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066A - 파종기 - Google Patents

파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066A
KR20200018066A KR1020180093837A KR20180093837A KR20200018066A KR 20200018066 A KR20200018066 A KR 20200018066A KR 1020180093837 A KR1020180093837 A KR 1020180093837A KR 20180093837 A KR20180093837 A KR 20180093837A KR 20200018066 A KR20200018066 A KR 202000180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bar
planter
transverse bar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8196B1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180093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8196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8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8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00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 A01B5/04Ploughs with rolling non-driven tools, e.g. discs drawn by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A01B59/043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supported at three points, e.g. by quick-releas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의 두 곳의 힌지 결합 부위에 수평 조절부(60)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파종기{SEED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종기에 관한 것이다.
파종기는 밭에 씨앗을 심는 장치이다. 파종기는 일반적으로 씨앗을 담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어 하단에 형성된 씨앗 인출구, 흙바닥을 주행하면서 일정거리마다 상기 인출구로부터 씨앗을 주기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파종기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람이 직접 파종기를 밀고 가면서 파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비료 살포기로 파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파종기를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다른 농기구, 예컨대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배토기 또는 복토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파종기를 트랙터 후방의 로터베이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토기는 일정한 형태와 높이의 두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구이다. 복토기는 원래 파종 후 흙을 덮어주는 장치로 개발되었다. 상용화된 복토기는 회전날과 배토삽날을 구비하는데, 배토삽날은 회전날에 의해 파서 날려지는 흙이 골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토기에 의한 두둑 형성이 가능하여 복토기를 배토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이, 파종기와 다른 농기구와의 결합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 속에서, 다른 농기구와의 결합 후 결합 상태를 빈번하게 분리할 필요성 또한 대두되었다. 이는 씨앗을 심는 두둑의 모양이 다양하고, 심는 씨앗의 종류도 다양하기 때문이다. 예컨대, 옥수수 씨앗을 파종할 때와 보리 씨앗을 파종할 때는 파종의 환경이 다르기 때문에, 각 경우에 맞는 파종기와 다른 농기구와의 최적 매칭이 달라질 수 있다. 각기 다른 파종 환경에 따라 매칭을 달리 하기 위해서는 기존 농기구에 결합되었던 파종기의 결합을 해제하여 다른 농기구와 재결합하여야 한다.
파종기가 트랙터 후방에 부착된 다른 농기구와 결합되어 사용될 때는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횡방향 바(bar)에 복수개의 파종기가 부착된 상태로 사용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파종기가 횡방향 바에 부착된 상태로 다른 농기구에 손쉽게 탈부착 하려면 탈부착 과정의 용이한 작업성과 탈착 후 재결합 상태에서의 안정적인 결합력 보장이 중요해진다.
또한, 복수개의 파종기가 횡방향 바에 부착된 상태에서 파종하려는 밭과의 수평유지가 중요해진다. 탈부착시마다 파종기의 수평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파종기는 땅의 가운데를 파서 씨를 뿌려주는 것이므로, 각도 조절이 필요하며 땅과 수평을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파종기를 사용하는 농지의 상태가 다르고 파종기, 복토기 및 배토기 제작사가 다르며 다양한 작물을 심어야 되므로 각도 조절이 어렵고 수평을 맞추기가 힘들다. 또한 같은 제작사가 아니기 때문에 모든 것을 일체로 만들기 어렵다. 복수개의 파종기를 다른 농기구에 붙였다 떼었다 하지 않고 고정시킨 상태로만 사용하면 문제가 덜하겠지만, 여러가지 농기구에 탈부착 하는 과정에서 수평이 틀어질 수 있다. 게다가, 파종기를 사용하는 밭의 상태가 달라질 수 있다. 현재 파종기가 타 농기구에 부착되어 셋팅된 상태, 지금 작업하고자 하는 밭의 상태에 딱 맞게 현장에서 손쉽게 수평 조절을 행하는 것은 만족스러운 파종을 위해 중요한 것이다.
