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1017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1017A
KR20200021017A KR1020180095822A KR20180095822A KR20200021017A KR 20200021017 A KR20200021017 A KR 20200021017A KR 1020180095822 A KR1020180095822 A KR 1020180095822A KR 20180095822 A KR20180095822 A KR 20180095822A KR 20200021017 A KR20200021017 A KR 20200021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pressure
generating device
pressure sensor
vibration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6887B1 (ko
Inventor
서문희
홍원기
박성국
박소희
이태희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6887B1/ko
Priority to US16/508,366 priority patent/US11036298B2/en
Priority to CN201910753060.3A priority patent/CN110837313A/zh
Publication of KR20200021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1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6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6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06F3/041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the force sensing means being located peripherally, e.g. disposed at the corners or at the side of a touch sensing pl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5Pressure sensors for measuring the pressure or force exerted on the touch surface without providing the touch position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진동 발생 장치와 제2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고,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하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에게 영상을 제공하는 스마트 폰, 태블릿 PC,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및 스마트 텔레비전 등의 전자기기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생성하여 표시하는 표시 패널 및 다양한 입력 장치를 포함한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PC를 중심으로 터치 입력을 인식하는 터치 패널이 표시 장치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방식의 편리함으로 기존의 물리적인 입력 장치인 키 패드(key pad) 등을 대체하는 추세이다. 또한, 터치 패널에서 더 나아가 압력 센서를 표시 장치에 장착하여 다양한 입력을 구현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나아가, 햅틱(haptic)을 구현하기 위해 진동 발생 장치가 표시 장치에 적용되고 있으며, 진동 발생 장치를 터치 패널 또는 압력 센서와 연계하여 햅틱을 구현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압력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진동 발생 장치와 제2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고,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하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각각은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고, 상기 제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며,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기 제3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하면 진동하고, 상기 제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하면 진동하되,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기 제4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5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는 제1 면적을 가지며, 또 다른 하나는 제2 면적을 가지되, 상기 제2 면적은 상기 제1 면적에 비해 클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하고, 상기 제5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5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는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최대 진동 변위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지속 시간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파형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파형과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주기는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주기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상이하게 진동한다.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며,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의하면, 압력 센서에 인접한 진동 발생 장치가 제공되고, 사용자가 복수의 압력 센서에 압력을 각각 인가하면, 상기 압력 센서에 인접한 진동 발생 장치에서 서로 다른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서로 다른 진동 발생 장치가 배치된 위치에서 각각 상이한 진동을 느낄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과 메인 회로 보드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1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압력 센서와 제2 범프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1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Ⅳ-Ⅳ'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시도면이다.
도 13은 도 3과 도 4의 Ⅰ-Ⅰ'과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들을 물리 버튼으로 활용하고, 진동 발생 장치들을 압력 센서들 또는 터치 감지 장치와 연계하여 국부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k)는 진동 발생 장치의 다양한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Ⅴ-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어플을 실행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 윈도우에 부착된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커버 윈도우(100), 터치 감지 장치(200), 터치 회로 보드(210), 터치 구동부(220), 표시 패널(300), 표시 회로 보드(310), 표시 구동부(320), 방수 부재(400), 제1 압력 센서(force sensor)(510), 제2 압력 센서(520), 미들 프레임(600), 메인 회로 보드(700), 진동 발생 장치(800), 및 하부 커버(900)를 포함한다.
진동 발생 장치(800)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 "탑", "상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윈도우(100)가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을 가리키고, "하부", "바텀", "하면"은 표시 패널(300)을 기준으로 미들 프레임(600)이 배치되는 방향, 즉 Z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또한, "좌", "우", "상", "하"는 표시 패널(300)을 평면에서 바라보았을 때의 방향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좌"는 X축 방향의 반대 방향, "우"는 X축 방향, "상"은 Y축 방향, "하"는 Y축 방향의 반대 방향을 가리킨다.
표시 장치(10)는 평면 상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이 만나는 모서리는 소정의 곡률을 갖도록 둥글게 형성되거나 직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의 평면 형태는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다각형,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0)는 평탄하게 형성된 제1 영역(DR1)과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로부터 연장된 제2 영역(DR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DR1)은 평탄부일 수 있다. 제2 영역(DR2)은 평탄하게 형성되거나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영역(DR2)는 벤딩부일 수 있다.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이 위치하는 평면과 상이한 평면 상에 배치할 수 있다. 제2 영역(DR2)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경우,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이 이루는 각도는 둔각일 수 있다. 제2 영역(DR2)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정한 곡률을 갖거나 변화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제2 영역(DR2)이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 각각에서 연장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 중 어느 한 측에서만 연장될 수 있다. 또는, 제2 영역(DR2)은 제1 영역(DR1)의 좌우 측들뿐만 아니라 상하 측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도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영역(DR2)이 표시 장치(10)의 좌우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을 커버하도록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의 상면을 보호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도 15와 같이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터치 감지 장치(200)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접착 부재(910)는 투명 접착 필름(optically cleared adhesive film, 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ptically cleared resin, OCR)일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표시 패널(300)에 대응하는 투과부(DA100)와 표시 패널(300) 이외의 영역에 대응하는 차광부(NDA1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될 수 있으며, 투과부(DA100)는 제1 영역(DR1)의 일부와 제2 영역(DR2)들의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차광부(NDA100)는 불투명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차광부(NDA100)는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 있는 패턴이 형성된 데코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광부(NDA100)에는 "SAMSUNG"과 같이 회사의 로고 또는 다양한 문자가 패턴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의 차광부(NDA100)에는 전면 카메라, 전면 스피커,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등을 노출하기 위한 홀들(HH)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전면 카메라, 전면 스피커,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조도 센서 중 일부 또는 전부가 표시 패널(30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홀들(HH)의 일부 또는 전부가 삭제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유리, 사파이어, 및/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100)는 리지드(rigid)하거나 플렉시블(flexible)하게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커버 윈도우(100)와 표시 패널(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들에서도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 상에 외부 광 반사로 인한 시인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 필름이 추가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 필름이 제1 접착 부재(910)를 통해 커버 윈도우(1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자기 용량(self-capacitance) 방식 또는 상호 용량(mutual capacitance) 방식과 같이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가 자기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만 포함하는 반면에,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터치 감지 장치가 상호 용량 방식으로 구현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터치 감지 장치(200)는 패널 형태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는 도 15와 같이 제2 접착 부재(92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접착 부재(920)는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또는, 터치 감지 장치(200)는 표시 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과 터치 감지 전극들은 표시 패널(300)의 박막 봉지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는 터치 회로 보드(2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 회로 보드(210)는 이방성 도전 필름(anisotropic conductive film)을 이용하여 터치 감지 장치(2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측 끝단에는 터치 접속부가 마련될 수 있으며, 터치 접속부는 표시 회로 보드(310)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구동 전극들에 터치 구동 신호들을 인가하고, 터치 감지 장치(200)의 터치 감지 전극들로부터 감지 신호들을 감지하며, 감지 신호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터치 구동부(220)는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로 형성되어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터치 감지 장치(2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커버 윈도우(100)의 투과부(100DA)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제1 영역(DR1)과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영역(DR1)뿐만 아니라 제2 영역(DR2)들에서도 표시 패널(300)의 영상이 보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발광 소자(light emitting element)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300)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를 이용하는 유기 발광 표시 패널, 및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micro LED)를 이용하는 초소형 발광 다이오드 표시 패널, 및 양자점 발광 소자(Quantum dot Light Emitting Diode)를 포함하는 양자점 발광 표시 패널일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기판, 기판 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층, 발광 소자층, 및 박막 봉지층(thin film encapsul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은 유연하게 구현되므로,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판은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기판은 유연한 기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유연한 기판 대비 유연성이 적을 수 있다.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유연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한 기판과 지지 기판 각각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기판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층이 배치된다. 박막 트랜지스터층은 스캔 라인들, 데이터 라인들, 및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및 드레인 전극들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가 기판 상에 직접 형성되는 경우, 박막 트랜지스터층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층 상에는 발광 소자층이 배치된다. 발광 소자층은 애노드 전극들, 발광층, 캐소드 전극, 및 뱅크들을 포함한다. 발광층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층은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ing layer), 유기 발광층(organic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ing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다.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은 생략될 수 있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과 전자가 각각 정공 수송층과 전자 수송층을 통해 유기 발광층으로 이동되며, 유기 발광층에서 서로 결합하여 발광하게 된다. 발광 소자층은 화소들이 형성되는 화소 어레이층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발광 소자층이 형성된 영역은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영역의 주변 영역은 비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발광 소자층 상에는 봉지층이 배치된다. 봉지층은 발광 소자층에 산소 또는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봉지층은 적어도 하나의 무기막과 적어도 하나의 유기막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회로 보드(310)는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300)의 일 측에 마련된 패드들 상에 부착될 수 있다. 터치 회로 보드(210) 역시 표시 패널(300)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으며,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측 끝단에 배치된 터치 접속부는 표시 회로 보드(310)의 커넥터에 연결될 수 있다. 표시 회로 보드(3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들과 전압들을 출력한다. 표시 구동부(320)는 집적회로로 형성되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 장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구동부(320)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측에 부착될 수 있다.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는 도 13와 같이 패널 하부 부재(390)가 배치될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는 제3 접착 부재(930)를 통해 표시 패널(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접착 부재(930)는 투명 접착 필름(OCA) 또는 투명 접착 레진(OCR)일 수 있다.
