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7895A -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7895A
KR20200017895A KR1020180093445A KR20180093445A KR20200017895A KR 20200017895 A KR20200017895 A KR 20200017895A KR 1020180093445 A KR1020180093445 A KR 1020180093445A KR 20180093445 A KR20180093445 A KR 20180093445A KR 20200017895 A KR20200017895 A KR 2020001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terminal
vehicle
occupant
mai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073B1 (ko
Inventor
유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션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션아이
Priority to KR102018009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073B1/ko
Publication of KR2020001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78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06Q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28Passenger detection systems mounted on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 B60R21/0153Passenger detection systems using field detection presenc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Alarm Device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 내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방식, 마그네틱 방식, QR 코드 방식으로 센싱하며,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주차시 방치된 인원이 발생시 운전자 및 관련자에게 알려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Vehicle Occupant}
본 실시예는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무더운 여름 주차된 차량 실내온도는 80℃를 웃도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며, 특히, 차량의 구조물을 다루기 취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의 경우 차량의 시동이 꺼진 후 주차되었을 때 스스로 잠긴 문을 열고 나오기가 쉽지 않다.
전술한 문제로 인하여 운전자가 어린이집 차량에서 하차하지 못한 어린이를 인지하지 못하고 주차하는 사건이 발생하였으며, 결국 급격히 상승된 차량의 실내 온도로 인해 차량 내부 방치된 어린이가 사망에 이르는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차량 내부에 구비된 센서 및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 탑승자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여 주차시 방치된 인원이 발생시에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는 기술을 필요로 한다.
본 실시예는 차량 내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방식, 마그네틱 방식, QR 코드 방식으로 센싱하며,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주차시 방치된 인원이 발생시 운전자 및 관련자에게 알려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하며,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RF 방식으로 전송하는 센싱 단말기;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와 연동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키며, 상기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메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메인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키는 과정; 상기 센싱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센싱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센싱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상기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상기 탑승자의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차량 내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방식, 마그네틱 방식, QR 코드 방식으로 센싱하며,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 실내의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파악하여 주차시 방치된 인원이 발생시 운전자 및 관련자에게 알려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및 초음파 센서를 차량에 장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를 차량에 장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인식을 이용한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6b는 본 실시예에 따른 승차 및 하차에 따른 QR 코드 인식 검출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단말기(110)는 시트의 뒷면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 형태로 설치된다. 센싱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적외선 및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센싱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의 값을 갖도록 하는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1의 값을 갖도록 하는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단말기(110)는 센싱 전원부(112), 센싱부(114), 센싱 제어부(116), 센싱 RF 모듈(118)을 포함한다. 센싱 단말기(11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싱 단말기(11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1에 도시된 센싱 단말기(11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한다.
센싱 전원부(112)는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공급한다. 센싱 전원부(112)에 코인 형태의 배터리가 착탈 또는 교체된다.
센싱부(114)는 시트 뒷면에 설치되어 초음파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기 설정된 시트 영역의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한다. 센싱부(114)는 기 설정된 영역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절대 0℃ 이상의 모든 물체는 복사에너지를 방출하며, 사람의 경우 체온이 37℃ 정도로 1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적외선 파장을 방출한다.
센싱부(114)는 전술한 원리를 이용하여 차량 내 좌석에 앉은 사람의 유무를 판단한다. 센싱부(114)는 적외선 센서를 포함한다. 적외선 센서는 기 설정된 영역에 대한 적외선 파장의 변화값을 감지한다. 센싱부(114)에 포함되는 센서는 적외선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센싱 제어부(116)는 센싱부(114)를 제어하며, 제1 센싱값을 변조하거나 데이터화한다. 센싱 제어부(116)는 센싱부(114)에 포함된 적외선 센서로부터 감지된 파장의 값을 변조하여 센싱 데이터 값을 생성한다.
센싱 RF 모듈(118)은 메인 단말기(120)와 연동하며 제1 센싱값을 RF 통신방식으로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RF 모듈(118)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메인 단말기(120)와 페어링된다. 센싱 RF 모듈(118)은 센싱 제어부(116)로부터 전달받은 센싱 데이터 값을 RF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센싱 단말기(110)와 연동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센싱 단말기(110)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킨다.
