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7842B1 -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 Google Patents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7842B1
KR102117842B1 KR1020180093854A KR20180093854A KR102117842B1 KR 102117842 B1 KR102117842 B1 KR 102117842B1 KR 1020180093854 A KR1020180093854 A KR 1020180093854A KR 20180093854 A KR20180093854 A KR 20180093854A KR 102117842 B1 KR102117842 B1 KR 1021178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eder
clamp
seeder uni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077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180093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7842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78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78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085Broadcast seed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0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 A01B35/04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non-rotating tools drawn by animal or tractor or man-pow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더 유닛(40)은 트랙터로의 연결 설치를 위해 제공되는 횡방향 바(30)에 결합된다. 상기 시더 유닛(40)은 장착부(80)와 시더 유닛(40) 본체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부(80)는,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클램프(81)와; 고정볼트(85)와; 상기 고정볼트(8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86)를 포함한다. 상기 상기 클램프(81)는 오픈된 구조이고, 상기 고정볼트(85)의 상기 너트(86)로의 삽입 체결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바(30)와의 결합이 형성된다. 상기 클램프(81)는 오픈된 상태에서 일측에 걸침 고리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SEEDER UNIT HAVING IMPROVED MOUNTING PART}
본 발명은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seeder unit)에 관한 것이다.
[본 연구는 농립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2018년 첨단생산기술개발사업으로 수행된 연구이다. (과제번호: 318002-3)]
본 발명에 따른 시더 유닛은 파종기와 관련된다. 파종기는 밭에 씨앗을 심는 장치이다. 파종기는 일반적으로 씨앗을 담는 컨테이너, 상기 컨테이어 하단에 형성된 씨앗 인출구, 흙바닥을 주행하면서 일정거리마다 상기 인출구로부터 씨앗을 주기적으로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바퀴를 포함한다. 상기 파종기에 손잡이를 설치하여 사람이 직접 파종기를 밀고 가면서 파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종래기술에서는 비료 살포기로 파종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최근에는 복수개의 파종기를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다른 농기구, 예컨대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배토기 또는 복토기와 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복수개의 파종기를 트랙터 후방의 로터베이터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배토기는 일정한 형태와 높이의 두둑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농기구이다. 복토기는 원래 파종 후 흙을 덮어주는 장치로 개발되었다. 상용화된 복토기는 회전날과 배토삽날을 구비하는데, 배토삽날은 회전날에 의해 파서 날려지는 흙이 골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막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복토기에 의한 두둑 형성이 가능하여 복토기를 배토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복수개의 파종기를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랙터 후방에 설치된 다른 농기구(배토기, 복토기 및 로터베이터 포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형태에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 설치된 연결링크, 복수개의 파종기를 횡방향으로 결합하도록 하는 횡방향 바 등 다른 구성요소들이 포함된 전체 구조물을 파종기라 지칭하게 되었다. 이 때 전체 구조물을 지칭하는 용어와 전체 구조물 중 씨앗을 담고 있다가 밭에 뿌리는 최종 농기구인 구성요소를 구분할 목적으로, 전체 구조물을 파종기라 지칭하며, 전체의 일부인 상술한 구성요소를 시더 유닛이라 지칭한다.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되는 본 출원인의 파종기에 관한 2건의 한국 특허출원 명세서에서도 동일한 이유에서 전체의 일부인 씨앗을 뿌리는 최종 농기구 구성요소를 시더 유닛이라 지칭하고 있으므로, 용어의 사용과 관련하여 상술한 2건의 다른 한국 특허출원 명세서를 참조하여도 좋다.
즉, 본 발명의 대상인 시더 유닛은 전체 파종기의 일부로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 형태에서 시더 유닛은 복수개가 횡방향 바에 결합된 상태에서 트랙터 후방에 연결된 다른 농기구에 결합된다.