패널 하부 부재(390)는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흡수하기 위한 광 흡수 부재,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완충 부재, 표시 패널(300)의 열을 효율적으로 방출하기 위한 방열 부재, 및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층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광 흡수 부재는 광의 투과를 저지하여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구성들, 즉 제1 압력 센서(510), 제2 압력 센서(520), 및 표시 회로 보드(310) 등이 표시 패널(300)의 상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방지한다. 광 흡수 부재는 블랙 안료나 염료 등과 같은 광 흡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광 흡수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여 표시 패널(3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완충 부재는 단일층 또는 복수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등과 같은 고분자 수지로 형성되거나, 고무, 우레탄 계열 물질, 또는 아크릴 계열 물질을 발포 성형한 스폰지 등 탄성을 갖는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쿠션층일 수 있다.
방열 부재는 완충 부재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방열 부재는 그라파이트나 탄소 나노 튜브 등을 포함하는 제1 방열층과 전자기파를 차폐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구리, 니켈, 페라이트, 은과 같은 금속 박막으로 형성된 제2 방열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20)는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표시 패널(3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제1 방향(X축 방향)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는 제1 방향(X 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가 하나의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서로 다른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들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3과 같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를 구동하여 압력(pressure or force)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감지부(3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감지부(330)는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표시 구동부(320)에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압력 감지 회로 보드(550)는 표시 회로 보드(310)가 아닌 터치 회로 보드(21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력 감지부(330)는 터치 회로 보드(21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터치 구동부(220)에 통합되어 하나의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진동 발생 장치들은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내지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널 하부 부재(300)의 하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하부 커버(900)의 상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제1 압력 센서(510)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제2 압력 센서(5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에 비해 표시 패널(300)의 제1 측 끝단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20)는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비해 표시 패널(300)의 제2 측 끝단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표시 패널(300)의 제1 측은 우측이고, 제2 측은 좌측일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제4 회로 보드(890)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의 진동 구동부(34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하나의 제4 회로 보드(890)에 연결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장치(10)는 복수의 제4 회로 보드(890)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서로 다른 제4 회로 보드(890)들을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2와 도 3과 같이 표시 회로 보드(310) 상에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를 구동하기 위한 진동 구동부(3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진동 구동부(340)는 집적회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진동 구동부(340)는 제4 회로 보드(890)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진동 구동부(340)는 메인 프로세서(71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데이터에 응답하여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제1 구동 전압들과 제2 구동 전압들을 생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의 진동 데이터는 메인 회로 보드(700)와 표시 회로 보드(310)의 제2 연결 케이블(314), 제2 회로 보드(312), 제1 연결 케이블(313), 및 제1 회로 보드(311)를 경유하여 진동 구동부(340)에 제공될 수 있다. 진동 구동부(340)의 제1 구동 전압들과 제2 구동 전압들은 표시 회로 보드(310)의 제1 회로 보드(311)와 제4 회로 보드(890)를 경유하여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제공될 수 있다.
진동 구동부(340)는 디지털 신호인 진동 데이터를 처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er, DSP), 디지털 신호 처리부에서 처리된 디지털 신호인 진동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인 제1 구동 전압들과 제2 구동 전압들로 변환하는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digital analog converter, DAC), 디지털 아날로그 변환부에서 변환된 아날로그 신호인 제1 구동 전압들과 제2 구동 전압들을 증폭하여 출력하는 증폭기(amplifier, 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들(810, 820)의 진동 세기(또는 진동 변위), 진동 주기(또는 주파수),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또는 파형), 지속 시간을 서로 다르게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의 진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진동이 상이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가 가장 높은 주기로 진동하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두 번째로 높은 주기로 진동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되면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진동 데이터를 받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제2 압력 센서(520)에 압력이 인가되면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진동 데이터를 받을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에 송출되는 진동 데이터는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송출되는 진동 데이터와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발생 장치(810)가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신하는 진동 데이터는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신하는 진동 데이터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데이터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데이터는 진동 변위, 주파수,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일 수 있다.
사용자 관점에서, 사용자는 제1 압력 센서(510)가 배치된 영역에 압력을 인가한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가 배치된 영역에 압력을 인가한 경우 다른 진동을 느끼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1 압력 센서(510)가 배치된 영역에 압력을 인가한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가 배치된 영역에 압력을 인가한 경우, 서로 다른 진동 변위, 주파수,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에 의해 서로 다른 진동을 느끼게 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는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a-CE8a)를 가질 수 있고, 제2 압력 센서(520)는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1b-CE8b)를 가질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는 각각 복수의 서로 인접한 압력 셀(CE1-CE8)들이 모여 형성한 복수의 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음향 상향 버튼(VB+), 음향 하향 버튼(VB-), 전원 버튼(PWB) 또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을 포함하고, 제2 압력 센서(520)는 통화 버튼(CB), 카메라 버튼(CMB), 인터넷 버튼(IB), 또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예시한 표시 장치(10)의 음향 상향 버튼(VB+), 음향 하향 버튼(VB-), 전원 버튼(PWB) 또는 스퀴징 감지 버튼(SB)이 배치된 제1 압력 센서(510) 영역에 압력을 인가하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고,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에 의한 진동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의해 발생한 진동과 상이하여 제1 압력 센서(510)가 배치된 영역과 제2 압력 센서(520)과 배치된 영역을 구별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서로 다른 진동으로서 제1 압력 센서(510)의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셀 그룹과 제2 압력 센서(520)의 복수의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셀 그룹을 서로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예시된 기능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콘이 직접 표시면에 표시되지 않아도 서로 다른 진동으로써 상기 기능들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각각은 진동을 발생하여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발생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10 내지 도 12를 결부하여 후술한다.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부에는 미들 프레임(600)이 배치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0)은 합성 수지, 금속, 또는 합성 수지와 금속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미들 프레임(600)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과 제2 압력 센서(52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상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하면에 접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과 제2 압력 센서(520)의 외측에 배치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미들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미들 프레임(600)에는 카메라 장치(720)가 삽입되는 제1 카메라 홀(CMH1), 배터리의 발열을 위한 배터리 홀(BH), 및 표시 회로 보드(310)에 접속된 제2 연결 케이블(314)이 통과하는 케이블 홀(CAH)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홀(CAH)은 미들 프레임(600)의 우측 가장자리에 가까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가려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 센서(510)는 도 2와 같이 케이블 홀(CAH)을 가리지 않고 노출하기 위해 일 측에서 노치(notch)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된 오목부(NTH)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600)은 표시 패널(300)의 패널 하부 부재(390),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하부에 배치된다. 미들 프레임(600)은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인가된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미들 프레임(600)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미들 프레임(600)과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표시 장치(1)의 하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플라스틱, 및/또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커버(900)에는 카메라 장치(720)가 삽입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제2 카메라 홀(CMH2)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커버(900)는 제3 진동 발생 장치(9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편심 모터(eccentric rotating mass, ERM), 선형 공진 액츄에이터(linear resonant actuator, LRA), 또는 피에조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와 같은 진동 발생 장치일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메인 프로세서(71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제3 진동 발생 장치(910)가 하부 커버(900)의 상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도 3에 도시된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와 인접한 진동 발생 장치가 패널 하부 부재(390) 하부에 배치되지 않을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에 압력이 인가되면 메인 프로세서(710)로부터 입력되는 진동 신호에 따라 진동을 발생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의 진동은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와 상이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가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신하는 진동 데이터는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10, 820)가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수신하는 진동 데이터와 상이할 수 있다. 상기 진동 데이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진동 데이터는 진동 변위, 주파수,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10, 820)의 진동의 진동 변위(또는 최대 진동 변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10, 820)의 진동의 주파수(또는 주기)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10, 820)의 진동의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10, 820)의 진동의 파형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10, 820)의 진동의 지속 시간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장치(720)의 위치와 카메라 장치(720)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카메라 홀들(CMH1, CMH2)의 위치는 도 1, 도 2,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미들 프레임(600)과 하부 커버(900)의 사이에는 메인 회로 보드(700)가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인쇄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 또는 연성 인쇄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메인 회로 보드(700)는 메인 프로세서(710), 카메라 장치(720), 메인 커넥터(73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미들 프레임(600)과 마주보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반면에, 메인 커넥터(730)는 하부 커버(900)와 마주보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타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720)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일면과 타면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720)의 상면은 메인 회로 보드(700)의 타면에 배치되고, 하면은 메인 회로 보드(7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모든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패널(300)이 영상을 표시하도록 영상 데이터를 표시 회로 보드(310)의 표시 구동부(3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터치 구동부(220)로부터 터치 데이터를 입력 받고 사용자의 터치 위치를 판단한 후, 사용자의 터치 위치에 표시된 아이콘이 지시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터치 구동부(220) 또는 표시 구동부(320)로부터 압력 감지 데이터를 입력 받고, 압력 감지 데이터에 따라 홈 화면을 출력하거나 표시 장치(10)의 음향 크기를 제어하거나 햅틱(haptic)을 구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메인 프로세서(710)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을 진동하기 위한 진동 데이터를 진동 구동부(340)로 출력하고,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를 진동하기 위한 진동 신호를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로 출력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집적회로로 이루어진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또는 시스템 칩(system chip)일 수 있다.
