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260A -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 Google Patents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260A
KR20200018260A KR1020190090974A KR20190090974A KR20200018260A KR 20200018260 A KR20200018260 A KR 20200018260A KR 1020190090974 A KR1020190090974 A KR 1020190090974A KR 20190090974 A KR20190090974 A KR 20190090974A KR 20200018260 A KR20200018260 A KR 20200018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balance
lower body
main body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0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8289B1 (ko
Inventor
배석우
Original Assignee
배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석우 filed Critical 배석우
Publication of KR20200018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2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B64C2025/325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specially adapted for helicopters
    • B64C2201/024
    • B64C2201/1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본체부(100), 프로펠러(200)로 구성되되, 상기 본체부(100)를 상, 하부본체부(110, 120)로 분리 구성하되, 상기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일측과 타측에 축 결합되되 교차되게 배치되는 균형유지부(130)를 구성함으로써, 드론이 이륙 후 목표지점에 도달하여 착륙 시, 지면과 맞닿음과 동시에 상기 균형유지부(130)가 유동하면서 상부본체부(1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 탄성부재(150)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중앙부에 상기 탄성부재(140)와 연결되는 지지바(140)를 구성하여서 상기 균형유지부(130)가 유동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되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상부에 화물 등을 적재 할 경우 안정적인 운반이 가능하면서도 상기 본체부(100)가 원래의 상태로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Balanced drones}
본 발명은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화물을 적재한 후, 지면으로 착륙 시, 하부본체부가 정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유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드론은 조종사 없이 무선전파의 유도에 의해서 비행 및 조종 가능한 비행기나 헬리콥터 형태의 무인항공기(UAV : unmanned aerial vehicle / uninhabited aerial vehicle)의 총칭이다.
한편, 드론은 군사용으로써 연습사격의 표적으로 사용되거나, 정찰, 감시와 대잠공격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다양한 민간분야에서 운반수단으로 보편화 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운반수단으로 사용되는 드론은 이륙하여 비행 후 목표지점 등 착륙함에 있어서 정확하면서 안정적인 착륙이 어렵고 착륙 시, 평평한 지면에 착륙 시에도 많은 흔들림이 수반될 수밖에 없다.
즉, 아직까지 현대 기술로써 수직으로 정확한 착륙이 불가능하고, 정밀하게 수직으로 착륙한다 하더라도 흔들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어 이러한 현실에서 비추어 볼 때, 드론이 운반수단의 목적으로 사용될 경우, 이륙하여 비행 후 목표지점에 착륙 시, 흔들림으로부터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착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이에, 최근에는 드론이 비행 후 목표지점 등에 착륙 시, 최소한의 흔들림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많은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우선 종래의 기술들을 살펴보면,
공개번호 제10-2017-0028245호(특) 6개의 프로펠러를 구비한 드론의 균형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6개의 프로펠러가 모두 정상인 경우 정육각형, 직각사각형, 정삼각형, 대칭으로 구성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6개의 프로펠러 중 1개가 문제가 발생할 경우 직각사각형, 정삼각형, 대칭으로 구성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6개의 프로펠러 중 2개가 연속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칭으로 구성된 프로펠러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6개의 프로펠러 중 2개가 불연속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삼각형, 직각사각형으로 구성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를 가동하는 단계; 상기 6개의 프로펠러 중 3개가 불연속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삼각형, 대칭으로 구성된 프로펠러 중 어느 하나를 가동하는 단계; 및 상기 6개의 프로펠러 중 4개가 불연속으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대칭으로 구성된 프로펠러를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드론의 균형 제어방법에 관한 기술이다.
공개번호 제10-2017-0126127호(특) 비행체의 몸체를 구성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방으로 수화물을 탑재시키는 탑재부; 상기 본체부를 지지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탑재부에 탑재된 수화물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이 각각 구비되는 두 쌍의 랜딩 기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체적으로 무게 중심을 조정하는 드론에 관한 기술이다.
공개번호 제10-2017-0044832호(특) 드론의 일측에 배치되어 드론몸체의 기울기 변화를 감지하는 기울기감지부; 상기 드론몸체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장착되고 하향 연장되어 이착륙시 지면을 지지하며 하향 연장된 길이가 조절되는 랜딩레그; 각 랜딩레그별로 장착되어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여 랜딩레그의 길이가 조절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구동부; 및 상기 기울기감지부의 감지신호에 따라 드론몸체가 기울어진 부위에 장착된 랜딩레그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도록 해당 랜딩레그에 장착된 승강구동부를 구동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드론용 이착륙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한 종래 기술들은 대체적으로 균형에 관련된 기술들이긴 하지만, 드론이 이륙 후 목표지점까지 비행 후 착륙함에 있어서 균형을 유지하는 목적의 균형이 아닌 기술이다.
