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9054A -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9054A
KR20200019054A KR1020180094651A KR20180094651A KR20200019054A KR 20200019054 A KR20200019054 A KR 20200019054A KR 1020180094651 A KR1020180094651 A KR 1020180094651A KR 20180094651 A KR20180094651 A KR 20180094651A KR 20200019054 A KR20200019054 A KR 202000190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formation
blockchain
distributed ledger
integrity ver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676B1 (ko
Inventor
이종성
김재희
김영호
이성진
Original Assignee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노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67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9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90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20Administration of product repair or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Customer relationship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고객에게 공급되고 고객 요구에 의해 고장 수리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제품 구성품의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조 과정에서 각 제품에 관련된 제품명세 정보가 공장의 제품 출고시에 거래 데이터로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반영되고 유통 과정 및 고장 수리 과정에서 대리점과 수리업체가 해당 제품에 대한 명세정보 패키지를 블록체인으로부터 조회하고 그 결과로부터 그 제품의 부품이 제조 이후에 무단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자율 검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각 단계에서 제품 구성품의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정보와 생산라인 정보, 그리고 이력정보를 제품 라이프사이클에 관련된 다수의 참여자들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직접 조회할 수 있도록 오픈함으로써 제품이 순정 상태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자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공장에 대한 지원 요구를 감소시켜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system of providing integrity verification of product during its lifecycle based on blockchain technology}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고객에게 공급되고 고객 요구에 의해 고장 수리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제품 구성품의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제조 과정에서 각 제품에 관련된 제품명세 정보가 공장의 제품 출고시에 거래 데이터로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반영되고 유통 과정 및 고장 수리 과정에서 대리점과 수리업체가 해당 제품에 대한 명세정보 패키지를 블록체인으로부터 조회하고 그 결과로부터 그 제품의 부품이 제조 이후에 무단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자율 검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은 [도 1]과 같이 생산(제조), 유통(설치), 고장수리, 폐기라는 일련의 라이프사이클(lifecycle, 생애주기)를 거치게 된다. 제품을 생산한 업체는 제품 라이프사이클에서 각 단계를 담당할 주체로서 직접적으로 책임을 부담하거나 해당 업체와 협력하는 경우가 많다.
발명자의 주요 관심분야인 CCTV 관제 시스템을 예로 들면 CCTV 카메라나 열감지 센서,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 등과 같은 다수의 제품이 CCTV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된다. 고객의 주문을 받아 이들 제품을 현장에 설치한 후에 일정 기간동안은 보증수리를 해주어야 하며 그 기간이 경과하면 유료로 수리를 해주거나 협력업체를 통해 고장수리를 제공한다. 또한, 수명이 다한 제품에 대한 폐기 과정에도 관여한다. 이는 전자제품 제조사나 차량 제조사, 그리고 각종 설비를 생산하여 납품 설치하는 업체도 마찬가지이다.
이때, 라이프사이클 관리에서 제품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것이 실무에서는 매우 중요하다. 본 명세서에서 '제품의 무결성(integrity)'이란 해당 제품이 적정 상태인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대표적으로는 제품이 공장에서 원래 제조한 사양 그대로 온전하게 사용되었는지 아니면 누군가에 의해 무단으로 개조되었는지와 같은 것이다. 무결성 검증은 해당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관리 책임을 어떻게 분배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데에 고려된다. 예를 들면, 보증수리 대상인지 여부, 리콜 대상인지 여부, 유료 수리의 경우 비용 부담의 정도, 무상폐기 대상 등을 결정하는 데에 무결성 검증 결과가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장에서 생산된 제품이 대리점을 거쳐 사용자(고객)에게 설치되며, 사용자는 해당 제품에 장애가 발생하면 대리점의 영업사원에게 수리를 요청하거나 수리업체에 연락하여 수리를 요청한다. 대리점에서는 공장과 연락하여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고, 수리 서비스가 요건이 된다고 판단하거나 혹은 요건 해당 여부에 대해 스스로 판단이 어려울 경우에는 일단 해당 제품에 대한 수리를 공장에 요청하게 된다. 수리업체나 폐기업체의 경우에도 각자 자신의 책임하에 작업을 진행하지만 해당 제품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때에는 공장이나 본사에 연락하여 정보를 요청한다.