카메라 장치(720)는 카메라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하여 메인 프로세서(710)로 출력한다.
미들 프레임(600)의 커넥터 홀(FH)을 통과한 제2 연결 케이블(314)은 미들 프레임(600)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간극(GAP)을 통해 메인 회로 보드(700)의 하면에 배치된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메인 회로 보드(700)는 표시 회로 보드(310)와 터치 회로 보드(2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외, 메인 회로 보드(700)에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이동 통신 모듈이 더 장착될 수 있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회로 보드(700)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음향 출력 장치, 햅틱 구현을 위해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진동 발생 장치가 더 장착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미들 프레임과 메인 회로 보드의 저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표시 회로 보드(310)와 제3 회로 보드(550)의 연결과 제2 연결 케이블(314)과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의 연결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 4는 평면도인 반면에 도 3과 도 5는 저면도이므로, 도 3과 도 5에서는 도 4에서의 표시 장치(10)의 좌우가 반대로 도시되어 있음에 주의하여야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에서는 표시 회로 보드(310)를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였으며, 도 5에서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을 일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표시 회로 보드(310)는 제1 회로 보드(311), 제2 회로 보드(312), 및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일 측에 부착되며, 표시 패널(300)의 기판의 하면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고정 부재들에 의해 도 4와 같이 미들 프레임(600)에 형성된 고정 홀(FH)들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회로 보드(311)는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커넥터(311a), 제2 커넥터(311b), 및 제3 커넥터(311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 구동부(320), 압력 감지부(330), 제1 커넥터(311a), 제2 커넥터(311b), 및 제3 커넥터(311c)는 제1 회로 보드(311)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커넥터(311a)는 제2 회로 보드(312)에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313)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보드(311)에 장착된 표시 구동부(320)와 압력 감지부(330)는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커넥터(311b)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에 연결된 제3 회로 보드(550)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압력 감지부(3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넥터(311c)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에 연결된 제4 회로 보드(890)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각각은 표시 회로 보드(310)의 진동 구동부(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회로 보드(310)가 제2 연결 케이블(314)을 통해 메인 회로 보드(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각각은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프로세서(7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회로 보드(312)는 터치 커넥터(312a), 제1 연결 커넥터(312b), 및 제2 연결 커넥터(31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312b)와 제2 연결 커넥터(312c)는 제2 회로 보드(312)의 일면 상에 배치되고, 터치 커넥터(312a)는 제2 회로 보드(312)의 타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커넥터(312a)는 터치 회로 보드(210)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터치 구동부(220)는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연결 커넥터(312b)는 제1 회로 보드(311)에 연결된 제1 연결 케이블(313)의 타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회로 보드(311)에 장착된 표시 구동부(320)와 압력 감지부(330)는 제1 연결 케이블(313)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커넥터(312c)는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되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회로 보드(312)는 제2 연결 케이블(314)을 통해 제2 회로 보드(31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314)의 타 단에는 커넥터 접속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 케이블(314)의 커넥터 접속부(315)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통과하여 미들 프레임(600)의 하부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내측에는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오목부(NTH)가 형성되므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은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덮이지 않고 노출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에는 노치(notch) 형태의 오목부(NTH)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된 제2 연결 케이블(314)이 케이블 홀(CAH)을 통해 미들 프레임(600)의 하부로 연장되어, 메인 회로 보드(700)의 메인 커넥터(73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회로 보드(310)와 메인 회로 보드(700)는 안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압력 센서와 제1 범프들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0)는 제1 방향(X축 방향)의 단변과 제2 방향(Y축 방향)의 장변을 갖는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제1 압력 센서(510)의 평면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용되는 위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는 복수의 압력 감지셀들(CE1a~CE8a)을 포함한다. 도 6에서는 제1 압력 센서(510)가 8 개의 압력 감지셀들(CE1a~CE8a)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 셀들(CE1a~CE8a) 각각은 독립적으로 해당 위치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이 1열로 배열된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은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압력 감지 셀들(CE1a~CE8a) 각각은 도 6과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떨어져 배치되거나,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은 용도에 따라 다른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a와 같이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은 표시 장치(10)의 일 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볼륨 제어 버튼(VB+, VB-) 또는 전원 버튼(PB)과 같이 물리 버튼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도 10b과 같이 제8 압력 감지 셀(CE8a)은 사용자의 스퀴징(squeezing)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버튼(SQB)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a)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보다 넓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a)은 제1 압력 센서(510)의 길이 방향(Y축 방향)에서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는 물리 버튼으로 사용되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이 동일한 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또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 중 일부 압력 감지 셀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고, 나머지 압력 감지 셀들의 면적은 서로 동일하나, 일부 압력 감지 셀들 각각의 면적과 나머지 압력 감지 셀들 각각의 면적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에 중첩되도록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은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을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압력이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에 의해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에 가해지는 압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 각각에 비해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 각각의 압력 감지층(PSL)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범프(530)의 면적은 압력 감지 셀의 면적에 비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제8 압력 감지 셀(CE8a)의 면적이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 각각의 면적에 비해 넓은 경우,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중첩되는 제1 범프(530)의 면적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에 중첩되는 제1 범프(530)들 각각의 면적보다 넓을 수 있다.
또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을 덮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제1 압력 센서(510)에서 미들 프레임(600)의 케이블 홀(CAH)에 대응하는 영역에 노치(notch) 형태의 오목부(NTH)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20) 및 제2 범프(540)들은 제2 압력 센서(520)가 오목부(NTH)를 포함하지 않는 것에서 도 6에 도시된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1 범프(530)와 차이가 있을 뿐이다. 도 7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20)와 제2 범프(5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도 7의 A 영역을 상세히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Ⅲ-Ⅲ'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2 압력 센서(520)는 제1 기판(SUB1), 제2 기판(SUB2), 구동 라인(TL), 제1 내지 제8 감지 라인들(RL1~RL8, p는 2 이상의 정수), 구동 패드(TP), 제1 내지 제8 감지 패드들(RP1~RP8), 및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을 포함한다.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4 압력 감지 셀(CE4b), 제5 압력 감지 셀(CE5b), 및 패드 영역(PAD)만을 도시하였다. 또한, 도 8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기판(SUB2)을 생략하였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각각 폴리에틸렌(poly ethylene), 폴리이미드(poly 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폴리술폰(poly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 acrylat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 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 vinyl alcohol), 폴리노르보넨(poly norbornene), 폴리에스테르(poly ester) 계열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은 폴레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폴리이미드 필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CE8)이 배치된다. 제2 기판(SUB2)과 마주보는 제1 기판(SUB1)의 일면 상에는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8), 구동 패드(TP), 감지 패드들(RP1~RP8)이 배치된다.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는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이 배치된다.
압력 감지 셀들(CE1b~CE8b)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구동 라인과 적어도 하나의 감지 라인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은 하나의 구동 라인(TL)에 공통적으로 연결되는데 비해, 감지 라인들(RL1~RL8)에는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4 압력 감지 셀(CE4)은 구동 라인(TL)과 제4 감지 라인(RL4)에 접속되고, 제5 압력 감지 셀(CE5)은 구동 라인(TL)과 제5 감지 라인(RL5)에 접속될 수 있다.
