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8063A - 시력검사기구 - Google Patents

시력검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8063A
KR20200018063A KR1020180093826A KR20180093826A KR20200018063A KR 20200018063 A KR20200018063 A KR 20200018063A KR 1020180093826 A KR1020180093826 A KR 1020180093826A KR 20180093826 A KR20180093826 A KR 20180093826A KR 20200018063 A KR20200018063 A KR 202000180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icture
light source
eye
eye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2097B1 (ko
Inventor
김대홍
Original Assignee
김대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홍 filed Critical 김대홍
Priority to KR102018009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2097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2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20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285Phorop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가리는 막대가 아닌 가리는 눈이 원거리를 보고 있다고 인식하게 만드는 시력검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기준지점에서 제1길이로 이격된 검안차트와 함께 사용된다.
아울러, 검안차트와 함께 사용되는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는 일측이 폐쇄 면으로 폐쇄된 중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제1길이 보다 짧은 제2길이로 형성된 접안본체모듈; 접안본체모듈 내부에 설치되어 그림을 출력하는 그림광원모듈; 접안본체모듈 내부에 그림광원모듈로부터 개구공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오목렌즈모듈 및 접안본체모듈의 외측 면에서 중력방향으로 설치된 손잡이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시력검사기구{Apparatus of eyesight test}
본 발명은 시력을 측정하는 검사용 기구의 기술분야에 속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시력을 측정하기 위해 가리는 눈이 원거리를 보고 있다고 인식 하게끔 하는 시력검사기구에 관한 것이다.
시력검사기구는 눈의 시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돕는 장치이다. 현재 많은 시력검사기구는 검안차트와 차폐막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시력검사기구는 자신의 시력을 측정하려는 사람 즉, 피 시력측정자가 차폐막대로 한쪽 눈을 가린 상태에서 차폐막대로 가리지 않는 다른 한쪽 눈으로 검안차트의 마크를 읽도록 한다. 시력검사기구는 이와 같이 방법으로 양쪽 눈의 시력을 측정 한다.
현재, 눈은 초점을 맞출 때 양쪽 눈과 사물과의 거리를 고려하여 초점을 맞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시 말해, 눈은 어느 한쪽 눈을 차폐막대로 가리고, 다른 한쪽 눈을 통해 사물을 본다고 하더라도, 보이는 눈은 조절작용 등 차폐막대로 가려져 보이지 않는 눈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시력검사기구를 이용해 피검사자가 한쪽 눈을 가린 채 다른 한쪽 눈으로 검안차트를 보며 시력을 측정할 경우, 검안차트를 보는 눈은 실제 검안차트가 위치한 곳 보다 더 가까운 곳으로 초점을 맞출 가능성에 노출된다. 이에, 측정되는 눈의 시력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더욱이, 부정확한 시력의 측정은 피 측정자의 안경 및 렌즈의 도수를 부정확하게 하여, 피 시력측정자가 부정확한 도수의 안경 및 렌즈를 착용하게 되도록 한다. 이는 피 시력측정자가 눈의 피로 등의 불편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시력을 가진 사람이 부정확한 시력 측정 검사에 의해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없게 되는 상황을 만들기도 한다.
현재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피 시력측정자의 시력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도록 하는 시력검사기구가 요구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97815호 시력검사용기구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시력검사용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프리즘 및 거울부로 빛을 굴절시켜 시력검사를 하지 않는 눈에 시력을 측정하는 눈과 초점거리를 비슷하게 하는 이미지 즉, 천장에 붙은 이미지를 보여주어 시력을 측정하는 눈의 초점이 시력을 측정하지 않는 눈의 초점에 의해 변화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시력검사용기구는 천장에 붙은 이미지를 피 시력측정자의 시야에 정확하게 들어오게 하기 어려운 문제와 설치된 프리즘 및 거울부가 피 시력측정자의 앞머리 및 모자에 의해 가려질 경우, 천장에 붙은 이미지가 가려져 눈(시력을 측정하지 않는 눈)의 시야 위치에 이미지를 정확하게 놓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97815호 (2016.02.19)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생각하게 된 본 발명은 피 시력측정자의 한쪽 눈의 시력이 검사되는 동안, 다른 한쪽 눈에 원거리에 있는 듯한 그림을 보여줌으로써, 시력이 검사되는 한쪽 눈이 검사되지 않는 다른 한쪽의 눈에 의해 눈의 초점이 변경되지 않도록 하는 시력검사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시력이 검사되지 않는 다른 한쪽 눈의 시야 위치에 그림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그림이 앞머리 및 모자 등에 의해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시력검사기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는 기준지점에서 제1길이로 이격된 검안차트와 함께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는,
기준지점에서 제1길이로 이격된 검안차트와 함께 사용되는 시력검사기구에 있어서,
일측이 폐쇄 면으로 폐쇄된 중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제1길이 보다 짧은 제2길이로 형성된 접안본체모듈;
상기 접안본체모듈 내부에 설치되어 그림을 출력하는 그림광원모듈;
상기 접안본체모듈 내부에 상기 그림광원모듈로부터 상기 개구공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오목렌즈모듈; 및
상기 접안본체모듈의 외측 면에서 중력방향으로 설치된 손잡이모듈을 포함한다.
