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846A -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 Google Patents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846A
KR20200018846A KR1020180094164A KR20180094164A KR20200018846A KR 20200018846 A KR20200018846 A KR 20200018846A KR 1020180094164 A KR1020180094164 A KR 1020180094164A KR 20180094164 A KR20180094164 A KR 20180094164A KR 20200018846 A KR20200018846 A KR 20200018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fuel cell
cooling system
hydrogen cylinder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771B1 (ko
Inventor
문경호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94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77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7/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charging liquefied, solidified, or compressed gases from pressure vessels, not covered by an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29Heat exchange using liqui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298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 H01M8/04694Processes for controlling fuel cells or fuel cell systems characterised by variables to be controlled
    • H01M8/04746Pressure; Flow
    • H01M8/04753Pressure; Flow of fuel cell reactants
    • B63B2702/10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2270/00Applications
    • F17C2270/01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 F17C2270/0102Applications for fluid transport or storage on or in the water
    • F17C2270/0131Submar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2Hydrogen stor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의 해수 환경에서 해수 냉각 계통 내의 해수가 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독립적 수소 공급 장치를 통해 함 내의 연료전지에 수소를 선 공급하여 가동시킴으로써, 저온의 해수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시 연료전지에 안정적인 수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HYDROGEN SUPPLY SYSTEM WITH STAND-ALONE HYDROGEN CYLINDER AND HYDROGEN SUPPLY METHOD}
본 발명은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저온의 해수 환경에서 해수 냉각 계통 내의 해수가 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독립적 수소 공급 장치를 통해 함 내의 연료전지에 수소를 선 공급하여 가동시킴으로써, 저온의 해수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항시 연료전지에 안정적인 수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잠수함에서 사용되는 연료전지는 저온에서 수소를 방출시켜 연료전지를 가동시키고, 연료전지에서 방출되는 열을 이용하여 해수 냉각 계통의 해수 온도를 올리게 된다. 이렇게 온도가 올라간 해수를 이용하여 수소 실린더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수소 실린더의 수소 방출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연료전지의 출력량이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저온 환경에서 연료전지를 가동시킬 경우, 최대출력을 위한 수소 공급량을 충족시키기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저온 환경에서 방출되는 수소 량이 연료전지 가동을 유지시키기에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현재 저온의 해수 환경에서도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을 위해 충분한 양의 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10607호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저온의 해수 환경에서 해수 냉각 계통 내의 해수가 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독립적 수소 공급 장치를 통해 함 내의 연료전지에 수소를 선 공급하여 가동시킴으로써, 저온의 해수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을 위한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은 함 내의 해수 냉각 계통과 연결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와 연결된 제1 밸브, 상기 함 내의 청수 냉각 계통과 연결된 제2 수소 실린더 장치,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와 연결된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 주변의 해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 밸브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연료전지모듈에 수소가 선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밸브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모듈에 수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 주변의 해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밸브를 단속(CLOSE)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밸브를 개방(OPEN)시킨 후,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 연료전지모듈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연료전지모듈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또한 상기 연료전지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청수 냉각 계통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되어 상기 해수 냉각 계통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가 가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로부터 수소가 방출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를 개방(OPEN)시키고 상기 제2 밸브를 단속(OPEN)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모듈에 