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375A -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375A
KR20200020375A KR1020180096018A KR20180096018A KR20200020375A KR 20200020375 A KR20200020375 A KR 20200020375A KR 1020180096018 A KR1020180096018 A KR 1020180096018A KR 20180096018 A KR20180096018 A KR 20180096018A KR 20200020375 A KR20200020375 A KR 20200020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sound pressure
area
mask
int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6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진지티씨
Priority to KR1020180096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20375A/ko
Publication of KR20200020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3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Zo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염성 질별 발병 내지는 발명 의심 환자가 착용하는 배기정화가 가능한 스마트 음압 수단을 통하여 환자를 격리하는 동시에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센싱하고,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모니링한다.
나아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환자의 상태 정보는 재난관리시스템으로 연동되어 전염성 질병의 확산 및 관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빅데이터를 형성하여 전염성 질병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a smart negative pressure managing system using bigdata for disease transmission}
본 발명은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염성 질별 발병 내지는 발명 의심 환자가 착용하는 배기정화가 가능한 스마트 음압 수단을 통하여 환자를 격리하는 동시에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센싱하고,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모니링한다.
나아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환자의 상태 정보는 재난관리시스템으로 연동되어 전염성 질병의 확산 및 관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빅데이터를 형성하여 전염성 질병의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배기정화가 가능한 스마트 음압기는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여과 및 정화함은 물론, 물론 착용자의 날숨도 여과 및 정화하여 배출함으로써, 보균자(확진자) 또는 의심환자의 호흡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의 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착용자의 코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입을 통해 날숨을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공간적으로 분할 및 차단함으로써, 날숨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다시 체내로 유입되어 병세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영역분리구조를 갖는다.
공기 중의 이물질이나 먼지 또는 세균성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차단하기 위한 가장 손쉽고 일반적인 방법은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다.
특히, 봄이나 가을철과 같은 환절기에는 황사,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나 천식 등과 같은 각종 호흡기 질환의 발병을 방지하기 위해 마스크를 착용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신종 인플루엔자(H1N1)와 중동 호흡기 증후군(메르스)와 같이 호흡기를 통해 전염되는 질병들을 예방하기 위하여 마스크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마스크는, 착용자의 코와 입을 커버하는 본체와 마스크를 귀에 걸어서 착용하기 위한 착용밴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주로 단순한 면이나 섬유 소재를 봉제하고 박음질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나 유해가스는 물론 세균성 박테리아나 바이러스를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분한 여과 및 정화기능을 갖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의 필터를 사용하는 방진마스크나 방독면 등이 있다.
한편, 중동 호흡기 증후군인 메르스와 같은 중증 급성 호흡기 질환의 경우, 보균자(확진자) 또는 의심환자를 돌본 사람이나 동일한 장소에 머문 사람 들도 호흡만으로 전염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중증 급성 호흡기 질환의 의심환자가 방진마스크나 방독면을 착용한 경우, 확진자로부터의 전염은 방지할 수 있으나, 의심환자가 이미 전염된 경우에는 의심환자와 함께 생활한 사람들이 전염될 위험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메르스와 같은 중증 급성 호흡기 질환 등이 전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확진자는 물론 의심환자가 호흡하는 공기(날숨) 또한 여과하는 것이 최적의 예방책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3596호 '스마트 마스크 시스템'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여과 및 정화함은 물론, 물론 착용자의 날숨도 여과 및 정화하여 배출함으로써, 보균자(확진자) 또는 의심환자의 호흡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의 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입을 통해 날숨을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공간적으로 분할 및 차단함으로써, 날숨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다시 체내로 유입되어 병세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영역 분할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질병별 또는 환자별 상황에 최적화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호흡곤란 등의 비상상황 발생시 신속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는, 착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의 내부공간이 영역차단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차단되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공간은, 착용자의 코를 포함하며 흡기필터가 연결되는 들숨부가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영역; 및 착용자의 입을 포함하며 배기필터가 연결되는 날숨부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영역;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밀착되는 