구동 라인(TL)은 구동 패드(TP)에 접속되고, 감지 라인들(RL1~RL8)은 감지 패드들(RP1~RP8)에 일대일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감지 라인(RL1)은 제1 감지 패드(RP1)에 접속되고, 제2 감지 라인(RL2)은 제2 감지 패드(RP2)에 접속되며, 제3 감지 라인(RL3)은 제3 감지 패드(RP3)에 접속되고, 제4 감지 라인(RL4)은 제4 감지 패드(RP4)에 접속될 수 있다. 제5 감지 라인(RL5)은 제5 감지 패드(RP5)에 접속되고, 제6 감지 라인(RL6)은 제6 감지 패드(RP6)에 접속되며, 제7 감지 라인(RL7)은 제7 감지 패드(RP7)에 접속되고, 제8 감지 라인(RL8)은 제8 감지 패드(RP8)에 접속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은 제1 기판(SUB1)의 일 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판(SUB1)의 일 측은 제2 압력 센서(520)의 장변일 수 있다. 도 8에서는 패드 영역(PAD)이 제1 기판(SUB1)의 장변의 중앙에서 돌출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기판(SUB1)의 장변의 일 단 또는 타단에서 돌출될 수 있다.
패드 영역(PAD)에는 구동 패드(TP)와 감지 패드들(RP1~RP8)이 배치될 수 있다. 구동 패드(TP)와 감지 패드들(RP1~RP8)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통해 제3 회로 보드(550)의 구동 리드 라인(TL_F)과 감지 리드 라인들(RL1_F~RL8_F)에 일대일로 연결될 수 있다. 구동 패드(TP)는 구동 리드 라인(TL_F)에 접속되고, 제1 감지 패드(RP1)는 제1 감지 리드 라인(RL1_F)에 접속되며, 제2 감지 패드(RP2)는 제2 감지 리드 라인(RL2_F)에 접속되고, 제3 감지 패드(RP3)는 제3 감지 리드 라인(RL3_F)에 접속되며, 제4 감지 패드(RP4)는 제4 감지 리드 라인(RL4_F)에 접속될 수 있다. 또한, 제5 감지 패드(RP5)는 제5 감지 리드 라인(RL5_F)에 접속되며, 제6 감지 패드(RP6)는 제6 감지 리드 라인(RL6_F)에 접속되고, 제7 감지 패드(RP7)는 제7 감지 리드 라인(RL7_F)에 접속되며, 제8 감지 패드(RP8)는 제8 감지 리드 라인(RL8_F)에 접속될 수 있다.
도 8과 같이 제3 회로 보드(550)는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되므로, 표시 회로 보드(310)에 장착된 압력 감지부(3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제3 회로 보드(550)의 구동 리드 라인(TL_F)과 제1 압력 센서(510)의 구동 패드(TP)를 통해 구동 라인(TL)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제2 압력 센서(520)의 감지 패드들(RP1~RPp)에 접속된 감지 리드 라인들(RL1_F~RL8_F)을 통해 감지 라인들(RL1~RL8)로부터 전류 값들 또는 전압 값들을 감지함으로써, 압력 감지 셀들(CE1a~CE8a)들에 가해진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20)는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결합하는 결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결합층은 감압 점착층이나 접착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층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주변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결합층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가장자리를 완전히 둘러싸 제2 압력 센서(520)의 내부를 밀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결합층은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결합층은 구동 라인(TL), 감지 라인들(RL1~RLp), 압력 감지 셀들(CE1~CEp), 구동 패드(TP), 및 감지 패드들(RP1~RPp)과 중첩되지 않을 수 있다.
결합층은 제1 기판(SUB1)의 일면 또는 제2 기판(SUB2)의 일면에 먼저 부착된 후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합착 과정에서 다른 기판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기판(SUB1)의 일면과 제2 기판(SUB2)의 일면에 각각 결합층이 마련되고, 제1 기판(SUB1)과 제2 기판(SUB2)의 합착 과정에서 제1 기판(SUB1)의 결합층과 제2 기판(SUB2)의 결합층이 상호 부착될 수도 있다.
압력 감지 셀들(CE1b~CE8b) 각각은 도 9와 같이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구동 전극(TE1)들, 감지 전극(RE1)들, 및 압력 감지층(PSL)을 포함한다.
구동 연결 전극(TCE), 감지 연결 전극(RCE), 구동 전극(TE1)들, 및 감지 전극(RE1)들은 제2 기판(SUB2)과 마주보는 제1 기판(SUB1) 상에 배치된다.
구동 연결 전극(TCE)은 구동 라인(TL)과 구동 전극(TE1)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구동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구동 라인(TL)에 연결된다. 구동 전극(T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감지 연결 전극(RCE)은 감지 라인들(RL1~RL8) 중 어느 하나와 감지 전극(RE1)들에 접속된다. 구체적으로, 감지 연결 전극(TCE)은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일 끝단에서 감지 라인들(RL1~RL8)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감지 전극(RE1)들은 감지 연결 전극(RCE)의 폭 방향(X축 방향)으로 분지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동일층에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은(Ag), 구리(Cu) 등의 도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제1 기판(SUB1) 상에 스크린 인쇄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인접하여 배치되나, 서로 연결되지 않는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은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될 있다. 즉, 구동 연결 전극(TCE)과 감지 연결 전극(RCE)의 길이 방향(Y축 방향)으로 구동 전극(TE1), 감지 전극(RE1), 구동 전극(TE1), 감지 전극(RE1)의 순서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PSL)은 제1 기판(SUB1)과 마주보는 제2 기판(SUB2)의 일면 상에 배치된다. 압력 감지층(PSL)은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압력 감지층(PSL)은 압력 민감 물질 및 압력 민감 물질이 배치되는 고분자 수지(polymer)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민감 물질은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주석, 구리 등의 금속 미세 입자들(또는 금속 나노 입자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압력 감지층(PSL)은 QTC(Quantum Tunneling Composite)일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2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도 9와 같이 압력 감지층(PSL)과 구동 전극(TE1)들 사이와 압력 감지층(PSL)과 감지 전극(RE1)들 사이에는 갭이 존재한다. 즉,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지 않는 경우, 압력 감지층(PSL)은 구동 전극(TE1)들 및 감지 전극(RE1)들과 이격되어 있다.
제2 압력 센서(520)의 높이 방향(Z축 방향)에서 압력이 제2 기판(SUB2)으로 가해지는 경우, 압력 감지층(PSL)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할 수 있다. 이 경우, 구동 전극(TE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감지 전극(RE1)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압력 감지층(PSL)을 통해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압력 감지층(PSL)은 전기적인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2 압력 센서(520)는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 압력 감지층(PSL)이 구동 전극(TE1)들과 감지 전극(RE1)들에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므로, 감지 전극(RE1)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 라인의 저항 값이 변화될 수 있다. 압력 감지부(330)는 감지 라인들(RL1~RL8)로부터 전류 값 또는 전압 값 변화를 감지함으로써, 사용자가 손으로 누르는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1 압력 센서(51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제2 압력 센서(520)와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을 포함한다는 것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압력 센서(51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은 제1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Ⅳ-Ⅳ'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제1 전극(E1), 제2 전극(E2), 진동층(VL), 제1 베이스 기판(BS1), 제2 베이스 기판(BS2), 제1 패드 전극(816), 및 제2 패드 전극(81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베이스 기판(BS1)의 제1 면 상에 배치되고, 제1 전극(E1) 상에는 진동층(VL)이 배치될 수 있다. 진동층(VL) 상에는 제2 전극(E2)이 배치되며, 제2 전극(E2) 상에는 제2 베이스 기판(B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816)과 제2 패드 전극(817)은 제1 베이스 기판(BS1)의 제2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물질은 ITO(indium Tin Oxide) 및 IZO(indium Zinc Oxide)와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불투명한 금속 물질, 도전성 폴리머, 탄소 나노 튜브(CNT) 등일 수 있다.
제1 전극(E1)은 제1 베이스 기판(BS1)을 관통하는 제1 콘택홀(CH1)을 통해 제1 패드 전극(816)과 접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패드 전극(816)을 통해 제4 회로 보드(89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전극(E2)은 진동층(VL)과 제1 베이스 기판(BS1)을 관통하는 제2 콘택홀(CH2)을 통해 제2 패드 전극(817)과 접속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제1 패드 전극(817)을 통해 제4 회로 보드(890)에 연결될 수 있다. 결국, 제1 전극(E1)과 제2 전극(E2)은 제4 회로 보드(890)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의 진동 구동부(3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므로, 진동 구동부(340)로부터 제1 구동 전압과 제2 구동 전압을 인가받을 수 있다.