메인 단말기(120)는 복수의 센싱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값 중 어느 하나라도 1의 값을 가지면,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28)에 탑승자 확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제1 센싱값을 기반으로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센싱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1 센싱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가 확인되면, 1차적으로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에 대응하는 진동이나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위험 사항 알람을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2차적으로 2차 위험 사항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이 경과되도록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3차적으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단말기(120)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단말기(120)는 단말 전원부(122), CODEC부(124), MCU(126), 단말 RF 모듈(127), 디스플레이부(128)를 포함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메인 단말기(12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는 장치 내부의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또는 하드웨어적인 모듈을 연결하는 통신 경로에 연결되어 상호 간에 유기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통신 버스 또는 신호선을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1에 도시된 메인 단말기(120)의 각 구성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소프트웨어적인 모듈, 하드웨어적인 모듈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 전원부(122)는 차량 내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CODEC부(124)는 차량 시동 OFF시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CODEC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한다.
CODEC부(124)는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이 0일 경우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지 않는다. CODEC부(124)는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 중 어느 하나라도 1의 값을 가지면 기 저장된 CODEC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MCU(Micro Controller Unit)(126)는 제1 센싱값을 기반으로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위험 상황 알림의 전송 여부를 제어한다.
MCU(126)는 물체 미감지시 단말 RF 모듈(127)로부터 전달받은 센싱 데이터 값을 기준값 0으로 설정한다. MCU(126)는 물체 감지시 단말 RF 모듈(127)로부터 전달받은 센싱 데이터 값을 기반으로 물체 감지시 디지털 값을 1로 설정한다. MCU(126)는 오류 방지를 위해 디지털 값이 1이 되어도 소프트웨어 알고리즘의 타이머 세팅으로 스쳐 지나가는 물체 값은 무시한다. MCU(126)는 기 설정된 시간 이상 디지털 값이 1로 유지될 때 물체가 감지된 것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컨대, MCU(126)는 1분 이상 디지털 값이 1이상 유지되면 물체 감지로 인식한다.
MCU(126)는 물체 감지시 해당 센싱부(114)로부터 전달받은 값을 판단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28)에 해당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단말 RF 모듈(127)은 센싱 단말기(110)와 연동하며, 위험 상황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단말 RF 모듈(127)은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이 0일 경우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지 않는다.
단말 RF 모듈(127)은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 중 어느 하나라도 1의 값을 가지면,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130)와 RF 통신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을 수신한 후 진동이나 메시지로 위험 상황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28)는 MCU(126)의 제어에 따라 탑승자 확인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8)로 인해 운전자는 육안으로 사람의 탑승 및 하차 여부 확인 가능하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및 초음파 센서를 차량에 장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센싱 단말기(110)를 차량의 시트 뒷면에 설치한 후 센싱 단말기(110)를 차량에 설치된 메인 단말기(120)에 등록한다. 하나의 메인 단말기(120)에 복수의 센싱 단말기(110)(예컨대, 최대 20개 이상)를 등록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와 센싱 단말기(11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센싱 단말기(110)의 페어링 버튼을 길게 누르면, 해당 센싱 단말기(110)가 메인 단말기(120)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운전자 단말기(130)를 메인 단말기(120)에 등록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운전자 단말기(130)를 페어링하여 메인 단말기(120)에 운전자 단말기(130)를 등록한다.
운전자 단말기(130)에는 메인 단말기(1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한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단말기(13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후 인스톨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단말기(130)에 탑재되어, 운전자 단말기(13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등록된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의 앞시트의 위치 고려하여 부착된다.
센싱 단말기(110)의 센싱 전원부(112)에는 코인 형태의 배터리가 착탈 및 교체되며, 센싱 전원부(112)는 배터리가 삽입되면, 배터리로부터 전력(예컨대, DC5V)을 인가받아 센싱 단말기(110)로 공급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단말 전원부(12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는 ACC 12V, 24V 겸용으로 차량용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GND 연결, 주차 모드 상시 전원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는 블랙박스와 동일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며, 연결된 차량이 일반 운행모드인지 주차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이 주차 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인지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접속된 센싱 단말기(110)로 BLE 통신을 기반으로 전원이 ON될수 있도록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한다.
BLE 통신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센싱 단말기(110)는 슬립(Sleep) 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센싱부(114)에서 수집한 적외선 데이터 값 또는 초음파 데이터 값을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사용자 알림을 수행한다.