차단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은, 상기 흡기영역의 공기는 배기영역으로 이동하여 구강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배기영역의 공기는 흡기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호흡판막;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상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형성된 노우즈캡(Nose cap);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하부에서 착용자의 구강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관형의 마우스튜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기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크에는, 외부에서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공급튜브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산소공급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크에는, 흡기필터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들숨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숨부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날숨유도팬;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커트(Skirt)에는, 실리콘 재질의 점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턱 하부를 감싸는 턱커버부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염성 질별 발병 내지는 발명 의심 환자가 착용하는 배기정화가 가능한 스마트 음압기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센싱하고,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모니링한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마스크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기를 여과 및 정화함은 물론, 물론 착용자의 날숨도 여과 및 정화하여 배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보균자(확진자) 또는 의심환자의 호흡으로 인한 호흡기 질환의 전염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착용자의 코를 통해 외기를 흡입하고, 입을 통해 날숨을 배출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자의 코와 입을 공간적으로 분할 및 차단함으로써, 독립된 영역에서 날숨과 들숨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착용자의 날숨이 다시 착용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착용자의 날숨에 포함된 바이러스가 다시 체내로 유입되어 병세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영역 분할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질병별 또는 환자별 상황에 최적화된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외부장치로부터 산소를 공급이 필요한 경우, 코에 의한 호흡이 불가능한 경우, 자발호흡이 불가능한 경우 등과 같은 비상상황 발생시, 필요한 장비들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용자(환자)에 대한 신속한 처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의료분야, 호흡기 질병 분야, 특히 중증 급성 호흡기 질환 분야 및 질병 방제 분야와 더불어 환자용 마스크 분야 및 의료용 마스크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산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에 나타난 들숨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난 흡기필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난 배기필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질병 확산 방지를 위한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염성 질별 발병 내지는 발명 의심 환자가 착용하는 배기정화가 가능한 스마트 음압기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센싱하고, 스마트폰 등의 단말기로 정보를 전송하고,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유지 상태를 모니링한다.
나아가 스마트폰으로 전송된 환자의 상태 정보는 재난관리시스템으로 연동되어 전염성 질병의 확산 및 관리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빅데이터를 형성하여 확산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A)는 몸체(100), 흡기필터부(200), 배기필터부(300) 및 영역차단부(400)를 포함한다.
몸체(100)는 마스크(A)의 기본이 되는 구성으로, 착용자의 얼굴 중 코와 입을 감싸면서 피부에 밀착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코와 입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흡기필터부(200)는 몸체(100)의 들숨부(1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기를 여과 및 정화하여 몸체(10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필터부(300)는 몸체(100)의 날숨부(1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착용자의 날숨을 여과 및 정화하여 배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균자(확진자)나 의심환자의 날숨으로 인해 주위 공기가 바이러스에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날숨이 다시 착용자의 체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코와 입을 공간적으로 분할 및 차단함으로써, 독립된 영역에서 날숨과 들숨이 독립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영역차단부(400)에 의해 착용자가 마스크(A)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A)의 내부공간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공간적으로 차단된다.
이와 같이 영역차단부(400)는 마스크(A)의 내부공간을,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기영역(R1) 및 배기영역(R2)으로 구획한다.
흡기영역(R1)은 외기를 흡입하기 위한 영역으로, 착용자의 코를 포함하며 흡기필터가 연결되는 들숨부가 형성된 영역을 말한다.
배기영역(R2)은 착용자의 날숨을 배출하기 위한 영역으로, 착용자의 입을 포함하며 배기필터가 연결되는 날숨부가 형성된 영역을 말한다.
이러한 흡기영역(R1)과 배기영역(R2)이 서로 독립된 공간이 되도록 구획하는 영역차단부(400)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차단막(410), 밀착레일(420) 및 지지리브(430)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막(410)은 마스크(A)의 몸체(100) 내측면 중앙부에서 착용자의 얼굴(인중)측으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흡기영역(R1)과 배기영역(R2)을 공간적으로 차단하여 밀폐되도록 할 수 있다.