일반적으로는 공장과 본사에서 제품을 제조 및 판매할 때에 해당 제품에 대한 사양을 작성하여 배포하면 해결된다고 생각한다. 획일화된 제품을 판매하는 상황이라면 그것으로도 충분할 것이다. 하지만 CCTV 관제 시스템이나 소방설비 납품 설치와 같이 고객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분야에서는 각 제품마다 사양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상황이 매우 복잡하다. 때로는 영업사원이 독자적인 판단으로 부품을 변경 설치하기도 하고 사용자가 무단으로 부품을 변경하거나 개조하는 경우도 존재한다.
이처럼 제품이 판매 및 설치되고 현장에서 운영되는 상황은 다양한데, 무언가 요구가 발생하면 일단 공장으로 요구를 보낸다. 제품의 고장수리를 요구하기도 하고 수리나 폐기에 필요한 제품 정보를 요구하거나 심지어 인력 지원을 요청하기도 한다. 이러한 요구에 대하여 공장에서는 해당 제품에 대한 무결성 검증을 하고 그 검증 결과에 따라 처리 방향을 결정한다.
이와 같이 기존에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방식은 공장으로 부담이 집중되는 문제가 있다. 공장에서는 제품 생산 이후에 발생되는 제품 라이프사이클 상의 각종 문제에 대해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제품 무결성을 결여하여 지원이 불가능한 상황이라 하더라도 일단은 공장에서 인력을 파견하여 무결성이 결여된다는 점을 설명해야 하는 부담은 존재한다.
그에 따라, 어느 한 부문(공장)으로 부담이 집중되지 않고 제품 무결성을 각자 자율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제공하여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요망된다. 특히, 공장에서 각종 지원에 소요되는 비용이 모두 제품의 제조 원가에 반영되는 점을 고려할 때 공장에 대한 지원 요구를 감소시켜 제조 원가를 낮춰야 할 필요성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으로 공장에서 제조되어 고객에게 공급되고 고객 요구에 의해 고장 수리가 이루어지는 일련의 라이프사이클에서 제품 구성품의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 과정에서 각 제품에 관련된 제품명세 정보가 공장의 제품 출고시에 거래 데이터로 생성되어 블록체인에 반영되고 유통 과정 및 고장 수리 과정에서 대리점과 수리업체가 해당 제품에 대한 명세정보 패키지를 블록체인으로부터 조회하고 그 결과로부터 그 제품의 부품이 제조 이후에 무단 변경되었는지 여부를 자율 검증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품 라이프사이클에 관련된 제품 무결성 검증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여 제품 출하시에 제품정보, 부품정보,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명세 정보를 그 출하되는 제품에 대한 거래 데이터로 신규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함으로써 그 신규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하는 공장 에이전트부(200); 특정 제품에 대한 무결성 검증 요구에 연동하며, 블록체인으로 공유되는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한 후, 검증요구 제품의 부품정보와 그 추출된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의 부품정보 및 이력정보의 조합을 대비하여 상호 정합 여부를 판단하는 무결성 검증모듈(700); 개별 대리점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고, 제품 판매 정보를 식별하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로부터 이력정보를 제품 판매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하고, 특정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보증수리 요구에 대응하여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보증수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는 대리점 에이전트부(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본 발명은 개별 수리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고, 특정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수리 요구에 대해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고, 제품 수리 정보를 식별하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에서 이력정보를 제품 수리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하는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폐기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고, 특정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제품폐기 요구에 대해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폐기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고, 제품 폐기 정보를 식별하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에서 이력정보를 제품 폐기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하는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제품 제조를 위한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생산공정 관리부(210); 각 제품 별로 일련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정보를 관리하는 제품명세 관리부(220); 특정 제품에 대해 생산 공정이 완료되어 제품 출하하는 경우에 제품정보, 부품정보,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명세 정보를 패키징하여 그 출하되는 제품에 대한 거래 데이터로 신규 생성하는 거래정보 생성부(230);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함으로써 그 신규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하는 블록체인 투입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는 블록체인 처리부(710); 특정 제품에 대한 다른 에이전트부의 무결성 검증 요구에 연동하는 검증처리 연동부(720);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하는 거래정보 획득부(730); 검증요구 제품의 부품정보와 그 추출된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의 부품정보 및 이력정보의 조합을 대비하여 상호 정합 여부를 판단하여 무결성 검증 결과를 도출하는 무결성 검증처리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각 단계에서 제품 구성품의 무결성을 효과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부품정보와 생산라인 정보, 그리고 이력정보를 제품 라이프사이클에 관련된 다수의 참여자들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직접 조회할 수 있도록 오픈함으로써 제품이 순정 상태를 온전하게 유지하고 있는지 여부를 자율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 공장에 대한 지원 요구를 감소시켜 제조 원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방식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검증하는 전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공장 에이전트부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무결성 검증모듈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생산(제조), 유통(설치), 고장수리, 폐기로 이루어지는 라이프사이클에서 제품 무결성 검증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자율적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공장 에이전트부(200), 본사 에이전트부(300), 대리점 에이전트부(400),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 무결성 검증모듈(700)이 블록체인을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공유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일반적으로는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된 거래 정보가 네트워크 참여자들 간에 공유되는 노드 수만큼 복제되어 분산 저장되는 공개 디지털 거래 장부라는 개념을 갖는다. 블록체인 기술은 현재는 암호화폐를 중심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제품 무결성 검증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며, 이를 위해 제품 라이프사이클에 관련된 여러 참여자들이 피어(peer)로서 블록체인의 디지털 원장 관리에 참여한다.