1단계로 메인 단말기(120)는 전송받은 적외선 데이터 값 또는 초음파 데이터 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인원 유무를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 인원 유무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내부에 인원이 방치된 상태로 확인되면,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을 수신한 후 진동이나 메시지로 위험 상황을 출력한다.
2단계로, 메인 단말기(120)는 위험 사항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1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예컨대, 메인 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부(128)의 메시지 해제 등 행위) 입력이 없을 시 2차 경고 알림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3단계로,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예컨대, 3분) 이상으로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을시 사전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유치원 관계자 단말기, 학부모 단말기)로 메인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한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럭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단말기(110)는 시트 상의 안전벨트에 마그네틱 센서 형태로 설치된다.
센싱 단말기(110)는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센서가 인접한 경우 0(LOW)의 값을 갖도록 하는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센서가 기 설정된 거리이상 떨어지게 되면 1(HIGH)을 갖도록 하는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 단말기(110)는 센싱 전원부(112), 센싱부(114), 센싱 제어부(116), 센싱 RF 모듈(118)을 포함한다.
센싱 전원부(112)는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공급한다. 센싱 전원부(112)에 코인 형태의 배터리가 착탈 또는 교체된다.
센싱부(114)는 시트 상의 안전벨트에 설치되어, 안전벨트의 버클의 체결 여부에 따라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한다.
센싱부(114)는 마그네틱 센서를 포함한다. 마그네틱 센서는 두 개의 마그네틱 센서로 구성되며(N극,S극), 두 개의 마그네틱 센서가 서로 다른 극성으로 붙어 있을시 0(LOW)를 출력한다. 마그네틱 센서는 두 개의 마그네틱 센서가 기 설정된 거리(예컨대, 25mm)이상 떨어지게 되면 1(HIGH)을 출력한다.
센싱 제어부(116)는 센싱부(114)를 제어하며, 제2 센싱값을 변조하거나 데이터화한다. 센싱 제어부(116)는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검출된 값을 변조하여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 값을 생성한다.
센싱 RF 모듈(118)은 메인 단말기(120)와 연동하며 제2 센싱값을 RF 통신방식으로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RF 모듈(118)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메인 단말기(120)와 페어링된다. 센싱 RF 모듈(118)은 센싱 제어부(116)로부터 전달받은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 값을 RF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센싱 단말기(110)와 연동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센싱 단말기(110)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킨다.
메인 단말기(120)는 복수의 센싱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값 중 어느 하나라도 0의 값을 가지면,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제2 센싱값을 기반으로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센싱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2 센싱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가 확인되면, 1차적으로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에 대응하는 진동이나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위험 사항 알람을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2차적으로 2차 위험 사항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이 경과되도록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3차적으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단말기(120)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단말 전원부(122), CODEC부(124), MCU(126), 단말 RF 모듈(127), 디스플레이부(128)를 포함한다.
단말 전원부(122)는 차량 내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한다.
CODEC부(124)는 차량 시동 OFF시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CODEC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구비된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한다. CODEC부(124)는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이 1일 경우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지 않는다. CODEC부(124)는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 중 어느 하나라도 0의 값을 가지면 기 저장된 CODEC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MCU(Micro Controller Unit)(126)는 제2 센싱값을 기반으로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위험 상황 알림의 전송 여부를 제어한다. MCU(126)는 안전벨트에 탑재된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안전벨트 미착용시 전달받은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 값을 기준값을 1로 설정한다.
MCU(126)는 안전벨트에 탑재된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안전벨트 착용시 전달받은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 값을 디지털값을 0으로 설정한다. MCU(126)는 안전벨트 착용시와 미착용시는 센서값으로 100 % 검출이 가능하다. MCU(126)는 안전벨트에 결합된 마그네틱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값을 기반으로 기 설정된 영역에 사람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디스플레이부(128)에 표시한다.
단말 RF 모듈(127)은 센싱 단말기(110)와 연동하며, 위험 상황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단말 RF 모듈(127)은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이 1일 경우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지 않는다.