또한, 복수개의 파종기가 횡방향 바에 부착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에 연결될 때, 승강실린더에 의한 빠르고 정확한 하강이 중요해진다. 파종기는 땅에 골을 내서 씨앗을 심는 것이므로 승강실린더가 빠르고 정확하게 파종기를 원하는 높이까지 하강시킬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복수개의 파종기를 바에 연결하여 다른 농기구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형태가 빈번해진 상황 속에서 종래기술은 위와 같은 세가지 요구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첫째, 다른 농기구로의 탈부착 과정이 번거로웠다. 둘째, 다른 농기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정교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기능이 없어서 탈부착 시에 부착 상태를 수정해 가면서 수평을 맞춰야 했기에 탈착 후 재결합에 시간이 오래 걸릴 뿐 아니라 만족스러운 수평 상태를 달성하기 어려웠다. 셋째, 종래기술에서는 승강실린더에 의해 파종기가 승강작동할 때 승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작업자가 미세하게 실린더 유압조절장치를 조작하여 파종기가 내려진 높이를 조절해야만 했고, 이는 파종기의 빠르고 정확한 하강에 장애 요인이었다.
세번째 요구조건인 승강실린더의 조작 관련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하겠다.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 상태에서도 파종기가 땅에 부딪치지 않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 상태가 너무 길면, 승강실린더 조작에 의하여 승강실린더를 최대 하강 위치까지 조작할 때 파종기가 땅에 부딪치면서 파손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도록 실린더 장착 위치를 조정하려면, 소비자가 필드에서 장착할 때 실린더 위치 조정을 정교하게 해야 하는데, 소비자가 이러한 조정을 실시하면서 실린더를 장착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상술한 세가지 요구 조건은 종래기술에서 만족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상술한 세가지 요구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는,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의 두 곳의 힌지 결합 부위에 수평 조절부(60)가 제공된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세가지 요구 조건이 만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다른 농기구로의 탈부착 구조가 개선되어 탈부착 과정이 손쉬워지며 안정적인 결합 유지가 보장될 수 있다. 둘째, 다른 농기구와 결합된 상태에서 정교하게 수평을 맞출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되므로, 탈부착 시에 부착 상태를 수정해 가면서 번거롭게 수평을 맞춰야 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셋째, 실린더 하강제한부에 힘입어 실린더의 최대 스트로크를 간편하게 조정 가능하게 되어 파종기를 최적의 위치까지 빠르고 정확하게 하강시킬 수 있게 되었다.
도 1은 트랙터 후방에 복토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복토기(1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가 연결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2는 연결링크(2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수평 조절부(60)의 구조를 아울러 도시한다.
도 3과 도 4는 수평 조절부(60)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5는 수평 조절부(60)의 작용에 의하여 횡방향 바(30)에 결합된 시더 유닛(40)들의 수평 상태가 조절된 모습을 보여주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6은 실린더 하강제한부(70)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실린더 하강제한부(7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트랙터 후방에 로터베이터(8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로터베이터(8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가 연결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9와 도 10은 각각 도 1과 도 8의 실시예의 파종기가 들어올려진 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적인 구조
도 1은 트랙터 후방에 복토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복토기(10)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종기가 연결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토기(10)에 한 쌍의 연결링크(20)가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개선 사항 중 하나인 클램프 구조는 도 2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링크(20)의 후단에는 횡방향 바(bar, 30)가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횡방향 바(30)에는 복수개의 시더 유닛(seeder unit, 40)이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장착된다. 횡방향 바(30)의 중앙에는 승강실린더(50)를 결합시키는 힌지 구조가 제공된다. 승강실린더(50)의 다른 단부는 복토기(10)에 힌지결합 되어 있음을 도 1로부터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연결링크 구조
도 2는 연결링크(20)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연결링크(20)는 두 개의 바(bar, 21, 22)와 양 단부의 힌지점(23, 24)을 경유하여 연결되는 클램프부(25, 26)를 포함한다. 두 개의 바(21, 22)는 하나가 다른 하나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삽입 상태에서 관통구에 의하여 고정된다. 관통구는 복수개가 제공된다. 삽입 깊이를 조절하면서 관통구에 볼트를 삽입하여 두 개의 바(21, 22)를 고정 가능하므로, 연결링크(2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클램프부(25)는 복토기(10)쪽에 결합된다. 클램프부(25)의 특징적인 구조는 다음과 같다.
