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954A -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 Google Patents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954A
KR20200020954A KR1020207003931A KR20207003931A KR20200020954A KR 20200020954 A KR20200020954 A KR 20200020954A KR 1020207003931 A KR1020207003931 A KR 1020207003931A KR 20207003931 A KR20207003931 A KR 20207003931A KR 20200020954 A KR20200020954 A KR 20200020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haft
shaft
collar
assembly
joysti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3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4482B1 (ko
Inventor
브래들리 엠. 스트랄레
Original Assignee
퍼포먼스 디자인드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649,014 external-priority patent/US10183218B1/en
Application filed by 퍼포먼스 디자인드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퍼포먼스 디자인드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200020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9/053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the controlling member compri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1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 A63F2300/1043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characterized by input arrangements for converting player-generated signals into game device control signals being characterized by 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는 착탈식 조이스틱은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하우징에서 조이스특 유닛에 연결되는 베이스 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는 하우징의 외측 표면이나 그 아래의 위치에서 연장된다.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신속 분리 조립체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조이스틱 볼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근위 단부를 가진 상부 샤프트와, 상기 상부 샤프트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스프링 부하가 장착된 칼라를 포함하며, 상기 칼라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샤프트가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칼라의 플랜지는 먼지 덮개가 잘못 배치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칼라 상에 배치된 먼지 덮개를 유지하고 이에 맞물린다.

Description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본 출원에 출원되는 바와 같이 외국 또는 국내 우선권 주장이 출원 데이터 시트에서 식별되는 임의의 및 모든 출원은 37 CFR 1.57에 따라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은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착탈식 조이스틱을 갖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게임은 매우 대중적이며 점점 더 복잡해져서 비디오 게임 내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예를 들어, 누르거나, 돌리는 등의 작동) 다수의 입력부(예를 들어, 버튼, 조이스틱)를 갖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요구한다. 입력부가 작동됨에 따라 전기 신호가 생성, 처리 및/또는 컨트롤러가 연결된 게임 콘솔로 전송된다. 콘솔은 컨트롤러에서 수신한 신호에 따라 비디오 게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작동시킨다. 시장에는 다양한 게임 콘솔이 있으며, 각각의 콘솔은 상이한 유형의 컨트롤러(예를 들어, 상이한 유형 또는 조합의 입력부를 가짐)를 사용하거나 다중 유형의 컨트롤러의 사용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게임 컨트롤러는 격투 게임 또는 아케이드 스타일 게임에서 특히 사용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조이스틱 및 다수의 버튼과 같은 아케이드 및 사용자가 컨트롤러(예를 들어, 조이스틱 및/또는 버튼)를 작동시키면서 컨트롤러의 하우징에 손목을 임의로 놓을 수 있게 하는 베이스 또는 하우징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컨트롤러는 휴대용이지만 일반적인 휴대용 컨트롤러보다 훨씬 크며 컨트롤러 본체에서 튀어 나오는 조이스틱으로 인해 일반적인 배낭, 메신저 백 또는 슈트 케이스에 쉽게 맞지 않기 때문에 여행 중에 컨트롤러를 보관하기가 어렵다. 또는 여행 가방 (예를 들어, 백 팩, 메신저 백, 슈트 케이스)에 배치될 때, 컨트롤러 하우징에서 조이스틱이 튀어 나오면 조이스틱 헤드에 압력이 가해져 조이스틱 및/또는 제어 장치에 손상을 입히게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컨트롤러가 여행용 가방에 더 잘 맞도록 착탈식 조이스틱이 이러한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도록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착탈식 조이스틱은 여전히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조이스틱을 제거해도 먼지 덮개가 유지되지 않아 먼지 덮개가 잘못 배치되거나 유실되어 컨트롤러 작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예를 들어, 먼지, 액체 또는 기타 물질이 먼지 덮개의 덮개를 열어서 조이스틱 액츄에이터가 오작동하거나 고장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착탈식 조이스틱을 구비한 개선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가 필요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이 제공된다. 착탈식 조이스틱은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조이스틱 유닛에 결합가능한 베이스 샤프트를 포함한다. 착탈식 조이스틱은 또한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단 샤프트 조립체는 선택적으로 조이스틱 볼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근위 단부를 갖는 상부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또한 스프링 장착되고 상부 샤프트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칼라를 포함하고 칼라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다. 상기 상단 샤프트 조립체는 빠른 분리 연결(예 : 볼-체결 연결)을 통해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상단 샤프트 조립체가 베이스 샤프트에서 분리될 때, 칼라의 플랜지는 먼지 덮개의 잘못된 배치 또는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칼라 위에 배치된 먼지 덮개와 맞물려 유지된다. 이러한 조립체는 먼지 덮개의 위치가 잘못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조이스틱의 분리를 허용함으로써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가 제공된다.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원주 방향 리세스를 갖는 베이스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중앙 보어를 가지며 조이스틱 볼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제거 가능하게 클립을 수용되도록 구성된 상부 샤프트의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의 원주 슬롯을 포함하는 상부 샤프트, 및 내부에 금속 볼을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도록 된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상부 샤프트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또한 상부 샤프트상의 클립과 칼라의 내부 어깨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상부 샤프트 위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칼라를 포함한다. 상기 칼라는 상부 샤프트와 스프링을 수용하는 칼라 사이의 환형 갭을 형성하는 제 1 직경을 갖는 근위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직경은 상부 샤프트의 외부 표면의 직경보다 크다. 칼라는 또한 제 1 직경과 상이한 제 2 직경을 갖는 중간 내부 표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의 위치에서 상부 샤프트의 외부 표면과 접촉하여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개구 내에서 볼을 편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칼라는 또한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을 갖는 원위 내부면을 포함하고, 복수의 개구의 위치에서 상부 샤프트의 외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개구의 볼이 사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대하여 보다 반경 방향으로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구성된다. 칼라는 또한 칼라의 원위 부분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한다. 스프링은 중간 내부 표면이 개구내의 볼을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 방향 리세스 내부 및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바이어스하여 상부 샤프트 조립체와 베이스 샤프트를 결합시키는 원위 위치를 향해 칼라를 바이어스한다. 칼라가 근위로 당겨질 때, 원위 내부면은 복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볼은 원주 방향 리세스로부터 방사상으로 이동하여,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시킨다. 