단말 RF 모듈(127)은 차량 시동 OFF시 단말 RF 모듈(127)에 접속된 모든 센서값 중 어느 하나라도 0의 값을 가지면,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130)와 RF 통신을 이용하여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을 수신한 후 진동이나 메시지로 위험 상황을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28)는 MCU(126)의 제어에 따라 탑승자 확인 데이터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28)로 인해 운전자는 육안으로 사람의 탑승 및 하차 여부 확인 가능하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틱 센서를 차량에 장착한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센싱 단말기(110)를 차량의 시트 뒷면에 설치한 후 센싱 단말기(110)를 차량에 설치된 메인 단말기(120)에 등록한다. 하나의 메인 단말기(120)에 복수의 센싱 단말기(110)(예컨대, 최대 20개 이상)를 등록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와 센싱 단말기(110)의 전원을 켠 상태에서 센싱 단말기(110)의 페어링 버튼을 길게 누르면, 해당 센싱 단말기(110)가 메인 단말기(120)에 자동으로 등록된다.
운전자 단말기(130)를 메인 단말기(120)에 등록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운전자 단말기(130)를 페어링하여 메인 단말기(120)에 운전자 단말기(130)를 등록한다. 운전자 단말기(130)에는 메인 단말기(120)를 제어할 수 있는 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한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단말기(130)가 스마트 폰인 경우 애플리케이션 스토어를 이용하여 다운로드한 후 인스톨할 수 있다. 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운전자 단말기(130)에 탑재되어, 운전자 단말기(130)에 구비된 각종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등록된 센싱 단말기(110)는 암.수로 구분되어 차량 시트의 안전벨트에 부착된다. 센싱 단말기(110)의 센싱 전원부(112)에는 코인 형태의 배터리가 착탈 및 교체되며, 센싱 전원부(112)는 배터리가 삽입되면, 배터리로부터 전력(예컨대, DC5V)을 인가받아 센싱 단말기(110)로 공급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단말 전원부(12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는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의 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는 ACC 12V, 24V 겸용으로 차량용 전원에 연결될 수 있으며, GND 연결, 주차 모드 상시 전원으로 연결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는 블랙박스와 동일하게 연결되는 구조이며, 연결된 차량이 일반 운행모드인지 주차 모드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의 시동이 오프(OFF)되면,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이 주차 모드로 진입한 것으로 인지한다. 메인 단말기(120)에 접속된 센싱 단말기(110)로 BLE 통신을 기반으로 전원이 ON될수 있도록 웨이크업(wakeup) 신호를 전송한다. BLE 통신으로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한 센싱 단말기(110)는 슬립(Sleep) 모드에서 동작모드로 전환하며, 센싱부(114)에서 수집한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 값을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사용자 알림을 수행한다.
1단계로 메인 단말기(120)는 전송받은 마그네틱 센싱 데이터 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인원 유무를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 인원 유무를 판단한 결과를 기반으로 차량 내부에 인원이 방치된 상태로 확인되면,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을 수신한 후 진동이나 메시지로 위험 상황을 출력한다.
2단계로, 메인 단말기(120)는 위험 사항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예컨대, 1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예컨대, 메인 단말기(120)의 디스플레이부(128)의 메시지 해제 등 행위) 입력이 없을 시 2차 경고 알림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3단계로,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예컨대, 3분) 이상으로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을시 사전에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예컨대, 유치원 관계자 단말기, 학부모 단말기)로 메인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QR 코드를 인식을 이용한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메인 단말기(120)는 사용자를 등록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유치원생 정보를 유치원 관계자 단말기 또는 학부모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입력받아 사전 등록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유치원생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생성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RF 방식으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탑승자가 승차시 기 등록된 탑승자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탑승 시간을 갖도록 하는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탑승자가 하차시 QR 코드를 인식하여 하차 시간을 갖도록 하는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운행 시간을 사전에 등록한다. 예컨대, 메인 단말기(120)는 최초 QR 코드를 인식한 후 하차시까지 소요되는 소요 시간을 사전에 등록받는다.