수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료전지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청수 냉각 계통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청수 냉각 계통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를 가열하기 위한 열이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을 이용한 수소 공급 방법은 함 주변의 해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제어부에서 연료전지모듈과 연결된 제1 및 제2 밸브 중 제1 밸브는 단속(CLOSE)시키고 제2 밸브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상기 제2 밸브와 연결된 제2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 선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연료전지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와 연결된 청수 냉각 계통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청수 냉각 계통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되는 단계 및 상기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됨에 따라, 상기 해수 냉각 계통과 연결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가 가열되어 수소 방출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와 연결된 상기 제1 밸브를 개방(OPEN)시키고 상기 제2 밸브는 차단(CLOSE)시킴으로써 상기 제1 밸브를 통해 방출되는 수소가 상기 연료전지모듈에 공급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온의 해수 환경에서 해수 냉각 계통 내의 해수가 일정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독립적 수소 공급 장치를 통해 함 내의 연료전지에 수소를 선 공급하여 가동시킴으로써, 저온의 해수온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도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을 위한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특히, 안정적인 수소 공급이 보장되기 때문에, 단 시간에 연료전지의 최대 출력 가동이 가능한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100)을 통해 연료전지모듈에 수소를 공급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100)은 함 내의 해수 냉각 계통(1)과 연결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와 연결되는 제1 밸브(120), 함 내의 청수 냉각 계통(2)과 연결된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와 연결된 제2 밸브(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는 해수 냉각 계통(1)과 연료전지모듈(10) 사이에 마련되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를 통해 방출되는 수소는 후술되는 제1 밸브(120)를 거쳐 연료전지모듈(10)에 공급될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는 해수 냉각 계통(1)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가열되면서 보다 많은 양의 수소를 방출하게 된다. 한편, 제1 밸브(120)는 후술되는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아 개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밸브(120)는 솔레노이드 밸브 혹은 볼 밸브가 적용될 수 있다.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는 청수 냉각 계통(혹은 청온수 냉각 계통, 2)과 연료전지모듈(10) 사이에 마련되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를 통해 방출되는 수소는 후술되는 제2 밸브(140)를 거쳐 연료전지모듈(10)에 선 공급될 수 있다.
여기에서 선 공급된다는 의미는,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는 저온의 해수 환경에서 최대의 수소 방출량을 가질 수 없기에,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를 통해 연료전지모듈(10)를 가동시키기 위한 수소가 우선 공급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때,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는 청수 냉각 계통(2)과 연결됨에 따라, 연료전지모듈(10)에서 발생하는 열을 청수 냉각 계통(2)을 통해 식히게 된다.
한편, 해수 냉각 계통(1) 및 청수 냉각 계통(2)은 서로 연결되는데, 청수 냉각 계통(2)에서 방출되는 열에 의해 해수 냉각 계통(1)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가 히팅(heating)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의 온도가 올라가면서 방출되는 수소량이 증가하게 된다.
제어부(150)는 함 주변의 해수 온도가 기 설정된 임계값(예컨대,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의 수소 방출량이 저하되는 온도) 이하로 떨어질 경우, 제1 밸브(120)를 단속(CLOSE)를 시킨 후, 제2 밸브(140)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제2 수소 실린더 장치(130)를 통해 연료전지모듈(10)에 수소가 우선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연료전지모듈(10)이 가동되면서 발생되는 열을 식히기 위해 청수 냉각 계통(2)이 작동하게 되고, 청수 냉각 계통(2)과 연결된 해수 냉각 계통(1)에 냉각열이 전달되면서 해수 냉각 계통(1)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해수 냉각 계통(1)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의 온도가 올라가게 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110)의 수소 방출량이 연료전지모듈(10)을 최대 출력으로 작동시키기에 충분한 양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50)는 제2 밸브(140)는 단속(CLOSE)시키고 제1 밸브(120)는 개방(OPEN)시키게 된다.
다음으로는, 도 2를 통해 이러한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100)을 통해 연료전지모듈에 수소를 공급하는 과정을 일련의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먼저 제어부에서는 제1 밸브를 단속시키고 제2 밸브를 개방시킴으로써 제2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 연료전지모듈에 선 공급되도록 한다(S201).
그 다음, 연료전지모듈을 냉각시키기 위해 청수 냉각 계통이 작동되고(S202), 그에 따라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되면서 열을 방출함에 따라 해수 냉각 계통과 연결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가 가열되어 수소를 방출한다(S203).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로부터 수소가 방출될 경우, 제어부는 제2 밸브는 단속시키고 제1 밸브는 개방 시키게 된다(S204).
