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464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464A
KR20200019464A KR1020180095017A KR20180095017A KR20200019464A KR 20200019464 A KR20200019464 A KR 20200019464A KR 1020180095017 A KR1020180095017 A KR 1020180095017A KR 20180095017 A KR20180095017 A KR 20180095017A KR 20200019464 A KR20200019464 A KR 202000194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mber
fan
air
duct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1160B1 (ko
Inventor
김대규
김승훈
김일환
윤상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5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1160B1/ko
Priority to US17/268,267 priority patent/US11666201B2/en
Priority to PCT/KR2019/010289 priority patent/WO2020036407A1/ko
Publication of KR202000194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4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1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11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8Connections of the tub with the ambient air,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46Details of the tu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8Drying arrangements
    • A47L15/486Blower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0Air circulation, e.g. air intake or vent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12Air blower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순환시키는 제1팬;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팬; 상기 제1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를 형성하는 팬하우징; 및 상기 제2챔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Washe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의 모터로 2개의 팬을 구동시키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가 저장될 수 있는 공간 내부에서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식기를 세척하고, 헹굼 및 건조과정을 거쳐 식기를 세척할 수 있는 기구이다. 물과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 헹굼과정으로 식기에 묻은 이물질 등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식기에 잔존하는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과정을 통해 식기의 세척을 마무리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의 건조과정은 식기에 분사되는 물의 온도를 높여서 식기의 온도를 높이고, 식기에 묻은 물의 증발을 촉진시키는 과정과 증발된 수증기를 세척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되는 냉각덕트에서 응축시키거나 제습제에 흡수시켜서 제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식기세척기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경우, 식기세척기 내부의 식기를 빠르게 건조할 수 있으나, 식기세척기 외부로 습한 공기가 배출되는 경우, 식기세척기가 배치된 외부 공간에 다량의 습기로 인한 곰팡이 등이 발생하거나, 외부의 구성을 손상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는 구조에서는 하나의 덕트만을 사용하여,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이렇게 하나의 덕트를 사용하여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하는 경우, 건조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터브 내부의 습한 공기를 처리하여 터브 내부를 효율적으로 건조할 수 있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복수의 덕트를 사용하여 터브의 공기를 순환하고, 순환되는 공기를 열교환하여 건조의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복수의 덕트에 공기가 유동하게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팬이 필요하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수의 팬을 효과적으로 구동시키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순환시키는 제1팬;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팬; 상기 제1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를 형성하는 팬하우징; 상기 제2챔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여, 복수의 덕트에 공기의 유동을 위해 2개의 팬을 사용하고, 2개의 팬을 하나의 팬모터를 사용하여 구동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챔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제3챔버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어, 팬모터가 배치된 방향으로 제2챔버로 공기유입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팬모터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제1팬 및 제2팬과 연결되어,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을 동시에 회전시켜, 하나의 팬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팬을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챔버의 둘레면 중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챔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로부터 상기 제3챔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챔버의 둘레면 중 일측으로 형성된 제2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여, 제2챔버는 팬모터가 배치된 제3챔버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는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2챔버는 팬모터가 배치된 제3챔버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외기유입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챔버는 상기 외기유입덕트와 제2챔버를 연결하여,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가 제3챔버를 통해 제2챔버로 유입될 수 있다.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3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3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유입구가 형성된 챔버구획판이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상기 챔버구획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어, 제2챔버는 팬모터가 배치된 제3챔버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팬모터를 상기 챔버구획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하는 팬모터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팬모터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팬모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팬모터가 제3챔버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팬모터고정부는 상기 챔버구획판의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팬모터의 상측 둘레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팬모터가 제3챔버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세척실에서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순환덕트; 상기 제1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보내는 제2순환덕트; 상기 제1순환덕트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순환덕트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순환덕트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팬은 외부에서 캐비닛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덕트로 유동시킨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는 터브 내부의 공기의 습한 정도에 따라 터브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배기하여 건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하나의 팬모터를 이용하여 2개의 팬을 구동시켜, 열교환덕트와 순환덕트 각각의 내부 공기를 유동시킬 수 있어, 전력소모가 줄어드는 장점도 있다.