칼라상의 플랜지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덮개를 유지하기 위해 칼라 위에 배치된 먼지 덮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를 위한 키트가 제공된다. 상기 키트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원주 방향 리세스를 갖는 베이스 샤프트, 및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를 갖는 상부 샤프트,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와 내부에 배치된 클립을 갖는 상부 샤프트의 원위 단부 사이의 위치에 있는 원주방향 슬롯,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복수의 개구, 복수의 개구부에 이동 가능하게 유지되는 복수의 금속 볼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또한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칼라, 상부 샤프트상의 클립과 칼라의 내부 어깨부 사이에 배치되어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상부 샤프트에 대해 칼라의 스프링 걸린 움직임을 허용하도록 스프링을 포함하여, 칼라는 원위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은 칼라가 원위 위치를 향하도록 칼라를 편향시켜, 칼라가 개구의 볼을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 방향 리세스 내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시켜, 상부 샤프트와 베이스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칼라가 근위로 당겨질 때, 칼라의 내면은 복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볼은 원주 방향 리세스로부터 방사상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분리시킨다. 상기 플랜지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덮개를 유지하기 위해 칼라 위에 배치된 먼지 덮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및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가 조합되어 제공된다. 상기 베이스 샤프트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 및 상기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하우징 내의 조이스틱 유닛에 연결된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리세스를 구비한다.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조이스틱 볼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를 갖는 상부 샤프트,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와 내부에 클립을 가진 상부 샤프트의 원위 단부 사이에 위치된 원주 슬롯,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상기 다수의 개구에 탑재된 이동가능한 다수의 금속 볼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또한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칼라, 상부 샤프트상의 클립과 칼라의 내부 어깨부 사이에 배치되어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칼라의 스프링 장착된 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상기 칼라는 원위 부분으로부터 방사상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은 칼라가 원위 위치를 향하도록 칼라를 편향시켜, 칼라가 개구의 볼을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 방향 리세스 내로 반경 방향 내측으로 편향하여 상부 샤프트와 베이스 샤프트를 상호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칼라가 근위로 당겨질 때, 칼라의 내면은 복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볼은 원주 방향 리세스로부터 방사상으로 이동하여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분리시킨다. 플랜지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하우징의 상부 표면 또는 하부에 배치된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인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덮개를 유지하기 위해 칼라 위에 배치된 먼지 덮개와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한 착탈식 조이스틱을 구비한 개선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착탈식 조이스틱을 포함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조이스틱 액츄에이터에 부착된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이스틱 액츄에이터에 부착된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조이스틱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조이스틱 조립체의 측 단면도이다.
도 8은 조이스틱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9a는 다른 조이스틱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조이스틱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9c는 도 9a의 조이스틱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0a는 다른 조이스틱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10b는 도 10a의 조이스틱 조립체의 분해도이다.
도 10c는 도 10a의 조이스틱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11a는 커버 상에 저장된 착탈식 스틱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본체에 대하여 개방된 위치에 있는 도 1의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하부 커버의 도면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착탈식 스틱이 제거된 도 11a의 하부 커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은 커넥터(35)(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커플링하는 케이블에 연결될 수 있는 커넥터)를 통해 비디오 게임 유닛(예를 들어, 비디오 게임 콘솔)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100)("컨트롤러(100)")를 도시한다. 상기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100)는 전투 비디오 게임 또는 아케이드 스타일의 비디오 게임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사용자가 컨트롤러(100)를 조작하는 동안 손목을 안착시킬 수 있는 부분(12a)을 갖는 상부 표면(12)을 갖는 하우징(10)을 갖는다. 상기 컨트롤러(100)는 또한 후방 표면(20)을 가질 수 있고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하우징(10)을 잡을 수 있는 후방 표면(2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핸들(22: 예를 들어 개구)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후방 표면(20)은 또한 하우징(10)의 전자 기기에 접근하기 위해 착탈식 하부 커버(24)를 가질 수 있다. 하부 커버(24)가 하우징(10)에 대해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힌지(25)(도 11a 참조)를 이용하여 컨트롤러(100)의 하우징(10)에 하부 커버(24)가 피봇식으로 결합된다. 래치(26: 도 11a)는 하우징(10)에 대해 커버(24)를 잠금 및 잠금 해제하도록 도 11a 참조)를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0)는 동작 동안 비디오 게임의 하나 이상의 기능을 작동시키기 위해 상부 표면(12) 상에 하나 이상의 버튼(30)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컨트롤러(100)는 또한 조이스틱 조립체(50)를 포함하는 조이스틱 유닛(40)을 가질 수 있다. 사용자는 조이스틱 조립체(50)를 피봇하여 작동 중에 비디오 게임의 기능을 작동시킬 수 있다. 먼지 덮개(46)는 조이스틱 조립체(50) 주위에 그리고 하우징(10)의 상부 표면(1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먼지 덮개는 조이스틱 조립체(50)가 개구(14)를 통하여 먼지 및 이물질이 하우징(10) 내부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피봇된 하우징(10)에서 개구(14)를 덮는다.
도 3 내지 도 5는 조이스틱 유닛(40)을보다 상세히 도시한다. 상기 조이스틱 유닛(40)은 하우징(10) 내에 배치되는 액츄에이터(42)를 포함한다. 상기 액츄에이터(42)는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는 장착 플레이트(42a)를 구비하여, 장착 플레이트(42a)가 상부 표면(12)의 하부면을 향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장착 플레이트(42a)는 상부 표면(12)의 밑면에 고정된다). 상기 조이스틱 유닛(40)은 또한 액츄에이터(42)에 결합되는 조이스틱 조립체(50)를 포함한다. 조이스틱 조립체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다.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50)는 베이스 샤프트(52)의 원위 단부에서 슬롯(52A)으로 연장되는 클립(44)(예를 들어, e- 클립)으로 액츄에이터(42)에 결합될 수 있는 베이스 샤프트(5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샤프트(52)는 그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보어(52B)를 가질 수 있고, 또한 베이스 샤프트(52)의 근위 단부 근처에 원주형 리세스(53)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샤프트(52)는 어깨부(52D)까지 연장되는 원주형 리세스(53)에 인접한 원추형 표면(52C)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50)는 또한 플랜지(55)를 갖는 칼라(54)를 포함하며, 여기서 칼라(54)는 신속 해제 또는 신속 분리 체결부(예를 들어, 볼-체결식 신속 분리)를 형성하기 위해 상부 샤프트(56) 상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플랜지(55)는 선택적으로 약 1mm 또는 약 1.2mm와 같이 약 0.5mm와 약 3mm 사이의 거리만큼 칼라(54)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 될 수 있다. 상기 칼라(54)는 칼라(54)의 내부 표면으로부터 방사상 내측으로 연장되는 어깨부(54A), 제 1 내경(D1)을 갖는 근위 원통형 섹션(54B), 제 2 내경(D2)을 갖는 중간 원통형 섹션(54C) 및 제 3 내경(D3)을 갖는 원위 원통형 섹션(54D)을 가질 수 있다. 직경 D1 및 직경 D3은 직경 D2보다 크고, 직경 D3은 선택적으로 직경 D1보다 크다.