밀착레일(420)은 차단막(410)의 종단부에 형성되어 착용자의 얼굴과 면접촉을 밀착되는 것으로, 흡기영역(R1)과 배기영역(R2) 간의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마스크(A)를 착용한 상태에서, 다양한 이유로 얼굴을 움직이게 되면, 차단막(410)이 휘어지면서 틈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틈에 의해 입에서 배기된 날숨이 코 측으로 이동하여 신체로 재유입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지지리브(430)를 구성함으로써, 차단막(410)이 보다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마스크(A)와 착용자의 얼굴 피부와의 밀착력을 향상시키고, 마스크(A)의 내부와 외부 간의 밀폐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마스크(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커트(Skirt, 미부호)의 내측면에는, 실리콘 재질의 점착부(110)를 형성할 수 있다.
동일한 이유로, 마스크(A)의 하부는 턱커버부(100a)를 연장형성하여, 착용자의 턱 하부까지 감싸도록 함으로써, 밀착력 및 밀폐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착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입으로 날숨을 쉬는 것(구강호기운동)은 가능하지만, 코로 들숨을 쉬는 것(비강흡기운동)은 불가능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호흡 자체가 어려운 경우도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착용자의 건강상태에 따른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A)의 구조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차단막(410)에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호흡판막(440)이 구성될 수 있다.
구강호흡판막(440)은 흡기영역(R1)의 공기는 배기영역(R2)으로 이동하여 구강호기운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배기영역(R2)의 공기는 흡기영역(R1)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구강호흡판막(440)에 대응하는 차단막(410)에는 도 4의 확대부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수 개의 구강흡기홀(4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기의 이동방향에 따라 구강호흡판막(440)이 구강흡기홀(411)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막(410)의 가장자리(착용자의 얼굴 측)에는, 내부에 공기가 들어있는 벌룬(Balloon, 420')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차단막(410)의 가장자리에 플랙시블(Plexible)하게 변형될 수 있는 벌룬(420')을 구성하게 되면, 착용자의 얼굴면 변형에 대응하여 벌룬(420')이 변형되므로, 도 2에 나타난 밀착레일(420)에 비하여 보다 향상된 밀착력 및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역차단부(400)는 마스크(A)의 몸체(100) 내측면 상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형성된 노우즈캡(Nose cap, 4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노우즈캡(450)의 가장자리를 따라 절곡지지부(451)를 절곡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절곡지지부(451)는 사용자의 얼굴에 효과적으로 밀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점착부(110)와 동일 내지 유사한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절곡지지부(451)의 내측면에 별도의 점착부(도시하지 않음)를 더 구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영역차단부(400)를 노으즈캡(450)으로 구성할 경우, 인중부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임이 적은 코 주위를 밀폐하는 구조이므로, 보다 향상된 밀착력 및 밀폐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나타난 영역차단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착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역차단부(400)는 마스크(A)의 몸체(100) 내측면 하부에서 착용자의 구강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관형의 마우스튜브(4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착용자가 마우스튜브(460)를 문 상태에서 구강호기운동을 하게 되면, 호기인 날숨이 코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더하여 마우스튜브(460)에는, 착용자의 입 주위를 감싸도록 형성된 밀폐커버(461)를 구성함으로써, 구강호기운동시 입술 사이로 날숨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흡기영역(R1)에 해당하는 마스크(A)의 몸체(100)에는 산소공급부(15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산소공급부(150)는 외부에서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공급튜브(T)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착용자가 마스크(A)를 사용하는 도중에 비강호흡이 곤란한 상황 등의 응급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마스크(A)를 제거하지 않고 신속히 산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외에도, 외기가 오염 정도가 심하거나 흡기필터부(200)의 기능이 저하된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서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들숨부(120)를 별도의 마개로 닫은 후 산소공급기를 산소공급부(150)에 연결하여 호흡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배기영역(R2)에 해당하는 마스크(A)의 몸체(100)에, 흡기필터(200)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들숨부(160)를 더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의 입과 연결되는 부분에 보조들숨부(160)를 형성하게 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비강호흡이 곤란한 상황에서, 흡기영역(R1)에 구성되어 있던 흡기필터(200)를 배기영역(R2)의 보조들숨부(160)에 결합하여, 구강호흡을 하도록 하고, 흡기필터(200)가 연결되어 있던 들숨부(120)는 마개(121)를 이용하여 밀폐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날숨부(130)에 날숨유도팬(170)을 더 구성할 수 있다.