다시 말해, 상기한 종래 기술들의 드론을 운반수단으로 사용할 경우, 드론의 상부에 또는 기타 다른 곳에 적재된 적재물을 목표지점으로 운반을 위하 이륙 후, 목표지점에 착륙 시 지면 또는 고르지 못한 지면일 경우, 많은 흔들림이 수반될 수밖에 없고, 안정적인 착륙이 어려워, 상기 적재물의 훼손, 파손 등의 문제점을 가질 수가 있고, 자칫, 드론의 안정적인 착륙이 되지 않을 경우 크고 작은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수화물을 하부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목표지점에 착륙 시,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상기 수화물이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론의 구성요소인 상,하부본체부를 상호 연결하여 하부본체부가 자유롭게 유동할 수 있도록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의 전, 후방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며 타측이 상기 하부본체부의 전, 후방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되 상호 교차되게 축 설치되는 균형유지부를 구성하여, 드론이 지면으로 착륙 시 상부본체부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상부본체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인장력을 가지도록 탄성부재를 구성하고, 상기 하부본체부의 상측 중앙부에 지지바를 구성하되 끝부를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시켜 상기 하부본체부의가 유동된 후 원래의 상태로 신속한 복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 완성해낸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프로펠러(200)로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에 다수의 프로펠러(200)가 구성되는 상부본체부(110)와,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는 하부본체부(120)와, 상기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전, 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양측이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는 균형유지부(130)로 구성되어, 드론이 착륙 시, 상기 축들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120)가 유동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상측 중앙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균형유지부(130)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바(14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150)가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140)의 끝단이 탄성부재(150)에 걸림되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유동 후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상호 이격되게 각각 구성되되,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봉(161)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뭉치(160)가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양측이 각각의 상기 수평봉(161)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바(140)의 상측이 상기 탄성부재(150)에 연결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균형지부(130)는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전, 후방에 제1,2균형유지다리(131, 133)가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2균형유지다리(133)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균형유지다리(131)는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외측과 축 설치되고, 제2균형유지다리(133)는 일측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외측과 축 설치되고, 타측이 제1균형유지다리(131)와 축 설치되되, 상부본체부(110)와 축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축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제1균형유지다리(131)는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내측과 축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균형유지다리(133)는 일측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내측과 축 설치되고, 타측이 제1균형유리다리(131)와 축 설치되되, 상부본체부(110)와 축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축 설치되어, 상기 제2균형유지다리(133)가 유동 시 상호 마주하는 면이 맞닿지 않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지지다리(121)의 끝단은 상기 제1,2균형유지다리(131, 133)가 상호 축 설치되는 부분 보다 하부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본체(120)는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하부본체부(120a)와, 상기 제1하부본체부(120a)의 하부에 구성되되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이 형성되는 제2하부본체부(120b)로 구성되고, 상기 균형유지장치(130)는 상기 제1,2하부본체부(120a, 120b)의 전, 후방과 좌, 우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제1,2하부본체부(120a, 120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에 의하면,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드론의 전, 후방에 한 쌍의 균형유지부에 의해, 드론이 지면으로 착륙 시, 하부본체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 시 원활하면서도 신속한 복원이 가능함은 물론, 균형유지부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됨에 따라 하부본체부의 안정적인 유동이 가능하여 상부본체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작동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본 발명은 화물을 적재한 후, 지면으로 착륙 시, 하부본체부가 정밀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유동하면서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상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성을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살펴보면,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프로펠러(200)로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에 다수의 프로펠러(200)가 구성되는 상부본체부(110)와,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는 하부본체부(120)와, 상기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전, 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양측이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는 균형유지부(130)로 구성되어, 드론이 착륙 시, 상기 축들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120)가 유동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본체부(110)와 하부본체부(120)로 분할되게 각각 구성되되, 상기 상,하부본체부(110, 120)의 양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는 균형유지부(130)에 의해 하나의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균형유지부(130)가 상호 교차(대각선)되게 축 설치됨으로써, 드론이 이륙 후 목표지점까지 비행 후, 