도 제1 윈도우 구조물(22)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가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10), 접착층(12), 터치스크린(14), 커버층(24), 표면개질 시트(18) 및 윈도우(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2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같은 접착층(12)이 없이, 디스플레이(10) 및 터치스크린(14)이 직접 접합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층(24)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터치스크린(14)의 형성을 위한 도전패턴이 배치된다. 엄밀한 의미에서 커버층(24)은 터치스크린(14)의 일부라고 볼 수 있다. 커버층(24)은 터치스크린(14)이 충격이나 오염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디스플레이(10)에 직접 도전패턴이 형성되어 터치스크린(14)을 이루며, 이때, 터치스크린 커버층(24)은 디스플레이(1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층(24)은 제2 윈도우 구조물(26)로 덮이면,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내측에 위치한다. 커버층(22)이 내측에 위치함으로써, 커버층(24)은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충격 등에 의해 손상을 입을 염려가 없다. 커버층(24)은 인쇄층 또는 기능성 코팅층이 있을 수 있으며, 다양한 디자인 또는 반투명 등을 통하여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커버층(24)은 터치스크린(14)의 각종 패턴이나 회로 등에 의한 굴곡 및 단차에 의한 영향을 배제시킬 수 있다. 굴곡이나 단차의 영향이 사라지면, 표면개질 시트(18)에 의한 탈부착이 보다 용이해진다.
커버층(24)은 투명한 재질이면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유리 기판은 강화유리 또는 강화되지 않은 유리일 수 있으며, 또한 플라스틱 기판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플라스틱 기판이 보다 바람직하다. 커버층(24)의 두께는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터치스크린(20)이 손상을 받지 않을 정도이면 충분하다.
제3 디스플레이 장치(300)는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마찬가지로, 접착감소층(16)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의 재질, 기능 등은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착력은 접착감소층(16)의 존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이 있는 경우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이나, 접착감소층(16)이 없는 경우의 접착력은 0.1gf/25mm 내지 200gf/25mm이다.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표면개질 시트(18)이 있을 때, 접착감소층(16)이 존재하면, 제2 윈도우 구조물(26)을 기포 없이 부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접착감소층(16)의 영향으로, 제2 윈도우 구조물(26)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난다.
표면개질 시트(18)의 접착력이 약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경우에 있어서, 표면개질 시트(18)은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상기 자기 접착력은 표면개질 시트(18)을 터치스크린 커버층(24)에 올려놓기만 하여도, 표면개질 시트(18)이 기포 없이 스스로 붙는 성질이다. 한편, 터치스크린 커버층(24)에 접착감소층(16)을 적용하면, 접착감소층(16)이 없을 때보다도 더 향상된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윈도우 구조물이 파손되면 경우, 새로운 윈도우 구조물 중에 선택하여 부착하면 교체된다. 구체적으로, 파손된 상기 윈도우 구조물을 분리하고, 새로운 윈도우 구조물을 부착하면 교체된다. 윈도우 구조물의 교체 과정은 소비자가 직접 수작업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윈도우 구조물만을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활용이 용이하다. 나아가, 윈도우 구조물은 탈부착되므로, 기포가 없이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제조사는 상기 윈도우 구조물 이외의 부분만을 제작하면 되고 또한 접착공정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해진다.
<디스플레이에 탈부착되는 제3 윈도우 구조물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포함하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요소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각 층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제외하고 기본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에 따르면,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는 디스플레이(10), 표면개질 시트(18), 터치스크린(14), 접착층(12) 및 윈도우(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이다. 이때, 윈도우(20), 접착층(12), 터치스크린(14) 및 표면개질 시트(18)은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이룬다. 디스플레이(10)는 액정표시소자(LC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전기영동표시장치(EPD) 등이 있으며, 양자점을 활용하기도 한다. 접착층(12)은, 예시적으로 열경화성 접착제나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OCA 테이프 등도 사용이 가능하다. 터치스크린(14)은 금속 산화물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절연층의 일측 또는 양측에 도전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도전패턴은 금속 산화물이 주로 적용되며, 금속 산화물에는 ITO, ATO, ZnO 등 또는 Cu, 전도성고분자 또는 실버 나노 와이어 등이 있다.