상기 스프링(57)은 상부 샤프트(56)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상부 샤프트(56)와 칼라(54)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칼라(54)가 상부 샤프트(56)에 대해 스프링 하중을 받을 수 있게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57)은 상부 샤프트(56)의 리세스(56C)에 배치된 클립(예를 들어, e- 클립)(59)과 칼라(54)의 어깨부(54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칼라(54)는 원위 편향된 위치로부터 근위로 이동하여, 상부 샤프트(56)는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56)는 내부에 금속 볼(58)을 움직일 수 있게 유지하는 하나 이상의 개구(56A)를 갖는 중앙 보어(56D)를 가져서, 아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상부 샤프트(56)가 연결되거나 분리되게 하는 임의의 양만큼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56)는 또한 볼(60)(예를 들어, 볼(60)의 나사부(60A) 내부로 나사 결합됨)에 제거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56B)를 가질 수 있다.
사용시, 칼라(54)가 편향된 위치에 있고, 상부 샤프트(56)가 베이스 샤프트(52)의 적어도 일부 위에 배치될 때, 볼(58)은 베이스 샤프트(52)의 원주 방향 리세스(53) 내로 슬라이드하여, 상부 샤프트(56)를 베이스 샤프트(52)에 연결하게 된다. 상기 칼라(54)가 근위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 될 때(스프링력에 작용하는 경우), 상기 중간 원통형 섹션(54C)은 상부 샤프트(56)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게 슬라이드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56A)가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당겨질 때 볼(58)이 상기 베이스 샤프트(52)의 원주형 리세스(53)으로부터 벗어나서 상부 샤프트(56)의 개구(56A) 내부로 부분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볼(60)이 부착되어 있는 상부 샤프트(56) 및 칼라(54)는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되어 컨트롤러(100)의 움직임을 보조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칼라(54)와 상부 샤프트(56)가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베이스 샤프트(52)는 하우징(10)의 개구(14)로부터 돌출되지 않아서(즉, 베이스 샤프트(52)는 상부 표면(12)의 평면이나 그 아래에 있는 근위 단부로 연장됨), 컨트롤러(100)는 배낭, 여행용 가방 또는 슈트 케이스에 쉽게 체결될 수 있게 되고, 여행시에 컨트롤러(100) 또는 조이스틱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칼라(54)와 상부 샤프트(56)가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칼라(54)의 플랜지(55)는 먼지 덮개(46)의 표면과 맞물려 먼지 덮개(46)가 칼라(54) 상에 유지된다. 상부 샤프트(56) 및 칼라(54)가 예컨대 컨트롤러(100)의 저장 또는 이동 중에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되는 동안 먼지 덮개(46)의 위치가 잘못되거나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a 내지 도 9c는 컨트롤러(100)와 함께 사용하고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의 저장 또는 이동 중에) 컨트롤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다른 조이스틱 조립체(50')를 도시한다. 조이스틱 조립체(50')는 아래에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조이스틱 조립체(5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조이스틱 조립체(5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면 부호는 도 6 내지 도 8의 조이스틱 조립체(5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식별하도록 " '"를 추가하여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조이스틱 조립체(50')는 상부 샤프트(56') 및 상부 샤프트(56') 위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예를 들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된) 칼라 또는 슬리브(54')를 포함한다. 칼라 또는 슬리브(54')는 조이스틱 조립체(5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식으로 상부 샤프트(56')에 대해 선택적으로 스프링 장착된다. 칼라 또는 슬리브(54')는 슬리브(54')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D)을 갖는 선택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된다.
상부 샤프트(56')는 상부 샤프트(56')의 근위부의 헤드(60')의 내주면(60B')과 외부면(56D') 사이에 환형 갭(G)이 형성되도록 헤드(60') 내에서 연장되고 헤드(60')에 결합되는 근위 단부(56B')를 갖는다. 상기 헤드(60')는 비교적 좁은 원위 부분을 향하여 테이퍼지는 더 넓은 근위부를 구비하여 연장될 수 있다(예를 들어, 배트 형상). 상기 상부 샤프트(56')는 또한 베이스 샤프트(52)의 근위 부분을 제거 가능하게 수용하는 원위 단부(56E')를 갖는다. 상기 슬리브(54')는 그 원위 단부에 플랜지(55')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55')는 플랜지(55)와 동일한 치수를 가질 수 있고, 조이스틱 조립체(50')가 컨트롤러(100')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덮개(46)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54')는 상부 샤프트(56')의 원위 단부와 베이스 샤프트(52)에 제거 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속 해제 또는 신속 분리 체결부(예를 들어, 볼-체결 신속 분리부)를 형성한다. 신속 해제 또는 신속 분리 구조는 조이스틱 조립체(50)에 대해 전술한 것과 동일하다.
슬리브(54')가 상부 샤프트(56')에 대해 근위 방향으로 이동 될 때(예를 들어,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상부 샤프트(56')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슬리브(54')의 근위 단부는 환형 갭(G) 내부로 더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52). 도 9b 내지 도 9c에서, 상기 스프링(57')은 상부 샤프트(56')의 적어도 일부 위에 그리고 상부 샤프트(56') 위에 배치된 칼라(51')와 칼라 또는 슬리브(54')의 내부 어깨(54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스프링(57')은 상기 칼라(51')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부 샤프트(56')의 리세스(56C')에 배치된 클립(예를 들어, e- 클립)(59')과 내부 어깨부(54A')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클립(59')은 선택적으로 상부 샤프트(56')가 헤드(60')에 결합될 때, 헤드(60')에 배치된 상부 샤프트(56')의 일부에 배치된다. 슬리브(54')는 원위 편향 위치(예를 들어, 슬리브(54')의 근위 단부가 헤드(60')의 환형 갭(G)에 있는 경우)로부터 근위 위치(예를 들어, 슬리브(54')의 근위 단부가 헤드(60')의 환형 갭(G) 이 더욱 내부에 있는 경우)로 이동하여, 상부 샤프트(56')는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상부 샤프트(56')는 헤드(60')에 제거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56B')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볼(60')의 나사부(63') 내로 나사 결합됨).