착륙시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하부에 구성되는 지지다리(121)가 지면과 맞닿으면서 흔들림이 발생하게 될 경우, 상기 균형유지부(130)가 축들을 중심으로 유동하여 상기 상부본체부(110)는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상부본체부(110)가 수평상태를 유지하는 목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상부에는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적재공간(111)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적재공간(111)의 경우, 종래의 드론은 본체부(100)의 하부에 집게 형태 또는 기타 고정수단을 적용하여 기타 구성요소들이 필요하지만, 본 발명의 적재공간은 상부에 구성되어, 기타 구성요소가 불필요한 간단한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하부에는 전, 후방의 모서리부분에서 하부로 연장되는 각각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어, 지면과 맞닿게 구성되어, 상기 지지다리(121)의 하단부에는 둥근형태의 완충부재가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도면부호 없음)의 경우 미끄럼 등을 방지하기 위한 우레탄 고무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구동수단은 제어부 및 구동모터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어부는 통상적인 PCB모듈과 같은 기판형태의 모듈이고, 상기 구동모터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4면에 구성되는 프로펠러(200)를 각각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이다. 이때, 상기 PCB모듈 및 구동모터는 별도의 배터리 등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하게 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위치는, 상기 프로펠러(200)의 하부에 구성되며, 별도의 도시하진 않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상측 중앙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균형유지부(130)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바(14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150)가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140)의 끝단이 탄성부재(150)에 걸림되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유동 후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140)는 상측 끝단부에 걸림고리(141)가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150)에 끼움 또는 걸림되게 구성되어, 균형유지부(130)에 의해 하부본체부(120)가 유동되되 걸림고리(141)가 탄성부재(150)를 밀림키시면서 일측방향으로 이동되며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120)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예를 들면, 드론의 전면을 기준으로 상기 드론이 지면으로 착륙 시, 균형유지부(130)에 의해 하부본체부(120)의 오른쪽 상부가 상승하고, 왼쪽하부로 하강할 경우, 자연스레 상기 지지바(140) 및 걸림고리(141)는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왼쪽방향으로 기울어짐과 동시에 탄성부재(150)를 밀림하게 되게 되는데 이때, 상부본체부(110)는 유동하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흔들림이 적어짐과 동시에 상기 탄성부재(15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지지바(140) 및 걸림고리(141)를 밀림하여, 하부본체부(120)의 오른쪽 상부가 하강하게 되고, 왼쪽 하부에 상승하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상호 이격되게 각각 구성되되,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봉(161)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뭉치(160)가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양측이 각각의 상기 수평봉(161)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바(140)의 상측이 상기 탄성부재(150)에 연결되게 구성된다.
상기 고정뭉치(160)는 도 4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마주하는 수평봉(161)의 단부 사이에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바(140)의 걸림부(141)가 상기 공간에 걸림부(141)가 위치하게 되어, 상기 걸림부(141)는 균형유지부(130)가 유동 시, 상기 공간상에서 걸림부(141)가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141)가 수직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예시 하였으나, 이는,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론이 지면에 착륙 시, 상기 균형유지부(130)가 축을 중심으로 유동하게 되어 하부본체부(120)가 일측과 타측이 승, 하강되어 기울어지게 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바(140) 또한 일측방향 또는 타측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이동하게 된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형유지부(130) 및 탄성부재(150)와 고정뭉치(160)의 구성은, 드론이 목표지점까지 비행 후, 착륙 시 하부본체부(120)의 지지다리(121)가 지면과 맞닿음과 동시에 크고 작은 흔들림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데, 상기한 구성들로 인해, 상부본체부(110)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상기 균형유지부(130)가 유동 후,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상기 고정뭉치(160)가 재차 원래의 상태로 신속하게 복원시켜, 최종적으로 드론의 지면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복원이 될 수 있는 구조는 상기 고정뭉치(160)가 도 1, 3,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본체부(120)와 연장되게 형성되기 때문에, 당연히 하부본체부(120) 또한 원래의 상태로 복원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드론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으로 조종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휴대기기의 어플리케이션 등과 같은 것으로 제어 및 별도의 1:1 신호를 주고 받도록 구성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균형유지부(130)의 구조를 가변시켜서 구성할 수가 있는데, 상기 균형지부(130)는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전, 후방에 제1,2균형유지다리(131, 133)가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2균형유지다리(133)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균형유지다리(131)는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외측과 축 설치되고, 제2균형유지다리(133)는 일측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외측과 축 설치되고, 타측이 제1균형유지다리(131)와 축 설치되되, 상부본체부(110)와 축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축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제1균형유지다리(131)는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내측과 축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균형유지다리(133)는 일측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내측과 축 설치되고, 타측이 제1균형유리다리(131)와 축 설치되되, 상부본체부(110)와 축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축 설치되어, 상기 제2균형유지다리(133)가 유동 시 상호 마주하는 면이 맞닿지 않도록 구성된다.