한편, 제3 윈도우 구조물(30)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10) 상에 접착감소층(16)을 부가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은 접촉각을 크게 하여 슬립성(slip property)을 증대시킨다. 접착감소층(16)에 의해, 제3 윈도우 구조물(30)이 터치스크린(14)으로부터 용이하게 탈부착되도록 한다. 접착감소층(16)은 불소계 수지이나 실리콘계 수지의 코팅재를 사용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은 티타니아(TiO2)혹은 실리카(SiO2)를 디스플레이(10)에 증착시킨 후, 증착된 디스플레이(10) 상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는 ECC(Easy Cleaning Coating) 방식으로 형성시킬 있다. 접착감소층(16)을 적용하면, 터치스크린(14)을 부착할 때 기포의 발생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접착감소 패턴(60)에 의해, 소비자가 별도의 도구 없이 스스로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표면개질 시트(18)의 접착력이 약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경우에 있어서, 표면개질 시트(18)은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상기 자기 접착력은 표면개질 시트(18)을 터치스크린(14)에 올려놓기만 하여도 표면개질 시트(18)이 기포 없이 스스로 붙는 성질이다. 한편, 디스플레이(10)에 접착감소층(16)이 적용되면, 접착감소층(16)이 없을 때보다도 더 향상된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착력은 접착감소층(16)의 존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이 있는 경우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이다. 만일, 접착감소층(16)이 없다면, 상기 접착력은 0.1gf/25mm 내지 200gf/25mm이다.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표면개질 시트(18)이 있을 때, 접착감소층(16)이 존재하면,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기포 없이 부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접착감소층(16)의 영향으로, 제3 윈도우 구조물(30)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난다.
본 발명의 제3 윈도우 구조물(30)은 별도로 제작되어서 이형필름으로 보호되어 있다.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디스플레이(10)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이형필름이 제거된다. 이형필름이 제거되면, 표면개질 시트(18)이 노출된다. 표면개질 시트(18)이 노출된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디스플레이(10)에 수작업으로 부착하면, 윈도우(20)가 장착된 디스플레이를 완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와는 달리 정밀한 접착 공정을 요구하지 않는다. 또한, 제3 윈도우 구조물(30)이 파손되거나 교체하려면,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수작업으로 분리하여, 새로운 제3 윈도우 구조물(30)을 부착하면 된다.
<디스플레이에 탈부착되는 제4 윈도우 구조물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4 윈도우 구조물(34)을 포함하는 제5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요소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제5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접착층(12)을 표면개질 시트(32)으로 대체한 것을 제외하고, 제1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하거나 간단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따르면, 제5 디스플레이 장치(500)에는 디스플레이(10), 표면개질 시트(18), 터치스크린(14), 표면개질 시트(32) 및 윈도우(2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이때, 윈도우(20), 표면개질 시트(32), 터치스크린(14) 및 표면개질 시트(18)은 제4 윈도우 구조물(34)을 이룬다. 이때, 표면개질 시트(32)는 동일한 기능 및 역할을 하지만, 형성된 위치에 차이가 있어서 참조부호를 달리하였다. 제4 윈도우 구조물(34)은 표면개질 시트(18)에 의해 디스플레이(10)에 탈부착된다. 표면개질 시트(18)은 이형필름이 제거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4 윈도우 구조물(34)은 표면개질 시트(32)에 의해 터치스크린(14)에 탈부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5 윈도우 구조물(34)은 디스플레이(10) 및 터치스크린(20에 각각 탈부착될 수 있는 표면개질 시트(18) 및 표면개질 시트(32)을 구비한다.