상기 그림광원모듈은 원근감 있는 그림이 프린팅된 이미지모듈과 상기 이미지모듈 뒤에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모듈은 상기 그림광원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그림광원모듈의 빛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안본체모듈은 일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짧고 타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을 폐쇄하는 폐쇄면 및 외주 면에 개구된 개구공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공과 상기 오목렌즈모듈 사이에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키는 반사프레임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접안본체모듈은 내측 면에 상기 이미지모듈에 대응되는 색상이 도포되며 상기 색상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일정하게 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시력검사기구는 시력 측정을 위해 가려지는 한쪽 눈에 그림을 보여주되, 오목렌즈모듈과 원근감 있는 그림으로 인해 그림이 실제 위치보다 먼 거리에 놓여져 있는 듯한 느낌이 나도록 보여주어 시력을 측정을 하는 다른 한쪽 눈이, 가려지는 한쪽 눈에 의해 초점 변화가 발생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시력을 측정하는 눈의 초점이 올바르게 맞춰진 상태에서 피 시력측정자의 시력을 정확하게 측정가능 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는 시력이 검사되지 않는 다른 한쪽 눈의 시야 위치에 그림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고, 그림이 앞머리 및 모자 등에 의해 가려지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력검사기구를 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시력검사기구의 이미지모듈에 프린팅된 그림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는 도 5의 시력검사기구를 Ⅱ-Ⅱ'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시력검사기구의 접안본체모듈을 통해 이미지모듈을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그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의하여 시력검사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는 피 시력측정자(A)가 기준지점(G.P)에 위치하여 시력 측정을 할 때, 시력 측정을 하기 위해 가려지는 한쪽 눈에 오목렌즈모듈(30)로 인해 그림광원모듈의 실제위치보다 초점거리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눈에 그림광원모듈이 멀리 있는 것으로 인식을 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검안차트(B)를 보며 시력을 측정하는 다른 한쪽 눈의 초점이, 가려지는 한쪽 눈에 의해 초점거리가 변화되지 않도록 한다.
즉, 시력검사기구(1)는 시력이 측정되지 않는 눈의 초점거리를 시력을 측정하는 눈이 검안차트(B)가 위치한 곳을 보는 정도의 초점 거리로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시력검사기구(1)는 시력을 측정하는 눈이 시력을 측정하지 않는 눈의 초점 조절에 대한 영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눈의 초점을 올바르게 맞추도록 유도하여 검사하는 눈의 시력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는 접안본체모듈(10), 그림광원모듈(20), 오목렌즈모듈(30) 및 손잡이모듈(4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1)는 종래에 나와 있는 검안차트(B)와 함께 사용된다.
여기서, 검안차트(B)는 기준지점(G.P)에서 제1길이(L1)로 이격 되며, 일면에 복수 개의 서로 다른 크기의 마크(M)가 표시된 차트가 될 수 있다. 이러한 검안차트(B)는 종래의 형성된 검안용 차트가 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도 3 및 도 4를 더 참조하여 시력검사기구(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시력검사기구를 I-I'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이미지모듈에 프린팅된 그림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접안본체모듈(10)은 일측에 폐쇄면(110)이 형성되고, 타측에 개구공(120)이 형성되며 내부는 비어 있는 중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접안본체모듈(10)은 제1길이(L1) 보다 짧은 제2길이(L2)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접안본체모듈(10)은 길이가 제2길이(L2)가 되는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접안본체모듈(10)은 형상이 제2길이(L2)의 원통형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내부가 비어 있고, 길이가 제2길이(L2)가 되는 형상에 한에서 다양하게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안본체모듈(10)의 내부에는 그림광원모듈(20) 및 오목렌즈모듈(30)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접안본체모듈(10)의 외부에는 외측 면에서 중력방향으로 손잡이모듈(40)이 설치될 수 있다.