먼저,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은 블록체인을 위한 디지털 거래 장부로서 본 발명에서는 제품 라이프사이클에서 제품 무결성 검증에 필요한 정보를 담는다.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은 다수의 거래 데이터가 각각 블록처럼 구성되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인데, [도 3]에서는 하나의 블록은 하나의 상품 출하, 고장 수리, 폐기 처분 등의 이벤트에 대응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블록에는 제품정보(제품 식별정보), 부품정보(해당 제품을 구성하는 데에 들어가는 여러 부품들의 사양정보), 생산라인 정보, 이력정보(판매, 수리, 폐기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제품 추가에 관련된 블록은 공장 에이전트부(200)에서만 신규 생성 및 투입되고, 다른 에이전트부(400 ~ 600)는 기존의 제품에 대한 이력 정보 추가에 관련된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블록 추가는 불가능하고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의 조회만 수행한다.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일반적으로 제품 제조 공장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공장에서 제품 제조를 위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여 제품 출하시에 제품정보, 부품정보,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명세 정보를 그 출하되는 특정 제품에 대한 거래 데이터로 신규 생성한다. 즉, 제품 하나를 생산 완료하여 출하할 때마다 하나의 거래 데이터가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서 제품 단위의 정보 덩어리는 제품 출하시에만 공장 에이전트부(200)에서 신규 생성한다.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주기적으로(예: 1시간 간격)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는데, 이를 통해 그 신규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한다.
본사 에이전트부(300)는 일반적으로 본사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공장과 다른 부문, 즉 대리점, 수리업체, 폐기업체 사이에서 부가적인 정보 교환을 중개하거나 제품 무결성 문의에 대응한다.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일반적으로 해당 제품을 판매하는 개별 대리점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어 공장이나 사용자(고객) 사이에서 대리점이 수행하는 업무에 대한 관리 처리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보조한다.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항상 업데이트된 최신의 제품명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의 업무와 관련하여 생성한 정보를 반영시킬 수도 있다.
대리점 영업사원이 특정 제품을 특정의 사용자(고객)에게 판매 및 설치한 경우에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제품 판매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이 경우,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제품정보 필드를 활용함으로써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판매대상 제품에 관한 제품명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그 획득한 제품명세 정보를 그대로 복사한 후에 이중에서 이력정보 필드에 제품 판매 정보를 기입한다. 이렇게 업데이트하여 생성한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한다.
또한, 그 판매한 제품과 관련하여 일정 시간(예: 1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고객)가 보증수리 요구를 대리점 영업사원에게 전달하면,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보증수리 요구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이 경우,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보증수리 대상 제품에 대한 부품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전달받거나 영업사원에 의해 입력받으면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보증수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 그 보증수리 대상 제품이 공장에서 생산된 상태 그대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그리고 만일 사양이 변경되었다면 정식 절차를 통해 변경되었는지 아니면 사용자 측에서 무단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던 것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일반적으로 개별 수리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어 해당 제품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고장수리 업무에 대한 관리 처리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보조한다.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항상 업데이트된 최신의 제품명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의 업무와 관련하여 생성한 정보를 반영시킬 수도 있다.