예컨대, 메인 단말기(120)가 연결된 차량이 1시간 운행하는 것으로 설정된 경우, 메인 단말기(120)는 1시간 내에 차량에 탑승한 탑승자에 대한 전원 하차 처리가 없을시 차량 사고로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사고로 판단한 경우, 기 등록된 위급 사항 등록 번호(예컨대, 유치원 관계자 전화번호, 학부모 전화번호)로 위급 상황 문자를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QR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탑승자 정보마다 제3 센싱값에 포함된 승차 시간에 하차 시간이 어느 하나라도 비매칭되면,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제3 센싱값을 기반으로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QR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탑승자 정보마다 승차에서 하차시까지 소요되는 총 소요 시간을 기 저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탑승자마다 승차부터 시간을 카운터하다가 QR 코드에 대응하는 탑승자 정보 중 총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탑승자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사고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위급 사항 등록 번호로 위급 상황 문자를 전송하도록 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센싱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제3 센싱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가 확인되면, 1차적으로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에 대응하는 진동이나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위험 사항 알람을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2차적으로 2차 위험 사항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이 경과되도록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3차적으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단말기(120)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가 유치원생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 생성하여 학부모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6a,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부모 단말기에서 메인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각 유치원생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프린트하여 가방 등에 부착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탑승시 탑승 인도자는 유치원 관계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치원생 개별로 부여된 QR코드 스캔하여 탑승 시간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하차시 하차 인도자는 유치원 관계자 단말기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유치원생 개별로 부여된 QR코드 스캔하여 하차 시간 정보를 자동으로 입력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는 탑승 시간 정보와 하차 시간 정보를 분석하여 승차 인원이 모두 하차하였는지를 추가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메인 단말기(120)는 탑승자가 탑승한 후 미하차시 최초 QR 코드 인식후 5분 이내 탑승 정보가 하차처리되지 않은 인원 발생시 해당 QR 코드 정보를 읽어들여 해당 보호자에게 문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센싱 단말기(110)와 연동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센싱 단말기(110)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킨다(S710).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한다(S720).
단계 S720에서, 센싱 단말기(110)는 시트의 뒷면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 형태로 설치된다. 센싱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적외선 및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센싱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의 값을 갖도록 하는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1의 값을 갖도록 하는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한다(S730).
단계 S730에서, 센싱 단말기(110)는 시트 상의 안전벨트에 마그네틱 센서 형태로 설치된다. 센싱 단말기(110)는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센서가 인접한 경우 0(LOW)의 값을 갖도록 하는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센서가 기 설정된 거리이상 떨어지게 되면 1(HIGH)을 갖도록 하는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RF 방식으로 전송한다(S740).
단계 S740에서, 센싱 단말기(110)는 탑승자가 승차시 기 등록된 탑승자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탑승 시간을 갖도록 하는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센싱 단말기(110)는 탑승자가 하차시 QR 코드를 인식하여 하차 시간을 갖도록 하는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메인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750).
단계 S750에서, 메인 단말기(120)는 복수의 센싱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센싱값 중 어느 하나라도 1의 값을 가지면,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부(128)에 탑승자 확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복수의 센싱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제2 센싱값 중 어느 하나라도 0의 값을 가지면,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QR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탑승자 정보마다 제3 센싱값에 포함된 승차 시간에 하차 시간이 어느 하나라도 비매칭되면,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다.
단계 S750에서,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한다(S760).
단계 S760에서 메인 단말기(120)는 QR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탑승자 정보마다 승차에서 하차시까지 소요되는 총 소요 시간을 기 저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탑승자마다 승차부터 시간을 카운터하다가 QR 코드에 대응하는 탑승자 정보 중 총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탑승자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사고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위급 사항 등록 번호로 위급 상황 문자를 전송하도록 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S770). 단계 S770에서, 메인 단말기(120)는 센싱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1,2,3 센싱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가 확인되면, 1차적으로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한다. 운전자 단말기(130)는 위험 상황 알람에 대응하는 진동이나 메시지를 출력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S780).
단계 S780에서, 메인 단말기(120)는 위험 사항 알람을 기 등록된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2차적으로 2차 위험 사항 알람을 운전자 단말기(130)로 전송한다.
메인 단말기(120)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이 경과되도록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3차적으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메인 단말기(120)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한다.