사용시, 슬리브(54')가 편향된 위치에 있고, 상부 샤프트(56')가 베이스 샤프트(52) 위에 배치되어 베이스 샤프트(52)에 결합될 때, 사용자는 헤드(50')를 움직이게 함으로써 조이스틱 컨트롤러(50')를 작동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운동은 컨트롤러(100 ')의 베이스 샤프트(52) 및 전자 기기로 전달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게이머는 손바닥으로 헤드(60')를 잡고 헤드(60')의 아래쪽에 손가락을 감아 슬리부(54')의 양쪽에 놓게 된다. 유리하게, 상기 슬리브(54')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하기 위한 연속적인(예를 들어,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일정한 직경(D')을 가질 수 있다. 이는 작동 중 칼라(54)의 근위 단부와 조이스틱 조립체(50)의 상부 샤프트(56) 사이의 변화부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맞물린 직경의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하게 된다.
슬리브(54')가 근위 위치를 향해 슬라이딩 될 때(스프링 힘에 작용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56')는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분리되어(조이스틱 조립체(50)에 대해 위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컨트롤러(100)의 저장 및/또는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샤프트(56')가 베이스 샤프트(52)로부터 당겨지도록 한다.
도 10a-10c는 컨트롤러(100)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다른 조이스틱 조립체(50')를 도시하고 있으며(예를 들어, 컨트롤러(100)의 보관 또는 이동 중에) 이들 조이스틱 조립체는 컨트롤러(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50')는 아래에서 언급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9a 내지 도 9c에 도시된 조이스틱 조립체(50')와 유사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조이스틱 조립체(50')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지정하기 위해 사용된 도면 부호는 도면부호에 " ' "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 9a 내지 도 9c 에서 조이스틱 조립체(50')의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식별하는데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50')는 조이스틱 조립체(50')의 헤드(60')와 다른 모양의 헤드(60')를 포함한다. 헤드(60')는 구형 볼일 수 있다. 헤드(60')에서와 같이, 헤드(60")는 상부 샤프트(56")의 근위 단부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되고 커플링되는 공동을 가지며, 따라서 환형 갭(G")은 헤드(60")의 원주표면(60B") 및 상부 샤프트(56")의 근위 부분의 외부 표면(56D") 사이에 형성된다.
조이스틱 조립체(50')와 마찬가지로, 조이스틱 조립체(50")는 사용자의 손가락과의 접촉을 위해 연속적인(예를 들어,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는 일정한 직경(D")의 슬리브(54')를 갖는다. 이는 작동 중 칼라(54)의 근위 단부와 조이스틱 조립체(50)의 상부 샤프트(56) 사이의 천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이 맞물린 직경의 변화가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의 불편함을 방지한다.
도 11a 내지 도 11b는 컨트롤러(100)의 나머지 부분에 대해 개방 위치에 있는 컨트롤러(100)의 하부 커버(24)를 도시한다. 상기 하부 커버(24)의 내부 표면(24A)은 조이스틱 조립체(50, 50', 50")가 장착되어 저장하는 마운트 조립체(80)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트롤러(100)와 함께 이동할 때)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선택적으로 그 근위 단부에 개구(84)를 구비한 포스트(82) 및 상기 개구(84)에 인접한 만곡된 어깨부(86)를 포함한다. 개구(84)는 슬리브(54, 54', 54")의 플랜지(55, 55')를 수용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상기 만곡된 어깨부(86)는 그 상부에서 슬리브(54, 54', 54")와 접촉하고 지지하도록 크기가 정해진다. 만곡된 어깨부(86)의 적어도 일부는 슬리브(54, 54', 54")의 외부 표면을 형성하는 외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 포스트(82)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갭(89)을 형성하는 벽(88)을 포함한다. 갭(89)은 먼지 덮개(46)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다. 상기 갭(89)은 슬리브(54, 54', 54")가 만곡된 어깨부(86)상에 배치될 때 먼지 덮개(46)를 유리하게 유지하기 위해 먼지 덮개(46)를 수용한다. .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선택적으로 서로 이격되고 그 사이에 슬리브(54, 54', 54")를 안전하게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된 한 쌍의 탄성 클립(90)을 포함한다. 각각의 상기 클립(90)은 내향 표면(94)으로부터 돌출하는 근위 단부에 돌출부(92)를 갖는다. 상기 돌출부(92)의 위치에서 클립(90) 사이의 거리(W1)는 내향 표면(94) 사이의 거리(W2)보다 작다.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선택적으로 제 1 지지 베이스(96)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제 2 지지 베이스(98)를 포함한다. 상기 제 1지지 베이스(96)는 만곡된 지지면(96A)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곡된 지지면(96A)은 구형 표면이다. 선택적으로, 구형 표면은 구형 헤드(60')의 외부 표면을 정의하는 반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 베이스(98)는 만곡된 지지 표면(98A)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만곡된 지지 표면(98A)은 배트(bat) 형상을 갖는 헤드(60')의 적어도 일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갖는다.
사용시,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대체 조이스틱 조립체 또는 다른 형상을 갖는 조이스틱 조립체와 같은 조이스틱 조립체(50, 50', 50")를 단단히 보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구형 헤드를 갖는 조이스틱 조립체(50')를 사용하기 위해 컨트롤러(100)에 결합할 때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서, 배트 형상을 갖는 조이스틱 조립체(50')가 마운트 조립체(80)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그 위에 조이스틱 조립체(50, 50', 50")를 단단히 지지하여, 그 손실 또는 잘못 배치되는 경우를 방지한다. 또한, 상기 마운트 조립체(80)는 유리하게 조이스틱 조립체(50, 50', 50")를 고정하고 하우징에서 덜거덕거리는 것을 방지한다(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트롤러(100)를 조작하는 동안). 다른 이점은 마운트 조립체(80)가 제 1 및 제 2 지지 베이스(96, 98)를 통해 구형 헤드(60, 60") 또는 긴 배트형상의 헤드(60 ')를 갖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조이스틱 조립체(50, 50', 50")를 확실하게 유지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이들 실시예는 단지 예로서 제시되었으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실제로, 본원에 기술된 신규한 방법 및 시스템은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시스템 및 방법에서 다양한 생략, 대체 및 변경이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이루어질 수 있다. 첨부된 청구 범위 및 그 균등물은 본 개시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속하는 그러한 형태 또는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를 참조하여서만 정의된다.
특정 측면, 실시예 또는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 재료, 특성 또는 그룹은 호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 기술된 임의의 다른 형태, 실시예 또는 예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모든 특징들(임의의 청구 범위, 요약 및 도면을 포함) 및/또는 이렇게 개시된 임의의 방법 또는 방법의 모든 단계들은 그러한 특징들 중 적어도 일부가 있는 조합 및/또는 상호 배타적인 단계의 조합을 제외하고는 임의의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보호는 임의의 전술한 실시예의 세부 사항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보호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특징들 중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신규한 것의 조합, 임의의 방법 또는 방법의 단계의 임의의 신규한 것, 또는 임의의 새로운 조합으로 확장된다.