특정 제품에 대해 사용자가 수리업체에 고장 수리를 요구하면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수리 요구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이 경우,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부품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전달받거나 영업사원에 의해 입력받고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 그 수리요구 대상 제품이 공장에서 생산된 상태 그대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그리고 만일 사양이 변경되었다면 정식 절차를 통해 변경되었는지 아니면 사용자 측에서 무단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던 것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그 검증 결과에 따라서 수리업체에서는 사용자(고객) 비용으로하여 수리업체 자체적으로 수리할 수도 있고, 혹은 공장 또는 본사로 알려 고장수리를 보조받거나 비용 지원을 받도록 처리(예: 리콜, 무상수리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할 수도 있다.
수리업체가 그 제품에 대해 고장수리를 완료하면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수리업체 직원의 전산 입력에 의해 제품 수리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제품정보 필드를 활용함으로써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관한 제품명세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그 획득한 제품명세 정보를 그대로 복사한 후에 이중에서 이력정보 필드에 제품 수리 정보를 기입한다. 이렇게 업데이트하여 생성한 거래 데이터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한다.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는 일반적으로 개별 폐기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어 해당 제품의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이루어지는 제품폐기 업무에 대한 관리 처리를 블록체인 기반으로 보조한다.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며, 이를 통해 항상 업데이트된 최신의 제품명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자신의 업무와 관련하여 생성한 정보를 반영시킬 수도 있다.
특정 제품에 대해 사용자가 폐기업체에 제품 폐기를 요구하면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는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폐기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 또한, 제품 폐기 처리에 대응하여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가 제품 폐기 정보를 식별하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에서 이력정보를 제품 폐기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한다. 이러한 과정은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과 전체적으로 유사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무결성 검증모듈(700)는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와 연동하는 모듈로서 이들 에이전트부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무결성 검증 요구가 들어오면 그에 대응하여 무결성 검증 결과를 제공한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자체적으로 블록체인 처리 능력을 갖추도록 구현될 수도 있고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의 내부 구성이 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본 발명에서 블록체인을 통해 공유되는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무결성 검증 요구가 들어오면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제품정보 필드를 활용함으로써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 제품이 제조 및 판매 이후에 고장수리나 폐기 등의 일을 겪지 않았다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거래 데이터가 하나만 존재하고, 고장수리나 폐기 등을 겪었다면 그에 대응하여 거래 데이터가 추가로 존재한다.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그 추출된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의 부품정보 및 이력정보의 조합과 검증요구 제품의 부품정보와 대비하여 상호 정합 여부를 판단한다. 이들이 서로 잘 맞아떨어지는 경우에는 검증요구 제품은 무결성을 갖춘 것이며, 반대로 맞지 않는 경우에는 무단 개조가 이루어졌거나 한번 폐기된 제품이 무단으로 재사용된 것이므로 무결성을 결여한 것으로 판정된다.
한편,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공장 에이전트부(200), 본사 에이전트부(300), 대리점 에이전트부(400),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 무결성 검증모듈(700)의 전부 혹은 일부는 블록체인 처리 모듈을 구비한다. 이들 구성요소는 주기적으로 블록체인 처리를 수행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를 달성하는 기능 모듈로서 실질적으로는 동일 혹은 유사한 포맷의 프로그램 코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검증하는 전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 (S100) : 먼저, 공장 에이전트부(200)가 공장에서 제품 제조를 위해 이루어지는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고 이를 통해 제품별로 어떠한 사양의 부품이 들어가는지에 관한 정보를 취합하여 제품명세를 관리한다. 이때, 구현 예에 따라서 부가 정보, 예컨대 어떠한 생산라인을 거쳤는지, 각 공정의 작업자는 누구인지 등과 같은 정보가 추가될 수 있다.
단계 (S110) : 모든 생산 공정을 완료하여 제품을 출하할 때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해당 제품(완성품)과 관련하여 제품정보(제품식별정보)와 부품정보를 취합한 제품명세 정보를 그 제품 출하에 대응하는 거래 데이터로 생성하고 향후 블록체인 처리에서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할 준비를 한다. 이때, 거래 데이터에는 그 제품과 관련하여 생산 이후에 발생할 제품 라이프사이클에서 사용하기 위한 이력정보 필드를 추가한다.
단계 (S120) : 미리 설정된 일정에 따라 블록체인의 참여자들(200 ~ 700)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공유한다.
단계 (S130) : 대리점 영업사원이 특정 제품을 특정의 사용자(고객)에게 판매 및 설치한 경우에 해당 대리점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된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제품 판매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판매한 제품에 대응하는 블록(거래 데이터)을 식별하여 이로부터 제품명세 정보를 획득하고, 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한 후에 제품 판매 정보를 반영하여 이력정보 필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새로운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한다.