도 7에서는 단계 S710 내지 단계 S780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7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7은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7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센싱 단말기
112: 센싱 전원부 114: 센싱부
116: 센싱 제어부 118: 센싱 RF모듈
120: 메인 단말기
122: 단말 전원부 124: CODEC
126: MCU 127: 단말 RF 모듈
128: 디스플레이부
130: 운전자 단말기

Claims (12)

  1.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및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하며, 상기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하며,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RF 방식으로 전송하는 센싱 단말기; 및
    상기 차량에 탑재되어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와 연동하며,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키며, 상기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며,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메인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말기는 상기 시트의 뒷면에 적외선 또는 초음파 센서 형태로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적외선 및 초음파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센싱하며,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0의 값을 갖도록 하며, 기 설정된 시트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1의 값을 갖도록 하는 상기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센싱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1 센싱값 중 어느 하나라도 1의 값을 가지면, 상기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여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에 탑승자 확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말기는 상기 시트 상의 안전벨트에 마그네틱 센서 형태로 설치되어,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센서가 인접한 경우 0(LOW)의 값을 갖도록 하며, 서로 다른 극성의 마그네틱 센서가 기 설정된 거리이상 떨어지게 되면 1(HIGH)을 갖도록 하는 상기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 단말기는 복수의 상기 센싱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2 센싱값 중 어느 하나라도 0의 값을 가지면, 상기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말기는 탑승자가 승차시 기 등록된 탑승자 정보에 대응하는 QR 코드를 인식하여 탑승 시간을 갖도록 하며, 탑승자가 하차시 상기 QR 코드를 인식하여 하차 시간을 갖도록 하는 상기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며,
    상기 메인 단말기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탑승자 정보마다 상기 제3 센싱값에 포함된 상기 승차 시간에 상기 하차 시간이 어느 하나라도 비매칭되면, 상기 탑승자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복수의 탑승자 정보마다 승차에서 하차시까지 소요되는 총 소요 시간을 기 저장하며,
    탑승자마다 승차부터 시간을 카운터하다가 상기 QR 코드에 대응하는 탑승자 정보 중 상기 총 소요 시간을 초과하는 탑승자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 사고로 판단하여 기 등록된 위급 사항 등록 번호로 위급 상황 문자를 전송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단말기는,
    탑재된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공급하는 센싱 전원부;
    시트 뒷면에 설치되어 초음파 또는 적외선 방식으로 기 설정된 시트 영역의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센싱한 상기 제1 센싱값을 생성하며, 상기 시트 상의 안전벨트에 설치되어, 상기 안전벨트의 버클의 체결 여부에 따라 상기 탑승자의 존재여부를 센싱한 상기 제2 센싱값을 생성하며, 구비된 카메라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탑승자의 승차와 하차 여부를 센싱하여 상기 제3 센싱값을 생성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를 제어하며, 상기 제1,2,3 센싱값을 변조하거나 데이터화하는 센싱 제어부; 및
    상기 메인 단말기와 연동하며 상기 제1,2,3 센싱값을 RF 통신방식으로 상기 메인 단말기로 전송하는 센싱 RF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원부는 코인 형태의 배터리가 착탈 또는 교체되며,
    상기 센싱 RF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 또는 명령에 의해 상기 메인 단말기와 페어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상기 차량 내의 전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말 전원부;
    상기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음성 메시지를 출력하거나 상기 위험 상황 알림의 전송 여부를 제어하는 MCU(Micro Controller Unit);
    차량 시동 OFF시 상기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기 저장된 CODEC을 이용하여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되도록 하는 CODEC부;
    상기 센싱 단말기와 연동하며, 상기 위험 상황 알람을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RF 모듈;
    탑승자 확인 데이터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상기 1,2,3 센싱값을 분석한 후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고, 차량 내 탑승자의 존재가 확인되면, 1차적으로 기 등록된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상기 위험 사항 알람을 전송하여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하여금 상기 위험 상황 알람에 대응하는 진동이나 메시지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상기 위험 사항 알람을 기 등록된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한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2차적으로 2차 위험 사항 알람을 상기 운전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단말기는
    기 설정된 조치 시간이 경과되도록 별다른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3차적으로 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메인 단말기의 GPS 위치정보와 함께 상기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장치.