또한, 별도의 구현과 관련하여 본 발명에서 설명된 특수한 특징은 단일 구현예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구현예의 맥락에서 설명 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중 구현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구성적 특징이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일부 경우에 조합으로부터 제외될 수 있고, 조합은 하위 조합의 하위 조합 또는 변형으로서 청구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도면에 도시되거나 명세서에서 특정 순서로 설명될 수 있지만, 이러한 동작은 도시된 특정 순서로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으며, 모든 동작이 바람직한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될 필요는 없다.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않은 다른 동작들이 예시적인 방법 및 과정에 통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추가 동작이 설명된 동작들 중 어느 것의 전, 후에, 동시에 또는 사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동작들은 다른 구현들에서 재배열되거나 재정렬될 수 있다. 통상의 기술자는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되고/되거나 설명된 단계에서 취해진 실제 단계가 도면에 도시된 단계와 다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 전술한 특정 단계들이 제거될 수 있고, 다른 단계들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된 특정 실시예의 특징 및 속성은 다른 방식으로 결합되어 추가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들 모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또한, 전술한 구현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 요소의 분리는 모든 구현예에서 이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되며, 설명된 구성 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수의 제품으로 패키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특정 양상들,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그러한 모든 이점이 반드시 특정 실시예에 따라 달성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상의 기술자는 본 명세서에서 교시되거나 제안될 수 있는 다른 이점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서 교시된 바와 같은 하나의 장점 또는 그룹을 달성하는 방식으로 본 개시가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달리 언급되거나 사용된 문맥 내에서 달리 진술되거나 이해되지 않는 한, "할 수 있는", "될 수 있는", "되는" 또는 "가능한"과 같은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다른 실시예가 특정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를 포함하지 않는 한 특정 실시예가 포함하는 것을 전달하고자 한다. 따라서, 이러한 조건부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 이상의 실시예는 사용자 입력 또는 프롬프트, 또는 이들 특징, 요소 및/또는 단계가 임의의 특정 실시예에 포함되거나 수행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함축하는 것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X, Y 및 Z 중 적어도 하나"라는 문구와 같은 결속적인 언어는 일반적으로 항목, 용어 등이 X, Y, Z 일 수 있음을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는 문맥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 언어는 일반적으로 특정 실시예가 X 중 적어도 하나, Y 중 적어도 하나 및 Z 중 적어도 하나의 존재를 필요로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대략", "약", "일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와 같은 본원에 사용된 정도를 나타내는 언어는 여전히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언급된 값, 양 또는 특성에 가까운 값, 양 또는 특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대략", "약", "일반적으로" 및 "실질적으로"라는 용어는 10 % 미만, 5 % 미만, 1 % 미만, 0.1 % 미만, 0.01% 미만의 양을 지칭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특정 실시예에서, "일반적으로 평행한" 및 "실질적으로 평행한"이라는 용어는 15도, 10도, 5도, 3도, 1동, 0.1도 이하로 정확하게 평행한 것으로부터 출발하는 값, 양 또는 특성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이 섹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바람직한 실시예의 특정 개시에 의해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으며, 본 섹션 또는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또는 제시된 바와 같이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청구 범위의 언어는 청구 범위에 사용된 언어에 기초하여 광범위하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예 또는 출원의 심사 동안 제한되지 않으며, 이 예는 비-배타적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물론,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본 발명의 특정한 특징, 실시예 및 이점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장치는 상기 논의된 모든 목적, 장점, 특징 및 측면을 특징으로 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예를 들어,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교시될 수 있는 다른 목적 또는 이점을 반드시 달성하지 않으면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하나의 장점 또는 장점 그룹을 달성하거나 최적화하는 방식으로 본 발명이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 있음을 인식할 것이다. 또는 여기에 제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많은 변형이 상세하게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다른 변형 및 사용 방법은 본 개시에 기초하여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이들 특정한 특징 및 실시 형태의 실시예의 다양한 조합 또는 하위 조합이 만들어 질 수 있고 여전히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따라서, 개시된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 및 실시예는 논의된 장치의 다양한 모드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 조합되거나 대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100: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10: 하우징
12: 상부 표면
20: 후방 표면
24: 하부 커버
30: 버튼
40: 조이스틱 유닛
50: 조이스틱 조립체

Claims (30)

  1.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는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로서,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는,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중심 보어를 구비하는 상부 샤프트로서, 조이스틱 헤드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클립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된 상기 상부 샤프트의 근위부에 형성된 원주방향 슬롯, 및 내부에 금속 볼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구비하는 상부 샤프트;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슬리브로서,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샤프트 상의 클립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 어깨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조이스틱 헤드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연장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상부 샤프트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상기 슬리브 사이의 환형 갭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샤프트의 외측 표면의 직경보다 큰 제 1 직경을 가진 근위 내측 표면;
    상기 제 1 직경과 다른 제 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개구에서 볼을 편향시키도록 다수의 개구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된 중간 내측 표면;
    상기 제 2 직경과 다른 제 3 직경을 가지며, 다수의 상기 개구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개구내의 볼이 상기 샹부 샤프트의 원위 격부에 대하여 더 반경방향 외측으로 위치되게 하는 원위 내측 표면; 및
    상기 슬리브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중간 내측 표면이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와 상기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하도록 개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을 편향시키는 원위 위치를 향하여 상기 스프링이 상기 슬리브를 편향시키며, 상기 슬리브가 근위로 당겨질 때 상기 원위 내측 표면은 다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은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분리하며,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칼라 상의 플랜지는 상기 먼지 덮개를 유지하도록 칼라 상에 배치된 먼지 커버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헤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조이스틱 헤드는 상부 샤프트가 상기 조이스틱 헤드에 연결될 때 상기 상부 샤프트의 근위부의 원주에 대하여 환형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헤드는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갭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근위로 이동할 때 내부에서 상기 슬리브의 근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원통형상이며,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약 1mm 의 거리로 상기 칼라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
  7.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는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원주 방향 리세스를 구비한 베이스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로서,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내부에 클립을 가지는 상부 샤프트의 근위부에 있는 원주방향 슬롯,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및 다수의 상기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다수의 금속 볼을 포함하는 상부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슬리브, 및 상기 슬리브의 내측 어깨부와 상기 상부 샤프트 상의 클립 사이에 배치되어 원위부와 근위부 사이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슬리브의 스프링 부하 걸린 운동을 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은 원위부를 향하여 상기 슬리브를 편향시키도록 되어,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방향 리세스 내부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구에서 상기 볼을 편향시켜서 상기 상부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시키며,