진동층(VL)은 제1 전극(E1)에 인가된 전압과 제2 전극(E2)에 인가된 전압 차에 따라 도 12와 같이 변형되는 피에조 액츄에이터(piezo actuator)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VL)은 PVDF(Poly Vinylidene Fluoride) 필름이나 PZT(Plumbum Ziconate Titanate(티탄산지르콘납)) 등의 압전체, 전기 활성 고분자(Electro Active Polym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 경우, 진동층(VL)은 제1 전극(E1)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E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 간의 차이에 따라 제1 힘(F1)에 따라 수축하거나 제2 힘(F2)에 따라 이완 또는 팽창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12와 같이, 제1 전극(E1)에 인접한 진동층(VL)이 정극성의 특성을 가지며, 제2 전극(E2)에 인접한 진동층(VL)이 부극성의 특성을 갖는 경우, 제1 전극(E1)에 정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전극(E2)에 부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VL)은 제1 힘(F1)에 따라 수축할 수 있다. 또한, 제1 전극(E1)에 인접한 진동층(VL)이 정극성의 특성을 가지며, 제2 전극(E2)에 인접한 진동층(VL)이 부극성의 특성을 갖는 경우, 제1 전극(E1)에 부극성의 제1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제2 전극(E2)에 정극성의 제2 구동 전압이 인가되면, 진동층(VL)은 제2 힘(F2)에 따라 수축할 수 있다. 제1 전극(E1)에 인가되는 제1 구동 전압과 제2 전극(E2)에 인가되는 제2 구동 전압이 정극성과 부극성으로 교대로 반복되는 경우, 진동층(VL)은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진동하게 된다.
또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표시 패널(300)을 진동하여 제1 음향을 출력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10)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은 음향 발생 장치에 의해 음향을 출력할 수 있으므로, 표시 장치(10)의 전면(前面)에 배치되는 음향 발생 장치가 삭제될 수 있으므로, 윈도우(100)의 투과부(DA100)가 넓어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10)의 표시 영역이 넓어질 수 있다.
제1 베이스 기판(BS1)과 제2 베이스 기판(BS2)은 절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베이스 기판(BS1)과 제2 베이스 기판(BS2)은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phone: PES),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PA),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PAR),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PEI),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thalate: 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페닐렌설파이드 (polyphenylenesulfide: PPS), 폴리알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cellulosetriacetate: CAT),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또는 이들의 조합이며,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816)과 제2 패드 전극(817)은 도전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 전극(816)과 제2 패드 전극(817)은 이방성 도전 필름을 이용하여 제4 회로 보드(89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제3 진동 발생 장치(830) 각각은 도 10 내지 도 12를 결부하여 설명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를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하고, 제4 회로 보드(890)를 통해 표시 회로 보드(310)에 연결한다.
도 13은 도 3과 도 4의 Ⅰ-Ⅰ'과 Ⅱ-Ⅱ'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부에는 제1 범프(530)들이 배치되며, 제1 범프(530)들 각각은 제4 접착 부재(940)를 통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부착되고, 제6 접착 부재(960)를 통해 제1 압력 센서(51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는 제5 접착 부재(950)를 통해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 제5 접착 부재(950), 및 제6 접착 부재(960)는 압력 민감 점착제(PSA)일 수 있다. 제4 접착 부재(940)와 제5 접착 부재(950) 중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압력 센서(510)의 일 측면은 다른 측면들보다 표시 패널(300)의 일 측 가장자리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가 표시 패널(300)의 우측 가장자리에 배치되는 경우, 방수 부재(40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우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는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에 부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방수 부재(400)는 베이스 필름과 베이스 필름의 일 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점착막, 및 베이스 필름의 타면 상에 배치되는 제2 점착막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olyethyleneterepthalate: PET)와 쿠션층, 또는 폴리에틸렌 폼(PE-foam)일 수 있다. 제1 점착막과 제2 점착막은 압력 민감 점착제(pressure sensitive adhesive, PSA)일 수 있다. 제1 점착막은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에 점착되고, 제2 점착막은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에 점착될 수 있다.
방수 부재(400)를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에 가압하여 부착한다. 방수 부재(400)의 높이(h1)가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와 제1 범프(530)의 높이(h3)의 합보다 낮은 경우, 방수 부재(400)를 부착하기 위한 힘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가 손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방수 부재(400)의 높이(h1)는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와 제1 범프(530)의 높이(h3)의 합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방수 부재(400)의 높이(h1)는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와 제1 범프(530)의 높이(h3)의 합보다 매우 높은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방수 부재(400)의 높이(h1)는 방수 부재(400)를 부착하기 위한 힘에 의해 제1 압력 센서(510)가 손상되는 것과 방수 부재(400) 부착 후 제1 압력 센서(510)에 의한 압력 감지 여부를 고려하여 사전 실험을 통해 미리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범프(530)가 사용자의 압력에 따라 제1 압력 센서(510)의 압력 감지 셀들(CE1~CE8)을 가압하기 위해서는, 제1 범프(530)의 높이(h3)가 제1 압력 센서(510)의 높이(h2)보다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수 부재(400)의 폭(w)은 수분과 분진의 침투를 막기 위해 적어도 1㎜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방수 부재(400)가 제1 압력 센서(510)의 외측에 배치되어, 패널 하부 부재(390)의 하면과 미들 프레임(600)의 상면을 부착하므로, 방수 부재(400)에 의해 표시 패널(300)과 미들 프레임(600) 사이로 수분이나 분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방수 및 방진이 가능한 표시 장치(1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제2 압력 센서(520)가 표시 패널(300)의 좌측 가장자리에 배치되기 때문에, 방수 부재(400)가 제2 압력 센서(520)의 좌측면 상에 배치되는 것에서 방수 부재(400)와 제1 압력 센서(510)의 배치 위치와 차이가 있을 뿐이므로, 방수 부재(400)와 제2 압력 센서(520)의 배치 위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압력 센서들을 물리 버튼으로 활용하고, 진동 발생 장치들을 압력 센서들 또는 터치 감지 장치와 연계하여 국부적으로 진동을 발생시키는 표시 장치를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4a 및 도 14b에는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이 나타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배치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제2 압력 센서(520)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도 14a에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검지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에 해당하는 좌측 곡면부의 제5 압력 감지 셀(CE5b)을 누르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b에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중지, 약지 및 새끼 손가락으로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에 해당하는 좌측 곡면부의 제8 압력 감지 셀(CE8b)을 스퀴징(squeezing)하고, 손바닥으로 표시 장치(10)의 제2 영역(DR2)에 해당하는 우측 곡면부의 제8 압력 감지 셀(CE8a)을 스퀴징(squeezing)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는 표시 장치(10)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과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력 센서(51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에 인접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가 진동할 수 있다. 제2 압력 센서(520)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2 압력 센서(520)에 인접한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진동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터치 위치와 가장 인접한 진동 발생 장치가 진동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는 복수의 셀 그룹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셀 그룹은 서로 인접한 압력 셀(CE)들이 모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a~CE8a) 중에서 제1 압력 감지 셀(CE1a)과 제2 압력 감지 셀(CE2a)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음향을 높이기 위해 누르는 음향 상향 버튼(V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 감지 셀(CE1a) 및 제2 압력 감지 셀(CE2a)은 하나의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압력 감지 셀(CE3a)과 제4 압력 감지 셀(CE4a)은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음향을 낮추기 위해 누르는 음향 하향 버튼(V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3 압력 감지 셀(CE3a) 및 제4 압력 감지 셀(CE4a)은 하나의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압력 감지 셀(CE5a), 제6 압력 감지 셀(CE6a),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a)은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해 누르는 전원 버튼(PW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5 압력 감지 셀(CE5a), 제6 압력 감지 셀(CE6a)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a)은 하나의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감지 셀(CE1a)과 제2 압력 감지 셀(CE2a)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스피커의 음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3 압력 감지 셀(CE3a)과 제4 압력 감지 셀(CE4a)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스피커의 음향을 높이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5 압력 감지 셀(CE5a), 제6 압력 감지 셀(CE6a),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a)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의 화면을 끄거나, 표시 장치(10)의 전원 오프를 선택할 수 있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a)은 스퀴징 감지 버튼(S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가해지는 스퀴징 압력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해 더 높고 큰 압력일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a)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에 인접한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진동하도록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진동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b) 관련, 메인 프로세서(710)는 좌측 곡면부 각각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b)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표시 장치(10)를 슬립 모드에서 온(on)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는 우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b)과 