접안본체모듈(10)의 내부에 설치된 그림광원모듈(20)은 원근감 있는 그림이 프린팅된 이미지모듈(220)과 이미지모듈 뒤에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모듈(21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그림광원모듈(2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아울러, 오목렌즈모듈(30)은 피 시력측정자의 그림광원모듈에 대한 눈의 초점을 원거리로 맞추게 만들 수 있다. 오목렌즈모듈(30)은 적어도 하나의 오목렌즈 및 복수 개의 오목렌즈가 연결된 하나의 오목렌즈군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오목렌즈모듈(30)은 그림광원모듈(20)로부터 개구공(120) 방향의 위치 즉, 그림광원모듈(20)과 개구공(12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오목렌즈모듈(30)은 피 시력측정자가 그림광원모듈(20)에서 제공하는 그림을 볼 때, 시력 측정을 하기 위해 가려지는 한쪽 눈에 그림광원모듈의 실제위치보다 오목렌즈모듈로 인해 초점거리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눈에 그림광원모듈이 멀리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손잡이모듈(40)은 막대 바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는 광원모듈(210)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2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외부에는 사용자의 그립 감을 높일 수 있는 마찰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모듈(40)의 일측 면에는 광원모듈(210)의 밝기를 조절하는 제어부(4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10)는 시계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또는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손잡이모듈(4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410)는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의 회전 량 또는 슬라이딩 이동 량에 따라 광원모듈(210)을 턴-온 및 턴-오프 하고, 광원모듈(210)에서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41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광원모듈(210)을 턴-온 시킬 수 있다. 그리고 턴-온 된 상태에서 점차 시계방향으로 더 많이 회전되면 광원모듈(210)에서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410)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광원모듈(210)에서 출력되는 빛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고 빛의 세기가 점차 감소된 상태에서 좀 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광원모듈(210)을 턴-오프 시킬 수 있다. 이하, 그림광원모듈(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림광원모듈(20)은 피 시력측정자(A)의 시력이 측정되지 않는 눈에 그림을 제공한다. 그림광원모듈(20)은 시력이 측정되지 않는 눈에 보이는 그림이 프린팅된 이미지모듈(220)과 이러한 그림이 잘 보이도록 이미지모듈(220)뒤에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모듈(2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림광원모듈(20)은 광원모듈(210)이 일측의 폐쇄면(110)에 설치되고 이미지모듈(220)이 광원모듈(210)과 타측 면의 개구공(120) 사이에 설치되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광원으로 원근감 있는 그림을 출력하는 이미지모듈(220)과 광원모듈(210)이 일체형인 디스플레이기기로 형성 될 수도 있다.
여기서, 광원모듈(210)은 손잡이모듈(40)에 설치된 제어부(410)와 연결되어 제어부(410)의 작동에 따라 다양한 세기의 빛을 출력하는 광원이 될 수 있다.
특히, 광원모듈(210)은 제어부(410)의 제어를 통해 다양한 세기의 빛을 출력하며 피 시력측정자(A)의 그림을 보는 눈의 동공 크기가 검안차트를 보는 눈의 동공 크기에 대응크기로 맞춰지도록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원모듈(210)은 빛의 세기를 조절하며 시력을 측정하지 않는 눈의 동공 크기를 평상 시의 동공 크기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광원모듈(210)은 시력을 측정하지 않는 눈의 동공이 작아지면 이에 대응해 시력을 측정하는 눈의 동공 또한 작아져 핀 홀(pin hole)효과로 인해 시력이 향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미지모듈(220)은 원근감 있게 표현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이미지모듈(220)은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숲 즉, 자연 풍경의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미지모듈(220)은 도 4의 (a)에 도시된 그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모듈(220-1)은 언덕에 집이 있는 그림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모듈(220-2)는 하늘에 기구가 떠 있는 그림을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모듈(220, 220-1, 220-2)는 원거리에 있는 듯한 그림 및 원근감이 표현된 그림 등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멀리 있다고 느낄 수 있게 표현된 그림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5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와 종래의 검안차트가 함께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는 도 5의 시력검사기구를 Ⅱ-Ⅱ'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따른 시력검사기구의 접안본체모듈을 통해 이미지모듈을 바라보았을 때, 보이는 