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74752A -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 Google Patents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74752A
KR20210074752A KR1020190165782A KR20190165782A KR20210074752A KR 20210074752 A KR20210074752 A KR 20210074752A KR 1020190165782 A KR1020190165782 A KR 1020190165782A KR 20190165782 A KR20190165782 A KR 20190165782A KR 20210074752 A KR20210074752 A KR 20210074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mask
user
exhalation
inha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0478B1 (ko
Inventor
황정훈
Original Assignee
(주)루데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루데아 filed Critical (주)루데아
Priority to KR1020190165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04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74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0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0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38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cup configu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10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03Means for influenc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the breathing ga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투챔버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들숨공기와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체내로부터 배출된 날숨공기로 채워진 내부챔버를 가지는 반구 형태의 마스크 본체; 그리고 상기 내부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주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인중에 밀착되며, 상기 내부챔버를 들숨챔버와 날숨챔버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들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와, 상기 날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격벽은 상기 들숨챔버와 상기 날숨챔버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가지며, 상기 흡기구의 내측에 상기 들숨공기를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설치된다.

Description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TWO CHAMBER MASK FOR PREVENTING FINE DUS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구획된 들숨챔버와 날숨챔버를 가지는 투챔버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및 황사와 같은 공해물질이 인체의 호흡기를 통하여 흡입되면서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정체불명의 바이러스로 인해 사스와 같은 세균 감염을 통한 전염병이 확산되고 있는 현실에서 다양한 형태와 구조를 지닌 마스크가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인체의 코와 입 부분 및 턱을 포함한 안면 부분을 감쌀 수 있는 면적으로 형성된 면으로 이루어진 마스크 본체와 귀 후면의 연골부에 걸치게 할 수 있는 걸림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인 마스크는 내피와 외피로 구성되어 착용자가 착용시 미세먼지나 병균 같은 대기 오염 물질이나 외부의 찬공기가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마스크는 안면과 마스크 사이에 형성된 하나의 공간을 통해 들숨(吸氣)과 날숨(呼氣)이 이동하므로, 공간 내에 들숨과 날숨이 공존할 수 밖에 없다. 특히, 코와 입이 하나의 공간에 존재하므로, 구취로 인한 불편을 겪거나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 등으로 인해 마스크 내부가 쉽게 오염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0365638호(2004.10.25.)
본 발명의 목적은 마스크 내의 공간에서 코와 입을 격리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들숨이 이동하는 공간과 날숨이 이동하는 공간을 구획할 수 있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투챔버 마스크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들숨공기와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체내로부터 배출된 날숨공기로 채워진 내부챔버를 가지는 반구 형태의 마스크 본체; 그리고 상기 내부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주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인중에 밀착되며, 상기 내부챔버를 들숨챔버와 날숨챔버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들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와, 상기 날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흡기구의 내측에 상기 들숨공기를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설치된다.
상기 들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날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들숨챔버와 상기 날숨챔버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마스크는, 상기 배출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날숨챔버 내의 상기 날숨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1 일방향 막이판; 그리고 상기 연결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들숨챔버 내의 상기 들숨공기가 상기 날숨챔버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2 일방향 막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들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날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배출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날숨챔버 내의 상기 날숨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일방향 막이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절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격벽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기설정된 강성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외측격벽;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외측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기 외측격벽에 연결되며, 상기 외측격벽 보다 유연한 재질로 상기 안면에 밀착되는 내측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마스크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챔버를 코가 위치하는 날숨챔버와 입이 위치하는 들숨챔버로 구획하여, 코와 입을 격리함으로써 구취로 인한 불편을 제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로 인해 마스크 내부가 쉽게 오염되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강성을 달리함으로써, 마스크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챔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투챔버 마스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투챔버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투챔버 마스크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챔버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투챔버 마스크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2)는 반구 형상이며,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외부공기가 마스크 본체(12)와 안면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마스크 본체(12)는 유연한 재질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사용자의 안면 윤곽에 관계없이 마스크 본체(12)의 변형에 의해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2)는 사용자의 입과 콧등을 덮을 수 있으며, 상단에 형성된 절개부(18)에 사용자의 코 일부가 삽입되어 마스크 본체(12)와 안면 사이에 틈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2)는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구획된 내부챔버를 형성하며, 마스크 본체(12)의 형상으로 인해 내부챔버는 반구 형상이다.