  12. 메인 단말기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시동이 오프되면 주차모드인 것으로 인지하여 복수 개의 상기 센싱 단말기를 활성화되도록 동작시키는 과정;
    상기 센싱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기 설정된 시트(Seat) 영역에 탑승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초음파, 적외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센싱한 제1 센싱값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센싱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마그네틱 방식으로 탑승자가 존재를 센싱한 제2 센싱값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센싱 단말기에서 차량 내부에 탑승자의 승하차시 촬영된 QR 코드를 인식한 제3 센싱값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과정;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상기 제1,2,3 센싱값을 기반으로 상기 탑승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상기 탑승자의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기 설정된 안내 멘트를 포함하는 음성 메시지를 스피커로 출력하도록 하는 과정;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운전자 단말기로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과정; 및
    상기 메인 단말기에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조치 입력이 없는 경우, 등록된 다른 사용자 단말기로 GPS 위치정보와 함께 위험 상황 알람을 전송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KR1020180093445A 2018-08-10 2018-08-10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1440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45A KR102144073B1 (ko) 2018-08-10 2018-08-10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3445A KR102144073B1 (ko) 2018-08-10 2018-08-10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7895A true KR20200017895A (ko) 2020-02-19
KR102144073B1 KR102144073B1 (ko) 2020-08-12

Family

ID=69669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3445A KR102144073B1 (ko) 2018-08-10 2018-08-10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0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82A (ko) * 2020-07-09 2022-01-19 박정만 아동용 통학차량 내 아동의 탑승 유무 확인시스템
KR20220083511A (ko) 2020-12-11 2022-06-20 조진환 압전매트를 이용한 인원계수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150140557A (ko) * 2015-03-25 2015-12-16 전대연 유치원, 어린이집 스마트 안심 알림 시스템
KR20170111837A (ko) 2016-03-30 2017-10-12 강성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KR101800613B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
KR20170130814A (ko) * 2016-05-19 2017-11-29 박충희 어린이 등/하원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8053B1 (ko) * 2013-09-09 2014-12-31 박용재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KR20150140557A (ko) * 2015-03-25 2015-12-16 전대연 유치원, 어린이집 스마트 안심 알림 시스템
KR20170111837A (ko) 2016-03-30 2017-10-12 강성범 비콘을 이용한 통학차량 탑승관리 시스템
KR20170130814A (ko) * 2016-05-19 2017-11-29 박충희 어린이 등/하원 차량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
KR101800613B1 (ko) * 2016-10-19 2017-11-24 주식회사 세일테크놀러지 차량 내부 위험상황 경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782A (ko) * 2020-07-09 2022-01-19 박정만 아동용 통학차량 내 아동의 탑승 유무 확인시스템
KR20220083511A (ko) 2020-12-11 2022-06-20 조진환 압전매트를 이용한 인원계수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073B1 (ko) 2020-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5063B2 (en) Car seat occupant detection and aler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KR101478053B1 (ko) 어린이 통학차량용 안전시스템
US20160049061A1 (en) Integrated vehicle sensing and warning system
KR101948249B1 (ko) 어린이 및 노약자 보호 차량 경보 시스템 및 방법
KR101297187B1 (ko) 차량의 탑승자 보호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US20160082923A1 (en) An alarm system
KR102144073B1 (ko) 차량 탑승자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8119003A (zh) 用于增强车库门开启器远程控制的系统和方法
WO2016181395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whether objects have been left in unattended vehicles
CN209008537U (zh) 一种客车乘客安全带无线提醒装置
CN105905069A (zh) 一种汽车安全带自动检测提醒装置
KR20200068090A (ko) IoT기반 어린이통학차량 통합안전관리 지원시스템
KR102549382B1 (ko) 어린이 사고 예방 안전 장치 및 방법
US11615693B2 (en) Vehicle safety system for preventing child abandonment and related methods
KR20200077135A (ko) 자동 잠든 아이 확인 장치
WO2021144786A1 (en) An intelligent vehicle sea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KR101361179B1 (ko) 차량용 안전시스템
KR102017570B1 (ko)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사고 방지 시스템
KR101826639B1 (ko) 차량 운행 종료 후 미하차 인원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20100134899A (ko) 차량용 질식방지시스템 및 이를 통한 질식방지방법
KR20180081883A (ko)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어린이 통학차량 안전시스템
KR20130015054A (ko) 사고방지용 터치패드가 장착된 차량
CN209842690U (zh) 一种汽车车内人数检测提醒系统
KR102122816B1 (ko) 통학차량의 안전시스템
KR20220007782A (ko) 아동용 통학차량 내 아동의 탑승 유무 확인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