그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1)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와 같이 피 시력측정자(A)가 기준지점(G.P)에 위치하여, 시력 측정을 하기 위해 가려지는 한쪽 눈에 그림광원모듈의 실제위치보다 오목렌즈모듈로 인해 초점거리가 멀어지도록 함으로써, 그림광원모듈이 멀리 있는 것으로 인식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검안차트(B)를 보며 시력을 측정하는 다른 한쪽 눈의 초점이, 가려지는 한쪽 눈에 의해 초점거리가 변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는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하여, 피 시력측정자(A)의 한쪽 눈에 그림을 보여주는 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1)는 지면으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하여 피 시력측정자(A)의 한쪽 눈에 원거리에 위치한 듯한 그림을 보여준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1)는 접안본체모듈(10-1), 그림광원모듈(20), 반사프레임모듈(50), 오목렌즈모듈(30), 손잡이모듈(40)을 포함한다. 그리고, 접안본체모듈(10-1)의 내측면에 도포된 그라데이션 색상(G1, G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와 비교하여 접안본체모듈(10-1) 및 반사프레임모듈(50)을 제외한 다른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1)의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와 비교하여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접안본체모듈(10-1)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점차 경사지며 외형이 일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길고, 타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짧은 형상 즉, 원뿔체에 있어서 중심선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양측 면이 경사진 테이퍼(tape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안본체모듈(10-1)은 일측과 타측을 폐쇄하는 폐쇄면(110)과 외주 면에 형성된 개구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안본체모듈(10-1)은 내부에 오목렌즈모듈(30) 및 반사프레임모듈(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반사프레임모듈(50)은 종단면이 직각 삼각형이 되고 횡단면이 사각형이 되는 직각삼각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반사프레임모듈(50)은 직각 면을 통해 입사된 광선을 빗면을 통해 굴절시켜 다른 직각 면의 외부로 향하게 한다. 즉, 입사되는 방향의 빛을 90도 굴절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반사프레임모듈(50)은 접안본체모듈(10-1)의 직경이 작은 타측의 폐쇄 면과 접안본체모듈(10-1)의 내주 면에 빗면이 접하도록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력검사기구(1-1)는 피 시력측정자(A)가 검안차트(B)를 정면에서 바라보도록 한 상태에서 시력 검사의 대상이 아닌 눈의 시야를 정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시킨 후, 변경된 시야에서 실제 위치한 곳 보다 멀리 있는 듯한 그림을 볼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시력검사기구(1-1)의 접안본체모듈(10-1)의 내측 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모듈(220)에 프린팅된 그림에 대응되는 색상이 더 도포되어 그림이 원거리에 떨어져 있는 듯한 효과를 더욱 향상 시킬 수 있다.
일례로, 접안본체모듈(10-1)의 내측 면에는 이미지모듈(220)이 숲이 그려진 그림일 경우, 내측 면의 위쪽 방향에는 하늘색이 도포되고, 아래쪽 방향은 녹색으로 도포될 수 있다. 이때, 도포된 색상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그려진 그림과 어울리게 색상 또는 명암이 일정하게 변화는 효과 즉, 그라데이션(Gradation) 효과(G1, G2))가 나타나도록 도포될 수 있다. 이때, 상측의 그라데이션 효과(G1)는 그림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측과 어울리도록 형성되고, 하측의 그라데이션 효과(G2)는 그림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측과 어울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라데이션 효과는 접안본체모듈(10-1)의 형상의 특징과 함께 작용하여 피 시력측정자(A)가 시력 검사 대상이 되는 눈과 시력 검사 대상이 아닌 눈의 초점거리가 보다 비슷하게 맞춰지도록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1, 1-1)는 기존에 시력 검사의 대상이 아닌 눈의 초점거리가 매우 짧아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1, 1-1)의 접안본체모듈(10, 10-1)은 피 시력측정자(A)의 눈에 대는 일부분을 제외하고는 폐쇄된 원통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형상의 시력검사기구(1, 1-1)는 그 내부에 오목렌즈모듈(30) 및 그림광원모듈(20)이 설치되어 시력이 검사되지 않는 눈의 시야 위치에 그림을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아울러, 피 시력측정자의 앞머리 및 피 시력측정자가 착용한 모자 등이 접안본체모듈(10, 10-1)의 일부를 덮어도, 오목렌즈모듈(30) 및 그림광원모듈(20)이 가려지지 않도록 하며 피 시력측정자(A)가 온전히 이미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시력검사기구(1, 1-1)는 기존에 개발된 시력검사용기구에서 발생되는 문제 즉, 피 시력측정자의 앞머리 및 피 시력측정자가 착용한 모자에 의해 시력을 측정하지 않는 눈에 보여지는 이미지가 가려져 발생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시력검사기구 10, 10-1: 접안본체모듈
110: 폐쇄면 120: 개구공
20: 그림광원모듈 210: 광원모듈
220: 이미지모듈 30: 오목렌즈모듈
40: 손잡이모듈 410: 제어부
420: 배터리 50: 반사프레임모듈