먼저, 클램프부(25)는 오픈된 구조이다. 이러한 오픈된 구조로 말미암아 복토기(10)에 결합될 때 복토기(10)의 결합부위를 분리하지 않고도, 그대로 복토기의 결합부위, 도 1의 사진에서는 횡방향 각 파이프에 장착 가능하다. 장착된 상태의 고정은 오픈 구조의 단부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고정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달성될 수 있다.
한편, 클램프부(25)는 그 내주면이 각파이프와 원형파이프에 모두 적응될 수 있는 구조이다. 복토기(10)의 결합부위는 도 1의 실시예에서 각파이프로 실시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 복토기(10)의 결합부위가 원형파이프인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가 여러가지 형태의 복토기(10)에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한다.
클램프부(26)는 시더 유닛(40)을 결합하는 횡방향 바(30)를 결합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오픈된 구조인 점, 횡방향 바(30)에 장착된 상태의 고정이 오픈 구조의 단부에 제공되는 복수개의 고정 볼트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하게 달성되는 점이 클램프부(25)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1을 참조하면, 횡방향 바(30)에 복수개가 결합되는 시더 유닛(40) 역시 오픈된 구조의 클램프를 사용하여 결합이 달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과 도 2를 통하여 확인되는 오픈된 구조의 클램프를 통하여 결합을 실행함으로써, 본 발명의 파종기를 다른 작물에 적용하기 위하여 분리할 때 필요가 있을 때, 각 부품들이 쉽게 분리되고, 분리된 부품들을 쉽고 견고하게 재결합 가능하다.
수평 조절부 구조
이하에서는 역시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개선점인 수평 조절부(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수평 조절부(60)는 바(22)의 상부에 형성된 힌지점(61)에 의하여 힌지결합된 장너트(62), 클램프(26)의 단부에 마련되는 개구를 통하여 상기 장너트(62)에 삽입되는 장볼트(63)를 포함한다. 장볼트(29)는 "ㄱ"자형이며, 그 끝에는 손잡이(6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에 포함되는 수평 조절부(60)는 3개의 힌지점, 즉 도면부호 24, 61, 64의 힌지점에 의하여 형성되는 3절 링크 구조이다. 이러한 3절 링크 구조에서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조절된다. 조절 방식은 손잡이(65)를 돌림으로써 장볼트(63)의 장너트(62)로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는 것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장볼트(63)를 장너트(62)에 깊게 삽입하면,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짧아지고, 장볼트(63)를 반대 방향으로 돌려 장너트(62)로부터 빼내면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길어진다. 이로써, 힌지점(24)을 중심으로 클램프부(26)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고, 클램프부(26)에 결합된 횡방향바(30)를 내리거나 들어올릴 수 있다.
상술한 수평 조절부(60)는 양쪽 연결링크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왼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를 조절하여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거리를 오른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횡방향 바(30)는 앞쪽에서 바라봤을 때 왼쪽으로 처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오른쪽으로 처지게 된다. 마찬가지로, 오른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를 조절하여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거리를 왼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하면 횡방향 바(30)는 앞쪽에서 바라봤을 때 오른쪽으로 처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짧게 하면 왼쪽으로 처지게 된다. 양쪽 수평 조절부(60)를 동일하게 조절하면 수평상태는 변하지 않고 복수의 시더 유닛(40)을 부착하는 횡방향 바(30)의 각도만이 조절된다. 양쪽 수평 조절부(60) 모두의 길이를 동일하게 짧게 하면 왼편에서 바라봤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횡방향 바(30)를 돌려서 시더 유닛(40)들의 각도를 역시 반시계 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양쪽 수평 조절부 모두의 길이를 동일하게 길게 하면 시계 방향으로 횡방향 바(30)를 돌려서 시더 유닛(40)들의 각도를 시계방향으로 조절 가능하다.