탈부착 시트(32)은 투명한 재질이면 모두 가능하나, 아크릴계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우레탄계 중합체,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가교제가 혼합된 점착제 또는 그들의 혼합물 또는 그들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탈부착 시트(32)은 각각 단층이거나, 층마다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다층이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는 단층일 수 있다. 다층은 본 발명의 탈부착 시트(32) 각각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각 층을 이루는 물질을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탈부착 시트(32) 각각의 두께는 점착이 충분하게 이루어지는 정도이면 가능하고, 10㎛ 내지 200㎛가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는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반복적인 실험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3 및 제4 윈도우 구조물(30, 32)의 윈도우(20)와 표면개질 시트(32) 사이 또는 터치스크린(14)과 표면개질 시트(18) 사이 중의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는 부가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요소는 투명접착층(OCA), 비산방지층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인쇄층 및 기능성 코팅층이 적절하게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층을 포함하는 투명접착층을 터치스크린(14)에 형성하고 투명 합성수지 필름(예, PET 필름)을 부착한 후, 상기 투명 합성수지 필름에 표면개질 시트(18)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부가요소는 이미 잘 알려진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디스플레이에 탈부착되는 제5 윈도우 구조물을 적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제5 윈도우 구조물(36)을 포함하는 제6 디스플레이 장치(600)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단면도를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단면도 상에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구성요소도 있을 수 있다. 이때, 제6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접착층(12)이 없는 것을 제외하고,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제5 윈도우 구조물(36)에도 제3 윈도우 구조물(30)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부가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따르면, 제6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디스플레이(10), 표면개질 시트(18), 터치스크린(14) 및 윈도우(20)가 적층된 것이다. 이때, 윈도우(20), 터치스크린(14) 및 표면개질 시트(18)이 제5 윈도우 구조물(36)을 이룬다. 여기서, 터치스크린(14)은 윈도우(20)의 하부에 직접 도전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즉, 터치스크린(14)은 윈도우(20)에 형성된 도전패턴과 더불어 이루어진다.
제6 디스플레이 장치(600)는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와 마찬가지로, 접착감소층(16)을 구비할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의 재질, 기능 등은 제4 디스플레이 장치(4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접착력은 접착감소층(16)의 존재에 따라, 접착력이 달라질 수 있다. 접착감소층(16)이 있는 경우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이나, 접착감소층(16)이 없는 경우의 접착력은 0.1gf/25mm 내지 200gf/25mm이다. 동일한 재질 및 두께의 표면개질 시트(18)이 있을 때, 접착감소층(16)이 존재하면, 제5 윈도우 구조물(36)을 기포 없이 부착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접착감소층(16)의 영향으로, 제5 윈도우 구조물(36)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난다.
표면개질 시트(18)의 접착력이 약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경우에 있어서, 표면개질 시트(18)은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상기 자기 접착력은 표면개질 시트(18)을 디스플레이(10)에 올려놓기만 하여도, 표면개질 시트(18)이 기포 없이 스스로 붙는 성질이다. 한편, 디스플레이(10)에 접착감소층(16)을 적용하면, 접착감소층(16)이 없을 때보다도 더 향상된 자기 접착력을 가진다.