종래기술에서는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시더 유닛의 결합부가 상술한 횡방향 바에 용이하게 탈착되기 어려운 구조였다. 종래기술에서는 복수개의 시더 유닛들을 상술한 횡방향 바에 장착하려면 횡방향 바를 분리하여야 하였고, 이는 장착 해제 시에도 마찬가지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횡방향 바를 분리하지 않고도 복수개의 시더 유닛을 편리하게 장착하거나 장착 해제할 수 있고 장착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 유지가 가능한 장착부를 갖는 시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더 유닛(40)은 장착부(80)와 시더 유닛(40)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80)는,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클램프(81)와, 고정볼트(85)와,상기 고정볼트(8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86)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81)는 오픈된 구조로서 두 개의 힌지 결합점(82, 8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85)의 상기 너트(86)로의 삽입 체결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바(30)와의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81)는 오픈된 상태에서 일측에 걸침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81)는 두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상기 너트(86) 및 L자형 브래킷(89)이 고정 결합되는 한편, 상기 힌지 연결점(82, 83)에 힌지 결합되어 시더유닛 연결구(84-2, 87-2)를 통해 상기 시더 유닛(40) 본체와의 4절링크 결합을 형성하는 상하부 연결링크(84, 87) 및 상하부 연결링크(84, 87)를 연결하는 용수철(88)을 포함하되, 상기 용수철(88)은 상부연결링크(87)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용수철 연결구(87-1)와 하부연결링크(84)의 힌지 연결점(82)을 연결하고, 하부 연결링크(84)에는 시더 유닛(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연결하고, 하부 연결링크(84)에는 시더 유닛(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연결점(82)과 시더 유닛 연결구(84-2) 사이에 각도조절구(84-1)를 한개 이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시더 유닛(40)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횡방향 바를 분리하지 않고도 복수개의 시더 유닛을 편리하게 장착하거나 장착 해제할 수 있고 장착 상태에서 견고한 장착 상태 유지가 가능한 장착부를 갖는 시더 유닛이 제공된다.
도 1은 트랙터 후방에 복토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복토기(10)에 연결링크(20)와 횡방향 바(30)를 경유하여 복수개의 시더 유닛(40)들이 설치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더 유닛(40)의 장착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개의 시더 유닛이 장착되어 사용되는 사용 양태에 대한 설명
도 1은 트랙터 후방에 복토기(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이러한 복토기에 연결링크(20)와 횡방향 바(30)를 경유하여 복수개의 시더 유닛(40)들이 설치되는 실제 실시예의 사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복토기(10)에 한 쌍의 연결링크(20)가 클램프 구조에 의하여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연결링크(20)의 후단에는 횡방향 바(bar, 30)가 결합되어 있다. 횡방향 바(30)에는 복수개의 시더 유닛(40)이 장착된다. 횡방향 바(30)의 중앙에는 승강실린더(50)를 결합시키는 힌지 구조가 제공된다. 승강실린더(50)의 다른 단부는 복토기(10)에 힌지결합 된다.
시더 유닛의 장착부 구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더 유닛의 장착부(80)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과 대비하여 도 2에 도시된 구조를 파악하면 보다 용이하게 본 발명의 특징부인 시더 유닛의 장착부(80) 구조를 이해 가능하다. 도 1에서는 총 4개의 시더 유닛(40)이 횡방향 바(30)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나, 그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개수만이 아니라 시더 유닛(40)의 장착 위치 또한 제한이 없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장착부(80)를 갖는 시더 유닛(40)은 횡방향 바(30)로의 탈부착이 종래기술에 비하여 매우 용이해 지므로 최종 소비자는 얼마든지 시더 유닛(40)의 개수를 줄이거나 늘리는 등 횡방향 바(30)로의 장착 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동일한 개수를 유지하면서도, 시더 유닛(40)이 장착된 위치를 변경 가능하다.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의 개수를 변경하거나 장착된 위치를 변경하는 것의 기술적 의미에 대하여 첨언하면, A라는 작물과 B라는 작물의 파종 환경이 서로 상이하거나 A라는 밭과 B라는 밭의 파종 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파종기는 이러한 서로 상이한 환경에 모두 적용되어야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더 유닛(40)의 횡방향 바(30)에 결합된 개수와 횡방향 바(30)에 결합된 위치는 다른 환경으로의 적용을 위해서 변경되어야 할 것인데, 본 발명에 따른 시더 유닛(80)은 시더 유닛(80)은 종래기술에 비하여 개선된 장착부(80)에 힘입어 장착 해제 후 재장착이 매우 편리하고도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결국, 다양한 종류의 작물과 다양한 상태의 밭에 한 대의 파종기를 두루두루 적용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특징적인 장착부(80)를 포함하는 시더 유닛(40)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시더 유닛(40)의 장착부(80)는 클램프(81)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프(81)는 시더 유닛(40) 본체부와의 두 개의 힌지 연결점을 포함하고, 이러한 힌지 연결점(82, 83)에는 각각이 시더 유닛(40) 본체부와 힌지 연결된 상하부 연결링크(84, 87)가 장착된다. 상기 상하부 연결링크(84, 87)는 타측에 시더 유닛(40) 본체와 힌지점 연결되는 시더유닛 연결구(84-2, 87-2)를 구비한다.