단계 (S140) : 또한, 그 판매한 제품과 관련하여 일정 시간(예: 1년)이 경과한 후에 사용자(고객)가 보증수리 요구를 대리점 영업사원에게 전달하면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보증수리 요구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이 경우, 대리점 에이전트부(400)는 사용자가 보증수리를 요구하는 제품에 대한 내부 사양 정보(부품정보)를 확보한 후에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블록체인의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제품 무결성을 검증한다. 그 보증수리 대상 제품이 공장에서 생산된 상태 그대로 설치 및 사용되고 있는지 여부, 그리고 만일 사양이 변경되었다면 정식 절차를 통해 변경되었는지 아니면 사용자 측에서 무단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던 것인지 검증하는 것이다.
단계 (S150) : 특정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수리 요구가 들어오면 해당 수리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된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수리 요구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이 경우,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사용자가 고장수리를 요구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내부 사양 정보(부품정보)를 확보한 후에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블록체인의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 제품 무결성의 의미에 대해서는 단계 (S140)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단계 (S160) : 수리업체가 그 제품에 대한 고장수리를 완료하면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제품 수리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는 제품정보 필드를 활용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관한 제품명세 정보를 획득하고, 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한 후에 제품 수리 정보를 반영하여 이력정보 필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새로운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한다.
단계 (S170) : 특정 제품과 관련하여 사용자로부터 폐기 요구가 들어오면 해당 폐기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된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는 사용자가 폐기를 요구하고 있는 제품에 대한 내부 사양 정보(부품정보)를 확보한 후에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블록체인의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폐기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한다.
단계 (S180) : 폐기업체가 그 제품에 대한 폐기를 완료하면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는 제품 폐기 정보를 식별하게 된다.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는 제품정보 필드를 활용하여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폐기요구 대상 제품에 관한 제품명세 정보를 획득하고, 그 내용을 그대로 복사한 후에 제품 폐기 정보를 반영하여 이력정보 필드를 업데이트함으로써 새로운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한다. 이렇게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제품 폐기 정보가 반영되면 그 제품은 폐기된 것이 된다. 혹시라도 그 제품이 비정상적으로 재생되면 보증수리나 고장수리 혹은 추가적인 제품폐기 과정에서 제품 무결성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공장 에이전트부(2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공장에서 일련의 제품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며 제품 출하시에 그 제품에 대한 제품명세 정보를 취합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생산공정 관리부(210), 제품명세 관리부(220), 거래정보 생성부(230), 블록체인 투입부(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생산공정 관리부(210)는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제품 제조를 위한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한다. 각 제품 별로 어떠한 공정을 통해서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리고 현재 어떠한 공정을 진행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좀더 간편한 방식으로 각 제품 별로 생산 공정을 모두 완료하였는지 여부만 모니터링할 수도 있다.
제품명세 관리부(220)는 각 제품 별로 일련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정보를 관리한다. 각각의 제품은 다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제품마다 그 채용되는 부품의 사양이 제각각이다. 제품명세 관리부(220)는 제품 별로 실제 사용되는 부품들의 정보를 관리한다.
거래정보 생성부(230)는 특정 제품에 대해 생산 공정이 완료되어 제품 출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제품에 대한 제품명세 정보를 패키징하여 그 출하되는 제품에 대한 거래 데이터로 신규 생성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제품명세 정보는 제품정보(제품식별정보, Product Unique ID)와 부품정보(제품 생산에 사용된 부품들의 사양 정보)를 포함하며, 제품 라이프사이클의 이후 과정에서 활용하기 위한 필드인 이력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블록체인 투입부(240)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함으로써 그 신규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한다. 본 발명에서는 제품 추가에 관련된 블록은 공장 에이전트부(200)에서만 신규 생성 및 투입된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무결성 검증모듈(700)의 내부 기능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와 일체 혹은 별개로 구현되어 상호 연동하며 이들 에이전트부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한 무결성 검증 요구가 들어오면 블록체인에 기반하여 무결성 검증 결과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블록체인 처리부(710), 거래정보 획득부(730), 검증처리 연동부(720), 무결성 검증처리부(7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블록체인 처리부(710)는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한다. 이는 무결성 검증모듈(700)이 블록체인에 참여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요소이다. 한편, 무결성 검증모듈(700)이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의 하부 구성요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다른 에이전트부가 가지고 있는 블록체인 처리 기능을 활용하면 되므로 블록체인 처리부(710)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
검증처리 연동부(720)는 특정 제품에 대한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의 무결성 검증 요구에 연동하는 구성으로서 무결성 검증을 요구하는 정보를 수신하고 무결성 검증 결과를 전송한다.