    상기 슬리브가 근위로 당겨질 때, 슬리브의 근위 단부는 조이스틱 헤드 내부로 슬라이드되어 연장되고 상기 슬리브의 내측 표면은 다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은 원주방향 리세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를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며,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플랜지는 먼지 덮개를 유지하도록 슬리브 상에 배치된 먼지 덮개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조이스티 헤드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상부 샤프트가 조이스틱 헤드에 연결될 때 상기 조이스틱 헤드는 상부 샤프트의 근위부의 원주에 대하여 환형 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헤드는 구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갭은 상기 슬리브가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근위로 움직일 때 내부에 슬리브의 근위 단부를 수용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원통형상으로 되며,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를 따라 일정한 외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칼라의 원위부로부터 약 1mm의 거리로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13.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로서, 상기 결합체는, 사용자가 컨트롤러를 작동하는 동안에 손목을 안착시키는 하우징 및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조이스틱 유닛에 연결되는 원위 단부에서 원주 방향 리세스를 구비하는 베이스 샤프트;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상기 상부 샤프트의 근위 단부의 원주에 대하여 환형 갭을 형성하는 조이스틱 헤드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내부에 클립을 구비하는 상부 샤프트의 근위부의 위치에 있는 원주방향 슬롯,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및 다수의 상기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금속 볼을 포함하는 상부 샤프트, 및
    상기 환형 형상 갭으로 슬라이드되어 연장되는 근위 단부와 원위 단부 사이에서 연장되며 상기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리브 및 사이 슬리브의 내측 어깨부와 상기 상부 샤프트 상의 클립 사이에 배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슬리브의 스프링 부하 운동을 허용하며,
    상기 슬리브는 상기 슬리브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원위 위치를 향하여 상기 슬리브를 편향시켜서, 상기 슬리브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방향 리세스 내부로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개구에서 상기 볼을 편향시켜서 상기 상부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슬리브가 근위로 당겨질 때 상기 슬리브의 근위 단부는 환상 갭 내부로 연장되며, 상기 슬리브의 내측 표면은 다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은 원주방향 리세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분리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상기 상부 샤프트가 분리될 때 먼지 덮개를 유지하도록 슬리브 상에 배치된 먼지 덮개에 맞물리며,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표면에나 그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이스틱 헤드는 구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하부 커버를 구비하며, 상기 하부 커버의 내측 표면은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시에 상기 상부 샤프트를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된 마운트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트 조립체는 상기 플랜지 및 상기 슬리브의 일부를 지지하도록 되니 지지 포스트, 그 사이에 슬리브의 일부를 견고하게 수용하도록 된 한 쌍의 탄성 클립, 및 사부에 상기 조이스틱 헤드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지지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17.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하는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로서, 상기 조이스틱 조립체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원주방향 리세스를 구비하는 베이스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중심 보어를 구비하며 조이스틱 볼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 및 클립을 제거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된 상부 샤프트의 원위 단부 사이의 위치에 있는 원주방향 슬롯, 및 내부에 금속 볼을 이동가능하게 유지하도록 된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를 포함하는 상부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샤프트 상의 클립 및 칼러 내의 내측 어깨부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에 의해 상기 상부 샤프트 상에서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칼라;를 포함하되, 상기 칼라는,
    상기 상부 샤프트 및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칼러 사이에 환형 형상 갭을 형성하며 상기 상부 샤프트의 외측 표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인 제 1 직경을 가지는 근위 내측 표면;
    상기 제 1 직경과 다른 크기의 제 2 직경을 가지며,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대하여 반경방향 내측으로 개구에서 볼을 편향시키도록 다수의 개구의 위치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외측 표면과 접촉하도록 된 중간 내측 표면;
    상기 제 2 직경보다 큰 제 3 직경을 가지며, 다수의 개구의 위치에 상기 상부 샤프트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어 상기 볼이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대하여 개구 내에서 더욱 반경방향 외측으로 향하게 하는 원위 내측 표면; 및
    상기 칼라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은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 및 상기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하도록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방향 내부로 상기 개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상기 중간 내측 표면이 볼을 편향시키는 원위 위치를 향하여 상기 칼라를 편향시키며, 상기 칼라가 근위로 당겨질 때 상기 원위 내측 표면은 다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은 원주 방향 리세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분리하며, 상기 칼라 상의 플랜지는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먼지 덮개를 유지하도록 상기 칼라 상에 배치된 먼지 덮개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위부는 상부에 클립을 수용하도록 된 슬롯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샤프트는 상기 원주방향 리세스에 인접한 원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를러 결합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샤프트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심 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상기 칼라를 그립하도록 칼라의 외측 표면 상에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칼라의 원우이부로부터 반경 외측방향으로 약 1mm 의 거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 결합체.
  23.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와 함께 사용되는 제거가능한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로서, 상기 키트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에 원주방향 리셋를 구비한 베이스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나사산이 형성된 상기 근위 단부와 상부에 배치된 클립을 가지는 상부 샤프트의 원위 단부 사이의 위치에 있는 원주방향 슬롯,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다수의 상기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금속 볼을 구비하는 상부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칼라, 상기 상부 샤프트 상의 클립 및 상기 칼라의 내측 어깨부 사이에 배치되어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상기 상부 샤프트에 대하여 칼라의 스프링 장착 운동을 허용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칼라는 상기 칼라의 원위 위치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가지며,
    상기 스프링은 원위 위치를 향하여 상기 칼라를 편향시키도록 되어, 상기 칼라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방향 리세스 내부로 개구에서 반경방향 내측으로 볼을 편향시켜서 상기 상부 샤프트와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칼라가 근위로 당겨지면 상기 칼라의 내측 표면은 다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은 원주방향 리세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상부 샤프트를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덮개를 유지하도록 칼라 상에 배치된 먼지 덮개에 맞물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샤프트의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조이스틱 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에 상기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하게 하도록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위부의 슬롯에 맞물리도록 된 클립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26. 제 23 항에 있어서,
    성가 베이스 샤프트가 원주 방향 리세스에 인접한 원뿔 표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샤프트는 관통하여 연장되는 중심 보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28.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상기 칼라를 그립하도록 된 칼라의 외측 표면 상에 리세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29.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칼라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약 1mm 의 거리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30.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의 결합체로서, 상기 결합체는 사용자가 상기 컨트롤러 및 착탈식 조이스틱 조립체를 작동하는 동안에 손목을 안착시키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체는,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조이스틱 유닛에 연결되는 원위 단부에 원주방향 리세스를 구비하는 베이스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샤프트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부 샤프트 조립체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는,
    조이스틱 볼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고 나사산이 형성된 근위 단부, 상기 근위 단부와 상부에 클립을 가지는 상부 샤프트의 원위 단부, 상기 상부 샤프트의 원위 벽부에 형성된 다수의 개구, 및 다수의 개구에 이동가능하게 유지되는 다수의 금속 볼을 가지는 상부 샤프트; 및
    상기 상부 샤프트 상에 이동가능하게 연결된 칼라, 상기 상부 샤프트 상의 클립 및 상기 칼라의 내측 어깨부 사이에 배치되어 원위 위치와 근위 위치 사이에서 상수 샤프트에 대하여 상기 칼라의 스프링 부하 운동을 허용하게 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칼라는 상기 칼라의 원위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구비하며,
    상기 스프링은 원위 위치를 향하여 상기 칼라를 편향시키도록 되어, 상기 칼라는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원주방향 리세스 내부로 개구에서 반경 내측으로 볼을 편향시켜서, 상기 상부 샤프트와 상기 베이스 샤프트를 연결하며, 상기 칼라가 근위로 당겨질 때, 상기 칼라의 내측 표면은 다수의 개구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볼은 원주방향 리세스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상부 샤프트를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며, 상기 플랜지는 상기 상부 샤프트 조립체가 상기 베이스 샤프트로부터 분리될 때 먼지 덮개를 유지하도록 칼라 상에 배치된 먼지 덮개에 맞물리게 되며, 상기 베이스 샤프트의 근위 단부는 상기 하우징의 상부 표면 또는 그 아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이스틱 조립체에 대한 키트.