인접한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진동하도록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진동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 중에서 제1 압력 감지 셀(CE1b)과 제2 압력 감지 셀(CE2b)은 사용자가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통화 버튼(C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1 압력 감지 셀(CE1b) 및 제2 압력 감지 셀(CE2b)은 하나의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압력 감지 셀(CE3b)과 제4 압력 감지 셀(CE4b)은 사용자가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카메라 버튼(CM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3 압력 감지 셀(CE3b) 및 제4 압력 감지 셀(CE4b)은 하나의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제5 압력 감지 셀(CE5b), 제6 압력 감지 셀(CE6b),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b)은 사용자가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해 누르는 인터넷 버튼(I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즉, 제5 압력 감지 셀(CE5b), 제6 압력 감지 셀(CE6b)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b)은 하나의 셀 그룹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압력 감지 셀(CE1b)과 제2 압력 감지 셀(CE2b)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통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3 압력 감지 셀(CE3b)과 제4 압력 감지 셀(CE4b)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5 압력 감지 셀(CE5b), 제6 압력 감지 셀(CE6b),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b)로부터 압력이 감지되면, 인터넷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b)은 스퀴징 감지 버튼(SB)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가해지는 스퀴징 압력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b~CE7b)에 가해지는 압력에 비해 더 높고 큰 압력일 수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8 압력 감지 셀(CE8b)로부터 스퀴징 압력이 감지되면, 미리 정해진 어플리케이션 또는 동작을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과 중첩하는 영역에는 화면 표시 버튼(DPB)이 더 배치될 수 있다. 화면 표시 버튼(DPB) 관련, 사용자가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과 중첩하는 영역에 터치를 두번 인가하면 메인 프로세서(710)는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아이콘들을 항상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사용자가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과 중첩하는 영역에 터치를 두번 인가하면 메인 프로세서(710)는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아이콘들을 항상 숨기도록 할 수 있다. 도면 14(a) 및 도 14(b)에서는 화면 표시 버튼(DPB)이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과 중첩하는 영역에 배치됨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양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다른 압력 감지 셀(CE1 내지 CE7) 상, 또는 양 압력 감지 셀(CE1 내지 CE7)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메인 프로세서(710)는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형성된 제1 내지 제8 압력 감지 셀들(CE1b~CE8b)에 인접한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진동하도록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진동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4a에 도시된 실시예는 하나의 예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과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b~CE7b)에 압력 인가에 따라, 상기 기능들을 포함하거나 제외한 다양한 기능들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10)의 우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a~CE7a)과 표시 장치(10)의 좌측 곡면부에 위치한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들(CE1b~CE7b)마다 서로 다른 동작이 실행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가 표시 장치(10)의 곡면부에 해당하는 제2 영역(DR2)들에 배치됨으로써, 음향 조절 버튼, 전원 버튼, 통화 버튼, 카메라 버튼, 인터넷 버튼, 및 스퀴징 감지 버튼 등의 물리 버튼 대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4a 및 도 14b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입력 감지 장치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이 있는 경우,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 중에서 입력 감지 장치에 인접한 진동 발생 장치를 진동함으로써 햅틱을 구현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은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서로 다른 진동 데이터를 받아 서로 다른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직접 표시면에 표시된 아이콘을 보지 않아도, 서로 다른 진동으로써 상기 예시된 기능들을 쉽게 식별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압력 감지 셀(CE1a)과 제2 압력 감지 셀(CE2a) 즉, 음향 상향 버튼(VB+) 셀 그룹, 제3 압력 감지 셀(CE3a)과 제4 압력 감지 셀(CE4a) 즉, 음향 하향 버튼(VB-), 제5 압력 감지 셀(CE5a), 제6 압력 감지 셀(CE6a), 및 제7 압력 감지 셀(CE7a), 즉 전원 버튼(PWB) 셀 그룹, 제8 압력 감지 셀(CE8a) 즉 스퀴징 버튼(SB)에 압력을 인가하는 경우,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각각의 셀 그룹마다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 따라 진동이 상이하고, 나아가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에서도 어느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상이한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압력 센서(520)의 상술한 각각의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각각의 셀 그룹마다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데이터는 상기 진동 데이터는 복수의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는 진동 변위, 주파수, 주기,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메인 프로세서(710)로부터 진동 변위, 주파수, 파형, 지속 시간 또는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에 관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그에 상응하는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에서도 어느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메인 프로세서(710)로부터 진동 변위, 주파수, 파형, 지속 시간 또는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에 관한 상이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압력이 제1 압력 센서(510)의 서로 다른 셀 그룹에 인가되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는 서로 상이한 진동을 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에서도 실질적으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동일하게 진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가 제1 진동을 발생시키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제2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진동 변위는 진동 발생 장치의 어느 기준점으로부터 진동 발생 장치의 이동량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정지 위치를 기준으로 움직인 이동량을 의미할 수 있다. 최대 진동 변위는 진동 발생 장치가 주기 또는 비주기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때, 진동 변위 중 정점인 값일 수 있다. 제1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는 제2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보다 클 수 있고, 반대로 작을 수 있다.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가 10μm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진동을 느끼기 시작하는 유효한 최대 진동 변위일 수 있다. 최대 진동 변위가 15μm 이상인 경우, 사용자가 진동을 민감하게 느끼기 시작하는 실효적인 최대 진동 변위일 수 있다.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는 10μm 이상일 수 있다.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는 더욱 바람직하게 15μm 이상일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이 주기 함수로 진동하는 경우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은 소정의 주기 또는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이 특정한 파형을 가지고,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주기가 10ms 이상인 경우, 사용자는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특정한 파형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주기가 500ms 이상인 경우 인 경우, 사용자가 일 기능을 가진 셀 그룹에 압력을 인가하고, 바로 다른 기능을 가진 셀 그룹에 압력을 인가한 경우, 일 기능 셀 그룹에서 발생한 진동과 다른 기능의 셀 그룹에서 발생한 진동이 서로 간섭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일 기능을 가진 셀 그룹의 진동과 다른 기능을 가진 셀 그룹의 진동을 구별할 수 없게 된다.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주기는 500ms 이하이도록 설계될 수 있다. 진동의 특정 파형 인지, 및 다른 진동과의 구별 측면에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주기는 10ms 내지 500ms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주파수는 0.1HZ 내지 2HZ일 수 있다.
제1 진동의 주기는 제2 진동의 주기와 상이할 수 있다. 제1 진동의 주기는 제2 진동의 주기보다 클 수 있고, 반대로 작을 수 있다. 또한, 제1 진동의 주파수는 제2 진동의 주파수보다 작을 수 있고, 반대로 클 수도 있다.
제1 진동의 지속 시간과 제2 진동의 지속 시간은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진동의 지속 시간과 제2 진동의 지속 시간이 상이하면, 직접 일 기능을 가진 셀 그룹에 해당 아이콘, 다른 기능을 가진 셀 그룹에 해당 아이콘을 보지않아도, 이들을 진동의 지속 시간으로 구별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의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의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또는 파형에 대해서는 도 15(a) 내지 도 15(k)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a) 내지 도 15(k)는 진동 발생 장치의 다양한 진동을 보여주는 예시 도면들이다. 도 15(a) 내지 도 15(k)는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이 주기 함수로 나타남을 예시한다. 도 15(a) 내지 도 15(k)에서 가로축은 진동 시간(ms)이고, 세로축은 진동 변위(μm)일 수 있다. 진동 발생 장치(810, 820)는 도 15(a) 내지 도 15(k)에 따른 진동을 가질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각각 제1 진동, 제2 진동을 가질 수 있다. 제1 진동과 제2 진동은 상이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도 15(a) 내지 도 15(k)에 따른 진동 그래프를 가지는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서로 다른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및 제2 진동은 도 15(a) 내지 도 15(k)에 따른 그래프에 따라 진동하되, 서로 다른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k)는 최대 진동 변위(A1, A2)를 가질 수 있다. 제1 최대 진동 변위(A1)는 아래로 볼록한 변곡점에 해당하고, 제2 최대 진동 변위(A2)는 위로 볼록한 변곡점에 해당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최대 진동 변위(A1, A2)는 10μm 이상일 수 있다. 최대 진동 변위(A1, A2)는 더욱 바람직하게 15μm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도 15(a) 내지 도 15(k)의 진동의 주기는 10ms 내지 500ms일 수 있다.
도 15(a)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부터 제2 시간(t2)까지 곡선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를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 곡선 형태로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 곡선 형태로 상향될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제5 시간(t5)까지 진동 변위는 하향될 수 있다. 제5 시간(t5)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a)의 진동은 사인 형태일 수 있다.