제1 내지 제5 윈도우 구조물(22, 26, 30, 34, 36)을 적용할 때, 디스플레이(10) 및 터치스크린(14) 각각의 소정의 영역에 서로 바라보도록 전기적인 접속부를 만들 수 있다. 접속부를 위하여, 터치스크린(14)의 표면개질 시트(18)의 일부는 제거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윈도우 구조물(22, 26, 30, 34, 36)을 터치스크린(14) 및 디스플레이(10)에 부착하면, 상기 접속부가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되면, 제1 내지 제6 디스플레이 장치(100, 200, 300, 400, 500, 600)의 접속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들은 윈도우 구조물이 파손되면 경우, 새로운 윈도우 구조물 중에 선택하여 부착하면 교체된다. 구체적으로, 파손된 상기 윈도우 구조물을 분리하고, 새로운 윈도우 구조물을 부착하면 교체된다. 윈도우 구조물의 교체 과정은 소비자가 직접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교체에 소요되는 시간이 매우 짧다. 또한, 윈도우 구조물만을 제거하면 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재활용이 용이하다. 나아가, 윈도우 구조물은 점착에 의해 탈부착되므로, 기포가 없이 쉽게 부착될 수 있다. 제조사는 상기 윈도우 구조물 이외의 부분만을 제작하면 되고 또한 접착공정을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간단해진다. 특히, 접착감소 패턴이 존재하면, 윈도우 구조물을 기포 없이 부착하기가 보다 용이하고, 접착감소 패턴의 영향으로 윈도우 구조물의 분리가 상대적으로 쉽게 일어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외관을 다양하게 디자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미려한 모양, 다양한 칼라 및 문양 등과 같은 디자인이 가능하다. 왜냐하면, 원래의 윈도우 구조물을 분리하고 새로운 구조물을 부착하면, 윈도우 구조물의 외관을 원하는 디자인으로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디자인의 변경을 위해서는 윈도우 구조물의 접착을 해체하고, 새로운 윈도우 구조물을 다시 접착하여야 한다. 그런데,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존의 윈도우 구조물을 떼어내고, 새로운 윈도우 구조물을 부착하면 디자인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윈도우 구조물은 종래와는 달리,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된 필수품이 아니고, 필요에 따라 탈부착할 수 있는 소모품으로 취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디자인을 다양하게 하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조사는 상기 디자인에 대응하여 일일이 추후 서비스를 하지 않아도 된다.
본 발명의 표면개질 시트를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개질 시트가 형성된 윈도우를 탈부착함으로써, 손상된 윈도우를 용이하게 교체하고, 윈도우의 분리가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표면개질 시트는 자기 접착력이 있어서, 기포 없이 손쉽게 탈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조하는 공정이 단순하고 제조단가가 낮으며, 다양하게 디자인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윈도우를 누구나 손쉽게 탈부착으로 교체하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에 고정된 필수품이 아닌 일회성의 소모품과 같이 취급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윈도우 구조물의 탈부착이 보다 용이하도록,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출물에 홈 등과 같은 별도의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에 표면개질 시트가 있고, 그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에 접착감소층이 있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윈도우 또는 터치스크린에 접착감소층이 있고, 그에 대응하는 터치스크린 또는 디스플레이에 표면개질 시트가 있을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600; 제1 내지 제6 디스플레이 장치
10; 디스플레이 20; 윈도우
14; 터치스크린 16; 접착감소층
18; 표면개질 시트

Claims (9)

  1. 윈도우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터치스크린이 선택적으로 포함되어 이루어지고,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터치스크린 및 디스플레이의 어느 하나에 위치하고, 접착력이 0.1gf/25mm 내지 500gf/25mm인 표면개질 시트를 포함하고,
    상기 표면개질 시트는 투명한 고분자 필름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또는 그들이 연속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ES(polyether sulfone), PI(polyimide), PAR(polyarylate), PC(polycarbonate), PMMA(polymethyl methacrylate) 또는 COC(cycloolefin copolymer) 중 어느 하나 또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개질 시트는 접착감소층에 접착되고, 상기 접착감소층은 상기 탈부착 패턴이 상기 접착감소층에 접착되는 접착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감소층은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감소층은 티타니아(TiO2) 혹은 실리카(SiO2)로 이루어진 증착층 및 상기 증착층 상에 불소계 수지 또는 실리콘계 수지가 포함된 층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감소층에 의해 상기 탈부착 시트의 접착력은 0.5gf/25mm 내지 500gf/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로나 처리에 의해 상기 고분자 필름의 표면은 표면산화되어 극성그룹이 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는 대기압 플라즈마, 감압 플라즈마, 또는 코로나 플라즈마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라즈마에 의해 상기 고분자필름의 표면의 일부가 제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23049A 2016-10-03 2017-09-23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461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9962 WO2019059548A1 (ko) 2016-10-03 2018-08-29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7316 2016-10-03
KR20160127316 2016-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110A true KR20180037110A (ko) 2018-04-11
KR102146151B1 KR102146151B1 (ko) 2020-08-19

Family