상술한 수평 조절부(60)의 구조 및 수평 조절 기능의 구현은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더욱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먼저, 도 3과 도 4를 대비하여 설명한다. 도 3의 상태에서는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조정된 길이가 도 4의 상태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다. 도 3과 도 4의 실제 실시예에서는 장너트(62)에 표시 플레이트를 부착하고, 표시 플레이트에 1에서 9까지의 숫자를 표시하였다. 한편, 클램프부(26)의 단부에 지시부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도 3의 실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플레이트 상에 표시된 숫자 중 5를 가리키고 있다. 도 4의 실제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시부가 상기 표시 플레이트 상에 표시된 숫자 중 1을 가리키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사용자는 상술한 수평 조절부(60)의 상대적 길이 조정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장너트(62)와 장볼트(63)의 작용에 클램프부(26)가 연동되어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는 구성, 즉 3절링크의 한 변의 길이가 변화하는 구성이 명확히 파악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본 발명의 범주가 도 3과 도 4의 실제 실시예의 구조로 제한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양쪽 연결링크(20)에 제공된 3절링크 구조에서 한 변의 길이를 개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양쪽 연결링크(20)에 연결된 횡방향 바(30)의 수평 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는 한, 도 3과 도 4의 실제 실시예의 구조 외에도 얼마든지 다양한 구조가 본 발명의 범주로 포함될 수 있다.
도 5로부터는 수평 상태가 조절된 실제 실시예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로부터는 앞쪽에서 보았을 때 왼쪽 연결링크가 아래로 처지고, 오른쪽 연결링크가 위로 올라간 파종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의 이러한 작동 상태는 왼쪽 연결링크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의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오른쪽 연결링크에 제공된 수평 조절부(60)의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조정된 상태이다. 길이 조정 가능한 3절링크의 한 변이 길게 조정된 쪽의 연결링크가 아래로 처지게 된다. 반대로, 길이 조정 가능한 3절링크의 한 변이 짧게 조정된 쪽의 연결링크는 위로 올라가게 된다.
실린더 하강제한부 구조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적인 개선점인 실린더 하강제한부(70)의 구조를 설명한다.
승강실린더(50)는 일단부가 복토기(10)에 힌지결합 되며, 타단부는 횡방향 바(30)에 힌지결합 된다. 이러한 승강실린더(50)의 결합 상태에서 실린더 하강제한부(70)는 승강실린더(50) 상부에 승강실린더(50)와 나란하게 설치된다. 승강실린더(50)와 실린더 하강제한부(70)의 상호 설치 상태는 도 1을 참조하면 명확히 확인 가능하다.
도 6은 실린더 하강제한부(70)를 도시하는 도면이며, 이로부터 실린더 하강제한부(70)의 구체적인 구조를 알 수 있다. 실린더 하강제한부(70)는 내부에 길이 방향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구가 형성된 바(bar, 71)와 장볼트(72)를 포함한다. 장볼트(72)는 횡방향 바(30)와의 힌지 연결부위(73)에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개구(74)에 삽입된다. 또한, 장볼트(72)는 상기 바(71)의 관통구(75)를 통하여 바(71) 내부로 연장된다. 관통구(75)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는다. 장볼트(72)의 바(71) 내부로 연장된 단부에는 고정 너트(76)가 형성된다. 장볼트(72)의 고정 너트(76) 반대 방향 단부에는 손잡이(77)가 형성된다.
손잡이(77)를 돌려 장볼트(7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장볼트(72)의 바(71) 내부로의 삽입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 상태는 도 4로부터 확인 가능하다. 도 4는 실린더 하강제한부(7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윗부분에는 장볼트(72)의 바(71) 내부로의 상대적인 삽입 깊이가 긴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승강실린더(50)의 스트로크 길이는 L1이다. 장볼트(72)의 단부에 장착된 고정 너트(75)가 바(71)의 관통구(75)에 맞닿게 되면 더 이상의 스트로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스트로크가 제한된다. 도 7의 아래부분에는 장볼트(72)의 바(71) 내부로의 상대적인 삽입 깊이가 짧은 상태를 도시한다. 이 때 승강실린더(50)의 스트로크 길이는 L2이다. 마찬가지로, 장볼트(72)의 단부에 장착된 고정 너트(75)가 바(71)의 관통구(75)에 맞닿게 되면 더 이상의 스트로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스트로크가 제한된다.
도 7로부터 장볼트(72)의 바(71) 내부로의 삽입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승강실린더(50)의 스트로크를 길게(L1) 또는 짧게(L2)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히 확인 가능하다.