셋째, 팬모터가 제3챔버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배치되고, 팬모터고정부와 체결부재에 의해 후크결합될 수 있어, 안정적으로 제1팬과 제2팬을 회전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과정에서 식기세척기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순환덕트 및 열교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순환덕트, 열교환덕트 및 팬어셈블리의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의 일측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덕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덕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의 내측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와 팬하우징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팬하우징의 일측을 자른 단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하부커버의 하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하부커버 일측이 절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식기세척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식기세척기 구성관련>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개략 정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12), 캐비닛(12)에 결합되어 캐비닛(12) 내부를 개폐시키는 도어(16), 캐비닛(12) 내부에 설치되고, 내부에 배치되는 식기를 처리하는 세척실(14a)이 형성된 터브(14)를 포함한다. 캐비닛(12)과 터브(14)는 도어(16)가 배치되는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사용자에 의해 투입된 세제를 보관하고, 세척단계에서 터브(14) 내부로 세제를 투입하는 디스펜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는 도어(16)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비닛(12)은 외형을 형성하고, 일측이 개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4)는 캐비닛(12)의 내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4)는 캐비닛(12)과 사이에서, 이하에서 설명할 열교환덕트(80)와 순환덕트(60, 70)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4)의 상면에는 터브(14) 내부의 세척실(14a)을 유동하는 공기가 순환덕트(60, 70)로 토출되는 순환덕트유입홀(62a)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브(14)의 측면에는 순환덕트(60, 70)를 유동하는 공기가 터브(14) 내부의 세척실(14a)로 배출되는 순환덕트배기홀(76)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상기 터브(14) 내부에서 식기를 수용하는 랙(36, 38), 상기 랙(36, 38)에 수용된 식기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시키는 분사노즐(30, 32, 34), 상기 분사노즐(30, 32, 34)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섬프(18), 상기 섬프(18)에 저장된 세척수를 분사모듈로 압송시키기는 세척펌프(20)를 포함한다.
상기 랙(36, 38)은 세척실(14a)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랙(36)과 상부랙(36)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랙(38)을 포함한다. 분사노즐(30, 32, 34)은 세척실(14a) 상단에 배치되어 세척실(14a)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탑분사노즐(30), 상부랙(36)과 하부랙(38) 사이에 배치되어, 상부랙(36) 또는 상부랙(36)과 하부랙(38)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분사노즐(32) 및 하부랙(38) 하측에 배치되어, 하부랙(38)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분사노즐(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분사노즐(30, 32, 34) 각각은 복수의 분사노즐 연결관(40, 42, 44)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세척펌프(20) 내부에는 세척펌프(20) 내부의 세척수를 복수의 분사노즐로 공급되도록 회전하는 임펠러(22), 임펠러(22)를 회전시키는 세척모터(24) 및 세척펌프(20) 내부의 세척수를 가열하는 히터(26)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펌프(20)에서 압송되는 세척수는 세척수공급관(46)을 통해 유동하며, 절환밸브(28)가 복수의 분사노즐(30, 32, 34) 중 적어도 하나와 세척수공급관(46)을 연결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식기세척기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식기세척기 내부에 저장된 물을 배수하는 배수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어셈블리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세척수가 공급되는 급수유로를 형성하는 급수관(48)과, 급수관(48)에 형성되는 급수유로를 개폐하는 급수밸브(50)과, 급수유로를 통해 섬프(18)로 유동되는 세척수의 유량을 측정하는 플로우미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어셈블리는 섬프(18)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배수유로가 형성된 배수관(52)과, 배수관(52)에 형성된 배수유로 상에 배치되어, 섬프(18) 내의 세척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펌프(54)를 구비할 수 있다. 배수펌프(54)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배수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과정에서 식기세척기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순환덕트 및 열교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발생하는 열교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브, 순환덕트, 열교환덕트 및 팬어셈블리의 구성 및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덕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덕트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세척실(14a) 내부의 공기가 터브(14) 외부로 유동하여 순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순환덕트(60, 70), 캐비닛(12) 외부에서 공기를 유입하여 순환덕트(60, 70)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덕트(80) 및 순환덕트(60, 70)와 열교환덕트(80)의 공기의 유동을 형성하는 팬어셈블리(100)를 포함한다.