격벽(22)은 마스크 본체(12)의 내부챔버에 위치하며, 마스크 본체(12)의 내주면에 연결된 반원형상일 수 있다.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격벽(22)은 사용자의 인중에 밀착되며, 내부챔버를 상부에 위치하는 날숨챔버와 하부에 위치하는 들숨챔버로 구획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코는 날숨챔버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입은 들숨챔버 내에 위치한다. 즉, 격벽(22)을 통해 사용자의 코와 입은 격리될 수 있다.
마스크 본체(12)는 들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16)를 가지며, 외부공기는 흡기구(16)를 통해 들숨챔버로 유입된다. 메쉬(17)는 흡기구(16) 상에 설치되어 이물질이 흡기구(16)를 통해 들숨챔버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필터(30)는 흡기구(16)의 내측에 설치되며, 들숨챔버로 유입되는 들숨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는 KF8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KF(Korea Filter)는 한국 정부가 인증한 필터의 미세먼지 차단수치로 차단율을 나타낸다.
또한, 마스크 본체(12)는 날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14)를 가지며, 사용자가 내뱉은 날숨공기는 날숨챔버에 채워진 후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일방향 막이판(15)은 배출구(14) 상에 설치되며, 날숨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배출구(14)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일방향 막이판(15)은 배출구(14)를 폐쇄하여, 외부공기가 필터링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구(14)를 통해 날숨챔버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격벽(22)은 하나 이상의 연결구(24)를 가지며, 연결구(24)를 통해 들숨챔버와 날숨챔버는 연통된다. 일방향 막이판(26)은 연결구(24) 상에 설치되며, 들숨챔버 내의 들숨공기가 날숨챔버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연결구(24)를 개방할 수 있다. 반대의 경우, 일방향 막이판(26)은 연결구(24)를 폐쇄하여, 날숨공기가 연결구(24)를 통해 들숨챔버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투챔버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투챔버 마스크의 사용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마스크 본체(12) 및 격벽(22)은 안면에 밀착되며, 마스크 본체(12)의 내부챔버는 외부로부터 격리된다. 또한, 사용자의 코는 격벽(22)의 상부에 있는 날숨챔버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입은 격벽(22)의 하부에 있는 들숨챔버 내에 위치한다. 즉, 격벽(22)을 통해 사용자의 코와 입은 격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들숨을 쉬면 마스크 본체(12)의 외부공기는 흡기구(16)를 통해 들숨챔버로 유입되며('들숨공기'), 필터(30)는 들숨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필터(30)는 마스크 본체(12)의 내주면에 설치된 홀더(32)에 실장되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들숨공기는 연결구(24)를 통해 날숨챔버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때 일방향 막이판(26)은 들숨챔버와 날숨챔버 사이의 압력 차이로 인해 들려져 연결구(24)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들숨공기는 날숨챔버를 통해 사용자의 코로 흡입될 수 있다. 한편, 일방향 막이판(15)은 배출구(14)를 폐쇄하여 외부공기가 배출구(14)를 통해 날숨챔버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방향 막이판(15)은 배출구(14) 상에 설치된 스토퍼(14a)에 의해 지지된다.
추가로, 격벽(22)은 외측격벽(22a)과 내측격벽(22b)을 구비할 수 있다. 외측격벽(22a)은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기설정된 강성을 가지고 마스크 본체(12)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마스크 본체(12)가 안면에 밀착되기 위해 마스크 본체(12)는 유연한 재질일 수 있으나, 이 경우 마스크 본체(12)가 외력에 의해 쉽게 찌그러지는 등 변형되어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외측 격벽(22a)을 통해 마스크의 전체적인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내측격벽(22b)은 외측격벽(22a)과 사용자의 안면 사이에 배치되어 외측격벽(22a)에 연결되며, 외측격벽(22a) 보다 유연한 재질일 수 있다. 내측격벽(22b)은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어 들숨챔버와 날숨챔버 사이에 누설이 없도록 하여, 외측격벽(22a)의 강성을 보완한다.