도 15(b)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부터 제2 시간(t2)까지 곡선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를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 곡선 형태로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 선형으로 소정의 기울기를 가지고 시간에 비례하여 커질 수 있다. 이 경우, 기울기는 일정한 값일 수 있다. 제 4 시간(t4)에서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0으로 떨어질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4 시간(t4)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b)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는 상향 선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c)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부터 제2 시간(t2)까지 곡선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를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 곡선 형태로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3 시간(t3)에서 다시 상승하여,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에까지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으로 떨어질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c)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볼록한 곡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d)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로 하향될 수 있다.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에까지 제1 최대 진동 변위(A1)를 유지하고, 제2 시간(t2)에서 제2 최대 진동 변위(A2)로 상향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이 될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d)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에까지 위로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e)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로 하향될 수 있다.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에까지 제1 최대 진동 변위(A1)를 유지하고, 제2 시간(t2)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 곡면 형태로 진동 변위가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에 까지 진동 변위는 곡면 형태로 하향되고,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4 시간(t4)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e)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2 시간(t2)에서 제4 시간(t4)까지는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f)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로 하향될 수 있다.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에까지 제1 최대 진동 변위(A1)를 유지하고, 제2 시간(t2)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시간에 따라 진동 변위는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e)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직사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상향 선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g)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에 까지 소정의 음의 일정한 기울기를 갖고 선형 하향되고,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을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에 까지 소정의 일정한 양의 기울기를 갖고 선형 상향되어,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 진동 변위는 일정한 양의 기울기를 갖고 선형 상향되어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제5 시간(t5)까지 진동 변위는 소정의 일정한 음의 기울기를 갖고 선형 하향되어, 제5 시간(t5)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g)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5 시간(t5)까지는 위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h)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에까지 곡면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을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에 까지 소정의 일정한 양의 기울기를 갖고 선형 상향되어,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 진동 변위는 일정한 양의 기울기를 갖고 선형 상향되어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제5 시간(t5)까지 진동 변위는 곡면 형태를 가지며 하향되고, 제5 시간(t5)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h)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4분원과 삼각형 형태의 그래프가 차례로 나오는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5 시간(t5)까지는 위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와 4분원 그래프가 차례로 나오는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i)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에까지 소정의 일정한 음의 하향 선형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을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에 까지 곡면 형태로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 진동 변위는 곡면 형태로 상향되고,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제5 시간(t5)까지 진동 변위는 소정의 일정한 음의 하향 선형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5 시간(t5)에서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i)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삼각형과 4분원 형태의 그래프가 차례로 나오는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5 시간(t5)까지는 위로 돌출된 4분원과 삼각형 형태가 차례로 나오는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j)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부터 제1 시간(t1)까지 진동 변위는 0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1 시간(t1)에서 제3 진동 변위(A3)으로 하향되고, 제1 시간(t1)에서 제2 시간(t2)까지 소정의 일정한 음의 하향 선형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3 진동 변위(A3)는 0과 제1 최대 진동 변위(A1)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1 최대 진동 변위(A1)을 가질 수 있다. 제2 시간(t2)에서 제3 시간(t3)에 까지 곡면 형태로 상향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진동 변위는 제3 진동 변위(A3)일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다시 제4 진동 변위(A4)로 상향되고, 제3 시간(t3)에서 제4 시간(t4)까지 진동 변위는 소정의 일정한 양의 선형 형태로 상향하고, 제4 시간(t4)에서 진동 변위는 제2 최대 진동 변위(A2)를 가질 수 있다. 제4 진동 변위(A4)는 0과 제2 최대 진동 변위(A2) 사이의 값일 수 있다. 제4 시간(t4)에서 제5 시간(t5)까지 진동 변위는 소정의 일정한 음의 하향 선형 형태로 하향될 수 있다. 제5 시간(t5)에서 진동 변위는 제4 진동 변위(A4)일 수 있다. 진동 변위는 제5 시간(t5)에서 0으로 하향될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j)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오각형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5 시간(t5)까지는 위로 돌출된 오각형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도 15(k)를 설명하면, 최초 시간(t0)에서 제3 시간(t3)까지의 진동 변위는 도 15(j)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시간(t3)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진동 변위는 도 15(a)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진동 주기는 제1 시간(t1)에서 제5 시간(t5)까지의 시간일 수 있다. 도 15(k)의 진동은 제1 시간(t1)에서 제3 시간(t3)까지는 아래로 돌출된 오각형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고, 제3 시간(t3)에서 제5 시간(t5)까지는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며 진동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도 15(a) 내지 도 15(k)에 따른 진동 그래프를 가지는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다만,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서로 다른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가 도 15(a)에 상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하면,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도 15(b) 내지 도 15(k)에 상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가 도 15(b) 내지 도 15(k) 중 어느 하나에 상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하면 제2 진동 발생 장치(820)는 제1 진동 발생 장치(810)와 다른 그래프에 상응하는 진동 데이터에 따라 진동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k)에서는 예시적인 진동 데이터 그래프가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a) 내지 도 15(k)에 도시된 진동 데이터의 파형은 아래 또는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사각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선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오각형 형태가 도시되었지만, 더욱 다양한 형태를 가지는 진동 데이터를 가질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k)의 다양한 파형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도 15(a) 내지 도 15(k)의 예시에 한정되지않고, 상기 예시된 아래 또는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사각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선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오각형 형태는 서로 다양하게 조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15(a) 내지 도 15(k)는 일정한 주기를 갖는 파형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예시된 아래 또는 위로 볼록한 곡면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삼각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사각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일정한 기울기를 가지는 선형 형태, 아래 또는 위로 돌출된 오각형 형태을 갖되, 비주기적 형태를 가지는 진동 데이터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로서 지칭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6은 제1 진동 발생 장치(810) 및 제2 진동 발생 장치(820)가 각각 복수의 서브 진동 발생 장치를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는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를 포함하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는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압력 센서(510)는 표시 장치(10)의 음향 상향 버튼(VB+), 음향 하향 버튼(VB-), 전원 버튼(PWB) 또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을 포함하고, 제2 압력 센서(520)는 통화 버튼(CB), 카메라 버튼(CMB), 인터넷 버튼(IB), 또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셀 그룹은 복수의 압력 감지 셀(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과 인접 배치되고,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는 음향 상향 버튼(VB+), 음향 하향 버튼(VB-) 및 전원 버튼(PWB)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과 인접 배치되고,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b-CE7b)과 인접 배치되고,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b-CE7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는 통화 버튼(CB), 카메라 버튼(CMB) 및 인터넷 버튼(IB)의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는 제8 압력 감지 셀(CE8b)과 인접 배치되고,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는 서로 다른 진동을 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는 진동 변위, 주파수, 주기,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으로 조절되는 서로 다른 진동 데이터가 인가되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할 수 있다.
다만,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면, 동일한 진동으로 진동할 수도 있다. 즉,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와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1)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5)는 진동 데이터가 동일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진동 데이터는 진동 변위, 주파수, 주기,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일 수 있다.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2)는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가 세 개의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813, 814)로 나뉘어져 있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2)는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가 세 개의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 823, 824)로 나뉘어져 있다는 점에서 도 16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810_1, 820_1)와 차이가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2)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는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를 포함하고,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2)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1)는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a, CE2a)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a, CE2a)은 음량 상향 버튼(VB+) 그룹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a, CE2a)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는 음량 상향 버튼(VB+)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는 제3 및 제4 압력 감지 셀(CE3a, CE4a)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압력 감지 셀(CE3a, CE4a)은 음량 하향 버튼(VB-) 그룹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는 제3 및 제4 압력 감지 셀(CE3a, CE4a)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는 음량 하향 버튼(VB-)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는 제5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5a- CE7a)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5a-CE7a)은 전원 버튼(PWB) 그룹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는 제5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5a-CE7a)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는 전원 버튼(PWB)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b, CE2b)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b, CE2b)은 통화 버튼(CB) 그룹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는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b, CE2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는 통화 버튼(CB)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는 제3 및 제4 압력 감지 셀(CE3b, CE4b)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3 및 제4 압력 감지 셀(CE3b, CE4b)은 카메라 버튼(CMB) 그룹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는 제3 및 제4 압력 감지 셀(CE3b, CE4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는 카메라 버튼(CMB)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는 제5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5b- CE7b)에 인접 배치될 수 있다. 제5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5b-CE7b)은 인터넷 버튼(IB) 그룹 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는 제5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5b-CE7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는 인터넷 버튼(IB)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2)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2)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는 서로 다른 진동을 할 수 있다. 즉,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2)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2)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는 진동 변위, 주파수, 주기, 시간에 따른 진동 변위, 파형 또는 지속 시간으로 조절되는 서로 다른 진동 데이터가 인가되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할 수 있다.