거래정보 획득부(730)는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한다. 다른 에이전트부(300 ~ 600)로부터 특정 제품에 대해 무결성 검증을 요구받으면, 거래정보 획득부(730)는 제품명세 정보의 제품정보 필드를 활용함으로써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한다. 그 제품이 제조 및 판매 이후에 고장수리나 폐기 등의 일을 겪지 않았다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거래 데이터가 하나만 존재하고, 고장수리나 폐기 등을 겪었다면 그에 대응하여 거래 데이터가 추가로 존재한다.
무결성 검증처리부(740)는 검증요구 제품의 부품정보와 그 추출된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의 부품정보 및 이력정보의 조합을 대비하여 상호 정합 여부를 판단하여 무결성 검증 결과를 도출한다. 이들이 서로 잘 맞아떨어지는 경우에는 검증요구 제품은 무결성을 갖춘 것으로 판단한다. 반대로, 이들이 서로 맞지 않는 경우에는 무단 개조가 이루어졌거나 한번 폐기된 제품이 무단으로 재사용된 것이므로 무결성을 결여한 것으로 판정된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비휘발성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비휘발성 기록매체로는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지 장치가 존재하는데 예컨대 하드디스크, SSD, CD-ROM, NAS, 자기테이프, 웹디스크, 클라우드 디스크 등이 있고 네트워크로 연결된 다수의 스토리지 장치에 코드가 분산 저장되고 실행되는 형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특정의 절차를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 제품명세 분산원장
200 : 공장 에이전트부
210 : 생산공정 관리부
220 : 제품명세 관리부
230 : 거래정보 생성부
240 : 블록체인 투입부
300 : 본사 에이전트부
400 : 대리점 에이전트부
500 : 수리업체 에이전트부
600 : 폐기업체 에이전트부
700 : 무결성 검증모듈
710 : 블록체인 처리부
720 : 검증처리 연동부
730 : 거래정보 획득부
740 : 무결성 검증처리부

Claims (6)

  1. 제품 라이프사이클에 관련된 제품 무결성 검증을 블록체인 기반으로 처리하는 시스템으로서,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여 제품 출하시에 제품정보, 부품정보,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명세 정보를 그 출하되는 제품에 대한 거래 데이터로 신규 생성하고,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신규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하는 공장 에이전트부(200);
    특정 제품에 대한 무결성 검증 요구에 연동하며, 블록체인으로 공유되는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한 후, 상기 검증요구 제품의 부품정보와 상기 추출된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의 부품정보 및 이력정보의 조합을 대비하여 상호 정합 여부를 판단하는 무결성 검증모듈(700);
    개별 대리점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고, 제품 판매 정보를 식별하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로부터 이력정보를 상기 제품 판매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하고, 특정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보증수리 요구에 대응하여 상기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상기 보증수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는 대리점 에이전트부(40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개별 수리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고, 특정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수리 요구에 대해 상기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상기 수리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고, 제품 수리 정보를 식별하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에서 이력정보를 상기 제품 수리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하는 수리업체 에이전트부(5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개별 폐기업체의 관리 컴퓨터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고, 특정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제품폐기 요구에 대해 상기 무결성 검증모듈(700)과 연동하여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을 기반으로 상기 폐기요구 대상 제품에 대한 무결성을 검증하고, 제품 폐기 정보를 식별하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서 획득되는 해당 제품의 제품명세 정보에서 이력정보를 상기 제품 폐기 정보에 따라 업데이트하여 거래 데이터를 생성하고 블록체인 기반으로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반영하는 폐기업체 에이전트부(60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장 에이전트부(200)는,
    공장 내에서 이루어지는 제품 제조를 위한 일련의 생산 공정을 모니터링하는 생산공정 관리부(210);
    각 제품 별로 일련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는 부품정보를 관리하는 제품명세 관리부(220);
    특정 제품에 대해 생산 공정이 완료되어 제품 출하하는 경우에 제품정보, 부품정보, 이력정보를 포함하는 제품명세 정보를 패키징하여 그 출하되는 제품에 대한 거래 데이터로 신규 생성하는 거래정보 생성부(230);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함으로써 상기 신규 생성된 거래 데이터를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투입하는 블록체인 투입부(2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특정 제품에 대한 다른 에이전트부의 무결성 검증 요구에 연동하는 검증처리 연동부(720);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으로부터 그 검증요구 제품에 대응하는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를 추출하는 거래정보 획득부(730);
    상기 검증요구 제품의 부품정보와 상기 추출된 하나이상의 거래 데이터의 부품정보 및 이력정보의 조합을 대비하여 상호 정합 여부를 판단하여 무결성 검증 결과를 도출하는 무결성 검증처리부(7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무결성 검증모듈(700)은,