승강실린더(50)는 유압 작동에 의해서 피스톤을 밀거나 당긴다. 승강실린더(50)의 한쪽 단부가 복토기(10)에 장착되고, 피스톤 단부가 복수개의 시더 유닛(40)들을 결합하는 횡방향 바(30)에 연결된다. 승강실린더(50)가 수축하면, 연결링크(20)와 이에 연결된 횡방향 바(30) 및 복수개의 시더 유닛(40)들은 상승하고, 승강실린더(50)가 팽창하면, 연결링크(20)와 이에 연결된 횡방향 바(30) 및 복수개의 시더 유닛(40)들은 하강한다. 실린더 하강제한부(70)는 승강실린더(50)의 피스톤이 최대로 밀어지는 길이, 즉 최대 스트로크를 제한하여 연결링크(20), 횡방향 바(30) 및 시더 유닛(40)들의 하강 높이를 조절한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인 실린더 하강제한부(70)에 의하여 연결링크(20), 횡방향 바(30) 및 시더 유닛(40)들의 최대 하강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조인 실린더 하강제한부(70)가 달성하는 효과에 대하여 부가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실린더 스트로크가 남은 경우에도 제한이 가능하여, 시더 유닛(40)들이 땅바닥에 부딪쳐 파손되지 않도록 하고 최적의 높이에 정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린더 하강제한부(70)에 의하면 스트로크를 늘리는 것도 가능하다. 실린더 스트로크가 필요한 것보다 길도록 하여 승강실린더(50)를 장착한 후 제한을 실시하여 A용도로 사용하다가 더 많은 스트로크가 필요한 B용도로 전환 시 승강실린더(50)의 장착 상태를 해제하여 더 긴 스트로크에 맞춰 다시 설치하지 않고도 간단한 조작만으로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파종기가 로터베이터에 장착되는 실시예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가 복토기(10)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트랙터 후방에 장착된 로터베이터(8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8은 그 실제 실시예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의 실시예와 도 8의 실시예를 대비하면, 연결링크(20)의 후단에 장착된 클램프(25) 구조에만 변경이 있을 뿐, 나머지 구조는 완전히 동일하다.
도 9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가 각각 복토기(10)와 로터베이터(80)에 연결 설치된 상태에서 승강실린더(50)의 수축에 의하여 들어올려진 실제 실시상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러한 승강실린더(50)의 수축 상태로부터 승강실린더(50)에 유압을 공급하여 피스톤을 밀어내면 피스톤이 전진하면서 들어올려진 파종기가 하강하게 된다. 상술한 실린더 하강제한부(70)의 기능에 의하여 승강실린더(50) 최대 하강 높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제 실시예의 사진들은 모두 본 발명의 출원 이전에 출입이 통제된 출원인의 공장에서 촬영된 것임을 밝힌다.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복토기
20: 연결링크
30: 횡방향 바
40: 시더 유닛
50: 승강실린더
60: 수평 조절부
70: 실린더 하강제한부

Claims (10)

  1.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의 두 곳의 힌지 결합 부위에 수평 조절부(60)가 제공되는,
    파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는 클램프부(25, 26)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부(25, 26)에 의하여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서 힌지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부(25, 26)는 오픈된 구조이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는 길이 조절 가능한,
    파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조절부(60)는 3개의 힌지점(24, 61, 64)으로 구성되는 3절링크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3개의 힌지점(24, 61, 64) 중 힌지점(61)과 힌지점(64) 사이의 길이가 조정 가능한,
    파종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조정은 상기 힌지점(61)에 연결된 장너트(62)에 상기 힌지점(64)에 연결된 장볼트(63)를 삽입하는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달성되는,
    파종기.
  5.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횡방향 바(30)는 승강실린더(50)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승강실린더(50)에는 승강실린더(50)의 최대 스트로크 시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여기에 연결된 횡방향 바(30) 및 시더 유닛(40)의 최대 하강 높이를 제한하는, 실린더 하강제한부(70)가 제공되는,
    파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하강제한부(70)는 내부에 길이 방향 중공부가 형성되고, 일단에 관통구(75)가 형성된 바(71)와 장볼트(72)를 포함하고,
    상기 장볼트(72)가 상기 바(71)의 상기 관통구(75)를 통해 삽입된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승강실린더(50)의 스트로크 길이가 조정되는,
    파종기.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된 복토기(10)에 연결 설치되는 파종기.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된 로터베이터(80)에 연결 설치되는 파종기.