날숨유도팬(170)은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것으로, 착용자가 스스로 구강호흡을 하기 힘든 경우 구강호기운동을 유도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는 도 1에 나타난 들숨부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들숨부(120)는 흡기필터(200)가 연결되는 필터결합부(121)와 다수 개의 흡기홀(122a)이 형성된 흡기유입구(122), 그리고 흡기유입구(122)에 구성되어 흡기홀(122a)을 개폐하는 흡기판막(123)이 구성될 수 있다.
흡기판막(123)의 경우, 도 4에 나타난 구강호흡판막(440)과 마찬가지로 중앙부가 고정된 상태에서 판막의 변형에 의해 흡기홀(122a)이 개폐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흡기판막(123)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틈새가 형성되어 밀폐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기판막(123)의 가장자리를 따라 끼움부(123a)를 절곡형성하고, 흡기판막(123)이 흡기홀(122a)을 닫은 상태에서 끼움부(123a)가 흡기유입구(120)의 내측면에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흡기판막(123)의 밀폐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에도 밀폐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흡기유입구(122)의 내측면에는 흡기판막(123)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판막밀착구(124)가 구성될 수 있다.
판막밀착구(124)는 앞서 설명한 끼움부(123a)와 동일 내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흡기판막(123)이 흡기홀(122a)을 닫은 상태에서 흡기판막(123)의 가장자리가 흡기유입구(122)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판막밀착구(124)는, 흡기판막(123)의 밀폐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장시간 사용시에도 밀폐성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기유입구(122)의 내측면에 판막밀착층(125)을 형성하여, 흡기판막(123)이 안정적으로 밀착되어 흡기가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판막밀착구(124) 및 판막밀착층(125)은 실리콘 재질의 점착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1 내지 도 13에서 설명한 들슴부(120)의 구성은, 날숨부(130)에도 동일 내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3은 도 1에 나타난 흡기필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흡기필터부(200)는 들숨부(120)에 분리가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흡기필터결합체(210)의 내부에 흡기프리필터(220) 및 흡기헤파필터(230)가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기필터부(200)의 내부 공간은 흡기프리필터(220) 및 흡기헤파필터(230)가 구성되는 제1 들숨공간부(201) 및 들숨부(120)와 연결되는 제2 들숨공간부(202)로 구획되어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흡기필터는 원형의 통 형상의 케이스의 외측면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외기가 유입되며, 개구부와 유사한 크기의 결합부를 통해 마스크의 내부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필터는 외기가 이동하는 영역이 필터의 중심부에 한정되므로, 필터의 효율이 저하되고 필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흡기필터결합체(210)의 개구부(미부호)로 유입된 외기가 흡기프리필터(220)로 이동하기 이전에 제1 들숨공간부(201)에서 확산되도록 함으로써, 외기가 흡기프리필터(220) 및 흡기헤파필터(230)의 전체 면적을 이용하여 정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들숨공간부(210), 제2 들숨공간부(202) 및 들슴부(120)가 순차적으로 좁아지도록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흡기프리필터(220) 및 흡기헤파필터(230)에서 정화된 공기가 자연스럽게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흡기되도록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흡기필터부(200)는 외기의 정화효율 및 필터의 성능, 수명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기필터결합체(210)에 들숨부(120)를 더 구성하여 전체적으로 들숨부(120)를 2중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밀폐성을 보다 더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4는 도 1에 나타난 배기필터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배기필터부(300) 역시 도 13에 나타난 흡기필터부(200)와 동일 내지 유사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날숨의 정화효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배기필터부(300)의 내부를 제1 날숨공간부(301) 및 제2 날숨공간부(302)로 구획하고, 제2 날숨공간부(302)에 배기프리필터(320) 및 배기헤파필터(330)를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날숨부(130)를 2중 구조로 구성함과 동시에 날숨부(130), 제1 날숨공간부(301) 및 제2 날숨공간부(302)가 점차적으로 넓어지도록 단차지게 형성함으로써, 구강호기운동에 의해 배출되는 날숨이 순차적으로 확산된 후, 정화되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배기필터부(300)에 구성되는 배기프리필터(320) 및 배기헤파필터(330)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여과 및 정화성능을 향상시킴은 물론 제품의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마스크
R1 : 흡기영역 R2 : 배기영역
100 : 몸체 110a : 턱커버부
110 : 점착부 120 : 들숨부
130 : 날숨부 140 : 스트랩(Strap)
150 : 산소공급부 160 : 보도들숨부
170 : 날숨유도팬
200 : 흡기필터부
300 : 배기필터부
400 : 영역차단부