A: 피 시력측정자 L1: 제1길이
L2: 제2길이 M: 마크
C: 색상 G1, G2: 그라데이션 효과
G.P: 기준지점 B: 검안차트

Claims (5)

  1. 기준지점에서 제1길이로 이격된 검안차트와 함께 사용되는 시력검사기구에 있어서,
    일측이 폐쇄 면으로 폐쇄된 중공형 형상으로 형성되며, 길이는 상기 제1길이 보다 짧은 제2길이로 형성된 접안본체모듈;
    상기 접안본체모듈 내부에 설치되어 그림을 출력하는 그림광원모듈;
    상기 접안본체모듈 내부에 상기 그림광원모듈로부터 상기 개구공 방향으로 이격 설치된 오목렌즈모듈; 및
    상기 접안본체모듈의 외측 면에서 중력방향으로 설치된 손잡이모듈을 포함하는, 시력검사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림광원모듈은 원근감 있는 그림이 프린팅된 이미지모듈과 상기 이미지모듈 뒤에서 빛을 출력하는 광원모듈을 포함하는, 시력검사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모듈은 상기 그림광원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그림광원모듈의 빛의 출력 세기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시력검사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본체모듈은 일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짧고 타측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과 타측을 폐쇄하는 폐쇄 면 및 외주 면에 개구된 개구공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공과 상기 오목렌즈모듈 사이에 빛의 진행 방향을 굴절시키는 반사프레임모듈이 설치된, 시력검사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안본체모듈은 내측 면에 상기 이미지모듈에 대응되는 색상이 도포되며 상기 색상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일정하게 변화되는, 시력검사기구.
KR1020180093826A 2018-08-10 2018-08-10 시력검사기구 KR1021420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26A KR102142097B1 (ko) 2018-08-10 2018-08-10 시력검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826A KR102142097B1 (ko) 2018-08-10 2018-08-10 시력검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063A true KR20200018063A (ko) 2020-02-19
KR102142097B1 KR102142097B1 (ko) 2020-08-06

Family

ID=69669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826A KR102142097B1 (ko) 2018-08-10 2018-08-10 시력검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20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80A (ja) * 1994-09-13 1996-03-26 Canon Inc 検眼装置
JPH1014871A (ja) * 1996-06-28 1998-01-20 Topcon Corp 視力表提示装置
CN2675040Y (zh) * 2004-02-20 2005-02-02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手持液晶视力测试仪
KR101597815B1 (ko) 2014-12-03 2016-02-26 김대홍 시력검사용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80280A (ja) * 1994-09-13 1996-03-26 Canon Inc 検眼装置
JPH1014871A (ja) * 1996-06-28 1998-01-20 Topcon Corp 視力表提示装置
CN2675040Y (zh) * 2004-02-20 2005-02-02 熊猫电子集团有限公司 手持液晶视力测试仪
KR101597815B1 (ko) 2014-12-03 2016-02-26 김대홍 시력검사용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2097B1 (ko) 2020-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556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vision
ES2715457T3 (es) Sistema para la determinación de la refracción ocular
KR102403121B1 (ko) 검안 장치
KR100679147B1 (ko) 검안장치 및 검안차트
EP3329835B1 (en) Subjective optometric apparatus
JPH05126A (ja) 眼科装置
US4653881A (en) Apparatus for measuring the parameters required when mounting ophthalmic lenses upon a spectacles frame
US5255027A (en) Eye testing device
JPH08140933A (ja) 視覚機能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US6244713B1 (en) Optometric chart presenting apparatus
CN107115096B (zh) 眼底光学成像系统
EP3329836A1 (en) Subjective optometric apparatus
KR20200018063A (ko) 시력검사기구
US5988814A (en) Patient-interactive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eye refraction
CN109303544B (zh) 一种多尺度混合视力障碍分析仪及其分析方法
von Helmholtz Description of an ophthalmoscope for examining the retina in the living eye
TWI720353B (zh) 眼底相機以及自行拍攝眼底之方法
KR101597815B1 (ko) 시력검사용 기구
JP7009774B2 (ja) 模型眼
Boher et al. Characterization of one time‐sequential stereoscopic 3d display‐Part II: Quick characterization using homogeneity measurements‐
KR101597816B1 (ko) 시력검사용 기구
KR102660158B1 (ko) 콘택트렌즈 피팅 상태 검사 장치
JP3047412U (ja) ピンホール付き視力補助具
JP7388457B2 (ja) 視機能検査装置
TWI836024B (zh) 用於測量光學系統的特性的方法和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