도 17은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1, 821)가 세 개의 서브 진동 발생 장치로 구분됨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두 개로 구분되는 서브 진동 발생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진동 발생 장치(810_2)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및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는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와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는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진동 발생 장치(820_2)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 및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는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와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는 서로 구분되지 않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810_3, 820_3)은 도 17의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 825)를 포함하지 않고, 하부 커버(900)의 제3 진동 발생 장치(910)가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5, 825)의 기능을 한다는 점에서 도 17과 차이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하부 커버(900)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 또는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즉,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스퀴징 감지 버튼(SB) 셀 그룹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동일한 진동을 할 수 있다. 즉,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동일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상이한 진동을 할 수 있다. 즉, 즉, 제3 진동 발생 장치(910)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상이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도 19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Ⅴ-Ⅴ'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제1 압력 센서(510) 및 제2 압력 센서(520) 사이에 배치되는 제4 진동 발생 장치(840)를 가짐을 예시한다.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제4 진동 발생 장치(840)는 제1 압력 센서(510)와 제2 압력 센서(5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4 진동 발생 장치(840)은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와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를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 CE1b-CE7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 CE1b-CE7b)에 압력이 감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b-CE7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동일한 진동으로 진동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b-CE7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동일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a-CE7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1 내지 제7 압력 감지 셀(CE1b-CE7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상이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상술한 서로 다른 그룹 셀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이한 진동을 할 수 있다. 즉,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는 압력이 서로 다른 그룹 셀에 인가되는 경우, 서로 다른 진동을 할 수 있다. 예시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그룹 셀은 음량 상향 버튼(VB+), 음량 하향 버튼(VB-), 전원 버튼(PWB), 통화 버튼(CB), 카메라 버튼(CMB) 및 인터넷 버튼(IB) 그룹 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에 인접할 수 있다.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a) 및 제2 압력 센서(52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는 제8 압력 감지 셀(CE8a, CE8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동일하게 진동할 수 있다. 즉,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동일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진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5)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8 압력 감지 셀(CE8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메인 프로세서(710)에 의해 상이한 진동 데이터를 받아, 상이하게 진동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840_1)은 도 20의 제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1)이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3) 및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4)로 구분된다는 점에서 도 20과 차이가 있다.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는 도 17의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제2-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2)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7과 차이가 있고,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3)는 도 17의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 제2-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3)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7과 차이가 있고,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4)는 도 17의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 제2-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24)가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도 17과 차이가 있다.
또한,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a, CE2a) 또는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b, CE2b)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할 수 있다.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a, CE2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b, CE2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다르게 진동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는 제1 압력 센서(510)의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a, CE2a)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제2 압력 센서(520)의 제1 및 제2 압력 감지 셀(CE1b, CE2b)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동일하게 진동할 수도 있다.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3)와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4)의 경우에도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와 인접한 압력 감지 셀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제1 압력 센서(510)에서 압력이 인가되는지 제2 압력 센서(520)에서 압력이 인가되는지에 따라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진동할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를 보여주는 표시 패널의 저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840_2)는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 82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도 20에 따른 진동 발생 장치(840_1)와 차이가 있다. 도 21에서는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4, 824)를 포함하고, 도 20의 제1-3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4)가 배치되지 않음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82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 823)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가 포함되고,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2, 82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13, 823)와 위치가 대응되는 제1-1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2), 제1-2 서브 진동 발생 장치(843)가 배치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2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어플케이션을 실행하는 단계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표시면에 터치를 인가하는 단계(S10), 메인 프로세서(710)가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 아이콘을 표시되는 단계(S20), 사용자가 표시 장치(10)의 압력 센서(510, 520)의 각 그룹 셀에 압력 터치를 인가하는 단계(S30), 메인 프로세서(710)가 압력 센서(510, 520)와 인접한 진동 발생 장치(810, 820)에서 진동 데이터를 인가하여, 각각의 진동 발생 장치(810, 820)에서 진동 발생하는 단계(S40) 및 사용자의 압력 터치 위치에 해당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해당 단계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상술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300: 표시 패널
400: 방수 부재
510: 제1 압력 센서
520: 제2 압력 센서
810: 제1 진동 발생 장치
820: 제2 진동 발생 장치
900: 하부 커버
910: 제3 진동 발생 장치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진동 발생 장치와 제2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고,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외측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각각은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에 상이하게 진동하는 표시 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3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고,
    상기 제3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며,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기 제3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4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하면 진동하고,
    상기 제4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압력 센서의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하면 진동하되,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기 제4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서로 상이한 표시 장치.
  10.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커버; 및
    상기 하부 커버의 상면 상에 배치되는 제5 진동 발생 장치를 더 구비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는 제1 면적을 가지며, 또 다른 하나는 제2 면적을 가지되, 상기 제2 면적은 상기 제1 면적에 비해 큰 표시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하고,
    상기 제5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5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한 표시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최대 진동 변위는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최대 진동 변위와 상이한 표시 장치.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지속 시간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지속 시간과 상이한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파형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파형과 상이한 표시 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주기는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의 주기와 상이한 표시 장치.
  17.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압력 센서와 제2 압력 센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진동 발생 장치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면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상기 제2 압력 센서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서로 상이하게 진동하는 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의 일 측과 대향하는 타 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와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상이하게 진동하는 표시 장치.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압력 센서 및 상기 제2 압력 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진동 발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어느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며,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압력 센서의 상기 복수의 압력 감지 셀들 중 또 다른 하나에 압력이 인가되는 경우 진동하되,
    상기 제1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은 상기 제2 진동 발생 장치의 진동과 상이한 표시 장치.
KR1020180095822A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KR102636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22A KR102636887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US16/508,366 US11036298B2 (en) 2018-08-17 2019-07-11 Display device which generates a different vibration according to the position where a force is applied by a user
CN201910753060.3A CN110837313A (zh) 2018-08-17 2019-08-1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822A KR102636887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1017A true KR20200021017A (ko) 2020-02-27
KR102636887B1 KR102636887B1 (ko) 2024-02-15

Family

ID=6952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822A KR102636887B1 (ko) 2018-08-17 2018-08-17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36298B2 (ko)
KR (1) KR102636887B1 (ko)
CN (1) CN1108373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3627B1 (ko) * 2018-05-17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2018-08-20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20845A (ko) * 2019-04-12 2020-10-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264779B2 (ja) * 2019-09-10 2023-04-25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1429804B (zh) * 2020-04-02 2021-04-27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WO2022147668A1 (zh) * 2021-01-05 2022-07-14 深圳市汇顶科技股份有限公司 触控板和电子设备
US11789557B2 (en) 2021-01-05 2023-10-17 Shenzhen GOODIX Technology Co., Ltd. Touchpad and electronic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0065A1 (en) * 2009-02-27 2010-09-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including a force-sens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100328229A1 (en) * 2009-06-30 2010-12-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KR20180081284A (ko) * 2017-01-06 2018-07-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드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80210598A1 (en) * 2015-07-15 2018-07-26 Interlink Electronics, Inc. Force sensing bezel touch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38760B2 (en) 2006-03-30 2009-05-26 Apple Inc. Force imaging input device and system
US8686952B2 (en) 2008-12-23 2014-04-01 Apple Inc. Multi touch with multi haptics
US8654524B2 (en) 2009-08-17 2014-02-18 Apple Inc. Housing as an I/O device
US8633916B2 (en) 2009-12-10 2014-01-21 Apple, Inc. Touch pad with force sensors and actuator feedback
US9477306B1 (en) * 2010-08-24 2016-10-25 Amazon Technologies, Inc. Mutamorphic haptic substrate
US8787006B2 (en) 2011-01-31 2014-07-22 Apple Inc. Wrist-wor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therefor
US9886116B2 (en) 2012-07-26 2018-02-06 Apple Inc.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US20140085213A1 (en) 2012-09-21 2014-03-27 Apple Inc. Force Sensing Using Bottom-Side Force Map
US9178509B2 (en) 2012-09-28 2015-11-03 Apple Inc. Ultra low travel keyboard
US9513663B2 (en) 2013-04-02 2016-12-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itive display
KR102473627B1 (ko) 2018-05-17 2022-12-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압력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20065A1 (en) * 2009-02-27 2010-09-02 Research In Motion Limited Touch-sensitive display including a force-sensor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20100328229A1 (en) * 2009-06-30 2010-12-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actile feedback
US20180210598A1 (en) * 2015-07-15 2018-07-26 Interlink Electronics, Inc. Force sensing bezel touch interface
KR20180081284A (ko) * 2017-01-06 2018-07-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드 및 이의 동작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36298B2 (en) 2021-06-15
US20200057503A1 (en) 2020-02-20
CN110837313A (zh) 2020-02-25
KR102636887B1 (ko) 2024-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4691B1 (ko) 표시 장치
KR102636887B1 (ko) 표시 장치
KR102636883B1 (ko) 표시 장치
KR102526888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102589782B1 (ko) 표시 장치
KR102582316B1 (ko) 표시 장치
KR102589832B1 (ko) 표시 장치
KR102582263B1 (ko) 표시 장치와 그의 제조 방법
KR102635463B1 (ko) 음향 발생 장치, 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555824B1 (ko) 표시 장치
KR20200057867A (ko) 압력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KR102644091B1 (ko) 표시 장치
KR102652088B1 (ko) 표시 장치
KR20200108947A (ko) 표시 장치와 그의 구동 방법
KR20200110580A (ko) 표시 장치
KR20200094904A (ko) 표시 장치 및 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JP2021005362A (ja) 超音波感知装置とそれを含む表示装置
KR20210042196A (ko) 압력 센서와 그를 포함한 표시 장치
CN111506212B (zh) 显示装置及显示装置的驱动方法
CN110851009B (zh) 显示装置
KR20200095315A (ko) 표시 장치와 그의 햅틱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