ID=61975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3049A KR102146151B1 (ko) 2016-10-03 2017-09-23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6151B1 (ko)
WO (1) WO201905954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11A1 (ko) * 2018-07-09 2020-01-16 김영수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200005998A (ko) * 2018-07-09 2020-01-17 김영수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WO2020111642A1 (ko) * 2018-11-29 2020-06-04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탈부착 윈도우가 탈부착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분리형 모듈
KR20210016018A (ko) * 2019-06-27 2021-02-10 김영수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28520B (zh) * 2019-11-15 2022-09-0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1524939A (zh) * 2020-04-26 2020-08-11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及其组装方法
KR20220092722A (ko) 2020-12-24 2022-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 그 윈도우의 제조 방법, 및 그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47B1 (ko) * 2012-04-23 2013-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KR101574923B1 (ko) * 2015-01-20 2015-12-04 김영수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WO2016093280A1 (ja) * 2014-12-10 2016-06-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接着剤付き偏光板、及び、タッチ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778B1 (ko) * 2010-11-22 2014-05-13 (주)엘지하우시스 양면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표시장치
JP5730240B2 (ja) * 2011-04-25 2015-06-03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静電容量センサ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静電容量センサシート
KR101675225B1 (ko) * 2015-04-08 2016-11-10 김영수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68823A (ko) * 2015-12-10 2017-06-2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윈도우, 이를 사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커버 윈도우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9447B1 (ko) * 2012-04-23 2013-10-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그 제조 방법
WO2016093280A1 (ja) * 2014-12-10 2016-06-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透明接着剤付き偏光板、及び、タッチパネル
KR101574923B1 (ko) * 2015-01-20 2015-12-04 김영수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13511A1 (ko) * 2018-07-09 2020-01-16 김영수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KR20200005998A (ko) * 2018-07-09 2020-01-17 김영수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CN112512790A (zh) * 2018-07-09 2021-03-16 金荣寿 使用表面处理的可剥离层的显示装置
JP2021529979A (ja) * 2018-07-09 2021-11-04 ス キム,ヨン 表面改質された着脱層を用いた表示装置
WO2020111642A1 (ko) * 2018-11-29 2020-06-04 주식회사 맥스젠테크놀로지 탈부착 윈도우가 탈부착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분리형 모듈
KR20210016018A (ko) * 2019-06-27 2021-02-10 김영수 표면개질된 탈부착층을 이용한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6151B1 (ko) 2020-08-19
WO2019059548A1 (ko) 2019-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4923B1 (ko) 탈부착이 가능한 윈도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탈부착 방법
KR102146151B1 (ko) 표면개질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37088A (ko) 탈부착층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521982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fine bump for adjusting attachment and detach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675225B1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EP3686715B1 (en) Display device including adhesion reduction layer having micro protrusion pattern
KR102146150B1 (ko) 탈부착 패턴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11698B1 (ko) 탈부착 유동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JP7100912B2 (ja) 偏光フィルムを含む着脱可能なディスプレイ装置
KR20180026830A (ko) 탈부착층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
EP3293568A1 (en) Display device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80037103A (ko) 탈부착 시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03439A1 (ko) 편광필름을 포함하는 탈부착 디스플레이 장치
JP6330871B2 (ja) 着脱層を有する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Apparatus of display having detachable lay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KR102437333B1 (ko) 복합커버층을 포함하는 탈부착 표시장치
WO2020111642A1 (ko) 탈부착 윈도우가 탈부착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분리형 모듈
WO2018066853A1 (ko) 탈부착 조절을 위한 미세돌기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64904A (ko) 탈부착 윈도우가 탈부착되는 표시장치의 윈도우 분리형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