한편, 도시하진 않았지만, 본 발명의 균형유지부(130)가 4개로 구성되는 구조와, 균형유지부(130)가 4개로 구성되되, 제1,2지지다리(131, 133)으로 구성될 시, 상기 균형유지부(130)들이 상호 마주하는 면들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도록 축에 베어링을 구성시켜서, 균형유지부(130)들을 이격 거리를 조절할 수가 있음과 더불어 균형유지부(130)의 원활한 유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여기서, 균형유지부(130)가 도 8과 같은 제1,2지지다리(131, 133)으로 구성될 경우,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지지다리(121)의 끝단은 상기 제1,2균형유지다리(131, 133)가 상호 축 설치되는 부분 보다 하부로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제1,2지지다리(131, 133)가 상호 축 결합되는 하단부들이 지면과 맞닿지 않고 원활한 작동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본체(120)는,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하부본체부(120a)와, 상기 제1하부본체부(120a)의 하부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구성되되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이 형성되는 제2하부본체부(120b)로 구성되고, 상기 균형유지장치(130)는 상기 제1,2하부본체부(120a, 120b)의 전, 후방과 좌, 우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제1,2하부본체부(120a, 120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도록 구성하여, 본 발명의 드론이 착륙 시, 도 9를 기준으로 상기 상부본체부(110)와 제1하부본체부(120a)를 연결하는 균형유지장치(130)의 작동방향과, 제1하부본체부(120a)와 제2하부본체부(120a)에 연결되는 균형유지장치(130)의 작동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되어, 더욱 안정적인 균형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에 의하면,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의 본연의 목적을 그대로 유지함과 동시에, 드론의 전, 후방에 한 쌍의 균형유지부에 의해, 드론이 지면으로 착륙 시, 하부본체부가 일측방향으로 이동 시 원활하면서도 신속한 복원이 가능함은 물론, 균형유지부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됨에 따라 하부본체부의 안정적인 유동이 가능하여 상부본체부에 적재되는 적재물을 안전하게 운반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 : 드론
100 : 본체부
110 : 상부본체부 111 : 적재공간
120 : 하부본체부 120a : 제1하부본체부 120b : 제2하부본체부
121 : 지지다리
130 : 균형유지부 131 : 제1균형유지다리 133 : 제2균형유지다리
140 : 지지바 141 : 걸림부
150 : 탄성부재
160 : 고정뭉치 161 : 수평봉
200 : 프로펠러

Claims (6)

  1.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로 구성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본체부(100)의 상부에 구성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다수의 프로펠러(200)로 구성되는 드론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0)는,
    상부에 다수의 프로펠러(200)가 구성되는 상부본체부(110)와,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가 구성되는 하부본체부(120)와,
    상기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전, 후방에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양측이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는 균형유지부(130)로 구성되어,
    드론이 착륙 시, 상기 축들에 의해 상기 하부본체부(120)가 유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상측 중앙부에서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균형유지부(130)의 사이에 위치되는 지지바(14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는 탄성부재(150)가 구성되어, 상기 지지바(140)의 끝단이 탄성부재(150)에 걸림되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유동 후 상기 탄성부재(150)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운반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는 상호 이격되게 각각 구성되되, 마주하는 방향으로 수평봉(161)이 연장되게 형성되는 고정뭉치(160)가 구성되고,
    상기 탄성부재(150)의 양측이 각각의 상기 수평봉(161)에 끼워지며,
    상기 지지바(140)의 상측이 상기 탄성부재(150)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운반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균형지부(130)는 상, 하부본체부(110, 120)의 전, 후방에 제1,2균형유지다리(131, 133)가 한 쌍으로 각각 구성되어 상기 제2균형유지다리(133)가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되,
    상기 제1균형유지다리(131)는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외측과 축 설치되고,
    제2균형유지다리(133)는 일측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외측과 축 설치되고, 타측이 제1균형유지다리(131)와 축 설치되되, 상부본체부(110)와 축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축 설치되어,
    다른 하나의 제1균형유지다리(131)는 일측이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내측과 축 설치되고,