반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날숨을 쉬면 코를 통해 배출된 날숨공기는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일방향 막이판(15)은 날숨챔버와 외부 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들려져 배출구(14)를 개방할 수 있다. 한편, 일방향 막이판(26)은 연결구(24)를 폐쇄하여 날숨공기가 연결구(24)를 통해 들숨챔버로 유입(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며, 일방향 막이판(26)은 연결구(24) 상에 설치된 스토퍼(24a)에 의해 지지된다.
앞서 설명한 바에 의하면, 마스크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챔버를 코가 위치하는 날숨챔버와 입이 위치하는 들숨챔버로 구획하여, 코와 입을 격리함으로써 구취로 인한 불편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입에서 발생하는 습기로 인해 마스크 내부, 특히 코로 흡입되는 들숨공기가 채워진 들숨챔버가 오염되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을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강성을 달리함으로써, 마스크의 형태를 유지함과 동시에 안면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1에 도시한 투챔버 마스크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달리, 들숨챔버와 날숨챔버는 뒤바뀔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코는 격벽(22)의 상부에 있는 들숨챔버 내에 위치하며, 사용자의 입은 격벽(22)의 하부에 있는 날숨챔버 내에 위치한다. 즉, 격벽(22)을 통해 사용자의 코와 입은 격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들숨을 쉬면 마스크 본체(12)의 외부공기는 흡기구(16)를 통해 들숨챔버로 유입되며('들숨공기'), 필터(30)는 들숨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후 들숨공기는 날숨챔버를 통해 사용자의 코로 흡입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날숨을 쉬면 입을 통해 배출된 날숨공기는 배출구(1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이때 일방향 막이판(15)은 날숨챔버와 외부 간의 압력 차이로 인해 들려져 배출구(14)를 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6)

  1. 사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며, 사용자의 들숨에 의해 외부로부터 유입된 들숨공기와 사용자의 날숨에 의해 체내로부터 배출된 날숨공기로 채워진 내부챔버를 가지는 반구 형태의 마스크 본체; 및
    상기 내부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마스크 본체의 내주면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사용자의 인중에 밀착되며, 상기 내부챔버를 들숨챔버와 날숨챔버로 구획하는 격벽을 포함하되,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들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흡기구와, 상기 날숨챔버와 연통되는 하나 이상의 배출구를 가지고,
    상기 흡기구의 내측에 상기 들숨공기를 필터링하는 하나 이상의 필터가 설치되는, 투챔버 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날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격벽은 상기 들숨챔버와 상기 날숨챔버를 연통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를 가지는, 투챔버 마스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는,
    상기 배출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날숨챔버 내의 상기 날숨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1 일방향 막이판; 및
    상기 연결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들숨챔버 내의 상기 들숨공기가 상기 날숨챔버로 이동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제2 일방향 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투챔버 마스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날숨챔버는 상기 격벽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마스크는,
    상기 배출구 상에 설치되어 상기 날숨챔버 내의 상기 날숨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경우에만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는 일방향 막이판을 더 포함하는, 투챔버 마스크.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크 본체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수용하는 절개부를 가지는, 투챔버 마스크.
  6.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상기 사용자의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며, 기설정된 강성을 가지고 상기 마스크 본체의 형태를 유지하는 외측격벽; 및
    상기 사용자의 안면과 상기 외측격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상기 외측격벽에 연결되며, 상기 외측격벽 보다 유연한 재질로 상기 안면에 밀착되는 내측격벽을 구비하는, 투챔버 마스크.