순환덕트(60, 70)는 터브(14)에서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덕트(80)와 열교환하는 제1순환덕트(60)와, 열교환된 공기를 가열하여 터브(14) 내부의 세척실(14a)로 공급하는 제2순환덕트(70)를 포함한다.
제1순환덕트(60)는 열교환덕트(80)와 캐비닛(12)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순환덕트(60)는 열교환덕트(80)와 면접하게 배치되어, 열교환덕트(80)를 유동하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또한, 제1순환덕트(60)는 캐비닛(12)와 면접하게 배치되어, 캐비닛(12) 외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제1순환덕트(60)는 터브(14)의 측면과 캐비닛(12) 사이에 배치되어, 열교환덕트(80)와 열교환하는 열교환-순환덕트(64)와 터브(14)에서 배출된 공기를 열교환-순환덕트(64)로 보내는 연결덕트(62)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덕트(62)는 터브(14) 상측에 형성되는 순환덕트유입홀(62a)과 열교환-순환덕트(64)를 연결한다. 열교환-순환덕트(64) 내부에는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유로가이드(66)가 형성될 수 있다. 유로가이드(66)는 열교환-순환덕트(64)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속도를 조절하거나, 유동하는 길이를 원거리로 하여 효과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열교환-순환덕트(64) 내부에는 열교환으로 생성되는 응축수를 순환덕트배기홀(76)로 안내하는 복수의 응축수가이드(68)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응축수가이드(68)는 열교환-순환덕트(64)의 내측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70)는 제1순환덕트(60)를 유동하여 열교환된 공기를 터브(14) 내부로 공급한다. 제2순환덕트(70) 내부에는 순환부히터(78)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순환덕트(70)를 유동하는 공기는 순환부히터(78)에 의해 가열되어 터브(14)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2순환덕트(70)의 단부에는 터브(14) 내부의 세척실(14a)과 연통하는 순환덕트배기홀(76)이 형성된다. 순환덕트(60, 70)의 상류에는 공기가 상측으로 유동시키는 상측유로가 형성되고, 하류에는 상측으로 유동한 공기를 하측으로 유동시키는 하측유로가 형성되며, 하측유로의 하류에 순환덕트배기홀(76)이 형성된다. 순환부히터(78)는 상측유로의 상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순환부히터(78)은 상측유로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터브(14) 내의 세척실(14a)에서 제2순환덕트(70)로 비산된 세척수가 순환부히터(78)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열교환덕트(80)는 터브(14)의 측면과 제1순환덕트(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열교환덕트(80)를 유동하는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제1순환덕트(60)와 열교환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덕트(80)를 유동하는 공기는 터브(14) 내부에서 세척실(14a)을 유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터브(14)의 세척실(14a)을 유동하는 고온다습한 공기와 제1순환덕트(60)를 유동하는 고온다습한 공기는 열교환덕트(80)를 유동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으로 응축수를 생성할 수 있다.