KR1020207003931A 2017-07-13 2018-06-20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KR102514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649,014 2017-07-13
US15/649,014 US10183218B1 (en) 2017-07-13 2017-07-13 Detachable joystick for video game controller
US15/692,744 US10272327B2 (en) 2017-07-13 2017-08-31 Detachable joystick for video game controller
US15/692,744 2017-08-31
PCT/US2018/038540 WO2019013937A1 (en) 2017-07-13 2018-06-20 DETACHABLE GAME LEVER FOR VIDEO GAME CONTROL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954A true KR20200020954A (ko) 2020-02-26
KR102514482B1 KR102514482B1 (ko) 2023-03-27

Family

ID=62904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3931A KR102514482B1 (ko) 2017-07-13 2018-06-20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10272327B2 (ko)
JP (1) JP7016402B2 (ko)
KR (1) KR102514482B1 (ko)
WO (1) WO20190139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758S1 (en) * 2019-01-21 2020-07-21 Group Intellect Technology Limited Joystick
KR102148164B1 (ko) * 2019-04-04 2020-08-26 (주)코텍 동작 장치
USD977577S1 (en) * 2020-11-24 2023-02-07 Kenny Vang Video game controller
USD950564S1 (en) * 2021-04-08 2022-05-03 Guangjun Zhou Video capture car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2959A1 (en) * 2006-05-12 2007-11-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agnetic joystick
JP2013176457A (ja) * 2012-02-28 2013-09-09 Hori Co Ltd ゲーム機用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2016509496A (ja) * 2012-12-28 2016-03-31 ブレイディ, パトリック, ケーBrady, Patrick, K. ゴルフバッグを含むゴルフクラブ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6773A (en) * 1979-02-12 1981-10-27 Walter Kidde & Company, Inc. Hydraulic selector valve having joy stick control
US4558609A (en) * 1983-01-06 1985-12-17 Wico Corporation Joystick controller with interchangeable handles
HU187215B (en) * 1983-01-26 1985-11-28 Egyt Gyogyszervegyeszeti Gyar Method for producing pharmaceutical product of high actor content and prolonged effect
US4492830A (en) * 1983-03-28 1985-01-08 Wico Corporation Joystick with single-leaf spring switch
US4721834A (en) * 1986-04-30 1988-01-26 Emhart Industries, Inc. Lever control system
US4870389B1 (en) 1987-02-23 1997-06-17 Ascii Corp Joystick
JPH0537306Y2 (ko) * 1987-03-19 1993-09-21
USD297952S (en) 1987-05-29 1988-10-04 Kabushiki Kaisha ASCII Joystick
USD307921S (en) 1987-10-13 1990-05-15 Nintendo Of America, Inc. Joy stick controller for video game
US4857881A (en) * 1988-07-08 1989-08-15 Hayes Technology Joystick with spring disconnect
USD319081S (en) 1989-08-21 1991-08-13 Nexoft Corporation Joy stick
US5213327A (en) 1991-10-24 1993-05-25 Konami Co. Ltd. Game apparatus
USD351870S (en) 1993-07-14 1994-10-25 Wai-Man Leung Television game controller
USD375765S (en) 1994-12-08 1996-11-19 Snk Corporation Joystick attachment for a CD ROM video game player
USD372941S (en) 1995-09-25 1996-08-20 Sega Enterprises, Ltd. Controller for video game machine
WO1997017651A1 (fr) 1995-11-10 1997-05-15 Nintendo Co., Ltd. Systeme de manche a balai
USD389198S (en) 1996-04-10 1998-01-13 Sega Enterprises, Ltd. Controller for video game machine
USD387094S (en) 1996-05-15 1997-12-02 Konami Co., Ltd. Operating apparatus for a game machine
US5883690A (en) 1997-05-30 1999-03-16 Z-Products Joystick adapter for a directional keypad on a game controller
US6085608A (en) * 1998-03-19 2000-07-11 Westinghouse Air Brake Co. Independent brake handle assembly
USD414761S (en) 1998-08-28 1999-10-05 Sega Enterprises, Ltd. Joystick
US6128974A (en) * 1999-09-03 2000-10-10 Eaton Corporation Start gear engagement control for controller-assisted, manually shifted, synchronized, compound transmission with splitter section
TW496181U (en) 2001-11-02 2002-07-21 Ckt Rubber Co Ltd Improved structure of joystick on keyboard
USD484497S1 (en) 2002-09-18 2003-12-30 Microsoft Corporation Housing for a data router
TWM241767U (en) 2003-03-31 2004-08-21 Cheng-Yu Huang Plug-in hard disk drive for PC
US20050041387A1 (en) 2003-08-19 2005-02-24 Tzen-Chin Lee Enclosure having a light source
CA108606S (en) 2004-05-10 2006-10-25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Handheld computer/control unit
USD556759S1 (en) 2005-05-13 2007-12-04 Nintendo Co., Ltd. Hand-held electronic game machine
JP4757535B2 (ja) 2005-05-16 2011-08-24 任天堂株式会社 携帯ゲーム機およびカバー
USD523446S1 (en) 2005-07-14 2006-06-20 Action Technology (Shenzhen) Co., Ltd. Portable multimedia player
US7613574B2 (en) * 2005-10-28 2009-11-03 S-Matrix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ng scientific and engineering experimentation for deriving surrogate response data
JP4830580B2 (ja) 2006-03-29 2011-12-07 株式会社デンソー 操作装置
US20080158808A1 (en) 2006-12-29 2008-07-03 Toshiba America Information Systems, Inc. Apparatus to protect shock-sensitive devices and methods of assembly
USD579931S1 (en) 2007-04-29 2008-11-04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Modem
US20090009953A1 (en) 2007-07-05 2009-01-08 Jou Jye Electronic Co., Ltd Portable hard disk drive with pivotable support legs