이렇게 힌지 연결되는 상하부 연결링크(84, 87)를 통해 시더 유닛 장착부(80)의 클램프(81)는 시더 유닛(40) 본체와 4절링크 상태의 결합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4절링크 결합을 하면, 시더 유닛(40)은 상기 클램프(81)에 의하여 횡방향 바(30)에 장착된 상태에서도 상승과 하강이 가능하며, 도 3의 실제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연결링크 사이에 용수철(88)을 장착하여 4절링크 상태에서의 링크 변형 후 원래 링크 형태로의 복귀시 탄성력을 제공하고 있다.
즉, 상기 용수철(88)은 상부 연결링크(87)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용수철 연결구(87-1)와 하부 연결링크(84)의 힌지 연결점(82)을 연결함으로써, 시더 유닛(40)이 복귀시 탄성력 제공에 안정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하부 연결링크(84)에는 시더 유닛(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부 연결링크(84)의 힌지연결점(82)과 시더유닛 연결구(84-2) 사이에 각도조절구(84-1)가 한개 이상 형성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각도조절구(84-1)를 힌지 연결점(82) 또는 시더유닛 연결구(84-2)에 연결함으로써, 미리 결정한 시더 유닛(40)의 각도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클램프(81)는 오픈된 구조임을 명확히 알 수 있다. 이러한 오픈된 구조로 말미암아 횡방향 바(30)에 결합될 때 횡방향 바(30)를 분리하지 않고도, 현재 결합상태 그대로 횡방향 바(30)에 장착하거나 장착 상태의 해제가 가능하다. 즉, 횡방향 바(30)를 그대로 둔 채, 클램프(81)의 오픈된 공간으로 횡방향 바(30)를 끼울 수 있다. 그 이후 클램프(81)의 한쪽에 형성되는 역C자형 걸침 고리를 횡방향 바(30)에 걸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침 상태 달성 이후에 고정 볼트(85)의 체결에 의하여 견고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걸침 고리는 시더 유닛(40)의 횡방향 바(30)로의 결합 과정에서 고정 볼트(85)의 체결 전에 일종의 가조립 상태를 용이하게 달성케 하고, 이로써 고정 볼트(85)의 견고한 체결 과정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오픈된 구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램프(81)는 그 일부분이 오픈된 구조이면서, 클램프(81)의 내주면 중 3개 면이 각진 단면의 횡방향 바(30)에 접촉하는 구조이다. 상술한 역C자형 걸침 고리의 윗면, 아랫면, 옆면에서 접촉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접촉을 이루는 3개의 내주면을 제외한 나머지 1개의 내주면에서는 고정 볼트(85)가 내측으로 돌출되어 횡방향 바(30)의 클램프(81)의 내주면과 접촉하지 않는 면을 압박하면서 고정시킨다.
도 2의 우측을 보면, 클램프(81)가 두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된 구조임을 알 수 있다. 클램프(81)를 구성하는 두 개의 플레이트는 그 가운데에 L자형 브래킷(89)을 두고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클램프(81)를 구성하는 두 개의 철판의 사이에는 고정 볼트(85)를 위하여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86)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 구조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된 실제 실시예의 사진 본 발명의 출원 이전에 출입이 통제된 출원인의 공장에서 촬영된 것임을 밝힌다.