열교환덕트(80) 내부에도 별도의 유로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는 열교환덕트(80)에서 제1순환덕트(60)와 열교환된 공기를 캐비닛(12) 외부로 배출하는 배기덕트(86)를 포함할 수 있다. 배기덕트(86)는 터브(14)의 상측에 배치되고, 캐비닛(12)의 전방으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외부에서 캐비닛(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기유입덕트(140a, 140b)를 통해 열교환덕트(80)로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기유입덕트(140a, 140b)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3챔버(124)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외기유입덕트(140a, 140b)로 유입된 외부공기는 제3챔버(124)를 통해 제2챔버(122)로 유동하고, 제2팬()의 회전으로 열교환덕트(80)로 유동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외기유입덕트(140a)는 팬어셈블리(100)의 팬모터(134)가 배치된 둘레면의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는 캐비닛(12)의 후방으로 유입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외기유입덕트(140b)는 팬어셈블리(100)의 하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기는 캐비닛(12)의 하측을 통해 캐비닛(1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 밖에, 캐비닛(12)의 하측 전방으로 유입구를 형성하거나, 터브(14)와 캐비닛(12) 사이의 공간으로 유입구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팬어셈블리(100)는 제1순환덕트(60)를 유동하는 공기를 제2순환덕트(70)로 보내고, 외부에서 캐비닛(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덕트(80)로 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100) 내부에는 제1순환덕트(60)와 제2순환덕트(70)를 연통시키는 제1챔버(120)와 외기유입덕트(140a, 140b)와 열교환덕트(80)를 연통시키는 제2챔버(122)가 형성된다. 제1챔버(120)에는 제1순환덕트(60)의 공기를 제2순환덕트(70)로 유동시키는 제1팬(130)이 배치되고, 제2챔버(122)에는 외기유입덕트(140a, 140b)의 공기를 열교환덕트(80)로 유동시키는 제2팬(132)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팬어셈블리(100)는 제1팬(130)과 제2팬(132)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팬모터(134)를 포함할 수 있다. 팬모터(134)은 제1팬(130) 또는 제2팬(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팬(130)과 제2팬(132)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100)는 터브(14)의 하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100)는 2개의 팬(130, 132)을 하나의 팬모터(134)로 구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자세한 팬어셈블리(100)의 구성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의 내측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의 내측을 설명하기 위한 일측 단면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와 팬하우징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하부커버의 하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의 하부커버 일측이 절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100)는 제1순환덕트(60) 및 제2순환덕트(70)와 연통되는 제1챔버(120)와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열교환덕트(80)와 연통되는 제2챔버(122)를 형성하는 팬하우징(110), 제1챔버(120) 내부에 배치되어, 제1순환덕트(60) 내부의 공기를 제2순환덕트(70)로 유동시키는 제1팬(130), 제2챔버(122) 내부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캐비닛(12)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열교환덕트(80)로 유동시키는 제2팬(132) 및 제1팬(130) 또는 제2팬(132)의 일측에 배치되어, 제1팬(130) 및 제2팬(132)을 회전시키는 팬모터(134)를 포함한다.
팬하우징(110) 내부에 배치되는 제1챔버(120)와 제2챔버(122)는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챔버(120)는 제2챔버(122) 상측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하우징(110) 내부에는 제2챔버(122) 하측에 팬모터(134)가 배치되는 제3챔버(12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챔버(120)의 상측에는 제1순환덕트(60)와 연통되는 제1유입구(120a)가 형성되고, 제1챔버(120)의 둘레면 중 일측에는 제2순환덕트(70)와 연통되는 제1배출구(120b)가 형성된다.
제2챔버(122)의 하측에는 캐비닛(12)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유입구(122a)가 형성되고, 제2챔버(122)의 둘레면 중 일측에는 열교환덕트(80)와 연통되는 제2배출구(122b)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유입구(122a)는 제2챔버(122)와 제3챔버(124)를 연통시킨다. 제3챔버(124)는 외기유입덕트(140a, 140b)와 연결될 수 있다.
제3챔버(124)는 하측 또는 둘레면 중 일측으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 제3유입구(124a)가 형성될 수 있다. 제3유입구(124a)는 외기유입덕트의 배치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도 //a와 같이 외기유입덕트(140a)가 제3챔버(124)의 후방으로 배치되면, 제3유입구(124a)가 제3챔버(124)의 둘레면 중 일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b와 같이 외기유입덕트(140b)가 제3챔버(124)의 하측으로 배치되면, 제3유입구(124a)가 제3챔버(124)의 하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챔버(120)와 제2챔버(122)는 중앙커버(116)를 사이에 두고 상하로 배치되며, 내부공간이 연통되지 않는다. 제2챔버(122)와 제3챔버(124)는 상하로 배치되며, 서로 연통되게 배치된다. 제2챔버(122)와 제3챔버(124) 사이에는 제2유입구(122a)가 형성된 챔버구획판(114a)이 배치된다. 팬모터(134) 작동시, 제2팬(132)의 회전으로, 제3챔버(124) 내부의 공기가 제2챔버(122)로 유동한다.