    다른 하나의 제2균형유지다리(133)는 일측이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내측과 축 설치되고, 타측이 제1균형유리다리(131)와 축 설치되되, 상부본체부(110)와 축 설치되지 않은 일측과 축 설치되어,
    상기 제2균형유지다리(133)가 유동 시 상호 마주하는 면이 맞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부(120)의 지지다리(121)의 끝단은 상기 제1,2균형유지다리(131, 133)가 상호 축 설치되는 부분 보다 하부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본체(120)는,
    상기 상부본체부(110)의 하부에 구성되는 제1하부본체부(120a)와,
    상기 제1하부본체부(120a)의 하부에 구성되되 하부에 다수의 지지다리(121)이 형성되는 제2하부본체부(120b)로 구성되고,
    상기 균형유지장치(130)는 상기 제1,2하부본체부(120a, 120b)의 전, 후방과 좌, 우측에 한 쌍으로 구성되되, 상호 교차되게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제1,2하부본체부(120a, 120b)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KR1020190090974A 2018-08-10 2019-07-26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KR102248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93904 2018-08-10
KR1020180093904 2018-08-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260A true KR20200018260A (ko) 2020-02-19
KR102248289B1 KR102248289B1 (ko) 2021-05-04

Family

ID=6967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0974A KR102248289B1 (ko) 2018-08-10 2019-07-26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2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69B1 (ko) * 2022-11-18 2023-05-08 (주)와우미래기술 고중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드론
KR102595489B1 (ko) * 2022-12-01 2023-10-30 윤형준 운송 드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769A1 (en) * 1998-01-28 1999-08-05 Avia Adviser Hb Unmanned rotor carried aerial vehicle
US20170274981A1 (en) * 2016-03-28 2017-09-28 Amazon Technologies, Inc. Selectively thrusting propulsion units for aerial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9038769A1 (en) * 1998-01-28 1999-08-05 Avia Adviser Hb Unmanned rotor carried aerial vehicle
US20170274981A1 (en) * 2016-03-28 2017-09-28 Amazon Technologies, Inc. Selectively thrusting propulsion units for aerial vehicl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9569B1 (ko) * 2022-11-18 2023-05-08 (주)와우미래기술 고중량의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드론
KR102595489B1 (ko) * 2022-12-01 2023-10-30 윤형준 운송 드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289B1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61899B2 (en) In flight transfer of packages between aerial drones
US9211959B2 (en) UAV launching from moving platform
AU2018347855B2 (en) Modular fuselage for unmanned aerial vehicle
KR101627042B1 (ko) 합체 분리 가능한 멀티 로터 기반의 비행체
CN105984582A (zh) 飞行器
NL2018003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5182924A1 (ko) 무인비행기 착륙 위치 정렬 장치, 정렬 방법 및 상기 장치를 포함하는 지상상시스템
NL2017971B1 (en) Unmanned aerial vehicle
US10946963B2 (en) External containment apparatus for unmanned aerial vehicle
US20160236772A1 (en) Aerial vehicle
KR20200018260A (ko) 균형유지가 가능한 드론
US11939083B2 (en) Self-leveling launch and recovery platform for aerial vehicle and method of maintaining a level platform during launch and recovery
TW201325992A (zh) 反向降落航空器
US10625843B2 (en) Energy dispersion plug for UAV
US20210016877A1 (en) A structure construction for an aircraft and aircraft comprising the structure construction
CN110944909A (zh) 旋翼机
AU2021274616B2 (en) Adhoc geo-fiducial mats for landing UAVs
Yu et al. Development of VTOL drone for stable transit flight
RU172327U1 (ru) Беспилотный летательный аппарат
KR101776949B1 (ko) 고정익 드론의 날개결합장치
CN218877584U (zh) 一种可拆卸的用于无人机顶部装置安装的通用减震支架
US11999462B2 (en) Detect and avoid sensor integration
EP4011773A1 (en) Detect and avoid sensor integration
BR102018013794A2 (pt) aeronave remotamente pilotada
WO2019010554A1 (pt) Aeronave remotamente pilotad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