    주기적으로 수행되는 블록체인 처리를 통해 상기 제품명세 분산원장(100)에 대한 정보 공유에 참여하는 블록체인 처리부(71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KR1020180094651A 2018-08-13 2018-08-13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KR102083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651A KR102083676B1 (ko) 2018-08-13 2018-08-13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651A KR102083676B1 (ko) 2018-08-13 2018-08-13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9054A true KR20200019054A (ko) 2020-02-21
KR102083676B1 KR102083676B1 (ko) 2020-03-02

Family

ID=69671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651A KR102083676B1 (ko) 2018-08-13 2018-08-13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6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79307A (zh) * 2021-06-30 2021-09-10 广西广播电视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技术的数字电视终端产品质量管控方法及系统
KR20210129927A (ko) * 2020-04-21 2021-10-29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스마트 haccp 관리 시스템
CN114187005A (zh) * 2022-02-15 2022-03-15 杭州杰牌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面向传动系统订单的全生命周期追溯系统与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680A (ko) * 2005-08-16 200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품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7868A (ko) * 2009-06-23 2010-12-31 (주)코리아컴퓨터 상품의 전자 유통계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468B1 (ko) *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20680A (ko) * 2005-08-16 2007-02-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품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00137868A (ko) * 2009-06-23 2010-12-31 (주)코리아컴퓨터 상품의 전자 유통계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71468B1 (ko) * 2017-08-02 2018-06-26 조진한 블록체인 기반의 농수축산물 통합 이력관리 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9927A (ko) * 2020-04-21 2021-10-29 씨제이올리브네트웍스 주식회사 스마트 haccp 관리 시스템
CN113379307A (zh) * 2021-06-30 2021-09-10 广西广播电视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技术的数字电视终端产品质量管控方法及系统
CN113379307B (zh) * 2021-06-30 2023-07-11 广西广播电视信息网络股份有限公司 基于区块链技术的数字电视终端产品质量管控方法及系统
CN114187005A (zh) * 2022-02-15 2022-03-15 杭州杰牌传动科技有限公司 一种面向传动系统订单的全生命周期追溯系统与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676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76098B2 (en) Digital twin management in IoT systems
KR102083676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제품 라이프사이클 무결성 검증 시스템
CN109416815B (zh) 电子文件平台
US20050015273A1 (en) Warranty management and analysis system
US20210096975A1 (en) Digital twin maturation tracking
CN111177253A (zh) 基于身份数字认证的电力大数据保护方法及系统
US8874455B2 (en) Convergence of customer and internal assets
CN109934355B (zh) 基于唯一标识的设备管理的方法及系统
US20050038752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site licensing
US11210640B2 (en) Blockchain for asset management
JP7050082B2 (ja) 複合エンジニアリング施設のライフサイクルを管理する方法とその実装のためのシステム
EP361432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a virtual building model
US20170139702A1 (en) Method of cloud engineering services of industrial process automation systems
CN109598108B (zh) 程序产品销售方法,区块链节点,存储介质及区块链系统
US2018011419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etizing building management system software deployment
US20050038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oftware site licensing
CN111309352B (zh) 驱动器固件授权管理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9141767B2 (en) Software configuration based on entitlement records
US7562229B2 (en) Codeword-based auditing of computer systems and methods therefor
KR102209570B1 (ko) 블록체인 기반의 차량 데이터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20230137813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IoT 기반의 모듈러 건축물 관리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스템
US11693643B2 (en) Network-based solution module deployment platform
US20180130018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information for enhanced life cycle support and disaster recovery of industrial process control and automation systems
US202301771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handling systems
US20240111273A1 (en) Performance-based smart contracts in industrial auto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