본 발명이 구체적으로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복토기
20: 연결링크
30: 횡방향 바
40: 시더 유닛
50: 승강실린더
60: 수평 조절부
70: 실린더 하강제한부
80: 장착부

Claims (3)

  1. 트랙터로의 연결 설치를 위해 제공되는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시더 유닛(40)이고,
    장착부(80)와 시더 유닛(40)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부(80)는,
    상기 횡방향 바(30)에 결합되는 클램프(81)와, 고정볼트(85)와,상기 고정볼트(85)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 너트(86)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81)는 오픈된 구조로서 두 개의 힌지 연결점(82, 83)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볼트(85)의 상기 너트(86)로의 삽입 체결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바(30)와의 결합이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81)는 오픈된 상태에서 일측에 걸침 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클램프(81)는 두 개의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에 상기 너트(86) 및 L자형 브래킷(89)이 고정 결합되는 한편,
    상기 힌지 연결점(82, 83)에 힌지 결합되어 시더유닛 연결구(84-2, 87-2)를 통해 상기 시더 유닛(40) 본체와의 4절링크 결합을 형성하는 상하부 연결링크(84, 87) 및 상하부 연결링크(84, 87)를 연결하는 용수철(88)을 포함하되,
    상기 용수철(88)은 상부 연결링크(87)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용수철 연결구(87-1)와 하부 연결링크(84)의 힌지 연결점(82)을 연결하고,
    하부 연결링크(84)에는 시더 유닛(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점(82)과 시더 유닛 연결구(84-2) 사이에 각도조절구(84-1)를 한개 이상 형성한, 시더 유닛(40).
  2. 삭제
  3. 삭제
KR1020180093854A 2018-08-10 2018-08-10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KR1021178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54A KR102117842B1 (ko) 2018-08-10 2018-08-10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54A KR102117842B1 (ko) 2018-08-10 2018-08-10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77A KR20200018077A (ko) 2020-02-19
KR102117842B1 true KR102117842B1 (ko) 2020-06-03

Family

ID=69669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54A KR102117842B1 (ko) 2018-08-10 2018-08-10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784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094A (ja) * 2006-06-01 2007-12-13 Agritecno Yazaki Co Ltd 畝立て同時播種機
KR101028127B1 (ko) * 2008-07-28 2011-04-08 오대석 써레 장착용 구조물
US20160143213A1 (en) 2014-11-26 2016-05-26 Cnh Industrial Canada Ltd. Belted Seed Transfer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3253B2 (ja) * 1987-12-03 1997-02-19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シーダーマルチの播種制御装置
KR101787830B1 (ko) * 2015-09-15 2017-10-20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종 작물 혼작용 동시 파종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9094A (ja) * 2006-06-01 2007-12-13 Agritecno Yazaki Co Ltd 畝立て同時播種機
KR101028127B1 (ko) * 2008-07-28 2011-04-08 오대석 써레 장착용 구조물
US20160143213A1 (en) 2014-11-26 2016-05-26 Cnh Industrial Canada Ltd. Belted Seed Transfe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77A (ko)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946A (en) Row cleaning attachment
US5022333A (en) Universal press wheel arm assembly
CN202652845U (zh) 免耕仿形精量播种机
KR102122036B1 (ko) 다목적 스마트 농기계
KR20100052257A (ko) 마늘 파종기 및 이를 이용한 파종방법
KR102117842B1 (ko) 장착부가 개선된 시더 유닛
KR102117853B1 (ko) 하강높이 조절수단을 구비한 파종기
US20200107491A1 (en) Angle adjustment device for disc-type coulters
KR102266126B1 (ko) 이식기
US10306822B2 (en) Agricultural knife assembly
KR102118196B1 (ko) 수평 및 위치조정이 용이한 파종기
EP1487249B2 (en) A soil tillage device
WO2011119093A1 (en) Planter with central beam having free front and rear side
US2046466A (en) Tractor implement
CN212306107U (zh) 一种高效型大豆种植用播种机
EA038826B1 (ru) Сеялка для внесения посе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или удобрения
KR200274470Y1 (ko) 트랙터 연결용 점파식 파종기의 장착브라켓
CN206517774U (zh) 旱田通用播种机
CN216982519U (zh) 一种农业用施肥旋耕播种机
CN205105590U (zh) 能够播种施肥覆土镇压的组合式播种一体机
US643019A (en) Attachment for seed-planters.
CN108323285A (zh) 一种多功能播种施肥一体机
KR102124701B1 (ko) 보수율이 우수한 밭작물 영농자재
EP3490362B1 (en) Angle setting mechanism in disc type furrow openers
CN209749106U (zh) 一种盐碱地花生、棉花带状种植一体化播种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