KR1020190165782A 2019-12-12 2019-12-12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KR102280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82A KR102280478B1 (ko) 2019-12-12 2019-12-12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782A KR102280478B1 (ko) 2019-12-12 2019-12-12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752A true KR20210074752A (ko) 2021-06-22
KR102280478B1 KR102280478B1 (ko) 2021-07-22

Family

ID=76600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782A KR102280478B1 (ko) 2019-12-12 2019-12-12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0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656B1 (ko) * 2021-06-22 2021-12-01 강진석 내부 공간의 선택적 블로킹을 통한 에어 믹싱 방지용 마스크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799Y1 (en) * 1981-04-24 1982-04-24 Kim Jung N Mask for preventing dust
KR100365638B1 (ko) 1999-02-06 2002-12-26 주식회사 카스 전자저울용 로드셀
KR20070042720A (ko) * 2005-10-19 2007-04-24 김종화 방진마스크
KR100828240B1 (ko) * 2006-06-13 2008-05-07 김종화 방진마스크
KR20120012585A (ko) * 2010-08-02 2012-02-10 최신규 마스크
KR20130063287A (ko) * 2011-12-06 2013-06-14 왕종문 다기능 마스크
KR101781973B1 (ko) * 2014-09-04 2017-09-26 주식회사 옵티메드 산소발생 호흡기
KR20180075345A (ko) * 2016-12-26 2018-07-04 박래전 호흡훈련장치
KR102014250B1 (ko) * 2019-02-27 2019-08-27 비클시스템주식회사 건강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799Y1 (en) * 1981-04-24 1982-04-24 Kim Jung N Mask for preventing dust
KR100365638B1 (ko) 1999-02-06 2002-12-26 주식회사 카스 전자저울용 로드셀
KR20070042720A (ko) * 2005-10-19 2007-04-24 김종화 방진마스크
KR100828240B1 (ko) * 2006-06-13 2008-05-07 김종화 방진마스크
KR20120012585A (ko) * 2010-08-02 2012-02-10 최신규 마스크
KR20130063287A (ko) * 2011-12-06 2013-06-14 왕종문 다기능 마스크
KR101781973B1 (ko) * 2014-09-04 2017-09-26 주식회사 옵티메드 산소발생 호흡기
KR20180075345A (ko) * 2016-12-26 2018-07-04 박래전 호흡훈련장치
KR102014250B1 (ko) * 2019-02-27 2019-08-27 비클시스템주식회사 건강 호흡을 위한 안면 마스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1656B1 (ko) * 2021-06-22 2021-12-01 강진석 내부 공간의 선택적 블로킹을 통한 에어 믹싱 방지용 마스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0478B1 (ko) 2021-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55524B (zh) 具有清洁空气入口腔室的呼吸面罩
KR102090117B1 (ko) 영역분리구조를 갖는 배기정화형 공기 청정 마스크
CN104955529B (zh) 呼吸器负压密合度检查装置和方法
CN1933875B (zh) 呼吸器
KR102036025B1 (ko) 휴대성을 위해 목에 착용하는 일회용 마스크
US7294175B2 (en) Personal inhalation filter
KR100900755B1 (ko) 마스크용 필터 및 마스크
KR20150063904A (ko) 물 필터 마스크
KR20200052218A (ko) 마스크용 배출 밸브, 이를 구비하는 마스크 및 상기 마스크의 착용부
KR102179117B1 (ko) 호흡용 마스크
KR20210009833A (ko) 코호흡 분리형 마스크
KR102280478B1 (ko) 미세먼지 방지 투챔버 마스크
KR102388276B1 (ko) 마스크
KR102120473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호흡장치
KR20190030427A (ko) 마우스피스 및 이를 구비한 마스크
US20210220679A1 (en) Filter-type respiratory protective device
KR102453515B1 (ko) 마스크
KR20040062697A (ko) 마스크
TWI654009B (zh) Inlet and exhaust valve and cover body replaceable filter environmental protection mask
CN106512253A (zh) 具有呼吸阀的鼻罩及包括鼻罩的呼吸过滤装置
KR200351789Y1 (ko) 휴대용 비상호흡기
KR20210009832A (ko) 흡기와 호기 분리형 마스크
KR20210027723A (ko) 코 호흡기
KR20200144883A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CN212545689U (zh) 一种面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01000153;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10120

Effective date: 2021061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