팬하우징(110)은 제1챔버(12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커버(112)와, 제2챔버(122)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커버(114) 및 상부커버(112)와 하부커버(1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챔버(120)와 제2챔버(122)를 구획하는 중앙커버(116)를 포함한다.
상부커버(112)와 중앙커버(116)의 결합으로 제1챔버(120)가 형성된다. 상부커버(112)와 중앙커버(116)의 결합으로 제1챔버(120)에서 배출되는 공기를 제2순환덕트(70)로 보내는 배기챔버(126)를 형성할 수 있다. 상부커버(112)는 중앙커버(116) 및 하부커버(114)와 체결 또는 고정되는 체결부(112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112c)는 이하에서 설명할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에서 하측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챔버(126)는 제1챔버(120) 전방에 배치된다. 제1챔버(120)와 배기챔버(126)는 제1배출구(120b)로 서로 연통될 수 있다. 배기챔버(126)는 제1챔버(120)에서 제1배출구(120b)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중앙커버(116)와 하부커버(114)의 결합으로 제2챔버(122)가 형성된다.
하부커버(114)에는 팬모터(134)를 챔버구획판(114a)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하는 팬모터고정부(114b)를 포함한다. 팬모터고정부(114b)는 제2유입구(122a) 둘레에 배치되며, 챔버구획판(114a)의 하부면에서 하측으로 돌출형성된다. 팬모터고정부(114b)는 챔버구획판(114a)의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팬모터고정부(114b)는 이하에서 설명할 팬모터(134)의 체결부재(136)와 체결되어, 팬모터(134)를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고정부(114b)는 제2유입구(122a)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팬모터고정부(114b)는 제2유입구(122a)의 둘레를 따라 각각 이격배치될 수 있다.
팬어셈블리(100)는 제1챔버(120)와 제1순환덕트(60)를 연결하는 제1순환덕트-연결부(112a)와, 제1챔버(120)와 제2순환덕트(70)를 연결하는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와, 제2챔버(122)와 열교환덕트(80)를 연결하는 열교환덕트-연결부(11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순환덕트-연결부(112a)와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는 상부커버(11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순환덕트-연결부(112a),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 및 열교환덕트-연결부(118)는 터브의 하부 일측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덕트-연결부(118)는 제2챔버(122)의 둘레를 형성하는 하부커버(114)와 중앙커버(116) 중 좌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측으로 연장되어 열교환덕트(80)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열교환덕트-연결부(118)는 제1순환덕트-연결부(112a)와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는 제1챔버(120)의 둘레를 형성하는 상부커버(112)와 중앙커버(116) 중 전방방향으로 연장되고, 좌측방향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제2순환덕트(70)와 연결된다.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는 배기챔버(126)를 통해 제1챔버(120)와 연결된다.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는 배기챔버(126)와 제2순환덕트(70)를 연결시킨다.
제1순환덕트-연결부(112a)는 제1챔버(120)의 상측으로 유입구와 연통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와 열교환덕트-연결부(118) 사이로 배치되도록 연장된다.