WO2009038483A1 (en) 2007-09-19 2009-03-26 Dynamic Controls Joystick for a mobility device
CN101752524B (zh) 2008-12-01 2013-04-2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USD590826S1 (en) 2008-12-30 2009-04-2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620467S1 (en) 2009-07-15 2010-07-27 Nokia Corporation Handset
USD638385S1 (en) 2009-12-23 2011-05-24 British Sky Broadcasting Limited HD set-top box
CN102202476B (zh) 2010-03-26 2015-07-0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外壳及具有该外壳的电子装置
USD631458S1 (en) 2010-05-19 2011-01-25 Fih (Hong Kong) Limited Mobile phone
USD634317S1 (en) 2010-05-28 2011-03-15 Nokia Corporation Tablet computer
USD681127S1 (en) 2011-06-03 2013-04-30 Nintendo Co., Ltd. Controller for electronic computer
US9110580B2 (en) 2011-08-05 2015-08-18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 comprising a display and a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D665734S1 (en) 2012-01-05 2012-08-21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harger
KR20130099449A (ko) 2012-02-29 2013-09-06 주식회사 팬택 회전식 터치 스크린 모듈 및 그를 구비한 단말기
US9710072B1 (en) 2012-04-09 2017-07-18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Interchangeable input mechanisms for control devices
KR101515623B1 (ko) 2012-05-14 2015-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벤디드 디스플레이를 갖는 휴대단말의 기능 운용 방법 및 장치
FR2991662B1 (fr) * 2012-06-07 2014-06-13 Sagem Defense Securite Minimanche de pilotage d'un aeronef
USD678191S1 (en) 2012-06-25 2013-03-19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Charger
USD681056S1 (en) 2012-09-09 2013-04-30 Apple Inc. Electronic device
USD701851S1 (en) 2012-10-16 2014-04-01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USD702771S1 (en) 2013-03-14 2014-04-15 Hyperkin Inc. Pixel controller
USD716274S1 (en) 2013-07-18 2014-10-28 Sony Mobile Communications Ab Stereo headset
USD785585S1 (en) 2014-09-30 2017-05-02 Motorola Solutions, Inc. Communication device
USD783722S1 (en) 2015-02-06 2017-04-11 Shenzhen Bestodo Technology Co., Ltd. Game controller
USD763359S1 (en) 2015-05-29 2016-08-09 Vtech Electronics, Ltd. Game controller
US9764230B2 (en) 2015-06-09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ame controller with user-replaceable thumbstick top
USD816663S1 (en) 2015-08-18 2018-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D809896S1 (en) 2016-03-24 2018-02-13 Digilock Asia Ltd. Electronic locker lock
USD808972S1 (en) 2016-06-27 2018-01-30 Intel Corporation Card PC
USD819642S1 (en) 2016-08-30 2018-06-05 Nintendo Co., Ltd. Controller for computer
USD813874S1 (en) 2016-09-06 2018-03-27 Intel Corporation Docking station for compute card
USD829719S1 (en) 2016-11-10 2018-10-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SD storage device
USD839216S1 (en) 2017-04-21 2019-01-29 Sz Dji Osmo Technology Co., Ltd. Remote controller
USD848418S1 (en) 2017-05-24 2019-05-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SD storage device
USD847811S1 (en) 2017-06-01 2019-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SD storage device
US10183218B1 (en) 2017-07-13 2019-01-22 Performance Designed Products Llc Detachable joystick for video game controller
USD860523S1 (en) 2018-02-28 2019-09-17 Juul Labs, Inc. Ca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262959A1 (en) * 2006-05-12 2007-11-15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Magnetic joystick
JP2013176457A (ja) * 2012-02-28 2013-09-09 Hori Co Ltd ゲーム機用ジョイスティック装置
JP2016509496A (ja) * 2012-12-28 2016-03-31 ブレイディ, パトリック, ケーBrady, Patrick, K. ゴルフバッグを含むゴルフクラブ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015743A1 (en) 2019-01-17
JP2020527394A (ja) 2020-09-10
US10272327B2 (en) 2019-04-30
WO2019013937A1 (en) 2019-01-17
JP7016402B2 (ja) 2022-02-04
US20200009455A1 (en) 2020-01-09
KR102514482B1 (ko) 2023-03-27
US10569162B2 (en) 2020-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20954A (ko) 비디오 게임 컨트롤러를 위한 착탈식 조이스틱
US10183218B1 (en) Detachable joystick for video game controller
US11833415B2 (en) Input apparatus for a computer
US11192037B2 (en) Adapter for attachment to a game controller
US11154772B2 (en) Handheld controller grip attachment
CN107405523B (zh) 用于游戏控制台的控制器
EP3595788B1 (en) Input apparatus for a games console
JP6158119B2 (ja) 電気掃除機
US11484785B2 (en) Input apparatus for a games console
US11039680B2 (en) Pull-out carrying handle
US20140015300A1 (en) Safety bow assembly and child seat including the same
US9508965B1 (en) Housing structure with battery cover
US9908227B1 (en) Quick disconnect storage compartment for handheld devices
US11337520B2 (en) Sliding device for drawer
US10576386B2 (en) Games controller
US10561936B1 (en) Lanyard and controller assembly
US20170105603A1 (en) Endoscope
US20210307388A1 (en) Vaporizer apparatuses having a movable head and related methods
US20220134240A1 (en) Hand controller assembly
KR102246147B1 (ko) 휴대용 골프용품 홀더
JP7096730B2 (ja) 掃除機
JP5869845B2 (ja) 携帯工具用ホルスター
AU2001100103B4 (en) Key selector
JP5782491B2 (ja) 鞄のハンドル装置
WO2023187433A1 (en) Multi-part control adapter for an inpu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