410 : 차단막 411 : 구강흡기홀
420 : 밀착레일 430 : 지지리브
440 : 구강호흡판막 450 : 노우즈캡(Nose cap)
460 : 마우스튜브

Claims (11)

  1. 환자의 안면 호흡기를 밀폐하며 배기 정화 기능을 가지고 환자의 상태 및 음압 상태를 센싱하는 음압기;
    상기 음압기에서 센싱된 정보를 근거리 통신수단 통하여 수신하며, 환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 단말기에 수신된 정보를 취합하여 빅테이터를 형성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기는 마스크의 내부공간이 영역차단부에 의해 공간적으로 차단되어 적어도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며,
    상기 구획된 공간은,
    착용자의 코를 포함하며 흡기필터가 연결되는 들숨부가 형성되어 외기가 유입되는 흡기영역; 및
    착용자의 입을 포함하며 배기필터가 연결되는 날숨부가 형성되어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는 배기영역;을 포함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중앙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와 입 사이에 밀착되는 차단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은,
    상기 흡기영역의 공기는 배기영역으로 이동하여 구강호흡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배기영역의 공기는 흡기영역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강호흡판막;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상부에서 연장되며 착용자의 코를 감싸도록 형성된 노우즈캡(Nose cap);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역차단부는,
    마스크의 내측면 하부에서 착용자의 구강내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관형의 마우스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크에는,
    외부에서 산소가 공급되는 산소공급튜브가 분리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산소공급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크에는,
    흡기필터가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들숨부;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숨부에는,
    착용자의 날숨이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날숨유도팬;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커트(Skirt)에는,
    실리콘 재질의 점착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11.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착용자의 턱 하부를 감싸는 턱커버부가 연장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KR1020180096018A 2018-08-17 2018-08-17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KR202000203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18A KR20200020375A (ko) 2018-08-17 2018-08-17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6018A KR20200020375A (ko) 2018-08-17 2018-08-17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375A true KR20200020375A (ko) 2020-02-26

Family

ID=6963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6018A KR20200020375A (ko) 2018-08-17 2018-08-17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203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96A (ko) 2016-05-26 2017-12-06 김승환 스마트 마스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33596A (ko) 2016-05-26 2017-12-06 김승환 스마트 마스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0117B1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KR101959664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KR101826466B1 (ko) 들숨 및 날숨 필터링이 가능한 공기청정 마스크
CN1933875B (zh) 呼吸器
US20110083670A1 (en) Breathing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of use
JP2018512235A (ja) 汚染物質吸入防止用マスク
KR20200052217A (ko) 필터의 교체가 용이한 공기 여과용 필터부 및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CZ305677B6 (cs) Ochranná dýchací maska se společným nádechovým a výdechovým otvorem
CN212997872U (zh) 一种呼、吸分离式人工鼻面罩
CN212369433U (zh) 呼吸分道过滤外置式空气净化器
KR20200020375A (ko) 빅데이터를 이용한 질병 확산 방지 스마트 음압 관리 시스템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CN213159054U (zh) 一种具有电动过滤送风装置的全脸式防护装备
CN103519431A (zh) 呼吸通畅型口罩
CN211068814U (zh) 一种呼吸阀及口罩
CN106512253A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KR20210074752A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KR20040062697A (ko) 마스크
CN215876017U (zh) 一种可调节压力的过滤式防感染、防病毒面罩
CN212233214U (zh) 具有进出单向气流通道和气体净化结构的口罩
CN110575629A (zh) 易排出呼出气体的防护面罩
US20230381555A1 (en) Air filter
US11491355B1 (en) Respiration flow apparatus
KR102415234B1 (ko) 필터 모듈을 구비한 마스크
US20230405367A1 (en) Respiration flow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