제2순환덕트-연결부(112b), 제1순환덕트-연결부(112a) 및 열교환덕트-연결부(118)는 터브(14)의 측면하부에서 전방으로부터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팬(130)과 제2팬(132)은 상하로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제1팬(130)을 회전하는 회전축과 제2팬(132)을 회전하는 회전축은 동일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팬(130)과 제2팬(132)은 회전축에 나란한 일면으로부터 공기를 유입하고, 회전축에 수직한 둘레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는 원심팬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1팬(130)은 터브(14) 내부의 공기를 터브(14) 외부로 순환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2팬(132)은 캐비닛(12)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터브(14) 외부로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캐비닛(12)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어셈블리(100)는 제1팬(130)과 제2팬(132)를 연결하는 제1회전축(137)과, 제2팬(132)과 팬모터(134)를 연결하는 제2회전축(13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회전축(137)과 제2회전축(138)은 하나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회전축(137)은 중앙커버(116)를 관통하여 제1팬(130)과 제2팬(132)을 연결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134)는 제3챔버(124)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팬모터(134)는 제1팬(130)과 제2팬(132)을 동시에 회전시킨다. 팬모터(134)는 제2유입구(122a)로부터 하측으로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팬모터(134)는 팬모터고정부(114b)와 체결되어 팬모터(134)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부재(13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36)는 팬모터(134)의 상측 둘레면을 따라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체결부재(136)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체결부재(136)는 복수의 팬모터고정부(114b)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식기세척기 12 : 캐비닛
14 : 터브 14a : 세척실
18 : 섬프 20 : 세척펌프
60 : 제1순환덕트 62 : 연결덕트
62a : 순환덕트유입홀 64 : 열교환-순환덕트
70 : 제2순환덕트 76 : 순환덕트배기홀
78 : 순환부히터 80 : 열교환덕트
86 : 배기덕트 100 : 팬어셈블리
110 : 팬하우징 112 : 상부커버
112a : 제1순환덕트-연결부 112b : 제2순환덕트-연결부
114 : 하부커버 114a : 챔버구획판
114b : 팬모터고정부 118 : 열교환덕트-연결부
120 : 제1챔버 122 : 제2챔버
124 : 제3챔버 130 : 제1팬
132 : 제2팬 134 : 팬모터
136 : 체결부재

Claims (11)

  1.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식기가 처리되는 세척실을 형성하는 터브;
    상기 터브 내부의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순환시키는 제1팬;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상기 터브 외부로 순환되는 공기와 열교환하여 상기 캐비닛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팬;
    상기 제1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챔버와, 상기 제1챔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팬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챔버를 형성하는 팬하우징;
    상기 제2챔버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을 회전시키는 팬모터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제2챔버와 연통하도록 상기 제2챔버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3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제3챔버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배치되는 식기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축을 통해 제1팬 및 제2팬과 연결되어, 상기 제1팬과 상기 제2팬을 동시에 회전시키는 식기세척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챔버 상측에 형성되는 제1유입구로부터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1챔버의 둘레면 중 일측으로 형성되는 제1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며,
    상기 제2팬은 상기 제2챔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유입구로부터 상기 제3챔버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2챔버의 둘레면 중 일측으로 형성된 제2배출구로 공기를 배출하는 식기세척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는 상기 제2유입구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외기유입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챔버는 상기 외기유입덕트와 제2챔버를 연결하는 식기세척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3챔버 사이에는 상기 제2챔버와 상기 제3챔버를 연통시키는 제2유입구가 형성된 챔버구획판이 배치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상기 챔버구획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팬하우징은 상기 팬모터를 상기 챔버구획판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어 고정하는 팬모터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팬모터는 상기 팬모터고정부에 체결되어 상기 팬모터의 위치를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팬모터고정부는 상기 챔버구획판의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형상을 가지며, 상기 유입구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배치되는 식기세척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팬모터의 상측 둘레면을 따라 반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실에서 상기 터브 외부로 배출된 공기가 유동하는 제1순환덕트;
    상기 제1순환덕트를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세척실로 보내는 제2순환덕트;
    상기 제1순환덕트와 열교환하도록 상기 캐비닛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는 열교환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팬은 상기 제1순환덕트 내부의 공기를 상기 제2순환덕트로 유동시키고,
    상기 제2팬은 외부에서 캐비닛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상기 열교환덕트로 유동시키는 식기세척기.