  9. 길이 조정 가능한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과,
    상기 횡방향 바(30)에 힌지 결합되는 승강실린더(5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의 두 곳의 힌지 결합 부위에 제공되는 두 개의 수평 조절부(60)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수평 조절부(60)를 동일하게 조작하면 상기 횡방향 바(30) 및 여기에 결합된 시더 유닛(40)의 각도가 조정되고,
    상기 두 개의 수평 조절부(60)를 서로 다르게 조작하면 상기 횡방향 바(30) 및 여기에 결합된 시더 유닛(40)의 수평 상태가 조정되는,
    파종기.
  10.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에 힌지 결합되는 횡방향 바(30)와,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연결링크(20)와 상기 횡방향 바(30)의 결합 및 상기 횡방향 바(30)와 상기 시더 유닛(40)의 결합이 오픈된 구조의 클램프 결합에 의하여 달성되는,
    파종기.
KR1020180093837A 2018-08-10 2018-08-10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KR1021181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37A KR102118196B1 (ko) 2018-08-10 2018-08-10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37A KR102118196B1 (ko) 2018-08-10 2018-08-10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66A true KR20200018066A (ko) 2020-02-19
KR102118196B1 KR102118196B1 (ko) 2020-06-02

Family

ID=6967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37A KR102118196B1 (ko) 2018-08-10 2018-08-10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81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132A (ko) * 2021-08-17 2023-02-24 지성민 파종기 연결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021A (ja) * 2002-08-12 2004-03-11 Kobashi Kogyo Co Ltd 施肥・播種機
JP4948043B2 (ja) 2006-06-01 2012-06-06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畝立て同時播種機
US20120316673A1 (en) 2011-06-10 2012-12-13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orporated Agricultural implement having hopper weighing system
KR101859384B1 (ko) * 2016-02-04 2018-06-28 한재헌 트랙터용 파종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73021A (ja) * 2002-08-12 2004-03-11 Kobashi Kogyo Co Ltd 施肥・播種機
JP4948043B2 (ja) 2006-06-01 2012-06-06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畝立て同時播種機
US20120316673A1 (en) 2011-06-10 2012-12-13 Great Plains Manufacturing, Incorporated Agricultural implement having hopper weighing system
KR101859384B1 (ko) * 2016-02-04 2018-06-28 한재헌 트랙터용 파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6132A (ko) * 2021-08-17 2023-02-24 지성민 파종기 연결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8196B1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6566B2 (en) Down pressure adjustment assembly for a disc opener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WO2012121576A2 (ko) 좌우 수평 및 전후 높이 연동 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복합 직파기
CN102714954A (zh) 免耕仿形精量播种机
KR102122036B1 (ko) 다목적 스마트 농기계
KR102117853B1 (ko)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US10986774B2 (en) Adjustable fertilizer application implement
KR20200018066A (ko) 파종기
US20060081162A1 (en) Seeding implement with front rockshaft-mounted fertilizer openers
KR20160118446A (ko) 관리기 부착형 파종장치
CN208940322U (zh) 亚麻播种除草施肥一体机
KR102266126B1 (ko) 이식기
US4895086A (en) Parallel linkage planter carrier
US20220369542A1 (en) Adjustable fertilizer application implement
EP1487249B1 (en) A soil tillage device
CN217428670U (zh) 一种牡丹种子自动播种机
KR101054606B1 (ko) 두둑의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배토기
KR102024214B1 (ko) 휴립복토기 탈부착 두둑 정지 및 파종기 장착 장치
KR200274470Y1 (ko) 트랙터 연결용 점파식 파종기의 장착브라켓
KR102274592B1 (ko) 파종기
KR101958765B1 (ko) 파종기
CN206517774U (zh) 旱田通用播种机
KR102117842B1 (ko)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CN201061193Y (zh) 铲耘中耕多用机
CN213343312U (zh) 一种宽窄行免耕播种机
CN108464088A (zh) 一种深度调节播种施肥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