그에 따라,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로부터 방출되는 수소가 연료전지모듈에 공급되어 연료전지모듈의 출력이 증가하게 된다(S205).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해수 냉각 계통
2: 청수 냉각 계통(청/온수 냉각 계통)
10: 연료전지모듈
100: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110: 제1 수소 실린더 장치
120: 제1 밸브
130: 제2 수소 실린더 장치
140: 제2 밸브
150: 제어부

Claims (3)

  1. 함 내의 해수 냉각 계통과 연결된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와 연결된 제1 밸브;
    상기 함 내의 청수 냉각 계통과 연결된 제2 수소 실린더 장치;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와 연결된 제2 밸브; 및
    상기 제1 및 제2 밸브의 개폐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 주변의 해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 밸브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연료전지모듈에 수소가 선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제1 밸브를 개방(OPEN)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모듈에 수소 공급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함 주변의 해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1 밸브를 단속(CLOSE)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2 밸브를 개방(OPEN)시킨 후, 상기 제2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수소가 연료전지모듈에 공급되도록 하여 상기 연료전지모듈의 동작을 개시시키고, 또한
    상기 연료전지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청수 냉각 계통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되어 상기 해수 냉각 계통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가 가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로부터 수소가 방출될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밸브를 개방(OPEN)시키고 상기 제2 밸브를 단속(OPEN)시킴으로써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를 통해 상기 연료전지모듈에 수소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전지모듈로부터 방출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해 상기 청수 냉각 계통이 작동되는 경우,
    상기 청수 냉각 계통으로부터 방출되는 열에 의해 상기 해수 냉각 계통이 가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수소 실린더 장치를 가열하기 위한 열이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KR1020180094164A 2018-08-13 2018-08-13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KR102533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64A KR102533771B1 (ko) 2018-08-13 2018-08-13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64A KR102533771B1 (ko) 2018-08-13 2018-08-13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46A true KR20200018846A (ko) 2020-02-21
KR102533771B1 KR102533771B1 (ko) 2023-05-16

Family

ID=69671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164A KR102533771B1 (ko) 2018-08-13 2018-08-13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77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2009A (ja) * 2001-02-23 2002-09-06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用水素供給装置
KR101438123B1 (ko) * 2014-05-23 2014-09-12 국방과학연구소 연료전지 시스템
KR20180010607A (ko) 2016-07-21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2009A (ja) * 2001-02-23 2002-09-06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用水素供給装置
KR101438123B1 (ko) * 2014-05-23 2014-09-12 국방과학연구소 연료전지 시스템
KR20180010607A (ko) 2016-07-21 2018-01-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수중운동체의 수소공급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771B1 (ko) 2023-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9383B2 (ja) 下水汚泥乾燥システム
CN102041487A (zh) 基板载置台的温度控制系统及其温度控制方法
US10608263B2 (en) Coolant bypass structure
KR101589437B1 (ko) 배터리셀 온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R102015011276A2 (pt) aparelho
JP2007132612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2533771B1 (ko) 독립형 수소 실린더가 적용된 수소 공급 시스템 및 수소 공급 방법
EP3116775A2 (en) Autonomous power generation in submersible environments
RU2560873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тепловым контуром
KR20200018851A (ko) 잠수함 내 연속적인 수소연료공급 시스템 및 방법
EP3322016A1 (en) Fuel cell system
KR101457909B1 (ko) 연료전지 시스템
KR101407918B1 (ko) 로카테스트 챔버의 압력조절장치
KR20170064838A (ko) 내연 기관의 냉각수 예열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JP5794616B2 (ja) 加熱殺菌装置
JP2016205712A (ja) 蓄熱式ガス処理装置の制御方法
CN107611523B (zh) 电池装置及其温控方法
KR101508626B1 (ko) 선박의 폐열 회수 장치
US20220416277A1 (en) Fuel cell temperature management device and fuel cell system using same
KR101458675B1 (ko) 연료 전지와 히트 펌프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냉난방 시스템
JP6935703B2 (ja) 貯湯給湯装置
JP2018071953A (ja) 濃度調節装置
KR100574831B1 (ko) Pid제어기에 의한 반도체 장비용 온도 제어 방법 및이를 이용한 장치
JP2022182249A (ja) ボイラ強制冷却方法
JP2006226642A (ja) 蒸気供給量制御装置を持った蒸気供給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