KR1020180095017A 2018-08-14 2018-08-14 식기세척기 KR102541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17A KR102541160B1 (ko) 2018-08-14 2018-08-14 식기세척기
US17/268,267 US11666201B2 (en) 2018-08-14 2019-08-13 Dishwasher
PCT/KR2019/010289 WO2020036407A1 (ko) 2018-08-14 2019-08-13 식기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017A KR102541160B1 (ko) 2018-08-14 2018-08-14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464A true KR20200019464A (ko) 2020-02-24
KR102541160B1 KR102541160B1 (ko) 2023-06-07

Family

ID=69525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017A KR102541160B1 (ko) 2018-08-14 2018-08-14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66201B2 (ko)
KR (1) KR102541160B1 (ko)
WO (1) WO2020036407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9012A1 (de) * 1986-03-22 1987-09-30 Miele &amp; Cie. GmbH &amp; Co. Geschirrspülmaschine
JPH06154148A (ja) * 1992-11-20 1994-06-03 Toshiba Corp 食器洗い乾燥機
JPH06277171A (ja) * 1993-03-30 1994-10-04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2007312869A (ja) * 2006-05-24 2007-12-06 Hitachi Appliances Inc 食器洗浄機
US20160022116A1 (en) * 2014-07-23 2016-01-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68877A (en) * 1958-09-12 1962-12-18 Gen Motors Corp Dishwasher
KR100457572B1 (ko) * 2002-11-28 2004-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증기 배출장치
ATE498349T1 (de) * 2007-02-20 2011-03-15 Electrolux Home Prod Corp Trockensystem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US7909939B2 (en) * 2007-04-25 2011-03-22 Illinois Tool Works, Inc. Humidity reducing exhaust duct for dishwasher
DE102008010519A1 (de) * 2008-02-22 2009-09-03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rockner mit gekühltem Motor
KR101704612B1 (ko) * 2009-11-30 2017-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US8875721B2 (en) * 2011-12-15 2014-11-04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losed loop condenser
US9895044B2 (en) * 2012-08-28 2018-02-20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with controlled dry cycle
US9635997B2 (en) * 2013-02-12 2017-05-02 Lg Electronics Inc.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188109B1 (ko) * 2014-05-30 202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식기세척기
CN105796033A (zh) 2016-04-28 2016-07-27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的冷凝干燥装置及洗碗机
US10575708B2 (en) * 2017-08-08 2020-03-03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Heating assembly for a washing appliance
CN107440663A (zh) * 2017-09-18 2017-12-08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用对流式风机干燥系统和洗碗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9012A1 (de) * 1986-03-22 1987-09-30 Miele &amp; Cie. GmbH &amp; Co. Geschirrspülmaschine
JPH06154148A (ja) * 1992-11-20 1994-06-03 Toshiba Corp 食器洗い乾燥機
JPH06277171A (ja) * 1993-03-30 1994-10-04 Hitachi Ltd 食器洗い機
JP2007312869A (ja) * 2006-05-24 2007-12-06 Hitachi Appliances Inc 食器洗浄機
US20160022116A1 (en) * 2014-07-23 2016-01-28 Whirlpool Corporation Dishwas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66201B2 (en) 2023-06-06
KR102541160B1 (ko) 2023-06-07
US20210307586A1 (en) 2021-10-07
WO2020036407A1 (ko) 2020-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5997B2 (en) Dishwash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84522B1 (ko) 식기세척기
KR20200062945A (ko) 식기세척기
KR20200062943A (ko) 식기세척기
KR102124926B1 (ko) 송풍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식기 세척기
KR102541159B1 (ko) 식기세척기
US11278180B2 (en) Dishwasher
US11134827B2 (en) Dishwasher
KR20020047870A (ko) 식기세척기의 증기배출장치
WO2006080706A1 (en) Condensing apparatus of dish washer
KR20080067127A (ko) 식기세척기
KR102541160B1 (ko) 식기세척기
KR102527575B1 (ko) 식기세척기
KR102598649B1 (ko) 식기세척기
KR20140101632A (ko) 식기세척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601188B1 (ko) 식기세척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220053425A (ko) 식기세척기
EP3674474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245137B1 (ko) 드럼세탁기
KR910008473B1 (ko) 식기 세척 건조기
KR20100086894A (ko) 식기세척기 운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